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12년 한·일 코미디페스티벌을 기반으로 2013년부터 시작된 국제 코미디 축제이다. 침체된 코미디 시장 활성화, 신인 코미디언 발굴 등을 목표로 하며, 매년 8월 말에서 9월 초에 부산 일대에서 개최된다. 개막 행사, 실내 유료 공연, 야외 무료 공연, 코미디 스트리트, 코미디 포럼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국내외 코미디 공연 팀에게 부산바다상, 웃음바다상, 열바다상을 수여한다. 부산광역시장과 개그맨 김준호가 각각 조직위원장과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KNN, 문화체육관광부, 부산광역시 등이 후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축제 - 부산국제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는 1996년 부산에서 시작되어 상영작과 관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 영화제로 성장했으며, 아시아 영화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영화 산업 전반을 지원한다. - 부산광역시의 축제 - 미스코리아 부산
미스코리아 부산은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미인을 선발하는 미스코리아 지역 예선 대회이며, 1971년부터 시작되어 2014년부터는 미스 울산과 통합하여 선발한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없는 문서를 링크하고 있는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부산광역시 |
시작 | 2013년 8월 29일 |
종료 | 2022년 8월 19일 ~ 8월 28일 |
빈도 | 매년 |
장르 | 코미디 페스티벌 |
조직 |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부산광역시 BICF 자문위원회 |
웹사이트 | BICF |
이전 | 9회 |
현재 | 10회 |
다음 | 11회 |
추가 정보 | |
행사명 (한국어) |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행사명 (영어) | Busan International Comedy Festival |
약칭 | BICF |
기간 | 매년 8월 마지막 금요일부터 약 10일간 |
장소 | 부산광역시 센텀시티 |
슬로건 | 부산바다, 웃음바다, 웃음이 희망이다. |
주최 | (사)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원회 |
집행위원장 | 김준호 (2013년 1회 ~ 현재) |
2. 역사
2012년 한·일 코미디페스티벌을 기반으로[19] 2013년부터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행사는 침체된 코미디 시장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한류 콘텐츠를 개발하며,[20] 신인 코미디언 및 공연을 발굴하고,[21] 코미디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사업을 개발하여 코미디 자체의 비전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친 장기적인 침체를 웃음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연도 | 회차 | 개막일 | 폐막일 | 개최 기간 | 참여 국가 | 참여 팀 | 관객 수 |
---|---|---|---|---|---|---|---|
2013 | 1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7팀 | 21,198명 |
2014 | 2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2팀 | 26,865명 |
2015 | 3 | 8월 28일 | 8월 31일 | 4일 | 11국 | 28팀 | 34,400명 |
2016 | 4 | 8월 26일 | 9월 3일 | 9일 | 11국 | 36팀 | 36,525명 |
2017 | 5 | 8월 25일 | 9월 3일 | 10일 | 10국 | 48팀 | 36,985명 |
2018 | 6 | 8월 24일 | 9월 2일 | 10일 | 11국 | 41팀 | |
2019 | 7 | 8월 23일 | 9월 1일 | 10일 | |||
2020 | 8 | 10월 17일 | 10월 21일 | 5일 | |||
2021 | 9 | 8월 20일 | 8월 29일 | 10일 | |||
2022 | 10 | 8월 19일 | 8월 28일 | 10일 |
2. 1. 연혁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12년 한·일 코미디페스티벌을 기반으로[19]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침체된 코미디 시장 활성화와 새로운 한류 콘텐츠 개발[20], 신인 코미디언 및 공연 발굴[21], 코미디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사업 개발 등을 통해 코미디 자체의 비전을 제시하고,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의 장기화된 침체를 웃음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연도 | 회차 | 개막일 | 폐막일 | 개최 기간 | 참여 국가 | 참여 팀 | 관객 수 | 비고 |
---|---|---|---|---|---|---|---|---|
2013 | 1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7팀 | 21,198명 | |
2014 | 2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2팀 | 26,865명 | |
2015 | 3 | 8월 28일 | 8월 31일 | 4일 | 11국 | 28팀 | 34,400명 | |
2016 | 4 | 8월 26일 | 9월 3일 | 9일 | 11국 | 36팀 | 36,525명 | |
2017 | 5 | 8월 25일 | 9월 3일 | 10일 | 10국 | 48팀 | 36,985명 | |
2018 | 6 | 8월 24일 | 9월 2일 | 10일 | 11국 | 41팀 | ||
2019 | 7 | 8월 23일 | 9월 1일 | 10일 | ||||
2020 | 8 | 10월 17일 | 10월 21일 | 5일 | ||||
2021 | 9 | 8월 20일 | 8월 29일 | 10일 | ||||
2022 | 10 | 8월 19일 | 8월 28일 | 10일 |
제1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13년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개최되었으며, 4일 동안 21,198명의 관람객을 모았다. 7개국 17개 팀이 참여했다.[4] 조직위원장 겸 코미디언인 김준호는 "첫 번째 페스티벌이라 숙소나 교통 등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앞으로 페스티벌을 통해 더 좋아질 것입니다."라고 말했다.[5]
제2회 페스티벌은 "웃음은 희망"이라는 슬로건 아래 2014년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개최되었다. 개막식은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열렸으며, 공연은 영화의 전당, KBS 부산홀,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 신세계 문화홀,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진행되었다. 7개국 12개 팀이 참여하여 26,865명의 관객을 모았다.[6] 옹알스와 개그콘서트 팀이 한국을 대표했으며, Tape Face와 Beky Hoop가 영국과 캐나다를 대표했다. 일본의 모리야스 방방비가로와 호주의 6D도 공연했다.[3][7]
제3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15년 8월 28일부터 8월 31일까지 "부산바다 웃음바다, 웃음이 희망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개최되었다. 개막식은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열렸다. 해외 공연은 경성대학교 예노아트홀에서, 국내 공연은 극장 해프닝과 사상인디스테이션에서 진행되었다. 일부 해외 및 국내 공연은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 해운대 해수욕장, 감만창의문화촌에서 야외 코미디 오픈 콘서트로 열렸다.[8] 총 12개국 28개 팀이 참여했다. KBS, MBC, SBS, tvN 등 다양한 방송사 코미디언들이 참여했으며,[9]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독일, 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스위스,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온 팀들도 참여했다.[10] 캐나다의 Bunk Puppets, 호주의 디 엄빌리컬 브라더스, 캐나다의 The Street Circus, 몽트뢰 코미디@부산이 해외 코미디 공연 라인업에 포함되었다.[11] 이 행사는 35,000명 이상의 관람객을 모았다.[16]
제9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21년 8월 20일부터 8월 29일까지 개최되었다.[12]
제10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2022년 8월 19일부터 8월 28일까지 개최되었다. 김성원과 변기수가 8월 19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개막식을 진행했다.[13]
2. 2. 주요 변화 및 특징
2012년 한·일 코미디페스티벌을 기반으로[19]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침체된 코미디 시장 활성화와 새로운 한류 콘텐츠 개발[20], 신인 코미디언 및 공연 발굴[21], 코미디를 기반으로 한 고부가가치 사업 개발 등을 통해 코미디 자체의 비전을 제시하고,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의 장기화된 침체를 웃음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연도 | 회차 | 개막일 | 폐막일 | 개최 기간 | 참여 국가 | 참여팀 | 관객 수 | 비고 |
---|---|---|---|---|---|---|---|---|
2013년 | 1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7팀 | 21,198명 | |
2014년 | 2 | 8월 29일 | 9월 1일 | 4일 | 7국 | 12팀 | 26,865명 | |
2015년 | 3 | 8월 28일 | 8월 31일 | 4일 | 11국 | 28팀 | 34,400명 | |
2016년 | 4 | 8월 26일 | 9월 3일 | 9일 | 11국 | 36팀 | 36,525명 | |
2017년 | 5 | 8월 25일 | 9월 3일 | 10일 | 10국 | 48팀 | 36,985명 | |
2018년 | 6 | 8월 24일 | 9월 2일 | 10일 | 11국 | 41팀 | ||
2019년 | 7 | 8월 23일 | 9월 1일 | 10일 | -국 | -팀 | ||
2020년 | 8 | 10월 17일 | 10월 21일 | 5일 | -국 | -팀 | ||
2021년 | 9 | 8월 20일 | 8월 29일 | 10일 | -국 | -팀 | ||
2022년 | 10 | 8월 19일 | 8월 28일 | -국 | -팀 |
- 1회 (2013년):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만 개최되었으며, 4일 동안 7개국 17개 팀이 참여하여 21,198명의 관람객을 모았다.[4] 조직위원장 겸 코미디언인 김준호는 숙소나 교통 등의 문제점을 언급하며, 앞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5]
- 2회 (2014년): "웃음은 희망"이라는 슬로건으로 부산 영화의 전당, KBS 부산홀, 경성대학교 예노 소극장, 신세계 문화홀,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에서 개최되었다. 7개국 12개 팀이 참여하여 26,865명의 관객을 모았다.[6] 옹알스와 개그콘서트 팀(한국), Tape Face와 Beky Hoop(영국, 캐나다), 모리야스 방방비가로(일본), 6D(호주) 등이 공연했다.[3][7]
- 3회 (2015년): "부산바다 웃음바다, 웃음이 희망이다"라는 슬로건으로 부산 영화의 전당, 경성대학교 예노아트홀, 극장 해프닝, 사상인디스테이션, 부산시민공원 다솜마당, 해운대 해수욕장, 감만창의문화촌에서 13개 쇼가 개최되었다.[8] 12개국 28개 팀이 참여하였고, 35,000명 이상의 관람객을 모았다.[16] KBS, MBC, SBS, tvN 등 다양한 방송사 코미디언들과[9]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독일, 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스위스, 아프리카 등 다양한 국가의 팀들이 참여했다.[10] Bunk Puppets(캐나다), 디 엄빌리컬 브라더스(호주), The Street Circus(캐나다), 몽트뢰 코미디@부산 등이 해외 코미디 공연 라인업에 포함되었다.[11]
- 9회 (2021년): 8월 20일부터 8월 29일까지 개최되었다.[12]
- 10회 (2022년): 8월 19일부터 8월 28일까지 개최되었다. 김성원과 변기수가 8월 19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개막식을 진행했다.[13]
3. 프로그램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프로그램은 크게 인도어 공연(유료)과 아웃도어 공연(무료) 두 가지로 나뉜다.
3. 1. 인도어 공연
인도어 공연은 국내외 출연진을 초청해 센텀시티 등지에서 진행하는 유료 공연 프로그램이다.3. 1. 1. 개막행사
매해 8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영화의전당 야외극장에서 개막행사를 개최하며, 국내외 최고의 코미디언과 코미디 관계자들이 초청된다. 개막행사는 블루카펫 및 페스티벌 개최선언, 축하공연 등으로 구성된다.3. 1. 2. 공연장 공연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공연장 공연은 국내외 출연진을 초청해 센텀시티 등지에서 진행하는 유료 공연 프로그램이다.[1] 세계 최고 수준의 코미디 공연을 운영하며, 시간적, 소재적으로 TV를 벗어나 다양하고 신선한 웃음과 에너지를 전달한다.[1] 시민과 도시, 코미디언과 관객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코미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1] 최근에는 대상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코미디와 다른 장르 간의 결합 등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발굴하는 실험도 하고 있다.[1] 대표 공연으로는 옹알스, 이경규쇼, 투맘쇼, 쇼그맨, 욕쇼 등이 있다.[1]3. 2. 아웃도어 공연
부산 전역에서 무료 코미디 공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더 많은 시민들이 코미디 공연을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1]3. 2. 1. 오픈 콘서트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찾아가는 코미디 공연의 취지를 담아 많은 시민들에게 코미디 공연을 선보이고자 오픈콘서트를 운영한다. 오픈콘서트 장소는 부산시 내 16개 구군 전체를 활동범위로 정하여 자체 선정하며, 지자체의 요청도 받고 있다.3. 2. 2. 코미디 스트리트
아마추어 코미디언 및 코미디언 지망생들에게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코미디 스트리트를 운영한다. 부산시 내 “차 없는 거리”에서 주로 진행되며, 회를 거듭해 나가면서 질과 양면에서 확대할 예정에 있다.3. 2. 3. 코미디 어택
부산시 내의 학교, 기업들에 게릴라 형식으로 찾아가 웃음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일상과 더위에 지친 시민들을 깜짝 놀라게 하고 웃음을 선사한다. 2017년까지 주로 고등학교에서 진행하였지만 2018년부터는 기업까지 확대해 운영할 예정이다.[1]3. 2. 4. 코미디 포럼
코미디의 국제화와 세계화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국내 우수 콘텐츠를 외국으로 수출할 방법에 대한 연구 및 인큐베이터링으로 구성된다. 해외 우수 기획자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기간 동안 공연을 관람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뿐만 아니라, 국제 대형 페스티벌의 운영 방안, 코미디의 세계적 동향, 미래에 대한 예측 및 준비를 주제로 논의도 이루어진다.4. 수상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페스티벌 기간 최고의 웃음을 선사한 팀에게 “부산바다상”, “웃음바다상”, “열바다상”을 수여한다. 국내 예능 작가 20~30명의 심사와 토론으로 수상작을 선정한다.[14][15]
4. 1. 시상 부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현재 오션 오브 부산상, 오션 오브 웃음상, 신인상, 총 세 개의 상을 수여한다. 2013년부터 오션 오브 부산상은 대한민국 최고의 코미디 공연 팀에게, 오션 오브 웃음상은 최고의 해외 코미디 공연 팀에게 수여된다. 2015년에는 신인상이 제정되어 코미디 분야의 최고의 신인에게 수여된다. 각 상은 트로피와 500만원의 상금으로 구성되며, 신인상은 3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14][15]4. 2. 역대 수상작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은 페스티벌 기간 동안 최고의 웃음을 선사한 팀에게 "부산바다상", "웃음바다상", "열바다상"을 수여한다. 국내 예능 작가 20~30명의 심사와 토론으로 수상작을 선정하며, 국내 우수 공연팀에게는 "부산바다상", 국외 우수 공연팀에게는 "웃음바다상", 우수 신인 공연팀에게는 "열바다상"을 수여한다.2013년부터 "부산바다상"은 대한민국 최고의 코미디 공연 팀에게, "웃음바다상"은 최고의 해외 코미디 공연 팀에게 수여된다. 2015년에는 "열바다상"이 제정되어 코미디 분야의 최고 신인에게 수여된다. 각 상은 트로피와 5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지며, "열바다상"은 3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14][15]
5. 조직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조직위원장은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이다. 집행위원장은 2013년 제1회 페스티벌부터 개그맨 김준호[22]가 맡고 있으며, 운영 및 지원, 홍보, 콘텐츠 개발 분야로 담당을 세분화하여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다.
6. 후원
KNN은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의 공식 후원사이자 방송사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부산광역시 또한 페스티벌을 후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아시아 최대 코미디 축제,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개최
http://bicf.co.kr/20[...]
2015-09-05
[2]
웹사이트
Comedians announce the 1st Busan International Comedy Festival in Korea
http://www.bntnews.c[...]
2015-09-05
[3]
웹사이트
제2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8월 29일 개막
http://hankookilbo.c[...]
2014-07-22
[4]
웹사이트
History-제1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see 2013)
http://bicf.co.kr/20[...]
2015-09-04
[5]
웹사이트
2 Days & 1 Night : Season 3 - An Untimely Trip to Busan Part 1 (2014.09.28)
https://www.youtube.[...]
2014-09-28
[6]
웹사이트
History-제2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see 2014)
http://bicf.co.kr/20[...]
2015-09-04
[7]
웹사이트
Busan comedy festival brings world together with humor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korea.net[...]
2015-09-04
[8]
웹사이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2015 PROGRAM
http://bicf.co.kr/20[...]
2015-09-04
[9]
웹사이트
제3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BICF)', 업그레이드 웃음 예고…8월 개최
http://bntnews.hanky[...]
2015-09-05
[10]
웹사이트
문화공감 - 웃음은 희망이다! {{!}} 문화포털
http://www.culture.g[...]
2015-09-05
[11]
웹사이트
개그맨 총출동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이름값
http://www.hankookil[...]
2015-08-30
[12]
뉴스
'제9회 부코페' 10일간의 페스티벌 시작…개막 공연부터 완벽한 웃음
https://n.news.naver[...]
Naver
2021-08-21
[13]
뉴스
김성원-변기수,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개막식 사회[포토엔HD]
https://n.news.naver[...]
Naver
2022-08-19
[14]
웹사이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HISTORY
http://bicf.co.kr/20[...]
2015-09-05
[15]
웹사이트
오늘 슈퍼갈라쇼 마지막 공연 후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되었던... - Busan International Comedy Festival {{!}} Facebook
https://www.facebook[...]
2015-09-05
[16]
웹사이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 HISTORY (see 2015)
http://bicf.co.kr/20[...]
2015-09-05
[17]
웹사이트
2020 8th Busan International Comedy Festival : Past Winners
http://bicf.kr/sub/s[...]
2021-08-23
[18]
뉴스
제9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BICF)' 폐막공연까지 꽉 채운 10일간 대장정 성료
https://n.news.naver[...]
Naver
2021-08-30
[19]
뉴스
한·일 코미디페스티벌, 내달 부산서 개최
http://entertain.nav[...]
연합뉴스
2012-07-22
[20]
뉴스
두돌 맞은 'BICF', 코미디계의 'BIFF' 될 수 있을까?
http://www.nocutnews[...]
CBS노컷뉴스
2018-05-16
[21]
뉴스
제3회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BICF), 어떻게 달라지나
http://osen.mt.co.kr[...]
OSEN
2015-07-14
[22]
뉴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김준호 집행위원장 부산에 떴다…‘자원봉사 발대식’
http://star.mbn.co.k[...]
MBN
2017-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