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기뼈 절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기뼈절구는 볼기뼈에 의해 형성되며, 넙다리뼈 머리와 연결되어 엉덩관절을 이룬다. 궁둥뼈, 엉덩뼈, 두덩뼈가 절구의 경계를 이루며, 절구테두리가 관절면을 깊게 한다. 관절연골과 윤활액은 넙다리뼈 머리와 볼기뼈절구 사이의 마찰을 줄여준다. 혈액 공급은 폐쇄동맥, 위볼기동맥, 아래볼기동맥에 의해 이루어진다. 영유아의 볼기뼈절구는 삼방사형 연골로 구성되며 성장하며 골화된다. 파충류와 조류의 절구는 깊은 구멍 형태이며, 공룡은 관통 또는 비관통 절구를 가질 수 있다. 'Acetabulum'이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작은 식초 그릇'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 뼈대 - 골반
골반은 몸통 아랫부분의 골반뼈와 관련 구조물로 이루어진 부위로, 골반 골격, 골반강, 골반저, 회음으로 구성되어 척추와 하지를 연결하고 내부 장기를 포함하며 자세 유지와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하지 뼈대 - 정강뼈
정강뼈는 무릎과 발목 사이 다리에 위치한, 넙다리뼈 다음으로 큰 뼈로서 종아리뼈와 함께 다리를 구성하며 체중을 지탱하고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 골반 - 난소
난소는 여성의 생식 기관으로 난자 생성과 여성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며, 자궁 옆에 위치하고 월경 주기와 임신, 출산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나이가 들면서 기능이 저하되어 폐경에 이르게 된다. - 골반 - 자궁
자궁은 여성 골반 내에 위치한 배 모양의 생식 기관으로, 수정란 착상과 태아 발달을 담당하며 자궁저부, 자궁체부, 자궁협부, 자궁경부의 네 부분과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임신과 여성 생식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볼기뼈 절구 | |
---|---|
개요 | |
![]() | |
영어 명칭 | acetabulum |
라틴어 명칭 | acetabulum |
발음 | acetabulum |
![]() | |
참고 문헌 |
2. 구조
볼기뼈절구는 세 개의 볼기뼈(엉덩뼈, 궁둥뼈, 두덩뼈)가 만나 형성하는 움푹 파인 구조이다.[5] 두껍고 튀어나온 가장자리를 가지며, 여기에 절구테두리가 붙어 넙다리뼈머리와 안정적인 엉덩관절을 형성한다.[5] 관절면은 반달면이라 불리며 매끄러운 관절연골로 덮여 있고, 그 사이는 윤활액으로 채워져 마찰을 크게 줄인다.[6][7] 이 구조는 팔이음부위의 접시오목과 기능적으로 유사하다.[5]
2. 1. 구성 뼈
볼기뼈절구는 세 개의 볼기뼈가 합쳐져 형성된다. 아래쪽과 옆쪽 경계는 궁둥뼈가 만들며, 이는 볼기뼈절구 전체 면적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위쪽 경계는 엉덩뼈가 구성하며, 이는 전체 면적의 2/5 이하에 해당한다. 나머지 부분은 몸의 정중선 쪽에 위치한 두덩뼈가 형성한다.볼기뼈절구는 두껍고 강하며 튀어나온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이 가장자리에는 절구테두리가 붙어 엉덩관절의 표면을 더 깊게 만든다. 볼기뼈절구의 아래쪽에는 둥글게 움푹 파여 연속되는 절구패임이 있고, 그 아래에는 관절주머니가 위치한다. 절구의 주변부는 넙다리뼈의 머리와 관절을 이루는 반달 모양의 면으로, 이를 반달면이라고 부른다. 이는 팔이음 부위의 접시오목과 대응된다.[5]
넙다리뼈머리와 볼기뼈절구가 마주하는 면은 관절연골이라는 미끄러운 조직으로 덮여 있고, 그 사이는 윤활액 막으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정상적인 관절 내부의 마찰력은 얼음 위에서 얼음이 미끄러지는 힘의 10분의 1보다도 작다.[6][7]
2. 2. 혈액 공급
폐쇄동맥의 절구가지가 절구패임을 통해 볼기뼈절구의 골반 표면에 혈액을 공급한다. 위볼기동맥의 깊은가지는 위쪽에, 아래볼기동맥은 뒤아래쪽에 혈액을 공급한다.[8]2. 3. 기타 특징
볼기뼈절구는 세 개의 볼기뼈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쪽과 옆면 경계를 이루는 궁둥뼈가 볼기뼈절구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위쪽 경계를 이루는 엉덩뼈는 2/5 이하를 차지한다. 나머지 부분은 몸의 정중선 가까이에 있는 두덩뼈가 구성한다.볼기뼈절구는 두껍고 튼튼하게 돌출된 가장자리로 경계가 지어진다. 이 가장자리에는 절구테두리( acetabular labrum|애시태뷸러 레이브럼영어 )라는 구조물이 붙어 있어 엉덩관절의 표면을 더욱 깊게 만든다. 볼기뼈절구의 아래쪽에는 움푹 파인 절구패임이 있으며, 이 패임의 바닥에는 관절주머니가 위치한다. 볼기뼈절구의 주변부는 반달 모양을 하고 있어 반달면이라고 불리며, 이곳은 넙다리뼈의 머리 부분과 관절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는 팔이음부위의 접시오목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5]
서로 마주보는 넙다리뼈머리와 볼기뼈절구의 관절면은 관절연골이라는 매끄러운 조직층으로 덮여 있으며, 그 사이는 윤활액으로 채워져 있다. 이 덕분에 정상적인 엉덩관절 내부의 마찰력은 얼음 위에서 얼음이 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마찰력의 1/10보다도 작다.[6][7]
3. 발달
영유아 시기에는 ‘Y’자 모양의 뼈끝판(성장판)인 Triradiate cartilage|삼방사형 연골eng이 엉덩뼈, 궁둥뼈, 두덩뼈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 연골은 어린이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 골화 과정을 거쳐 단단한 뼈로 변한다.[9]
4. 다른 동물들에서
파충류와 조류의 절구(acetabula)는 깊은 구멍 형태를 띤다. 공룡상목에 속하는 생물들은 관통 절구(perforate acetabulum)를 가진다. 관통 절구는 다리이음부위에서 엉덩뼈, 궁둥뼈, 두덩뼈가 모두 만나며 넙다리뼈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컵 모양의 구멍이다.[10][11] 절구의 이러한 구조는 공룡이 몸 바로 아래에 다리를 똑바로 세우고 걸을 수 있게 한 중요한 형태학적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곡룡류와 같이 비교적 적은 수의 공룡들은 비관통 절구(imperforate acetabulum)를 가지기도 한다. 비관통 절구는 구멍 형태가 아니라 다리이음부위 양쪽에 위치하는 얕고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다.
5. 역사
'볼기뼈 절구'를 뜻하는 의학 용어 Acetabulum|아케타불룸lat은 글자 그대로 '작은 식초 그릇'이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본래 고대 로마에서 식초를 담는 작은 그릇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부피를 재는 도량형 단위(영어 위키백과)로도 쓰였다.
참조
[1]
Dictionary
acetabulum
[2]
문서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3]
저널
The labro-acetabular complex
[4]
저널
Hip arthroscopy: evolution, current practice and future developments
[5]
저널
Imaging of the acetabular labrum
[6]
웹인용
Hip Dysplasia in the Child, Adolescent and Adult
http://www.jitbalaku[...]
2013-06-08
[7]
웹인용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
http://orthoinfo.aao[...]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3-06-08
[8]
저널
A study of the arterial supply of the human acetabulum using a corrosion casting method
[9]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Dinosaurs
Blackwell Publishing
2006
[11]
웹인용
Dinosauria: Morphology
http://www.ucmp.berk[...]
UC Berkeley
2013-01-21
[12]
저널
Imaging of Hip Pain: From Radiography to Cross-Sectional Imaging Techniqu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