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 조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서 조화는 네 복음서의 내용을 통합하여 예수의 생애를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로 만들려는 시도이다. 최초의 복음서 조화는 160년경 타티아노스가 제작한 '디아테사론'으로 추정되며,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복음서 조화는 본문 평행, 조화, 종합, 병렬 등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사건의 시간 순서나 주제별 분류를 통해 복음서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다. 15-16세기에는 요한 복음을 우선시하거나 공관 복음만을 다루는 등 새로운 접근 방식이 나타났으며, 20세기에는 쿠르트 알란트의 '네 복음서 개요'가 복음서 연구의 표준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복음서 조화 | |
---|---|
개요 | |
유형 | 문학 |
주제 | 예수의 삶, 가르침, 죽음, 부활에 대한 설명 |
목적 | 기독교 신앙과 구원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 |
정의 | |
설명 | 복음서의 사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으려는 시도 |
역사 | |
초기 시도 | 암모니오스의 디아테사론 |
중세 시대 | 라틴어 복음서 조화의 발전 |
현대 | 다양한 조화 시도 |
특징 | |
내용 | 복음서의 병렬 구절을 결합 |
목표 | 복음서 간의 모순을 해결하고 완전한 설명을 제공 |
비판 | 원본 복음서의 개별적인 특징을 흐릴 수 있다는 비판 존재 |
예시 | |
디아테사론 | 타티아누스가 편찬한 초기 복음서 조화 |
영어 복음서 조화 | The Life of Jesus Critically Examined (1838) A Harmony of the Gospels for Historical Study (1893) Synopsis of the Four Gospels (1982) A Harmony of the Gospels (1922)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다양한 학술 서적 및 자료 |
관련 항목 | 복음서 정경 복음서 비정경 복음서 디아테사론 |
2. 복음서 조화의 역사
복음서 조화는 기독교의 정경 복음서를 하나의 이야기로 묶으려는 시도이다.[6] 조화는 종교 및 세속 독자 모두에게 복음 이야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일부 저술가들에 의해 구성된다.[1] 학자들은 예수의 생애에 묘사된 네 개의 정경 복음서 사건들의 일관된 연대기를 확립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을 더 잘 이해하며, 차이점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조화를 연구할 수 있다.[7][3]
"조화"와 "개요"라는 용어는 정경 복음서를 통합하는 여러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6] 기술적으로 "조화"는 성경 구절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 네 개의 복음서를 병합하며, '급진적', '합성적', '순차적', '평행적'의 네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6] 반면 "개요"는 평행 조화와 매우 유사하게, 시간 순으로 동기화되어 유사한 텍스트나 이야기를 병렬 형식으로 나란히 배치하지만, 일반적으로 열을 사용하여 개별적인 정체성을 유지한다.[6] 조화는 또한 그리스도의 생애를 묘사하는 그림 구성을 만드는 것과 같이 시각적인 형태를 취하여 예술적 목적으로 이야기를 만들 수도 있다.[29]
조화를 시도하는 가장 오래된 접근 방식은 이야기를 하나의 서술로 병합하여 개별 복음서보다 더 긴 텍스트를 만드는 것이지만, 존 바턴이 지적했듯이, 개별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변경하지 않고는 네 개의 복음서에서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8]
복음서 조화의 어려움 중 하나는 사건이 서로 다른 텍스트에서 다른 순서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공관 복음서는 예수께서 예루살렘 성전에서 그의 생애 마지막 주에 탁자를 뒤집는 사건을 묘사하는 반면, 요한 복음는 예수의 사역 초기에 유사한 사건을 기록한다. 조화주의자들은 어느 시점이 옳은지 선택하거나, 별개의 사건이 묘사되었다고 결론 내려야 한다. 루터교 신학자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는 『복음 조화』(1537)에서 예수께서 두 번 가시 면류관을 쓰셨으며, 성전 정화 사건이 세 번 있었다고 주장했다.[9] 그러나 해설자들은 오랫동안 개별 복음서가 엄격하게 연대순으로 쓰이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해 왔다.[10][11]
더 심각한 어려움은 복음서가 사건에 대한 실질적인 묘사에서 차이를 보일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마태오 복음서에서는 백부장이 예수님께 직접 찾아오고,[12] 누가 복음서에서는 유대인 장로들을 보내는 것으로 묘사되는 백부장의 종 치유 사건이 있다.[13] 조화주의자는 어느 묘사가 더 정확한지 결정하거나, 복합적인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14][15]
마태와 누가 복음서가 마가를 출처로 하여 작성되었다는 학설에 기반한 현대 학술적 관점은 이러한 텍스트 간의 차이점을 구성 과정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마가는 세례 요한이 죄의 용서를 설교했다고 묘사하는데, 이는 마태가 죄의 용서가 예수님에게만 국한된다고 믿었기 때문에 생략했을 가능성이 있다.[16]
현대 대중적 관점은 복음서의 차이점이 전체의 비교적 작은 부분이며, 텍스트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하다고 보아 그 중요성을 축소한다.[6] 따라서 차이점은 통합된 이야기 과정에서 각주에서 충분히 논의될 수 있으며, 예수의 생애에 대한 더 나은 전반적인 관점을 전달하거나 이 자료를 더 많은 독자층에게 접근 가능하게 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6]
2. 1. 초기 기독교와 중세 시대
타티아노스가 약 160년에 제작한 영향력 있는 ''디아테사론''은 아마도 최초의 복음서 조화였을 것이다.[6][18] ''디아테사론''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에 대한 어떠한 사건도 놓치지 않으면서도 네 복음서의 구절 수를 3,780개에서 2,769개로 줄였다.[6] 일부 학자들은 타티아노스가 하나 이상의 비정경 복음서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19] 비슷한 시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에비온 복음서도 복음서 조화로 여겨진다.[20]''디아테사론''을 기반으로 한 변형은 중세 시대에도 계속 나타났다. 예를 들어, 6세기의 코덱스 풀덴시스를 기반으로 한 코덱스 상갈렌시스는 830년에 제작되었으며, 불가타를 기반으로 한 라틴어 열과 종종 ''디아테사론''과 유사하지만 오류가 자주 나타나는 고대 고지 독일어 열을 가지고 있다.[21] 1280년에 제작되었지만 훨씬 후에 출판된 림부르크 방언(리에주 대학교 도서관 소장품 437)으로 된 리에주 조화는 주요한 서방 기독교의 ''디아테사론'' 자료이다.[21][22] 중세 이탈리아어로 된 디아테사론의 두 가지 현존하는 판본은 13세기 또는 14세기의 단일 필사본인 베네치아 판과 14-15세기의 26개 필사본인 토스카나 판이다.[21][22]
3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의 암모니우스가 현대적인 개요의 선구자(아마도 ''디아테사론''을 기반으로 함)인 암모니우스 구분을 개발했는데, 여기서 마태오의 본문으로 시작하여 병렬적인 사건을 복사했다.[6][23] 암모니우스의 조화에 대한 현존하는 사본은 없으며, 에우세비우스가 카피아누스에게 보낸 편지의 단 하나의 언급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23] 이 편지에서 에우세비우스는 자신의 접근 방식, 즉 네 복음서 간의 비교를 돕기 위해 복음서의 본문을 병렬적으로 보여주는 에우세비우스 정경에 대해서도 논의한다.[23]
5세기에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가 그의 저서 ''복음서 조화''에서 이 주제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24] 아우구스티누스는 복음서 기록의 차이를 저자들이 예수에 대해 다른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았다. 즉 마태오는 왕족, 마가는 인성, 루가는 사제직, 요한은 신성을 강조했다.[25]
랜서니의 클레멘트의 ''Unum ex Quatuor''(넷 중 하나)는 이전의 복음서 조화보다 개선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학자들은 15세기까지 아우구스티누스를 넘어서는 주요한 발전이 없었다고 보기도 한다.[35] 중세 시대 내내 ''디아테사론''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조화가 계속 나타났는데, 예를 들어 중세 네덜란드어로 된 플로이의 리에주 조화, 중세 영어로 된 펩시안 조화 등이 있다.[22][23] 새뮤얼 펩스가 소유했던 데서 이름이 유래한 펩시안 조화(케임브리지 매그달렌 칼리지, 소장품 펩스 2498)는 약 1400년에 제작되었다.[22]
2. 2. 15-20세기
15세기와 16세기에는 조화에 대한 몇 가지 새로운 접근 방식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장 제르송은 1420년에 요한 복음을 우선시하는 조화를 만들었다.[23] 코르넬리우스 얀센 역시 1549년에 네 복음에 초점을 맞추고 사도행전까지 언급하는 조화를 출판했다.[26] 반면에 존 칼빈의 접근 방식은 세 개의 공관 복음에 초점을 맞추고 요한 복음을 제외했다.[27][28]이 무렵 시각적 표현도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예를 들어 15세기 예술가 리벤 데 비테는 약 200개의 목판화 이미지를 제작하여 "그림 복음 조화"의 관점에서 '예수의 생애'를 묘사했으며, 이는 1537년 앤트워프에서 출판된 빌렘 판 브란테헴의 조화에 등장했다.[29][30]
이미지의 중요성은 브란테헴의 잘 알려진 작품 제목에 반영되어 있다: ''네 복음서 저자의 이야기에서 가져온 우아한 그림으로 능숙하게 묘사된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30]
16세기는 복음서 조화 도입이 크게 증가한 시기였다. 이 기간 동안 '병렬 열 구조'가 널리 퍼졌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성서 비평의 부상에 대한 대응이었다.[35] 이 새로운 형식은 복음서의 신뢰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최초의 병렬 조화를 누가 만들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게르하르두스 메르카토르의 1569년 시스템이 잘 알려진 예이다.[35][31] 내용과 품질 면에서 요한 야콥 그리쉬바흐의 1776년 개요가 주목할 만한 사례였다.[35][31]
동시에, 현대 성서 비평의 부상은 전통적인 변증적 복음서 조화의 쇠퇴에 기여했다. 계몽주의 작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오, 저 가장 훌륭한 조화여, 복음서 저자들이 쓴 두 개의 모순되는 보고를, 어떤 복음서 저자에게서도 찾아볼 수 없는 세 번째 보고서를 지어냄으로써, 화해시킬 수 있을 뿐이다![32]
W. G. 러시브룩의 1880년 ''Synopticon''은 때때로 개요의 역사에서 전환점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마가 복음 우선성, 즉 마가 복음이 가장 먼저 쓰여졌다는 가정에 기초했기 때문이다.[35] 13년 후, 존 앨버트 브로드스는 역사적 기록을 사용하여 자신의 조화에서 우선 순위를 정한 반면, 이전의 접근 방식은 축제를 그리스도의 생애를 나누는 주요 이정표로 사용했다.[35]
19세기 말, 중동에서 광범위한 여행과 연구를 마친 후, 제임스 티소는 350개의 수채화 세트를 제작하여 시각적 복음 조화로 예수의 생애를 묘사했다. 티소는 네 개의 복음을 "거룩한 어린 시절, 사역, 성주간, 수난, 부활"이라는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된 단일 이야기로 종합했다. 그는 또한 각 4명의 복음서 저자의 초상화를 그려 그들을 기렸다.[33]
20세기에는 쿠르트 알란트의 ''네 복음서 개요''[34]가 일부 사람들에게 "아마도 복음서 심층 연구의 표준"으로 여겨지게 되었다.[35] 알란트의 작품의 핵심 특징은 요한 복음의 전체 텍스트를 통합한 것이다.[35] 버나드 오차드의 개요(같은 제목을 가지고 있음)[36]는 마가 복음 우선성을 버리고 공관 복음서가 마태 우선성과 마가 후성을 가지고 쓰여졌다고 가정하는 특이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다.[35]
3. 복음서 조화의 유형
복음서 조화에는 여러 유형이 있는데, 크게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6]
- 급진적 조화: 모든 복음서의 내용을 하나의 이야기로 완전히 통합하여 단일한 서술을 만든다. 이 방식은 가장 상세하고 직관적인 설명을 제공하지만, 개별 복음서의 특징을 훼손할 수 있다.
- 합성적 조화: 급진적 조화와 유사하지만, 일부 내용은 생략하거나 요약하여 중복을 줄인다.
- 순차적 조화: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여 복음서의 연대기를 재구성한다. 이 방식은 학술적인 연구에 유용하지만, 때때로 복음서 간의 순서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평행적 조화: 각 복음서의 내용을 별도의 열에 나란히 배치하여 비교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이 방식은 개별 복음서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유사점과 차이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개요'는 평행 조화와 유사하게, 유사한 텍스트나 이야기를 시간 순서로 병렬 배치하지만, 일반적으로 열을 사용하여 각 복음서의 내용을 구분한다.[6]
어떤 형태의 조화를 택하든, 복음서 간의 순서나 내용의 차이로 인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관 복음서는 성전 정화 사건을 예수의 생애 마지막 주에, 요한 복음서는 사역 초기에 기록하고 있다.[9] 이러한 차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화주의자들은 특정 시점을 선택하거나, 별개의 사건으로 해석해야 한다.
또한, 백부장의 종 치유 사건처럼 복음서마다 묘사가 다른 경우도 있다. 마태오 복음서는 백부장이 직접 예수를 찾아왔다고 기록한 반면,[12] 루카 복음서는 유대인 장로들을 보냈다고 기록한다.[13] 이 경우, 조화주의자는 어떤 묘사가 정확한지 판단하거나, 두 가지 묘사를 결합한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14][15]
현대 학자들은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가 마르코 복음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설명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태오는 예수가 죄 사함의 권한을 가진 유일한 존재라고 믿었기 때문에, 마르코 복음서에 나오는 세례 요한의 죄 사함 설교를 생략했을 수 있다.[16]
일부에서는 복음서의 차이점이 전체 내용의 작은 부분에 불과하며, 전반적으로 유사성이 크다고 주장한다.[6] 이들은 통합된 이야기를 통해 예수의 생애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고, 더 많은 독자에게 복음서를 접할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본다.[6]
다음은 평행 조화의 예시이다.[17]
4. 주요 사건 및 주제별 분류
순서 | 사건 | 유형 | 마태오 | 마르코 | 루카 | 요한 |
---|---|---|---|---|---|---|
1 | 그리스도의 선재 | 기타 | ||||
2 | 예수의 족보 | 탄생 | ||||
3 | 세례자 요한의 탄생 | 탄생 | ||||
4 | 수태고지 | 탄생 | ||||
5 | 마리아의 방문 | 탄생 | ||||
6 | 예수의 탄생 | 탄생 | ||||
7 | 목자들에게의 고지 | 탄생 | ||||
8 | 목자들의 경배 | 탄생 | ||||
9 | 예수의 할례 | 탄생 | ||||
10 | 성전에서의 아기 예수 | 탄생 | ||||
11 | 베들레헴의 별 | 탄생 | ||||
12 | 동방 박사의 방문 | 탄생 | ||||
13 | 이집트로의 피신 | 탄생 | ||||
14 | 어린이 학살 | 탄생 | ||||
15 | 헤롯 대왕의 죽음 | 기타 | ||||
16 | 예수 가족의 나자렛 귀환 | 청소년기 | ||||
17 | 성전에서 예수를 찾음 | 청소년기 | ||||
18 | 세례자 요한의 사역 | 기타 | ||||
19 | 예수의 세례 | 기타 | ||||
20 | 예수의 시험 | 기타 | ||||
21 | 가나의 혼인 잔치 | 기적 | ||||
22 | 성전 정화 | 사역 | ||||
23 | 예수와 니고데모 | 사역 | ||||
24 | 예수의 갈릴리 귀환 | 사역 | ||||
25 | 가버나움 회당에서의 귀신 들린 자 축출 | 기적 | ||||
26 | 자라는 씨앗 | 비유 | ||||
27 | 예수의 거절 | 사역 | ||||
28 | 예수의 첫 번째 제자들 | 사역 | ||||
29 | 물고기를 잡는 기적 | 기적 | ||||
30 | 산상수훈 | 설교 | ||||
31 | 나인성 과부의 아들 | 기적 | ||||
32 | 두 빚진 자 | 비유 | ||||
33 | 등불과 되 | 비유 | ||||
34 | 율법의 해석 | 설교 | ||||
35 | 70인의 제자 파견 | 사역 | ||||
36 | 허영에 대한 담론 | 설교 | ||||
37 |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 비유 | ||||
38 |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서 예수 | 사역 | ||||
39 | 주님의 기도 | 사역 | ||||
40 | 한밤중의 친구 | 비유 | ||||
41 | 어리석은 부자 | 비유 | ||||
42 | 우물가의 사마리아 여인 | 사역 | ||||
43 | 공중의 새 | 사역 | ||||
44 | 심판에 대한 담론 | 설교 | ||||
45 | 거룩함에 대한 담론 | 설교 | ||||
46 | 좋은 사람의 시험 | 설교 | ||||
47 | 지혜로운 건축가와 어리석은 건축가 | 비유 | ||||
48 | 나병 환자 정결하게 함 | 기적 | ||||
49 | 백부장의 종 | 기적 | ||||
50 | 베드로의 장모를 고치심 | 기적 | ||||
51 | 해질녘의 귀신 축출 | 기적 | ||||
52 | 폭풍을 잠재우심 | 기적 | ||||
53 | 가다라 귀신 들린 자 | 기적 | ||||
54 | 가버나움의 중풍병자 | 기적 | ||||
55 | 마태오의 부르심 | 사역 | ||||
56 |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 비유 | ||||
57 | 야이로의 딸 | 기적 | ||||
58 | 혈루병 앓는 여인 | 기적 | ||||
59 | 갈릴리에서 두 맹인을 고침 | 기적 | ||||
60 | 벙어리 귀신 들린 자 축출 | 기적 | ||||
61 | 열두 사도 임명 | 사역 | ||||
62 | 칼이 아닌 평화 | 사역 | ||||
63 | 세례 요한으로부터 온 사자들 | 사역 | ||||
64 | 베데스다의 중풍병자 | 기적 | ||||
65 | 안식일의 주 | 사역 | ||||
66 | 손 마른 사람을 고치심 | 기적 | ||||
67 | 벙어리 귀신 들린 사람 축출 | 기적 | ||||
68 | 강한 자의 비유 | 비유 | ||||
69 | 영원한 죄 | 사역 | ||||
70 | 예수의 참된 친척 | 사역 | ||||
71 | 씨 뿌리는 자의 비유 | 비유 | ||||
72 | 가라지 비유 | 비유 | ||||
73 | 무화과나무 비유 | 비유 | ||||
74 | 병든 여자 | 기적 | ||||
75 | 겨자씨 비유 | 비유 | ||||
76 | 누룩 비유 | 비유 | ||||
77 | 진주 비유 | 비유 | ||||
78 | 그물 비유 | 비유 | ||||
79 | 감추인 보화 | 비유 | ||||
80 | 세례자 요한의 참수 | 사역 | ||||
81 | 오천 명을 먹이심 | 기적 | ||||
82 | 예수의 물 위를 걸으심 | 기적 | ||||
83 | 겐네사렛에서의 치유 | 기적 | ||||
84 | 부정한 것에 대한 담론 | 설교 | ||||
85 | 가나안 여인의 딸 | 기적 | ||||
86 | 데가볼리에서 벙어리를 고치심 | 기적 | ||||
87 | 사천 명을 먹이심 | 기적 | ||||
88 | 벳새다의 맹인 | 기적 | ||||
89 | 베드로의 고백 | 사역 | ||||
90 | 예수의 변모 | 기적 | ||||
91 | 귀신 들린 소년 | 기적 | ||||
92 | 물고기 입에 있는 돈 | 기적 | ||||
93 | 생명의 떡 담론 | 설교 | ||||
94 | 어린 아이들 | 사역 | ||||
95 | 수종병 환자 | 기적 | ||||
96 | 값을 치르는 것 | 비유 | ||||
97 | 잃어버린 양 | 비유 | ||||
98 | 용서하지 않는 종 | 비유 | ||||
99 | 잃어버린 동전 | 비유 | ||||
100 | 탕자의 비유 | 비유 | ||||
101 | 불의한 청지기 | 비유 | ||||
102 | 부자와 나사로 | 비유 | ||||
103 | 주인과 종 | 비유 | ||||
104 | 열 명의 나병 환자 정결하게 함 | 기적 | ||||
105 | 불의한 재판관 | 비유 | ||||
106 | 바리새인과 세리 | 비유 | ||||
107 | 이혼과 독신 | 사역 | ||||
108 | 예수와 부자 청년 | 사역 | ||||
109 | 예수와 간음한 여인 | 사역 | ||||
110 | 포도원 일꾼 | 비유 | ||||
111 | 예수는 자신의 죽음을 예언함 | 사역 | ||||
112 | 눈 먼 자 | 기적 | ||||
113 | 인자가 섬기러 옴 | 사역 | ||||
114 | 선한 목자 | 사역 | ||||
115 | 여리고 근처의 맹인 | 기적 | ||||
116 | 나사로의 부활 | 기적 | ||||
117 | 예수와 삭개오 | 사역 | ||||
118 | 종려 주일 | 사역 | ||||
119 | 성전 정화 | 사역 | ||||
120 |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 기적 | ||||
121 | 예수의 권위에 대한 질문 | 사역 | ||||
122 | 두 아들 | 비유 | ||||
123 | 악한 농부 | 비유 | ||||
124 | 큰 잔치 | 비유 | ||||
125 |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라... | 사역 | ||||
126 | 바리새인에 대한 화 | 사역 | ||||
127 | 과부의 두 렙돈 | 설교 | ||||
128 | 재림 예언 | 사역 | ||||
129 | 무화과나무의 싹 | 비유 | ||||
130 | 충실한 종 | 비유 | ||||
131 | 열 처녀 | 비유 | ||||
132 | 달란트 비유 또는 므나 | 비유 | ||||
133 | 양과 염소 | 비유 | ||||
134 | 예수께 기름을 부음 | 사역 | ||||
135 | 유다의 거래 | 기타 | ||||
136 | 밀알 | 사역 | ||||
137 | 최후의 만찬 | 공생애 | ||||
138 | 보호자를 고백하다 | 공생애 |
참조
[1]
서적
The Single Gospel
Wipf and Stock
2015
[2]
간행물
Chronological Aspects of 'Gospel Harmony'
https://biblicalstud[...]
Vox Evangelica
1986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Eerdmans
[4]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5]
서적
The Life of Christ : the complete set of 350 watercolors
https://books.google[...]
Merrell Publishers
[6]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2007
[7]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2007
[8]
서적
The Old Testament: Canon Literature and Theology Collected Essays of John Barton
Ashgate Publishing
2013
[9]
서적
Gospel Truth? New Light on Jesus and the Gospels
HarperCollins
1995
[10]
서적
A Christological Catechism (quoting Augustine)
Paulist Press
[11]
서적
"Introduction to Matthew," in The Expositor's Bible Commentary vol. VIII
Zondervan
[12]
문서
Matthew 8:8–9
NRSV
[13]
문서
Luke 7:6–8
NRSV
[14]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8
[15]
서적
ONE: The Unified Gospel of Jesus, Second Ed.
OUG Press
[16]
서적
"Must the Gospels Agree?" in Stuart G. Hall, Jesus Christ Today: Studies of Christology in Various Contexts
Walter de Gruyter
2009
[17]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2007
[18]
서적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2003
[19]
서적
The Apocryphal Gospels: Texts and Trans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0]
서적
The Other Gospels: Non-canonical Gospel Text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82
[21]
서적
Tatian and the Jewish Scriptures
2002
[22]
서적
Patristic and Text-Critical Studies
2011
[23]
서적
Encyclopedia Christianity: v. 4
2004
[24]
서적
Augustine through the ages: an encyclopedia
1999
[25]
서적
Christology, Controversy and Community
2000
[26]
서적
Augustine and the Golden Age of Biblical Scholarship in Louvain (1550–1650)
Brill
2012
[27]
서적
John Calvin And the Printed Book
2005
[28]
서적
A Harmony of the Gospels: Matthew, Mark, and Luke
1995
[29]
서적
Seeing Beyond the Word: Visual Arts and the Calvinist Tradition
https://books.google[...]
1999
[30]
서적
The Authority of the Word: Reflecting on Image and Text in Northern Europe, 1400–1700
2011
[31]
서적
What Have They Done to the Bible?: A History of Modern Biblical Interpretation
2005
[32]
서적
Gospel Writing: A Canonical Perspectiv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3
[33]
웹사이트
James Tissot: Saint Luke (Saint Luc) (1886)
https://archive.org/[...]
Brooklyn Museum
2014-10-25
[34]
서적
Synopsis of the Four Gospels
United Bible Societies
1982
[35]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2007
[36]
서적
Synopsis of the Four Gospels
T&T Clark Publishers
2023-04-01
[37]
서적
A harmony of the Gospels in Greek, in the general order of Le Clere & Newcome, with Newcome's notes: Printed from the text and with the various readings of Knapp
https://books.google[...]
Gould and Newman
[38]
서적
HCSB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39]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40]
서적
Harmony of the Gospels
B&H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