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카 수플레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드카 수플레라는 1969년 결성된 폴란드의 록 밴드이다. 1970년 밴드명을 변경한 후, 1974년 "Sen o dolinie"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1975년 첫 앨범 ''Cień wielkiej góry''를 발매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며, 이후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갔다. 현재 토마시 젤리셰프스키, 메치스와프 "메하닉" 유레츠키 등을 포함한 여러 멤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정규, 라이브, 컴필레이션 앨범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어스, 윈드 & 파이어
어스, 윈드 & 파이어는 모리스 화이트가 이끄는 미국의 펑크, 소울, R&B, 재즈 퓨전 밴드로서, 1970년대 중후반 전성기를 누리며 "샤이닝 스타" 등의 히트곡으로 빌보드 차트를 석권하고 긍정적 메시지와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은 가사, 독특한 보컬, 풍성한 악기 구성으로 많은 후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969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올맨 브라더스 밴드
올맨 브라더스 밴드는 1969년 조지아주 메이컨에서 결성되어 블루스, 재즈, 컨트리 융합 사운드와 즉흥 연주로 유명한 서던 록의 선구자 밴드이며, 멤버들의 비극적인 사건과 해체, 재결합을 거쳐 45년간 활동 후 해체되었지만 음악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부드카 수플레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록 프로그레시브 록 |
결성지 | 루블린, 폴란드 |
활동 기간 | 1969-1970, 1974–2014, 2019-현재 |
레이블 | New Abra EMI MTJ Sony Music |
웹사이트 | www.budkasuflera.pl |
관련 활동 | 해당사항 없음 |
현재 구성원 | 야체크 카발레츠 로베르트 자르친스키 토마시 젤리셰프스키 다리우시 바펠토프스키 표트르 보구틴 미에치스와프 유레츠키 이레나 미할스카 표트르 슈타이델 |
이름 | |
폴란드어 | 부드카 수플레라 |
로마자 표기 | Budka Suflera |
발음 | |
IPA | /'butka su'flɛra/ |
2. 역사
부드카 수플레라는 1969년 폴란드 루블린에서 크시슈토프 추고프스키(보컬)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초기에는 존 메이올, 지미 헨드릭스, 레드 제플린 등의 곡을 커버하며 활동했다. 1970년, 밴드는 Budka Suflera|부드카 수플레라pol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몇 차례 멤버 교체를 거쳤다.
1974년, 빌 위더스의 "Ain't No Sunshine"을 폴란드어로 번안한 "Sen o dolinie"를 발표하며 라디오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를 계기로 폴스키에 나그라니아 음반사와 계약했다.[1] 같은 해 말, 히말라야 산맥 등반 사고에서 영감을 얻은 곡 "Cień wielkiej góry"(거대한 산의 그림자)를 녹음했으며, 이 곡은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다.[1]
1975년, 첫 정규 앨범 ''Cień wielkiej góry''를 발매했다.[1] 이 앨범에는 유명 음악가 체스와프 니에멘이 무그 신시사이저 연주로 참여하기도 했다.[1]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했으며, 밴드는 동독 등지에서 투어를 진행했다.[1]
1976년에는 두 번째 앨범 ''Przechodniem byłem między wami''(나는 당신들 사이의 행인이었네)를 발표했으나, 첫 앨범만큼의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1] 앨범 발매 후 원년 보컬리스트 크시슈토프 추고프스키가 솔로 활동을 위해 탈퇴했으며,[1] 이후 스타니스와프 벵골로시,[1] 로무알드 치스타프 등이 보컬리스트로 활동했다.[1]
2. 1. 결성 초기 (1969-1974)
1969년 크시슈토프 추고프스키(보컬), 크시슈토프 브로지(리드 기타), 야누시 펜지슈(베이스 기타), 야체크 그룬(드럼)의 잼 세션을 통해 밴드가 처음 결성되었다. 이들은 지역 공연장에서 존 메이올, 지미 헨드릭스, 레드 제플린의 곡들을 커버하며 활동했다. 몇 차례 라디오 녹음과 콘서트를 진행했지만 이후 해산했다.1970년, 추고프스키는 학교 동창인 로무알드 리프코가 이끌던 밴드 Stowarzyszenie Cnót Wszelakichpol에 합류했다. 이 밴드는 곧 Budka Suflerapol로 이름을 바꾸었다. 몇 차례 멤버 교체를 거친 후, 1974년 3월 밴드는 첫 번째 주요 녹음인 "Sen o dolinie"를 발표했다. 이 곡은 빌 위더스의 유명한 노래 "Ain't No Sunshine"을 폴란드어로 번안한 것이었다. "Sen o dolinie"는 라디오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이를 계기로 밴드는 폴스키에 나그라니아 음반사와 계약 제안을 받았으며, 수많은 콘서트 출연 요청을 받게 되었다.
2. 2. 전성기 (1975-1980년대)
1974년 가을, 밴드는 1973년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생한 폴란드 산악인 즈비그니에프 슈테펙과 안제이 그르자제크의 비극적인 죽음에서 영감을 받아 "Cień wielkiej góry"(거대한 산의 그림자)를 녹음했다.[1] 이 곡은 발표 즉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여러 컴필레이션 앨범과 라이브 앨범에 꾸준히 수록되었다.[1] 밴드는 같은 해 11월 "Lubię ten stary obraz"(나는 이 오래된 그림을 좋아해)를, 1975년 초에는 "Memu miastu na do widzenia"(나의 도시에 작별을)를 추가로 녹음했다.[1] 이 시기 직후, 드러머 즈비그니에프 젤린스키가 밴드를 떠나고 토마시 젤리셰프스키가 새로운 드러머로 합류했다.[1]밴드의 첫 정규 앨범은 1975년에 발매되었으며, 앨범 제목은 첫 트랙의 제목을 딴 ''Cień wielkiej góry''였다.[1] 이 앨범에는 유명 음악가 체스와프 니에멘이 참여하여 그의 무그 신시사이저 연주로 웅장한 록 모음곡인 "Szalony koń"(미친 말)의 사이키델릭한 분위기를 더했다.[1] 19분이 넘는 대곡인 "Szalony koń"은 LP 앨범의 B면 전체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 있는 작품이었다.[1]
하지만 라디오에서 인기를 얻었던 "Sen o dolinie"(계곡의 꿈)와 "Memu miastu na do widzenia"는 정작 첫 앨범에는 실리지 못했다.[1] "Sen o dolinie"는 외국 곡을 번안했다는 이유로 레코드 레이블의 반대에 부딪혔고, "Memu miastu na do widzenia"는 립코가 단독으로 작곡한 곡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밴드 내에서는 첫 앨범에 추고프스키와 립코가 함께 작곡한 곡만을 싣기로 합의한 상태였다).[1] "Memu miastu na do widzenia"는 훗날 1981년 발매된 앨범 ''Za ostatni grosz''에 재녹음되어 수록되었다.[1]
''Cień wielkiej góry''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밴드는 곧바로 동독 투어에 나섰다.[1] 동독에서는 밴드의 히트곡 일부를 독일어로 녹음하기도 했다.[1] 독일에서의 앨범 발매도 계획되었으나, 보컬리스트 크시슈토프 추고프스키가 녹음 세션에 불참하면서 첫 번째 시도는 무산되었다.[1] 투어 막바지에 멤버들의 피로 누적으로 인해 두 번째 시도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1]
1976년, 밴드는 두 번째 앨범 ''Przechodniem byłem między wami''(나는 당신들 사이의 행인이었네)를 발표했다.[1] 하지만 이 앨범은 첫 앨범만큼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 앨범 발매 후, 보컬리스트 크시슈토프 추고프스키는 솔로 활동을 위해 밴드를 떠나기로 결정했다.[1] 그의 후임으로는 스칼도비 출신의 스타니스와프 벵골로시가 영입되었다.[1] 벵골로시는 "Rozmowa"(대화), "Kula nocnego światła"(밤빛의 구체), "Ślady na piasku"(모래 위의 발자국), "Życiowy numer"(인생 최고의 연기) 등의 곡 녹음에 참여했으나, 이 곡들은 정식으로 발매되지 못했고 그 역시 얼마 지나지 않아 밴드를 떠났다.[1] 이후 로무알드 치스타프가 새로운 보컬리스트로 합류했다.[1]
3. 구성원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정보를 다루고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내용을 생략합니다.)
3. 1. 현재 구성원
wikitext역할 | 이름 | 활동 기간 |
---|---|---|
보컬 | Robert Żarczyński|로베르트 자르친스키pol | 2019년 ~ 현재 |
보컬 | Jacek Kawalec|야체크 카발레츠pol | 2022년 ~ 현재 |
보컬 | Irena Michalska|이레나 미할스카pol | 2021년 ~ 현재 |
기타 | Dariusz Bafeltowski|다리우시 바펠토프스키pol | 2019년 ~ 현재 |
기타 | Piotr Bogutyn|표트르 보구틴pol | 2019년 ~ 현재 |
베이스 기타 | Mieczysław "Mechanik" Jurecki|메치스와프 "메하닉" 유레츠키pol | 1982년 ~ 1983년, 1986년 ~ 1987년, 1992년 ~ 2003년, 2019년 ~ 현재 |
드럼 | Tomasz Zeliszewski|토마시 젤리셰프스키pol | 1975년 ~ 현재 |
키보드 | Piotr Sztajdel|표트르 슈타이델pol | 2020년 ~ 현재 |
3. 2. 이전 구성원
1978–1982 (베이스 기타)1978–2020 (키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