보톨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톨라는 모로코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15년 시작되어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이 주최한다. 16개 팀이 참가하여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며,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아프리카 챔피언스 리그, 3위 팀과 모로코 컵 우승팀은 아프리카 컨페더레이션 컵에 진출한다. 위다드 AC가 최다 우승(22회)을 기록했으며, 라자 CA와 AS FAR도 13회 우승으로 리그를 대표하는 강팀이다. 2011년 프로화되어 보톨라 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IFFHS에 의해 아프리카 최고의 리그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로코 축구에 관한 - 위다드 AC
위다드 AC는 모로코 카사블랑카를 연고로 1937년 창립되어 프랑스 식민주의에 저항한 구심점이자 모로코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축구 클럽으로, 라자 카사블랑카와 치열한 더비 경기를 펼친다. - 모로코 축구에 관한 - FAR 라바트
FAR 라바트는 1958년에 창단된 모로코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이 보톨라 13회 우승, 모로코 왕위컵 12회 우승, CAF 챔피언스 리그 1회 우승을 차지하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다양한 스포츠 부서를 운영하며 많은 팬을 보유하고 있다. - 195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에레디비시
에레디비시는 1898년에 시작되어 1956-57 시즌부터 에레디비시라는 명칭으로 18개 팀이 경쟁하는 네덜란드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AFC 아약스가 최다 우승팀이다. - 195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니카라과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니카라과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는 1956년 창설되어 1967년 폐지되었다가 2004년에 재개된 니카라과의 프로 야구 리그이며, 5개 팀이 참가하여 10월부터 1월까지 정규 시즌과 포스트 시즌을 진행하고 우승 팀은 라틴 아메리카 시리즈에 출전한다.
보톨라 | |
---|---|
일반 정보 | |
![]() | |
국가 | 모로코 |
대륙 연맹 | CAF |
창립 연도 | 1915년 6월 11일 |
현재 형식 | 2012년 |
참가 팀 수 | 16 |
하위 리그 | 보톨라 2 |
리그 등급 | 1부 리그 |
국내 컵 | 모로코 왕좌컵 |
대륙 컵 | CAF 챔피언스리그 CAF 컨페더레이션컵 |
최다 우승팀 | 위다드 AC (22회) |
최근 우승팀 | 라자 CA (13회) |
현재 시즌 | 2023–24 시즌 |
다음 시즌 | 2024–25 시즌 |
TV 중계 | SNRT (Arryadia) |
주관 단체 | 모로코 축구 연맹 |
명칭 | |
아랍어 명칭 | البطولة الإحترافيّة (Al-Buṭūla l-Iḥtirāfiyya) |
영어 명칭 | Botola |
일본어 명칭 | ボトラ |
스폰서 | |
스폰서 | Inwi |
2. 역사
모로코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15년 술탄국 시절 모로코 축구 리그 주최로 시작되었다. 1956년 모로코 독립 이후, 1957년 1월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이 출범하면서 위다드 AC가 1956-57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6] 이후 카우카브 마라케시(1957-58 시즌[7]), 유스 스타(1958-59 시즌[8]), KAC 케니트라(1959-60 시즌[9])가 차례로 우승했다.
1960년대에는 AS FAR가 1961년부터 1964년까지 4시즌 연속 우승했다. 이후 마그레브 데 페스(1964-65 시즌), 위다드 AC(1965-66 시즌)가 우승하며 라자 CA와의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다.
1970년대에는 RS 세타트, 라싱 드 카사블랑카, 라자 베니 멜랄, MC 우지다, SCC 모함메디아 등 새로운 팀들이 우승했고, KAC 케니트라는 1972-73 시즌 '카르 디알 페즈' 사건으로 챔피언십을 획득했다.[22] 마그레브 드 페즈는 이 시기에 두 번, KAC 케니트라는 두 번 연속 우승,[23][24] 올림피크 드 카사블랑카는 첫 우승을 차지했다.[25]
1980년대에는 위다드 AC와 AS FAR의 경쟁이 치열했다. AS FAR는 3회, 위다드는 4회 우승을 차지했다. 카우카브 마라케시는 두 번째 타이틀을, 라자 CA는 1987-1988 시즌에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26]
1995년부터 2002년까지 Raja CA는 6시즌 연속 우승을 포함해 총 7번 우승했다.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3번 결승에 진출, 2번 우승했고, 2000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기록했다.[27]
2002년 이후 하사니아 아가디르가 2회 연속 우승,[30] 위다드 AC와 ASFAR가 각각 2회, 올림피크 후리브가가 1회 우승했다.[31] 라자는 3개의 타이틀을 추가했다.
2011-12 시즌부터 리그는 프로화되었고, 마그레브 테투안이 첫 프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3] 이후 라자 카사블랑카, 마그레브 테투안, 위다드 카사블랑카, FUS 라바트, IR 탕헤르 등 다양한 팀들이 우승했다. 2020년에는 VAR(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도입되었다.[37]
보톨라는 IFFHS에 의해 2001-2010년, 2011-2020년 세계 최고의 아프리카 리그 3위,[32],[39] 지난 10년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40개 국가 리그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38]
보톨라는 16개 클럽이 참가하며, 8월부터 5월까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총 30경기를 치른다.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는다. 순위는 총점, 골득실차, 득점 순으로 결정되며, 동점일 경우 플레이오프로 결정한다.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CAF 챔피언스 리그, 3위 팀과 쿠프 뒤 트론 우승팀은 CAF 컨페더레이션 컵에 참가한다. 보톨라와 보톨라 2 간에는 승강제가 적용된다.
기간 (연도) | 클럽 수 |
---|---|
1956–1958 | 16 |
1958–1966 | 14 |
1966–67 | 16 |
1967–68 | 18 |
1968–1980 | 16 |
1980–81 | 20 |
1981–82 | 18 |
1982–1985 | 16 |
1985–86 | 20 |
1986–87 | 24 (2개 조) + 플레이오프 |
1987–88 | 18 |
1988–현재 | 16 |
2. 1. 초기 (1915-1960)
모로코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15년 6월 11일 술탄국에서 시작되었다. 모로코 축구 리그가 주최했으며, 1956년 모로코 독립 이후에도 리그는 계속되었다.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 산하의 새로운 조직은 1957년 1월에 출범했으며, 위다드 AC가 1956-57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통산 6번째 우승을 달성했다.[6] 다음 시즌에는 카우카브 마라케시가 우승을 차지했고, 그 다음 두 시즌은 유스 스타와 KAC 케니트라가 우승했다.[7][8][9]
2. 2. 라이벌 구도 형성 (1960-1970)
AS FAR는 1961년부터 1964년까지 4시즌 연속으로 보톨라 우승을 차지하며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마그레브 데 페스, 카우카브 마라케시와 같은 강팀들과의 경쟁 속에서 이룬 성과였다.[10][11][12][13] AS FAR는 4회 연속 우승을 달성한 최초의 모로코 클럽이라는 역사를 썼다.1964-1965 시즌에는 마그레브 데 페스가 창단 후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14] 1965-1966 시즌에는 위다드 AC가 우승을 차지하며 라자 CA와의 치열한 경쟁 구도가 시작되었다.[15] 특히 위다드 AC와 라자 CA의 더비 경기는 관중 난입으로 인해 재경기가 열릴 정도로 뜨거웠다. 재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고, 결국 위다드 AC가 라자 CA를 승점 1점 차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16]
이 시기에는 RS 세타트[17], 라싱 드 카사블랑카[18], 라자 베니 멜랄[19], MC 우지다[20], SCC 모함메디아[21] 등 새로운 팀들이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2. 3. 새로운 챔피언들의 등장 (1971-1995)
이 기간 동안 RS 세타트[17], 라싱 드 카사블랑카[18], 라자 베니 멜랄[19], MC 우지다[20], SCC 모함메디아[21]를 포함한 새로운 팀들이 챔피언십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KAC 케니트라는 1972-1973 시즌에 '카르 디알 페즈' 사건으로 알려진 극적인 방식으로 챔피언십을 획득했는데, 이는 마그레브 드 페즈와 위다드 AC의 마지막 라운드 경기가 마그레브 페즈 선수들을 태운 버스의 고장으로 취소되어 페즈에게 패배가 자동 적용되고 위다드가 4점을 얻으면서 위다드가 2부 리그 강등을 면하게 된 사건이었다. 이로 인해 KAC 케니트라가 리그에서 우승했다.[22]마그레브 드 페즈는 이 시기에 두 개의 타이틀을 더 추가했다. KAC 케니트라는 두 번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23][24] 올림피크 드 카사블랑카는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25]
2. 4. 라자 CA의 전성기 (1995-2002)
Raja CA는 1995년부터 2002년까지 7시즌 동안 모로코 축구 리그를 지배하며 6시즌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이 시기 Raja CA는 훌륭한 선수들을 바탕으로 황금기를 구가하며 모로코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클럽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27]Raja CA의 성공은 국내 리그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Raja CA는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아프리카 무대에서 명성을 떨쳤다. CAF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3번 진출하여 2번 우승을 차지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입증했다.[28] 비록 2002 CAF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는 패배했지만,[28] 2000 FIFA 클럽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7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 무대에서도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29]
2. 5. 경쟁 심화 (2002-2011)
하사니아 아가디르는 위다드 AC, ASFAR와 같은 팀들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2회 연속으로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30] 그 후, 카사블랑카의 위다드와 ASFAR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마지막 라운드까지 우승팀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ASFAR와 위다드 카사블랑카는 각각 2번의 타이틀을 획득했고, 올림피크 후리브가는 역사상 처음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31] 한편, 라자는 위다드와 ASFAR를 따라잡기 위해 경쟁을 계속했고, 3개의 타이틀을 추가하며 총 10개의 타이틀을 획득한 세 번째 팀이 되었다. 보톨라는 IFFHS에 의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세계 최고의 아프리카 리그 3위에 올랐다.[32]2. 6. 보톨라 프로 출범 (2011-현재)
2011-12 시즌, 모로코 축구 리그는 프로화되어 "보톨라 프로"로 명칭을 변경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33] 첫 프로 시즌 우승은 마그레브 테투안이 차지했다.[33] 이후 라자 카사블랑카(2012-13 시즌[34]), 마그레브 테투안(2013-14 시즌[34]), 위다드 카사블랑카(2014-15 시즌[34]), FUS 라바트(2015-16 시즌[35]), 위다드 카사블랑카(2016-17 시즌), IR 탕헤르(2017-18 시즌[36]) 등 다양한 팀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 구도가 이어졌다.2020년 10월 4일,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은 보톨라에 VAR(비디오 판독 시스템)을 도입하여 판정의 공정성을 높였다.[37]
국제 축구 역사 & 통계 연맹(IFFHS)은 보톨라를 2010년대(2011-2020) 세계 최고의 아프리카 리그 중 3위[39], 지난 10년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40개 국가 리그 중 하나로 선정했다.[38] 또한 2018년 이후 보톨라는 IFFHS에 의해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리그 3위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41][42]
3. 경기 방식
보톨라는 아랍어로 선수권 대회를 의미한다. 1956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리그는 중단 없이 개최되고 있다. 우승 클럽과 2위 클럽에게는 CAF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3위 클럽과 모로코 스론 컵 우승 클럽에게는 CAF 컨페더레이션 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또한 2012-13 시즌과 2013-14 시즌 우승 클럽에게는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졌다.
3. 1. 승격 및 강등
보톨라 최하위 2개 팀은 보톨라 2로 강등되고, 보톨라 2 상위 2개 팀은 보톨라로 승격된다. بطولة 2|보톨라 2ar는 모로코의 2부 축구 리그이다.4. 참가팀
보톨라는 CAF 5년 랭킹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경쟁력이 높으며,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와 튀니지 리그 프로페셔널 1을 앞선다.[47]
라자 CA와 위다드 AC는 아프리카 트로피 총 획득 수 기준 상위 10위 안에 드는 성공적인 클럽이다. 이 두 클럽은 AS FAR 및 마그레브 데 페스와 함께 아프리카 대회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4팀으로 꼽힌다. 하사니아 아가디르, 올림피크 클럽 드 쿠리브가, 디파아 하사니 엘 자디디, 파흐 유니온 스포츠는 마그레브 데 페스와 함께 챔피언스 리그에 공동 4번째로 많이 참가한 모로코 팀이다. AS FAR는 1985년 아프리카 챔피언 클럽스컵 결승전에서 AS 빌리마를 꺾고 국제 컵에서 우승한 최초의 모로코 클럽이다.[47]
모로코 클럽은 CAF 컨페더레이션컵에서 7개의 우승컵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CAF 챔피언스 리그 및 CAF 슈퍼컵에서는 두 번째로 많은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FAR 라바트는 2005년 컨페더레이션컵[48]에서 우승하고 2006년 컨페더레이션컵에서 패배하며 아프리카 컨페더레이션컵에서 2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한 최초의 모로코 클럽이 되었다.[49]
4. 1. 2024-25 시즌 참가팀
팀 |
---|
샤바브 아틀라스 케니프라 |
샤바브 리프 알호세이마 |
디파 엘자디디 |
FAR 라바트 |
파흐 유니온 스포츠 |
하사니아 아가디르 |
이티하드 케미세트 |
KAC 케니트라 |
카우카브 마라케시 |
MAS 페스 |
모그레브 테투안 |
올림피크 사피 |
올림피크 코우리가 |
라자 카사블랑카 |
나흐닷 베르켄 |
위다드 카사블랑카 |
4. 2. 2022-23 시즌 참가팀 (일본어 위키 참고)
클럽 | 홈 타운 | 홈 경기장 |
---|---|---|
AS FAR | 라바트 | 물레이 압달라 경기장 |
SCC 모하메디아 | 모하메디아 | 엘 바시르 경기장 |
디파 하사니 엘 자디디 | 알자디다 | 엘 아브디 경기장 |
파스 유니온 스포르 | 라바트 | 물레이 하산 경기장 |
하사니아 아가디르 | 아가디르 | 아드라르 경기장 |
이티하드 탕헤르 | 탕헤르 | 이븐 바투타 경기장 |
JS 수알렘 | 수알렘 | 베르헤시드 시립 경기장 |
마그레브 데 페스 | 페스 | 페스 경기장 |
마그레브 테투안 | 테투안 | 사니아트 르멜 경기장 |
MC 우지다 | 우지다 | 호노르 경기장 |
RS 베르칸느 | 베르칸느 | 베르칸느 시립 경기장 |
올림픽 크리브가 | 크리브가 | OCP 복합 단지 |
올림픽 클럽 데 사피 | 사피 | 엘 마시라 경기장 |
라자 카사블랑카 | 카사블랑카 | 스타드 모하메드 V |
우니온 데 투아르가 | 라바트 | 물레이 하산 경기장 |
위다드 카사블랑카 | 카사블랑카 | 스타드 모하메드 V |
5. 역대 우승팀 및 득점왕
모로코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15년 술탄국에서 시작되었다.[6] 1956-57 시즌 위다드 AC가 우승한 이후,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 산하의 새로운 조직이 출범하였다.[6] 이후 카우카브 마라케시, KAC 케니트라 등 여러 클럽들이 우승을 차지하며 경쟁을 펼쳤다.
1995년부터 2002년까지 라자 CA는 6시즌 연속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모로코 축구의 강자로 떠올랐고,[27] CAF 챔피언스 리그와 FIFA 클럽 월드컵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7]
하사니아 아가디르가 2회 연속 우승한 후,[30] 위다드 AC와 AS FAR가 다시 경쟁 구도를 형성했고, 올림피크 후리브가도 이 시기에 첫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31]
2011-12 시즌부터 보톨라는 프로 리그로 전환되었으며, 마그레브 테투안이 첫 프로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3] 이후 여러 팀들이 우승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보톨라는 16개 클럽이 참가하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30경기를 치른다.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으며, 총점, 골득실차, 득점 순으로 순위가 결정된다.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CAF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고, 3위 팀과 모로코 컵 우승팀은 CAF 컨페더레이션 컵에 참가한다. 보톨라와 보톨라 2 사이에는 승강제가 존재한다.
기간 (연도) | 클럽 수 |
---|---|
1956–1958 | 16개 |
1958–1966 | 14개 |
1966–67 | 16개 |
1967–68 | 18개 |
1968–1980 | 16개 |
1980–81 | 20개 |
1981–82 | 18개 |
1982–1985 | 16개 |
1985–86 | 20개 |
1986–87 | 24개 (2개 조) + 플레이오프 |
1987–88 | 18개 |
1988–현재 | 16개 |
; 역대 득점왕 (1985-86 시즌 이후)
시즌 | 선수 | 소속팀 | 득점 |
---|---|---|---|
1985-86 | 하산 나데르 모하메드 샤우시 | 위다드 카사블랑카 카우카브 마라케시 | 13 |
1986-87 | 압데라자크 하이리 하산 나데르 | AS FAR 위다드 카사블랑카 | 12 |
1987-88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7 |
1988-89 | 하산 나데르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8 |
1989-90 | 압데슬람 라그리시 | AS FAR | 22 |
1990-91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5 |
1991-92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1 |
1992-93 | 유세프 페르투트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8 |
1993-94 | 아흐메드 바흐자 | 카우카브 마라케시 | 14 |
1994-95 | 압데슬람 라그리시 | AS FAR | 15 |
1995-96 | 스필 | 제네세 엘 마실라 | 16 |
1996-97 | 아나네 | AS 살레 | 17 |
1997-98 | 라시드 로키 | SCC 모하메디아 | 15 |
1998-99 | 압데라지즈 즈이네 | 올림피크 후리브가 | 16 |
1999-00 | 무스타파 비두다네 | 파스 유니온 스포르 | 17 |
2000-01 | 사미르 살살 | 카우카브 마라케시 | 12 |
2001-02 | 오마르 자위트 | 티하드 스포르티프 카사블랑카 | 14 |
2002-03 | 무스타파 비두다네 | 라자 카사블랑카 | 14 |
2003-04 | 무스타파 비두다네 | 라자 카사블랑카 | 13 |
2004-05 | 모하메드 알무멘 | AS FAR | 12 |
2005-06 | 마마두 바 카마라|마마두 바 카마라gn | 올림피크 후리브가 | 9 |
2006-07 | 자와드 우아두시 | AS FAR | 12 |
2007-08 | 압데라자크 라므나스피 | AS FAR | 13 |
2008-09 | 무스타파 알라위 | AS FAR | 14 |
2009-10 | 오마르 하시 | 위다드 데 페스 | 12 |
2010-11 | 자와드 우아두시 | AS FAR | 11 |
2011-12 | 칼 막스 바르텔레미|칼 막스 바르텔레미cd | 디파 하사니 엘 자디디 | 17 |
2012-13 | 압데라자크 함달라 | 올림피크 클루브 데 사피 | 14 |
2013-14 | 주하일 나임 주마나 코네|주마나 코네ci | 마그레브 테투안 하사니아 아가디르 | 11 |
2014-15 | 말릭 에브나|말릭 에브나ga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6 |
2015-16 | 마흐디 나그미 | AS FAR | 12 |
2016-17 | 윌리엄 제보르|윌리엄 제보르lb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9 |
2017-18 | 무흐신 야주르 | 라자 카사블랑카 | 17 |
2018-19 | 무흐신 야주르 코조 포도 라바|코조 포도 라바tg | 라자 카사블랑카 RS 베르칸느 | 19 |
2019-20 | 브라힘 엘 바흐라위 | 라피데 웨드 제므 | 16 |
2020-21 | 아유브 엘 카아비 | 라자 카사블랑카 | 18 |
2021-22 | 가이 므벤자|가이 므벤자cg | 라자 카사블랑카 | 16 |
5. 1. 클럽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
위다드 AC ⭐⭐ | 22 | 17 | 1947–48, 1948–49, 1949–50, 1950–51, 1954–55, 1956–57, 1965–66, 1968–69, 1975–76, 1976–77, 1977–78, 1985–86, 1989–90, 1990–91, 1992–93, 2005–06, 2009–10, 2014–15, 2016–17, 2018–19, 2020–21, 2021–22 |
라자 CA ⭐ | 13 | 12 | 1987–88,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3–04, 2008–09, 2010–11, 2012–13, 2019–20, 2023–24 |
ASFAR ⭐ | 13 | 8 |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6–67, 1967–68, 1969–70, 1983–84, 1986–87, 1988–89, 2004–05, 2007–08, 2022–23 |
마그레브 페스 | 4 | 7 | 1964–65, 1978–79, 1982–83, 1984–85 |
KAC 케니트라 | 4 | 2 | 1959–60, 1972–73, 1980–81, 1981–82 |
레이싱 드 카사블랑카 | 3 | 6 | 1944–45, 1953–54, 1971–72 |
스타드 마로캥 | 3 | 4 | 1927–28, 1930–31, 1943–44 |
카우카브 마라케시 | 2 | 6 | 1957–58, 1991–92 |
하사니아 아가디르 | 2 | 1 | 2001–02, 2002–03 |
모그레브 테투안 | 2 | 0 | 2011–12, 2013–14 |
FUS 라바트 | 1 | 5 | 2015–16 |
올림피크 후리브가 | 1 | 3 | 2006–07 |
RS 세타트 | 1 | 2 | 1970–71 |
IR 탕헤르 | 1 | 1 | 2017–18 |
올림피크 드 카사블랑카 | 1 | 1 | 1993–94 |
물루디아 우지다 | 1 | 1 | 1974–75 |
CODM 드 메크네스 | 1 | 0 | 1994–95 |
샤밥 모하메디아 | 1 | 0 | 1979–80 |
라자 드 베니 멜랄 | 1 | 0 | 1973–74 |
에투알 드 카사블랑카 | 1 | 0 | 1958–59 |
5. 2. 도시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5 | 11 | 1956-57, 1965–66, 1968–69, 1975–76, 1976–77, 1977–78, 1985–86, 1989–90, 1990–91, 1992–93, 2005–06, 2009–10, 2014–15, 2016–17, 2018-19, 2020-21 |
FAR 라바트 | 12 | 7 |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6–67, 1967–68, 1969–70, 1983–84, 1986–87, 1988–89, 2004–05, 2007–08 |
라자 카사블랑카 | 12 | 5 | 1987–88,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3–04, 2008–09, 2010–11, 2012–13, 2019-20 |
MAS 페스 | 4 | 7 | 1964–65, 1978–79, 1982–83, 1984–85 |
KAC 케니트라 | 4 | 2 | 1959–60, 1972–73, 1980–81, 1981–82 |
KAC 마라케시 | 2 | 6 | 1957–58, 1991–92 |
하사니아 아가디르 | 2 | 1 | 2001–02, 2002–03 |
마그레브 테투아니 | 2 | - | 2011–12, 2013–14 |
FUS 라바트 | 1 | 5 | 2015–16 |
OC 클리브가 | 1 | 3 | 2006–07 |
라싱 카사블랑카 | 1 | 2 | 1971–72 |
르네상스 세타트 | 1 | 2 | 1970-71 |
IR 탄지르 | 1 | 1 | 2017-18 |
올랭피크 카사블랑카 | 1 | 1 | 1993–94 |
무루디아 우지다 | 1 | 1 | 1974–75 |
COD 메크네스 | 1 | - | 1994–95 |
샤바브 모하메디아 | 1 | - | 1979–80 |
라자 드 베니 멜랄 | 1 | - | 1973–74 |
에투알 드 카사블랑카 | 1 | - | 1958–59 |
5. 3. 지역별 우승 횟수
클럽 | 우승 횟수 | 준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위다드 AC | 1956-57, 1965-66, 1968-69, 1975-76, 1976-77, 1977-78, 1985-86, 1989-90, 1990-91, 1992-93, 2005-06, 2009-10, 2014-15, 2016-17, 2018-19, 2020-21 | ||
FAR 라바트 | 1960-61, 1961-62, 1962-63, 1963-64, 1966-67, 1967-68, 1969-70, 1983-84, 1986-87, 1988-89, 2004-05, 2007-08 | ||
라자 CA | 1987-88, 1995-96, 1996-97,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3-04, 2008-09, 2010-11, 2012-13, 2019-20 | ||
MAS 페스 | 1964-65, 1978-79, 1982-83, 1984-85 | ||
KAC 케니트라 | 1959-60, 1972-73, 1980-81, 1981-82 | ||
KAC 마라케시 | 1957-58, 1991-92 | ||
하사니아 아가디르 | 2001-02, 2002-03 | ||
마그레브 테투아니 | 2011-12, 2013-14 | ||
FUS 라바트 | 2015-16 | ||
OC 클리브가 | 2006-07 | ||
라싱 카사블랑카 | 1971-72 | ||
르네상스 세타트 | 1970-71 | ||
IR 탄지르 | 2017-18 | ||
올랭피크 카사블랑카 | 1993-94 | ||
무루디아 우지다 | 1974-75 | ||
COD 메크네스 | 1994-95 | ||
샤바브 모하메디아 | 1979-80 | ||
라자 베니 멜랄 | 1973-74 | ||
에투알 드 카사블랑카 | 1958-59 |
5. 4. 역대 득점왕 (1985-86 시즌 이후, 일본어 위키 참고)
시즌 | 선수 | 소속 | 득점 |
---|---|---|---|
1985-86 | 하산 나데르 모하메드 샤우시 | 위다드 카사블랑카 카우카브 마라케시 | 13 |
1986-87 | 압데라자크 하이리 하산 나데르 | AS FAR 위다드 카사블랑카 | 12 |
1987-88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7 |
1988-89 | 하산 나데르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8 |
1989-90 | 압데슬람 라그리시 | AS FAR | 22 |
1990-91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5 |
1991-92 | 라흐센 아나풀스 | AS FAR | 11 |
1992-93 | 유세프 페르투트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8 |
1993-94 | 아흐메드 바흐자 | 카우카브 마라케시 | 14 |
1994-95 | 압데슬람 라그리시 | AS FAR | 15 |
1995-96 | 스필 | 제네세 엘 마실라 | 16 |
1996-97 | 아나네 | AS 살레 | 17 |
1997-98 | 라시드 로키 | SCC 모하메디아 | 15 |
1998-99 | 압데라지즈 즈이네 | 올림피크 후리브가 | 16 |
1999-00 | 무스타파 비두다네 | 파스 유니온 스포르 | 17 |
2000-01 | 사미르 살살 | 카우카브 마라케시 | 12 |
2001-02 | 오마르 자위트 | 티하드 스포르티프 카사블랑카 | 14 |
2002-03 | 무스타파 비두다네 | 라자 카사블랑카 | 14 |
2003-04 | 무스타파 비두다네 | 라자 카사블랑카 | 13 |
2004-05 | 모하메드 알무멘 | AS FAR | 12 |
2005-06 | 마마두 바 카마라 | 올림피크 후리브가 | 9 |
2006-07 | 자와드 우아두시 | AS FAR | 12 |
2007-08 | 압데라자크 라므나스피 | AS FAR | 13 |
2008-09 | 무스타파 알라위 | AS FAR | 14 |
2009-10 | 오마르 하시 | 위다드 데 페스 | 12 |
2010-11 | 자와드 우아두시 | AS FAR | 11 |
2011-12 | 칼 막스 바르텔레미 | 디파 하사니 엘 자디디 | 17 |
2012-13 | 압데라자크 함달라 | 올림피크 클루브 데 사피 | 14 |
2013-14 | 주하일 나임 주마나 코네 | 마그레브 테투안 하사니아 아가디르 | 11 |
2014-15 | 말릭 에브나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6 |
2015-16 | 마흐디 나그미 | AS FAR | 12 |
2016-17 | 윌리엄 제보르 | 위다드 카사블랑카 | 19 |
2017-18 | 무흐신 야주르 | 라자 카사블랑카 | 17 |
2018-19 | 무흐신 야주르 코조 포도 라바 | 라자 카사블랑카 RS 베르칸느 | 19 |
2019-20 | 브라힘 엘 바흐라위 | 라피데 웨드 제므 | 16 |
2020-21 | 아유브 엘 카아비 | 라자 카사블랑카 | 18 |
2021-22 | 가이 므벤자 | 라자 카사블랑카 | 16 |
6. 국제 대회 성적
보톨라는 CAF 5년 랭킹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모로코 클럽들이 아프리카 클럽 대항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모로코 클럽은 CAF 컨페더레이션컵에서 7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CAF 챔피언스 리그와 CAF 슈퍼컵에서는 이집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라자 CA와 위다드 AC는 아프리카 축구에서 트로피 획득 수 기준 상위 10위 안에 드는 성공적인 클럽이다. 이 두 클럽은 AS FAR 및 마그레브 데 페스와 함께 아프리카 대회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4개 팀으로 꼽힌다. 하사니아 아가디르, 올림피크 클럽 드 쿠리브가, 디파아 하사니 엘 자디디, 파흐 유니온 스포츠는 마그레브 데 페스와 함께 챔피언스 리그에 공동 4번째로 많이 참가한 모로코 팀이다. AS FAR는 1985년 아프리카 챔피언 클럽스컵 결승전에서 AS 빌리마를 꺾고 국제 컵에서 우승한 최초의 모로코 클럽이다.[47]
6. 1. CAF 챔피언스 리그
모로코 클럽들은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통산 7회 우승을 차지하여, 이집트(16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위다드 AC(3회), 라자 CA(3회), AS FAR(1회)가 챔피언스 리그 우승 경험이 있다.[27] 라자 CA는 CAF 챔피언스 리그와 클럽 월드컵에서 국제적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CAF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3번 진출하여 2번 우승했지만 2002 CAF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에서 패배했다.[28]6. 2. CAF 컨페더레이션 컵
모로코 클럽들은 CAF 컨페더레이션 컵에서 통산 7회 우승하여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48] 라자 카사블랑카는 2회, RS 베르칸은 2회, FAR 라바트, 마그레브 페스, FUS 라바트는 각각 1회씩 우승했다. FAR 라바트는 2005년 컨페더레이션컵에서 우승하고[48] 2006년 컨페더레이션컵에서 준우승하며[49] 아프리카 컨페더레이션컵에서 2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한 최초의 모로코 클럽이 되었다.6. 3. CAF 슈퍼컵
모로코 클럽들은 CAF 슈퍼컵에서 통산 4회 우승하여, 이집트(12회)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위다드 카사블랑카(1회), 라자 카사블랑카(2회), 마그레브 페스(1회)가 CAF 슈퍼컵 우승 경험이 있다.7. 경기장
보톨라 경기는 모로코 전역의 다양한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주요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카사블랑카 | 모하메드 V 스타디움 | 67,000명[51] |
탕헤르 | 이븐 바투타 스타디움 | 65,000명[52] |
라바트 | 프린스 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 53,000명[53] |
아가디르 | 아드라르 스타디움 | 45,480명[54] |
페스 | 페스 스타디움 | 45,000명[55] |
마라케시 | 그랑 마라케시 경기장 | 45,240명[63] |
메크네스 | 오뇌르 스타디움 | 20,000명[56] |
사피 | 엘 마시라 스타디움 | 15,000명[57] |
베르칸 | 베르칸 시립 경기장 | 15,000명[58] |
모함메디아 | 엘 바치르 스타디움 | 15,000명[59] |
케니트라 | 케니트라 시립 경기장 | 15,000명[66] |
라바트 | 물레이 하산 스타디움 | 12,000명[60] |
알호세이마 | 미문 알 아르시 경기장 | 12,500명[67] |
테투안 | 사니아트 르멜 스타디움 | 10,000명[61] |
엘 자디다 | 벤 M'하메드 엘 아브디 스타디움 | 10,000명[62] |
엘 아윤 | 셰이크 모하메드 라그다프 경기장 | 30,000명[64] |
우지다 | 오너 경기장 | 30,000명[65] |
케미세트 | 11월 18일 경기장 | 10,000명[68] |
라바트 | FUS 경기장 | 10,000명[69] |
후리브가 | 포스파테 경기장 | 10,000명[70] |
베레시드 | 베레시드 시립 경기장 | 5,000명[71] |
7. 1. 주요 경기장
카사블랑카 | 탕헤르 | 라바트 | 아가디르 |
---|---|---|---|
모하메드 V 스타디움 | 이븐 바투타 스타디움 | 프린스 물레이 압델라 스타디움 | 아드라르 스타디움 |
수용 인원: 67,000[51] | 수용 인원: 65,000[52] | 수용 인원: 53,000[53] | 수용 인원: 45,480[54] |
![]() | ![]() | ![]() | ![]() |
페스 | 마라케시 | ||
페스 스타디움 | 그랑 마라케시 경기장 | ||
수용 인원: 45,000[55] | 수용 인원: 45,240[63] | ||
![]() | ![]() |
8. 후원 및 중계
보톨라는 아랍어로 선수권 대회를 의미한다. 1956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리그는 중단 없이 개최되고 있다. 우승 및 2위 클럽에게는 CAF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이, 3위 클럽과 모로코 스론 컵 우승 클럽에게는 CAF 컨페더레이션 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2012-13 시즌과 2013-14 시즌 우승 클럽에게는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졌다. 하위 2개 팀은 보톨라 2로 강등된다.
다음은 2011년 새로운 형식으로 시작된 이후 보톨라 프로의 최다 득점자들이다 (2023-24 시즌 종료 시점 기준).
순위 | 선수 | 클럽 | 활동 연도 | 득점 |
---|---|---|---|---|
1 | 무흐신 아이아주르 | 위다드 AC (5), 라자 CA (53), MA 테투안 (12), RS 베르칸 (9) | 2011–2015, 2017–2019, 2020–21 | 79 |
2 | 자카리아 하드라프 | DH 자디디 (52), 라자 CA (10), RS 베르칸 (5), RCA 제마므라 (5) | 2011–2019, 2020– | 72 |
3 | 메디 나흐미 | AS FAR (41), IR 탕헤르 (22), MC 우지다 (3) | 2011–2020, 2022 | 66 |
4 | 아브델릴라 하피디 | 라자 CA (50) | 2011–2021, 2023– | 50 |
5 | 압데사마드 엘 모바르키 | CR 알 호세이마 (35), RS 베르칸 (1), RCA 제마므라 (12) | 2011–2021 | 48 |
6 | 레다 하지후지 | 위다드 AC (15), OC 쿠리브가 (21), Fath US (11) | 2014–2017, 2017–2018, 2020–2022 | 47 |
7 | 브라힘 엘 바흐라위 | OC 사피 (9), Fath US (7), RC 우에드 젬 (16), RS 베르칸 (14) | 2011– | 46 |
8 | 라민 디아키테 | DH 자디디 (4), Fath US (7), MC 우지다 (21), AS FAR (13) | 2014– | 45 |
9 | 잘랄 다우디 | DH 자디디 (2), Fath US (1), HUS 아가디르 (34), AS FAR (4), 위다드 AC (3) | 2011–2019, 2021–2023 | 44 |
10 | 아이유브 나나 | DH 자디디 (24), 라자 CA (6), Fath US (13) | 2014– | 43 |
대회 역대 최다 득점자는 아흐메드 파라스로 127골을 기록했다.
8. 1. 스폰서십
البطولة|알-부툴라ar는 2020년부터 통신 회사인 Inwi가 공식 후원하고 있다.8. 2. 방송 중계
보톨라 경기는 모로코 국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회사(SNRT) 산하 채널(알 아울라, 2M TV, 아르야디아)을 통해 생중계된다.참조
[1]
뉴스
Inwi nouveau sponsor de la Botola Pro
https://www.leconomi[...]
2020-12-05
[2]
웹사이트
African Champions' Cup
https://www.rsssf.or[...]
2022-10-09
[3]
웹사이트
CAF Champions League – Champions
https://www.worldfoo[...]
2022-10-09
[4]
웹사이트
CAF Cup and Confederation Cup
https://www.rsssf.or[...]
2022-10-10
[5]
웹사이트
Raja CA wins Moroccan league Undefeated.
https://www.moroccow[...]
2024-06-15
[6]
웹사이트
Morocco 1956/57
https://www.rsssf.or[...]
2022-02-19
[7]
웹사이트
Morocco 1957/58
https://www.rsssf.or[...]
2022-02-19
[8]
웹사이트
Morocco 1958/59
https://www.rsssf.or[...]
2022-02-19
[9]
웹사이트
Morocco 1959/60
https://www.rsssf.or[...]
2022-02-19
[10]
웹사이트
Morocco 1960/61
https://www.rsssf.or[...]
2022-02-19
[11]
웹사이트
Morocco 1961/62
https://www.rsssf.or[...]
2022-02-19
[12]
웹사이트
Morocco 1962/63
https://www.rsssf.or[...]
2022-02-19
[13]
웹사이트
Morocco 1963/64
https://www.rsssf.or[...]
2022-02-19
[14]
웹사이트
Morocco 1968/69
https://www.rsssf.or[...]
2022-02-19
[15]
웹사이트
هذه هي حكاية أول"ديربي" في تاريخ الغريمين.. الرجاء و الوداد
http://www.casa24.ma[...]
2022-02-19
[16]
웹사이트
من الذاكرة.. هذه أشهر لقاءات الديربي بين الغريمين الرجاء والوداد ــ فيديو
https://alyaoum24.co[...]
2022-02-19
[17]
웹사이트
Morocco 1970/71
https://www.rsssf.or[...]
2022-02-21
[18]
웹사이트
Morocco 1971/72
https://www.rsssf.or[...]
2022-02-21
[19]
웹사이트
Morocco Cup 1973/74
https://www.rsssf.or[...]
2022-02-21
[20]
웹사이트
Morocco 1974/75
https://www.rsssf.or[...]
2022-02-21
[21]
웹사이트
Morocco 1979/80
https://www.rsssf.or[...]
2022-02-21
[22]
웹사이트
Morocco 1972/73
https://www.rsssf.or[...]
2022-02-21
[23]
웹사이트
Morocco 1980/81
https://www.rsssf.or[...]
2022-02-21
[24]
웹사이트
Morocco 1981/82
https://www.rsssf.or[...]
2022-02-21
[25]
웹사이트
Morocco 1993/94
https://www.rsssf.or[...]
2022-02-21
[26]
웹사이트
Morocco 1987/88
https://www.rsssf.or[...]
2022-02-21
[27]
웹사이트
رحلة جيل.. الرجاء الذهبي يلامس حدود العالمية
https://www.kooora.c[...]
2020-06-14
[28]
웹사이트
African Club Competitions 2002
https://www.rsssf.or[...]
2022-02-22
[29]
웹사이트
FIFA Club World Championship 2000
https://www.rsssf.or[...]
2022-02-22
[30]
웹사이트
حسنية أغادير يحتفظ بلقب الدوري المغربي
https://www.aljazeer[...]
2022-03-12
[31]
웹사이트
أولمبيك خريبكة يفوز بالدوري المغربي لأول مرة
https://www.aljazeer[...]
2022-03-12
[32]
웹사이트
IFFHS RANKINGS – THE BEST LEAGUES OF THE WORLD OF THE FIRST DECADE (2001–2010)
https://www.iffhs.co[...]
2021-11-05
[33]
웹사이트
فريق المغرب التطوانيّ بطلا للدوري المغربي لأوّل مرّة في تاريخه
https://www.hespress[...]
2012-05-28
[34]
웹사이트
المغرب التطواني يحرز درع البطولة ويتأهل لكأس العالم للأندية
https://www.hespress[...]
2014-05-25
[35]
웹사이트
الفتح الرياضي الرباطي بطلا للمغرب في كرة القدم بعد هزمه للمولوديّة
https://www.hespress[...]
2016-06-04
[36]
웹사이트
La FRMF félicite l'IRT champion de Botola Maroc Télécom D1 (2017-2018)
http://www.frmf.ma/f[...]
FRMF.ma
2018-05-12
[37]
웹사이트
VAR: Introduction of Virtual Offside Line in Botola Pro D1 (FRMF)
https://en.hespress.[...]
2020-10-04
[38]
웹사이트
IFFHS
https://www.iffhs.co[...]
[39]
웹사이트
IFFHS CONTINENTAL STRONGEST NATIONAL LEAGUES OF THE DECADE 2011–2020
https://www.iffhs.co[...]
[40]
웹사이트
العصبة الاحترافية: سوق الانتقالات الشتوية رهين بالحالة المادية للأندية
https://www.hesport.[...]
2022-12-27
[41]
웹사이트
IFFHS
https://www.iffhs.co[...]
[42]
웹사이트
IFFHS Ranks Morocco’s Botola as Third Strongest National League in Africa
https://www.moroccow[...]
[43]
웹사이트
Morocco: Moroccan Football Lands Deal With Telecoms Giant Inwi
https://allafrica.co[...]
2020-11-27
[44]
웹사이트
La Botola Pro s'appellera "Botola Maroc Telecom" la saison prochaine
https://telquel.ma/2[...]
TELQUEL
2015-04-03
[45]
웹사이트
Inwi, nouveau sponsor de la Botola Pro
https://www.leconomi[...]
L'ECONOMISTE
2021-11-21
[46]
웹인용
La SNRT décroche les droits TV du GNF
http://www.lavieeco.[...]
2009-07-10
[47]
웹사이트
African Club Competitions 1985
https://www.rsssf.or[...]
[48]
웹사이트
African Club Competitions 2005
https://www.rsssf.or[...]
[49]
웹사이트
African Club Competitions 2006
https://www.rsssf.or[...]
[50]
웹사이트
RS Berkane to group stage, 15 more to follow
https://www.cafonlin[...]
2021-01-08
[51]
웹사이트
Stade Mohamed V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2]
웹사이트
Stade Ibn Batouta (Grand Stade de Tanger)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3]
웹사이트
Stade Moulay Abdallah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4]
웹사이트
Grand Stade d'Agadir (Stade Adrar)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5]
웹사이트
Complexe Sportif de Fès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6]
웹사이트
Stade d'honneur de Meknès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7]
웹사이트
Stade El Massira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58]
웹사이트
Stade municipal de Berkane
https://www.ostadium[...]
OStadium.com
[59]
웹사이트
Stade Bachir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0]
웹사이트
Stade Moulay Hassan
https://www.ostadium[...]
OStadium.com
[61]
웹사이트
Stade Saniat Rmel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2]
웹사이트
Stade Ben Ahmed El Abdi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3]
웹사이트
Stade de Marrakech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4]
웹사이트
STADE CHEIKH MOHAMED LAGHDAF
https://int.soccerwa[...]
SoccerWay.com
[65]
웹사이트
Stade d'Honneur d'Oujda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6]
웹사이트
Stade Municipal de Kénitra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7]
웹사이트
Stade Mimoun Al Arsi (Estadio Chipula)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8]
웹사이트
Stade du 18-Novembre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69]
웹사이트
Stade de FUS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70]
웹사이트
Stade du Phosphate
http://stadiumdb.com[...]
StadiumDB.com
[71]
웹사이트
Stade municipal de Berrechid
https://www.ostadium[...]
OStadium.com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