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태고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태고지는 기독교에서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예수를 잉태할 것을 알린 사건을 의미한다. 신약성서의 루카 복음서와 마태오 복음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가브리엘은 마리아에게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라고 말한다. 이슬람에서도 쿠란에 묘사되어 있으며, 서방 기독교에서는 3월 25일을 축일로 기념한다. 수태고지는 기독교 미술에서 중요한 주제로, 마리아가 독서하거나 실을 잣는 모습, 백합, 성령의 비둘기 등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사의 발현 - 예수의 승천
    예수의 승천은 기독교 신학에서 부활한 예수가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기록되었으며, 승천 장소와 시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기독교 미술에서의 중요한 주제, 교회력 절기인 승천 축일 기념, 이슬람에서의 다른 관점 해석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 천사의 발현 - 바드르 전투
    바드르 전투는 624년 3월 13일에 무함마드가 이끄는 메디나 세력과 메카 쿠라이시족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무함마드의 메카 대상단 습격 계획에 대한 쿠라이시족의 대응으로 발생했으며,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무함마드 군대가 승리하여 이슬람 세력 확장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3월의 세시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3월의 세시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수태고지
사건 개요
이름수태고지
다른 이름성모 희보 축일
주님 탄생 예고
라틴어Annuntiatio
그리스어Ho Evangelismos tēs Theotokou (Ο Ευαγγελισμός της Θεοτόκου)
설명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예수의 잉태를 알리는 사건
종교적 의미
중요성기독교에서 중요한 사건, 예수의 인간으로서의 시작을 알림
기념성모 희보 축일 (3월 25일)
성경적 근거
위치루가 복음서 1장 26-39절
예술적 표현
주제미술,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
보티첼리의 수태고지
산드로 보티첼리의 "수태고지"
기타
관련 항목예수 그리스도
기독교
마리아
가브리엘
성모 희보 축일

2. 성경에서의 기술

신약성서의 루가 복음과 마태 복음에는 예수의 탄생을 예고하는 수태고지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루가 복음 1장 26절~38절에는 천사 가브리엘이 나자렛에 사는 마리아에게 나타나 예수의 잉태를 알리는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반면,[1] 마태 복음 1장 18절~25절에는 요셉의 꿈에 천사가 나타나 마리아의 잉태 사실을 알리고, 예수라는 이름을 지어줄 것을 명하는 내용이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다.[1]

마태오 저자에 따르면, 신약성서의 수태고지는 구약성서 「이사야서」(7:14)의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는 예언에 근거한다.[1] 임마누엘은 '하느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사야의 예언은 아하즈 왕에게 주어진 것이며, 예수의 탄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동정녀 수태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라는 해석도 있다.

구약성서에는 이 외에도 불임이었던 마노아의 아내삼손을 낳을 것이라고 천사가 알리는 「사사기」(13:3-5) 등 하느님이 자녀를 주는 예가 여러 번 등장한다.[1]

2. 1. 루가의 복음서

신약성서의 루가 복음 1장 26절~38절에는 수태고지에 대한 내용이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공동번역성서):[1]



26 엘리사벳이 아기를 가진 지 여섯 달이 되었을 때에 하느님께서는 천사 가브리엘을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동네로 보내시어 27 다윗 가문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 가게 하셨다.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 28 천사는 마리아의 집으로 들어 가 “은총을 가득히 받은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 하고 인사하였다. 29 마리아는 몹시 당황하여 도대체 그 인사말이 무슨 뜻일까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30 그러자 천사는 다시 “두려워하지 말라. 마리아, 너는 하느님의 은총을 받았다. 31 이제 아기를 가져 아들을 낳을 터이니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32 그 아기는 위대한 분이 되어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의 아들이라 불릴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 그에게 조상 다윗의 왕위를 주시어 33 야곱의 후손을 영원히 다스리는 왕이 되겠고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 하고 일러 주었다.



34 이 말을 듣고 마리아가 “이 몸은 처녀입니다.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하자 35 천사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성령이 너에게 내려 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감싸 주실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나실 그 거룩한 아기를 하느님의 아들이라 부르게 될 것이다. 36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자라고들 하였지만, 그 늙은 나이에도 아기를 가진 지가 벌써 여섯 달이나 되었다. 37 하느님께서 하시는 일은 안 되는 것이 없다.” 38 이 말을 들은 마리아는 “이 몸은 주님의 종입니다. 지금 말씀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천사는 마리아에게서 떠나 갔다.





KJV에서는 루가 복음 1장 26-38절을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1]

여섯째 달에 하나님께서 갈릴리 나사렛이라는 도시에 있는, 다윗 집안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 마리아에게 천사 가브리엘을 보내셨다. 천사가 그에게 와서 이렇게 말했다. “은총이 충만한 여자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마리아는 천사의 말에 놀라 무슨 인사인가 생각했다.

천사가 마리아에게 말했다. “마리아야, 두려워하지 마라. 네가 하나님의 은총을 얻었기 때문이다. 보아라,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니, 그의 이름을 예수라고 하여라. 그는 위대해질 것이며,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들이라고 불릴 것이다. 주 하나님께서 그에게 그의 조상 다윗의 왕위를 주실 것이니, 그는 영원히 야곱의 집을 다스릴 것이며, 그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

마리아가 천사에게 말했다. “나는 남자를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습니까?” 천사가 대답하여 이렇게 말했다. “성령이 네게 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능력이 너를 덮으실 것이다. 그러므로 네가 잉태할 거룩한 이는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릴 것이다. 보아라, 네 친척 엘리사벳도 늙어서 아들을 잉태했는데, 그가 임신한 지 여섯 달째이다. 불임이라고 불렸던 그가 말이다. 하나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으시다.” 마리아가 말했다. “주님의 여종입니다.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천사가 그에게서 떠났다.


DRV 등 다양한 성경 번역본에서도 가브리엘의 인사말을 “은총이 충만한 여자여”(누가 복음 1:28)와 같이 변형하여 제시하고 있다.[1] 로마 가톨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 변형된 인사말은 마리아에게 천사장 가브리엘이 한 인사말로, 천주교의 기도문인 '성모송'의 첫 부분을 구성한다. 천사장에게 마리아가 한 응답은 천사의 인사 기도문의 두 번째 절과 응답을 형성한다.

마태 복음과 루가 복음에는 모두 수태고지가 기록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다르다. 마태 복음(1:18-25)에서는 요셉의 꿈에 천사가 나타나고, 마리아에 대한 천사의 고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반면, 루가 복음(1:26-38)에서는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 앞에 나타나 수태를 고지하고, 요셉에 대한 언급은 없다.[1]

2. 2. 마태오 복음서

마태오 복음서에는 요셉에게 더 간결하고 다른 수태고지가 주어진다.[1]

「마태오 복음서」영어와 「루카 복음서」영어에 수태고지가 기록되어 있지만, 각각 자세한 내용이 다르다. 「마태오 복음서」영어(1:18-25)에서는 나자렛이 아닌 곳(2:22-23, 아마도 베들레헴)에서 요셉의 꿈에 천사가 나타난다. 마리아에 대해서는 천사의 고지에 대한 기록은 없고, 성령으로 인한 수태를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것만 기록되어 있다. 반면, 「루카 복음서」영어(1:26-38)에서는 나자렛에서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 앞에 나타나 수태를 고지한다. 요셉에 대한 언급은 없다.[1]

2. 3. 구약성서의 언급

신약성서에 기술된 수태고지는 구약성서 중에서 이사야서 7장 14절에 나오는 예언을 근거로 하고 있다.

공동번역

그런즉, 주께서 몸소 징조를 보여주시리니,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임마누엘은 '하느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뜻으로, 장차 탄생할 메시아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마태오 저자에 따르면, 신약성서의 수태고지는 구약성서 「이사야서」(7:14)의 예언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사야의 예언은 아하즈 왕에게 주어진 것이며, 예수의 탄생과는 관련이 없고, 하물며 동정녀 수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구약성서에는 하나님이 자녀를 주는 예가 여러 번 나온다. 수태고지와 비슷한 것은, 불임이었던 마노아의 아내삼손을 낳을 것이라는 것을 천사가 알리는 「사사기」(13:3-5) 등이 있다.

2. 4. 외경 및 기타 문헌

외경 야고보 복음서에는 대천사가 우물가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내용이 포함된 다른 판본이 있다.

2. 5. 이슬람

1307년에 복사된 과거 세기의 남은 징후의 이슬람식 수태고지


수태고지ar쿠란 수라 마리아에 묘사되어 있다.[1]

3. 장소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모두 수태고지가 나자렛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하지만, 정확한 장소에 대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로마 가톨릭 전통은 수태고지가 마리아의 집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동방 정교회 전통은 마리아의 우물로 알려진 마을 우물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수태고지 성당은 전자가 선호하는 장소를 표시하고, 수태고지 그리스 정교회(약 800m 떨어져 있음)는 후자가 선호하는 장소를 표시한다.

4. 축일

수태고지 축일은 보통 3월 25일에 거행된다.[4] 이 날짜가 성주간이나 부활주간 또는 주일에 해당될 경우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의 전례력에서 종종 연기된다.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 동방 정교회 교회에서 수태고지 축일은 12대 대축일 중 하나이며, 그중 ‘주님의 축일’로 여겨지는 8대 축일 중 하나이다. 정교회 전역에서 이 축일은 3월 25일에 기념된다.

서력 체계가 서기 525년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우스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을 때, 그는 그리스도교 신학에 따라 하느님의 은총의 시대가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새해의 시작을 3월 25일로 정했다. 이 축일이 처음 확실하게 언급된 것은 656년 톨레도 공의회의 교회법으로, 교회 전역에서 기념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692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트룰로 공의회"는 사순절 동안 주일과 수태고지를 제외한 모든 축제의 거행을 금했다. 아타나시우스와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구스의 설교 원고에 나타난다는 이유로 더 이른 기원이 주장되었지만, 이후 위작으로 밝혀졌다.

부활절과 함께, 3월 25일은 역사적으로 많은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신정으로 사용되었다.[5] 이 축일은 1564년 샤를 9세의 루시용 칙령에 의해 프랑스 왕국에서 1월 1일로 옮겨졌다. 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수태고지 축일이 성모 마리아 축일로 알려지게 되었고, 성모 마리아 축일은 1752년까지 잉글랜드의 새해의 시작을 알렸다.

새로운 달력(개정율리우스력 또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이 날짜가 세속 달력의 3월 25일과 일치하지만, 구식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3월 25일이 세속 달력으로 4월 7일에 해당하며, 2100년부터는 4월 8일에 해당한다. 그리스 독립 기념일은 수태고지 축일에 기념되며, 3월 25일은 레바논의 국경일이기도 하다.

수태고지 축일의 전통적인 찬송가(트로파리온)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6]

:오늘은 우리 구원의 시작이며,

:영원한 신비의 계시입니다!

:하느님의 아들이 동정녀의 아들이 되시니,

:가브리엘이 은총의 도래를 알립니다.

:그와 함께 우리는 성모 마리아께 외칩시다.

: “은총이 충만한 당신, 기뻐하십시오. 주님께서 당신과 함께 계십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시작하는 행위로서, 수태고지는 정교회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축제 성찬례는 성금요일(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기억하는 날)에 해당하더라도 항상 축제일에 거행된다. 성금요일에는 수태고지 축일과 일치할 때만 성찬례가 거행된다. 수태고지가 파스카(부활절) 자체에 해당하는 경우, 이는 키리오파스카(Kyriopascha)라고 불리는데, 부활절의 중심인 부활과 함께 기념된다.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이 축일의 거행을 둘러싼 전례는 정교회 전례에서 가장 복잡하다.

시리아의 에프렘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태일이 히브리력으로 10월 니산에 해당한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출애굽기 12장에 따라 유월절 어린양을 선택한 날이다(나타나심에 대한 4번째 찬송). 어떤 해에는 니산 10일이 3월 25일에 해당하며, 이는 수태고지 축일의 전통적인 날짜이며 레바논의 공식 공휴일이다.

4. 1. 서방 기독교

수태고지 축일은 보통 3월 25일에 거행된다.[4] 이 날짜가 성주간이나 부활주간 또는 주일에 해당될 경우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의 전례력에서 종종 연기된다.

서력 체계가 서기 525년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우스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을 때, 그는 그리스도교 신학에 따라 하느님의 은총의 시대가 예수 그리스도의 강생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새해의 시작을 3월 25일로 정했다. 이 축일이 처음 확실하게 언급된 것은 656년 톨레도 공의회의 교회법으로, 교회 전역에서 기념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692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트룰로 공의회"는 사순절 동안 주일과 수태고지를 제외한 모든 축제의 거행을 금했다. 아타나시우스와 그레고리우스 타우마투르구스의 설교 원고에 나타난다는 이유로 더 이른 기원이 주장되었지만, 이후 위작으로 밝혀졌다.

부활절과 함께, 3월 25일은 역사적으로 많은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신정으로 사용되었다.[5] 이 축일은 1564년 샤를 9세의 루시용 칙령에 의해 프랑스 왕국에서 1월 1일로 옮겨졌다. 잉글랜드 왕국에서는 수태고지 축일이 성모 마리아 축일로 알려지게 되었고, 성모 마리아 축일은 1752년까지 잉글랜드의 새해의 시작을 알렸다.

4. 2. 동방 기독교

동방 정교회, 동방 가톨릭, 동방 정교회 교회에서 수태고지 축일은 12대 대축일 중 하나이며, 그중 ‘주님의 축일’로 여겨지는 8대 축일 중 하나이다. 정교회 전역에서 이 축일은 3월 25일에 기념된다. 새로운 달력(개정율리우스력 또는 그레고리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이 날짜가 세속 달력의 3월 25일과 일치하지만, 구식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3월 25일이 세속 달력으로 4월 7일에 해당하며, 2100년부터는 4월 8일에 해당한다. 그리스 독립 기념일은 수태고지 축일에 기념되며, 3월 25일은 레바논의 국경일이기도 하다.

수태고지 축일의 전통적인 찬송가(트로파리온)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6]

:오늘은 우리 구원의 시작이며,

:영원한 신비의 계시입니다!

:하느님의 아들이 동정녀의 아들이 되시니,

:가브리엘이 은총의 도래를 알립니다.

:그와 함께 우리는 성모 마리아께 외칩시다.

: “은총이 충만한 당신, 기뻐하십시오. 주님께서 당신과 함께 계십니다!”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시작하는 행위로서, 수태고지는 정교회 신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축제 성찬례는 성금요일(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기억하는 날)에 해당하더라도 항상 축제일에 거행된다. 성금요일에는 수태고지 축일과 일치할 때만 성찬례가 거행된다. 수태고지가 파스카(부활절) 자체에 해당하는 경우, 이는 키리오파스카(Kyriopascha)라고 불리는데, 부활절의 중심인 부활과 함께 기념된다. 이러한 규칙들 때문에, 이 축일의 거행을 둘러싼 전례는 정교회 전례에서 가장 복잡하다.

시리아의 에프렘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태일이 히브리력으로 10월 니산에 해당한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출애굽기 12장에 따라 유월절 어린양을 선택한 날이다(나타나심에 대한 4번째 찬송). 어떤 해에는 니산 10일이 3월 25일에 해당하며, 이는 수태고지 축일의 전통적인 날짜이며 레바논의 공식 공휴일이다.

5. 미술

그리스도교 미술에서 수태고지는 가장 빈번한 주제 중 하나였다.[7][8] 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수태고지 프레스코화는 프리스실라 카타콤에 있다.[9] 중세르네상스 시대에 그리스도교 동방과 로마 가톨릭 마리아 미술에서 모두 인기 있는 주제였으며, 거의 모든 거장들의 레퍼토리에 등장한다. 순결과 은총을 상징하는 성모 마리아와 천사 가브리엘의 모습은 로마 가톨릭 마리아 미술에서 가장 좋아하는 주제였으며, 이 장면은 천사 가브리엘이 마리아가 하느님의 아들로 태어날 아이를 잉태할 것이라고 알리는 것을 통해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주제에 대한 작품은 산드로 보티첼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카라바조, 두치오, 헨리 오사와 태너, 얀 반 에이크(Annunciation (van Eyck, Washington)), 무리요 등의 예술가들이 제작했다. 로마의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에 있는 피에트로 카발리니의 모자이크(1291년), 파두아의 스크로베니 예배당에 있는 조토의 프레스코화(1303년), 피렌체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교회에 있는 도메니코 기를란다요의 프레스코화(1486년), 그리고 피렌체 산타 크로체 성당에 있는 도나텔로의 금박을 입힌 조각상(1435년)이 유명하다.

회화에서 이 장면의 마리아는 독서 중인 경우가 많지만, 을 잣고 있는 경우도 있다. 곁에는 흰 백합(순결의 상징)이 놓여 있지만, 천사가 백합을 들고 있는 경우도 있다. 두 사람 위에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이나 성령의 비둘기가 그려지는 경우가 많고, 이것으로 "성령으로 잉태함"을 나타낸다. 엘 그레코는 수태고지의 모티프를 좋아해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수태고지 (엘 그레코) 참조). 정교회에서는 이코노스타시스의 문에 이 장면을 그리는 규칙이 있으며, 작례가 많다.

5. 1. 표현 방식

여러 작품에서 수태고지를 받는 마리아는 대부분 독서 중인 모습으로 그려지나, 종종 실을 뽑는 모습으로도 표현된다. 그 옆에는 순결의 상징인 하얀 백합이 놓여 있으며, 대천사 가브리엘이 백합을 손에 든 경우도 있다. 두 사람 위에는 천국으로부터 내려오는 빛이나 비둘기로 형상화된 성령이 그려지는 경우가 많아, 성령에 의해 잉태한다는 사실을 상징한다.[7][8]

200px


동방 정교회에서는 이코노스타시스 문에 이 장면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다만, 구도상 좌우의 문에 대천사와 성모를 나누어 배치하고자 비둘기 등 성령을 나타내는 상징은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별도로 한 장의 성화에 이 장면을 그린 것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마리아가 실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집이 배경으로 그려져 있으며, 성부를 상징하는 둥근 빛이 중앙 상단의 하늘에 그려져 있고, 그곳으로부터 성령을 상징하는 빛이 내려오는 경우도 많다.

프라 안젤리코의 성모영보


중세 작품으로는 랭스 대성당의 조상이나 시모네 마르티니제단화가 유명하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천상과 지상의 만남이라는 르네상스적 성격이 선호되어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산 마르코 수도원에 프라 안젤리코가 그린 벽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회화 등이 걸작으로 알려져 있다.[9]

그 밖에도 산드로 보티첼리, 라파엘로, 티치아노 등 여러 화가가 이 주제의 그림을 그렸다.

참조

[1] 웹사이트 Lessons for Holy Days » The Prayer Book Society of Canada https://web.archive.[...] Prayerbook.ca 2014-03-27
[2] 논문 An Unpublished Dead Sea Scroll Text Parallels Luke's Infancy Narrativ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1990-04-01 # April/May로 가정
[3] 서적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Continuum 2005
[4] 백과사전 Feast of the Annunciation of the Blessed Virgin Mary
[5] 서적 Manners and Customs of the Middle Ages 2005
[6] 서적 Speaking the Truth in Love: Theological and Spiritual Exhortations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u 2010
[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Art and Architecture 1996
[8] 서적 Images of the Mother of God: 2005
[9] 서적 The Annunciation To Mary LiturgyTrainingPublications 2007
[10] 문서 Purity is a wider concept than virginity, which is comprised within it, but which relates to a physical aspect only of purity.
[11] 서적 Medieval Art: A Topical Dictionary Bloomsbury Academic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