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국제영화제는 1996년 부산에서 시작된 국제 영화제이다. 경성대학교 이용관 교수, 부산예술문화대 김지석 교수, 영화평론가 전양준이 영화제 개최를 제안했고, 김동호가 초대 집행위원장을 맡아 준비했다. 2014년 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과 그 이후 영화제에 대한 지원 축소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현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상화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다. 영화제는 다양한 섹션과 경쟁 부문을 통해 아시아 및 세계 영화를 소개하며, '뉴 커런츠상', '지석상' 등 여러 시상을 진행한다. 아시안필름마켓, 아시아프로젝트마켓, 아시아영화펀드 등 관련 행사도 함께 열린다. 영화의전당, CGV 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등에서 상영이 이루어지며, 해운대 해수욕장에는 비프빌리지가 설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시작된 영화제 - 서울 인권 영화제
    서울 인권 영화제는 인권운동사랑방 등이 주최하여 인권 문제 인식을 높이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영화 상영과 부대 행사를 통해 인권 운동 확산에 기여하는 영화제이다.
  • 1996년 시작된 영화제 - 레스페스트
    레스페스트는 디지털 영화 잡지 RES의 창간과 함께 1997년 시작되어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넓혔으나, 2006년 투어 이후 잠정적으로 활동을 중단한 디지털 영화 페스티벌이다.
  • 부산광역시의 축제 - 미스코리아 부산
    미스코리아 부산은 부산 지역을 대표하는 미인을 선발하는 미스코리아 지역 예선 대회이며, 1971년부터 시작되어 2014년부터는 미스 울산과 통합하여 선발한다.
  • 부산광역시의 축제 - 부산퀴어문화축제
    부산퀴어문화축제는 부산 지역 성소수자 인권 증진을 목적으로 매년 열리는 행사로, 부스 행사, 공연, 퍼레이드로 구성되며 성소수자 반대 집회와 동시에 개최되기도 한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2021년 부산에서 열린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여러 국가와 장르의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높였으며, '온 스크린' 섹션에서 OTT 드라마 시리즈를 선보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2014년에 개최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섹션을 통해 세계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 신인 감독을 발굴하며, 여러 부문의 상을 수여하고, 정진우 감독 회고전과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등으로 관객의 호응과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영화 축제이다.
부산국제영화제
기본 정보
부산국제영화제 로고
부산국제영화제 로고
명칭부산국제영화제
로마자 표기Busan-Gukje-Yeonghwaje
한자 표기釜山國際映畫祭
영어 표기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설립일1996년 9월 13일
개최 장소부산광역시 영화의전당
언어국제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축제 기간매년 10월 첫째 주 수요일부터 10일간
이사장박광수 (3대, 2024년 28회 ~ 현재)
출품작 수300 ~ 350편
영화제
주요 상새로운 물결상
김지석상
선재상
비프메세나상
그 외 다수
최근 영화제29회
이전 영화제28회
다음 영화제30회

2. 역사

1990년대 초, 경성대 이용관 교수, 부산예술문화대 김지석 교수, 영화평론가 전양준은 부산에서 국제영화제를 개최하자는 움직임을 시작했다.[40][41] 이들은 1995년 8월 김동호 전 영화진흥공사 사장에게 집행위원장직을 제안했고, 김동호는 이를 수락하며 영화제 준비가 본격화되었다.[40][41]

1996년 4월 16일,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설립되었고, 문정수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을 맡았다.[42] 같은 해 5월 16일, 영화제 개최 계획이 처음 발표되었으며, "뉴 커런츠", "아시아 영화의 창", "코리안 파노라마" 등 현재까지 이어지는 주요 섹션들이 기획되었다.[42]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설비를 대여해 야외상영도 진행하기로 했다.[42] 같은 해 6월 6일에는 부산 요트경기장에 위치한 조직위원회 사무국에서 공식 출범을 알렸다.[43]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1996년 9월 13일부터 9월 21일까지 열렸으며, 마이크 리 감독의 비밀과 거짓말이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42] 이후 영화제는 매년 규모를 확대하며 성장했다. 제2회 부산국제영화제(1997년)부터는 '부산 프로모션 플랜(현 아시아프로젝트마켓)'이 도입되어 아시아 영화 제작 지원에 기여하기 시작했다.[44]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면서 김동호 집행위원장 체제에 대한 초창기 반발은 잦아들었다.

김동호 집행위원장은 본래 2005년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를 마지막으로 물러날 예정이었으나, 영화제 전용관 건립 문제로 연임하게 되었다.[46] 이용관 교수와 공동집행위원장 체제를 거쳐 2010년 사임하고 명예 집행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46][47][48] 2007년 제12회 부산국제영화제부터 이용관 교수가 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았으며,[49][50] 2011년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부터 단독 집행위원장직을 수행했다.[49][50]

2011년 2월 24일, 부산국제영화제는 영문 표기를 PIFF(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BIFF(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로 변경하고, 9월 29일 센텀시티에 전용관 '영화의전당'을 개관했다.[51]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 입구


연도회차개막일폐막일개막작폐막작상영작품관객수비고
1996년19월 13일9월 21일비밀과 거짓말무산의 비구름31개국 169편184,071명
1997년210월 10일10월 18일차이니즈 박스반생연33개국 163편170,206명
1998년39월 24일10월 1일고요간장선생41개국 211편192,547명부산프로모션플랜 (PPP) 출범
1999년410월 14일10월 23일박하사탕책상 서랍 속의 동화53개국 207편180,914명
2000년510월 6일10월 14일레슬러화양연화55개국 207편181,708명
2001년611월 9일11월 17일흑수선수리요타이60개국 201편143,103명
2002년711월 14일11월 23일해안선돌스55개국 226편167,349명
2003년810월 2일10월 10일도플갱어아카시아61개국 243편165,103명아시아영화산업센터 (AFIC) 출범
2004년910월 7일10월 15일2046주홍글씨63개국 262편166,164명
2005년1010월 6일10월 14일쓰리 타임즈나의 결혼 원정기73개국 307편192,970명아시아영화아카데미 (AFA) 운영
2006년1110월 12일10월 20일가을로크레이지 스톤62개국 246편162,835명아시안필름마켓 (AFM) 출범
2007년1210월 4일10월 12일집결호에반게리온 신극장판: 서64개국 275편198,603명아시아영화펀드 (ACF) 출범
2008년1310월 2일10월 10일스탈린의 선물나는 행복합니다60개국 315편198,818명
2009년1410월 8일10월 16일굿모닝 프레지던트바람의 소리70개국 355편173,516명
2010년1510월 7일10월 15일산사나무 아래카멜리아67개국 306편182,046명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상영을 두고 정치적 논란이 발생했다.[52] 당시 새누리당 소속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 작품이 “정치적 중립성을 해치는 작품”이라며 상영 취소를 요구했으나, 조직위 측은 예정대로 상영을 강행했다.[55] 이는 명백히 박근혜 정부의 표현의 자유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민주주의적 가치를 수호하려는 영화제의 의지를 보여준 사건이었다.

이후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BIFF) 조직위에 대한 감사를 벌였고, 2015년 1월 23일 부산시 고위 관계자는 이용관 집행위원장에게 초청작 선정 관련 규정 위반 등을 지적하며 우회적으로 사퇴를 요구했다.[55] 조직위 측은 "영화제 초청 상영작은 프로그래머의 영화관과 안목에 따른 주관적 판단이 먼저이며 이는 존중해야 할 사항"이라고 반박했다.[56] 영화계는 서병수 시장의 다이빙벨 상영 취소 요구를 거부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간주하며 강력하게 반발했고,[52]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베를린 국제 영화제 집행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지지를 표명했다.[57] 또한, 영화진흥위원회의 예산이 6억 5천만 원 삭감되고 다른 영화제는 지원금이 늘어나면서 영진위의 보복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었다.[58]

2017년 박영수 특검팀은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과 함께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예산 삭감 지시 정황이 있었는지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59]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제25회 영화제는 규모가 축소되어 개최되었다.[65] 68개국 192편의 영화가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칠중주: 홍콩 이야기, 폐막작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었다. 총 관객 수는 20,135명이었다. 2021년 1월에는 전양준 집행위원장이 사퇴하고, 3월에는 허문영 평론가가 신임 집행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7] 제26회 영화제는 70개국 223편의 영화가 상영되었고, 개막작은 헤븐: 행복의 나라로, 폐막작은 매염방이었다. 총 관객 수는 76,072명이었다.[8] 2022년 제27회 영화제는 코로나19 범유행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어 개최되었다.[9] 71개국 353편의 영화가 초청되었으며, 개막작은 바람의 향기, 폐막작은 한 남자였다. 2023년에 개최된 제28회 영화제에서는 69개국 269편이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한국이 싫어서, 폐막작은 영화의 황제였다.[10] 2024년에 개최될 예정인 제29회 영화제에서는 개막작은 전,란, 폐막작은 영혼의 여행으로 예정되어 있다.[11]

부산시네마센터, BIFF 2023


BIFF 개막식, 2023

2. 1. 초창기 (1996년 ~ 2010년)

1990년대 초, 경성대 이용관 교수, 부산예술문화대 김지석 교수, 영화평론가 전양준은 부산에서 국제영화제를 개최하자는 움직임을 시작했다.[40][41] 이들은 1995년 8월 김동호 전 영화진흥공사 사장에게 집행위원장직을 제안했고, 김동호는 이를 수락하며 영화제 준비가 본격화되었다.[40][41]

1996년 4월 16일,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설립되었고, 문정수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을 맡았다.[42] 같은 해 5월 16일, 영화제 개최 계획이 처음 발표되었으며, "뉴 커런츠", "아시아 영화의 창", "코리안 파노라마" 등 현재까지 이어지는 주요 섹션들이 기획되었다.[42]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설비를 대여해 야외상영도 진행하기로 했다.[42] 같은 해 6월 6일에는 부산 요트경기장에 위치한 조직위원회 사무국에서 공식 출범을 알렸다.[43]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1996년 9월 13일부터 9월 21일까지 열렸으며, 마이크 리 감독의 비밀과 거짓말이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42] 이후 영화제는 매년 규모를 확대하며 성장했다. 제2회 부산국제영화제(1997년)부터는 '부산 프로모션 플랜(현 아시아프로젝트마켓)'이 도입되어 아시아 영화 제작 지원에 기여하기 시작했다.[44] 제3회 부산국제영화제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면서 김동호 집행위원장 체제에 대한 초창기 반발은 잦아들었다.

김동호 집행위원장은 본래 2005년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를 마지막으로 물러날 예정이었으나, 영화제 전용관 건립 문제로 연임하게 되었다.[46] 이용관 교수와 공동집행위원장 체제를 거쳐 2010년 사임하고 명예 집행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46][47][48] 2007년 제12회 부산국제영화제부터 이용관 교수가 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았으며,[49][50] 2011년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부터 단독 집행위원장직을 수행했다.[49][50]

2011년 2월 24일, 부산국제영화제는 영문 표기를 PIFF(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BIFF(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로 변경하고, 9월 29일 센텀시티에 전용관 '영화의전당'을 개관했다.[51]

연도회차개막일폐막일개막작폐막작상영작품관객수비고
1996년19월 13일9월 21일비밀과 거짓말무산의 비구름31개국 169편184,071명
1997년210월 10일10월 18일차이니즈 박스반생연33개국 163편170,206명
1998년39월 24일10월 1일고요간장선생41개국 211편192,547명부산프로모션플랜 (PPP) 출범
1999년410월 14일10월 23일박하사탕책상 서랍 속의 동화53개국 207편180,914명
2000년510월 6일10월 14일레슬러화양연화55개국 207편181,708명
2001년611월 9일11월 17일흑수선수리요타이60개국 201편143,103명
2002년711월 14일11월 23일해안선돌스55개국 226편167,349명
2003년810월 2일10월 10일도플갱어아카시아61개국 243편165,103명아시아영화산업센터 (AFIC) 출범
2004년910월 7일10월 15일2046주홍글씨63개국 262편166,164명
2005년1010월 6일10월 14일쓰리 타임즈나의 결혼 원정기73개국 307편192,970명아시아영화아카데미 (AFA) 운영
2006년1110월 12일10월 20일가을로크레이지 스톤62개국 246편162,835명아시안필름마켓 (AFM) 출범
2007년1210월 4일10월 12일집결호에반게리온 신극장판: 서64개국 275편198,603명아시아영화펀드 (ACF) 출범
2008년1310월 2일10월 10일스탈린의 선물나는 행복합니다60개국 315편198,818명
2009년1410월 8일10월 16일굿모닝 프레지던트바람의 소리70개국 355편173,516명
2010년1510월 7일10월 15일산사나무 아래카멜리아67개국 306편182,046명


2. 2. 다이빙벨 사건과 그 이후 (2014년 ~ 2019년)

2014년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상영을 두고 정치적 논란이 발생했다.[52] 당시 새누리당 소속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 작품이 “정치적 중립성을 해치는 작품”이라며 상영 취소를 요구했으나, 조직위 측은 예정대로 상영을 강행했다.[55]

이후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BIFF) 조직위에 대한 감사를 벌였고, 2015년 1월 23일 부산시 고위 관계자는 이용관 집행위원장에게 초청작 선정 관련 규정 위반 등을 지적하며 우회적으로 사퇴를 요구했다.[55] 조직위 측은 "영화제 초청 상영작은 프로그래머의 영화관과 안목에 따른 주관적 판단이 먼저이며 이는 존중해야 할 사항"이라고 반박했다.[56] 영화계는 서병수 시장의 다이빙벨 상영 취소 요구를 거부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간주하며 강력하게 반발했고,[52]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베를린 국제 영화제 집행위원장은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 지지를 표명했다.[57] 또한, 영화진흥위원회의 예산이 6억 5천만 원 삭감되고 다른 영화제는 지원금이 늘어나면서 영진위의 보복이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되었다.[58]

2017년 박영수 특검팀은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과 함께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예산 삭감 지시 정황이 있었는지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59]

2. 3. 최근 (2020년 ~ 현재)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제25회 영화제는 규모가 축소되어 개최되었다.[65] 68개국 192편의 영화가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칠중주: 홍콩 이야기, 폐막작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었다. 총 관객 수는 20,135명이었다. 2021년 1월에는 전양준 집행위원장이 사퇴하고, 3월에는 허문영 평론가가 신임 집행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7] 제26회 영화제는 70개국 223편의 영화가 상영되었고, 개막작은 헤븐: 행복의 나라로, 폐막작은 매염방이었다. 총 관객 수는 76,072명이었다.[8] 2022년 제27회 영화제는 코로나19 범유행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어 개최되었다.[9] 71개국 353편의 영화가 초청되었으며, 개막작은 바람의 향기, 폐막작은 한 남자였다. 2023년에 개최된 제28회 영화제에서는 69개국 269편이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한국이 싫어서, 폐막작은 영화의 황제였다.[10] 2024년에 개최될 예정인 제29회 영화제에서는 개막작은 전,란, 폐막작은 영혼의 여행으로 예정되어 있다.[11]

3. 프로그램

부산국제영화제는 기본적으로 비경쟁 영화제이나, 일부 프로그램은 경쟁 또는 부분 경쟁 체제로 운영된다. 프로그램은 주제에 따라 11개의 섹션으로 나뉜다.

|섬네일|300x300픽셀|제15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산사나무 아래> 무대인사]]

갈라 프레젠테이션 《월 스트리트: 머니 네버 슬립스》(Wall Street: Money Never Sleeps), 2010


갈라 프레젠테이션 《라반》(Raavan) & 《라바난》(Raavanan), 2010

  • '''갈라 프레젠테이션(Gala Presentation)''': 거장 감독의 신작, 주목할 만한 영화, 그리고 최초 공개작들을 상영한다.
  • '''아이콘(Icons)''': 전 세계 현대의 아이콘적인 영화감독들의 최신 영화들을 선보인다.
  • '''지석(Jiseok)''': 장편 영화 3편 이상 제작 경력이 있는 아시아의 기성 영화감독들을 위한 경쟁 섹션이다. 가장 우수한 두 편의 영화에 김지석상이 수여된다. 이 상은 아시아 영화 육성과 지원에 평생을 바친 고 김지석 프로그래머를 기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김지석
  • '''아시아영화의 창(A Window on Asian Cinema)''': 아시아 영화감독들의 신작 및 대표작들을 소개한다.
  • '''뉴 커런츠(New Currents)''': 아시아 영화계의 미래 감독들을 위한 국제 경쟁 섹션으로, 데뷔작 또는 두 번째 장편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 '''오늘의 한국영화(Korean Cinema Today)''': 세 개의 하위 섹션, '''스페셜 프리미어(Special Premiere)''', '''파노라마(Panorama)''', '''비전(Vision)'''으로 나뉘어 선정된 한국 장편 영화들을 상영한다. 이 세 개의 하위 섹션은 한국 영화의 현재 제작 동향을 조명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 '''한국영화 회고전(Korean Cinema Retrospective)''': 특정 주목할 만한 감독의 영화 또는 중요한 주제를 가진 영화들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사를 재조명한다.
  • '''월드 시네마(World Cinema)''': 세계 영화의 최근 경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화들과 함께 영화감독들의 신작들을 소개한다.
  • '''플래시 포워드(Flash Forward)''': 아시아가 아닌 국가 출신의 신예 영화감독들의 데뷔작 또는 두 번째 작품들을 모은 섹션이다.
  • '''와이드 앵글(Wide Angle)''': 단편 영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실험 영화 등을 상영하는 섹션이다.
  • '''오픈 시네마(Open Cinema)''': 예술성과 대중성을 결합한 신작 영화들을 상영하는 야외 상영장이다.
  • '''미드나잇 패션(Midnight Passion)''': 열혈 영화 팬들을 밤새도록 깨어 있게 만들 확실한 공포, SF, 스릴러 영화들을 모았다.
  • '''온 스크린(On Screen)''': 그 해 가장 기대되거나 화제가 된 드라마 시리즈들을 선보인다.
  • '''특별 프로그램 초점(Special Programs in Focus)''': 특정 주목할 만한 감독 또는 장르의 영화들을 회고하고 특별히 소개하는 섹션이다.[12]

3. 1. 경쟁 부문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경쟁 부문을 통해 아시아 및 세계 영화계의 신인 감독들을 발굴하고, 기성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한다.[12]
뉴 커런츠 (New Currents)는 아시아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경쟁 부문이다.[12] 지석 (Jiseok)은 장편 영화 3편 이상 제작 경력이 있는 아시아 기성 감독들의 경쟁 부문으로, 가장 우수한 두 편의 영화에 김지석상이 수여된다.[12] 이 상은 아시아 영화 육성과 지원에 평생을 바친 고 김지석 프로그래머를 기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12] 플래시 포워드 (Flash Forward)는 비 아시아권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 영화 경쟁 부문이다.[12] 와이드 앵글 (Wide Angle)은 단편 영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실험 영화 등을 소개하는 부분 경쟁 부문으로, 한국단편 경쟁, 아시아단편 경쟁, 다큐멘터리 경쟁 등의 세부 섹션으로 나뉜다.[12]

3. 2. 비경쟁 부문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비경쟁 부문으로 구성된다.[12]
갈라 프레젠테이션 (Gala Presentation)은 저명한 감독의 신작 또는 화제작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아이콘 (Icons)은 전 세계 현대 영화감독들의 최신 영화들을 선보이는 섹션이다.
아시아 영화의 창 (A Window on Asian Cinema)은 아시아 영화감독들의 신작 및 대표작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한국 영화의 오늘 (Korean Cinema Today)은 한국 영화를 소개하는 섹션으로, '파노라마', '비전', '스페셜 프리미어'의 세부 섹션으로 구성되어 한국 영화의 현재 제작 동향을 조명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한국 영화 회고전 (Korean Cinema Retrospective)은 한국 영화사를 재조명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특정 감독 또는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월드 시네마 (World Cinema)는 비 아시아권 중견 감독들의 신작 또는 화제작을 소개하며, 세계 영화의 최근 경향을 보여준다.
오픈 시네마 (Open Cinema)는 신작 및 화제작을 야외 특별 상영장에서 상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영화들을 선보인다.
미드나잇 패션 (Midnight Passion)은 공포, SF, 컬트 영화 등을 소개하는 심야 상영 프로그램이다.
온 스크린 (On Screen)은 그 해 가장 기대되거나 화제가 된 드라마 시리즈들을 선보이는 섹션이다.
특별 기획 (Special Programs in Focus)은 특정 감독 또는 장르의 영화들을 회고하고 특별히 소개하는 섹션으로, 해마다 다른 기획을 선보인다.

4. 시상

부산국제영화제는 부분 경쟁을 도입한 영화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시상하고 있다. 대상 격으로는 '뉴 커런츠상과 선재상, 비프메세나상' 등이 있다.[66][44]


  • '''뉴 커런츠상''' (New Currents Award): 아시아 영화 경쟁부문인 뉴 커런츠 부문에서 상영된 장편 영화 중에서 2편을 선정하여 각각 3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하는 상이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 '''선재상''' (Sonje Award):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단편 중 최우수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 '''비프메세나상''' (BIFF Mecenat Award):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각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첫회부터 2007년까지는 운파상(Woonpa Award), 2008년에서 2010년까지는 피프메세나상으로 불렸다.
  • '''BNK부산은행상''' (Busan Bank Award): 2009년 신설. '플래시 포워드' 부문에서 상영된 비아시아권 영화 중 최우수작을 선정하여 부산은행이 2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66] 2만 달러 중 1만 달러는 감독에게 직접 수여하고 1만 달러는 국내 배급을 지원한다. 2012년까지는 플래시 포워드상(Flash Forward Award)으로 불렸다.

  • '''피프레시상'''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FIPRESCI Award): '뉴 커런츠' 부문 작품 가운데 뛰어난 작품성과 진취적인 예술적 재능을 선보인 작품에 수여하는 상.
  • '''넷팩상'''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NETPAC Award)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에 출품된 한국영화 가운데 최우수 작품에 수여되는 상.
  • '''부산시네필상''' (Busan Cinephile Award): 2011년 신설. 부산 지역 6개 영화 관련 학과 대학생 60여 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와이드 앵글 다큐멘터리 쇼케이스'에 소개된 월드다큐멘터리를 대상으로 심사한 후 최우수 작품에 5백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 '''시민평론가상''' (Citizen Critics' Award): 2011년 신설.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의 시민평론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그 작품의 감독에게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 '''KNN관객상''' (KNN Award)은 KNN문화재단이 뉴 커런츠 부문에서 상영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관객으로부터 최고의 호평을 받은 작품에 수여하는 상이다. 2005년까지는 PSB관객상(PSB Award)으로 불렸다.
  • '''대명컬처웨이브상''' (Daemyung Culture Wave Award): 2014년에 신설된 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과 뉴 커런츠 섹션의 한국 작품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선정된 작품에는 2천만원의 상금을 수여하고 해당 작품을 대명홀딩스가 직접 배급한다.
  • '''CGV 아트하우스상''' (CGV Arthouse Award): CJ CGV 아트하우스와의 협력 하에 2011년에 신설된 상으로,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 출품된 독립영화, 인디, 신인, 저예산영화의 실질적인 배급과 상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취지다. 배급사에 현금 1천만원과 CGV아트하우스 극장 홍보마케팅을 현물지원한다.
  • '''지석상''': 2017년 김지석 수석프로그래머를 기리기 위해 신설된 상. '아시아 영화의 창' 부문에서 뽑힌 10편의 후보작 중 두 편을 선정하여 각각 1천만원을 수여한다[44].


또,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한국영화공로상' 및 2014년 신설된 '올해의 배우상' 등이 있다.

4. 1. 경쟁 부문

부산국제영화제는 부분 경쟁을 도입한 영화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시상을 진행한다. 대상 격으로는 '뉴 커런츠상', '선재상', '비프메세나상' 등이 있다.[66][44]

  • '''뉴 커런츠상'''(New Currents Award): 아시아 영화 경쟁 부문인 뉴 커런츠 부문에 상영된 장편 영화 중 2편을 선정하여 각각 3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정한다.[14][26]
  • '''지석상'''(KIM Jiseok Award): 아시아 영화의 창 부문에서 뽑힌 10편의 후보작 중 두 편을 선정하여 각각 1천만 원을 수여한다. 2017년 김지석 수석프로그래머를 기리기 위해 신설되었다.[44][28][14]
  • '''선재상'''(Sonje Award): 와이드 앵글 경쟁 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단편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14]
  • '''비프메세나상'''(BIFF Mecenat Award): 와이드 앵글 경쟁 부문에 초청된 한국과 아시아 다큐멘터리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각 1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한다. 1996년 부터 2007년까지는 운파상,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피프메세나상으로 불렸다.[14]
  • '''BNK부산은행상'''(Busan Bank Award): 플래시 포워드 부문에서 상영된 비 아시아권 영화 중 최우수 작품을 선정하여 부산은행이 2만 달러의 상금을 수여한다. 2009년에 신설되었으며, 2012년까지는 플래시 포워드상으로 불렸다.[66]
  • '''플래시 포워드 관객상'''(Flash Forward Audience Award): 플래시 포워드 부문에서 관객 평점이 가장 높은 영화에 수여되는 상이다. BIFF 후원회가 후원하며 상금은 10,000,000원이다.[14]
  • '''LG OLED 뉴 커런츠상'''(LG OLED New Currents Award): 2023년에 제정되었으며, 뉴 커런츠 부문에 출품된 아시아 장편 영화 중 시각적 미학의 혁신을 보여주는 작품에 수여된다. 뉴 커런츠 심사위원들이 선정하며, LG OLED가 후원하는 상금 3,000만 원을 받는다.[14]
  • '''LG OLED 비전상'''(LG OLED Vision Award):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및 '뉴 커런츠' 부문에서 시각적 미학의 혁신을 보여주는 한국 영화 한 편에 수여되는 상이다. 수상자에게는 LG OLED가 후원하는 상금 3,000만원이 수여된다.[14][30][31]


이 외에도, '피프레시상'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넷팩상'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부산시네필상', '시민평론가상', 'KNN관객상', 'CGV 아트하우스상' 등이 있다. 또한,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한국영화공로상' 및 '올해의 배우상' 등이 수여된다.

4. 2. 비경쟁 부문

부산국제영화제는 부분 경쟁을 도입한 영화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시상하고 있다. 대상 격으로는 '뉴 커런츠상과 선재상, 비프메세나상' 등이 있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은 한 해 동안 아시아 영화 산업과 문화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아시아 영화인에게 수여된다. 2024년 수상자는 구로사와 기요시(Kiyoshi Kurosawa)이다.

회차년도수상자국가/지역
82003모센 마크말바프(Mohsen Makhmalbaf)이란
92004허우샤오셴(Hou Hsiao-hsien)타이완
102005NHK일본
112006류더화(Andy Lau)홍콩
122007양조위(Edward Yang) (1947–2007)타이완
132008굴나라 사르세노바(Gulnara Sarsenova)카자흐스탄
142009야시 초프라(Yash Chopra)인도
152010차이밍량(Tsai Ming-liang)타이완
162011쉬커(Tsui Hark)홍콩
172012와카마쓰 고지(Kōji Wakamatsu)일본
182013리디 판(Rithy Panh)캄보디아
192014쉬안화(Ann Hui)홍콩
202015스튜디오 지브리(Studio Ghibli)일본
212016압바스 키아로스타미(Abbas Kiarostami)이란
222017스즈키 세이준(Seijun Suzuki)일본
232018사카모토 류이치(Ryuichi Sakamoto)일본
242019고레에다 히로카즈(Hirokazu Kore-eda)일본
262021임권택대한민국
272022량차오웨이(Tony Leung Chiu-wai)홍콩, 중국
282023저우룬파(Chow Yun-fat)홍콩
292024구로사와 기요시(Kiyoshi Kurosawa)일본



'''한국영화공로상'''(Korean Cinema Award)은 한국 영화의 세계화에 기여한 영화인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2024년 수상자는 이선균이다.

회차년도수상자국적
11996아드리아노 아프라 (Adriano Aprà)이탈리아
토니 레인스 (Tony Rayns)영국
알랭 얄라도 (Alain Jalladeau)프랑스
울리히 그레고르 (Ulrich Gregor)독일
래리 캐디시 (Larry Kadish)미국
안차 플루바허-림 (Ancha Flubacher-Rhim)스위스
사이먼 필드 (Simon Field)영국
21997아루나 바수데브 (Aruna Vasudev)인도
사토 타다오 (Sato Tadao)일본
31998질 자콥 (Gilles Jacob)프랑스
모리츠 드 하델른 (Moritz de Hadeln)독일
41999세르주 로지크 (Serge Losique)캐나다
이영일대한민국
52000마틴 & 안나 루이사 지로드 (Martin & Anna Louisa Girod)스위스
62001에바 자오랄로바 (Eva Zaoralová)체코
72002알랭 파텔 (Alain Patel)프랑스
82003박병양일본
이봉우일본
92004야노 카즈유키 (Yano Kazuyki)일본
필립 치아 (Phillip Cheah)싱가포르
102005디터 코슬릭 (Dieter Kosslick)독일
티에리 프레모 (Thierry Fremaux)프랑스
112006마르티알 크나벨 (Martial Knaebell)스위스
테라와키 켄 (Terawaki Ken)일본
122007사브리나 바라체티 (Sabrina Baracetti)이탈리아
장-프랑수아 로제 (Jean-Francois Rauger)프랑스
132008리처드 페냐 (Richard Pena)미국
142009리카르도 젤리 (Riccardo Gelli)이탈리아
장네트 폴슨 헤레니코 (Jeannette Paulson Hereniko)미국
152010브루노 바르드 (Bruno Barde)프랑스
162011줄리에타 시켈 (Julietta Sichel)체코
172012하야시 카나코 (Hayashi Kanako)일본
182013샤를 테송 (Charles Tesson)프랑스
192014코린느 지그리스트-오부시에 (Corinne Siegrist-Oboussier)스위스
202015빌란트 스펙 (Wieland Speck)독일
212016로렌스 헤르츠베르그 (Laurence Herszberg)프랑스
222017크리스토프 테르헥테 (Christoph Terhechte)독일
232018마르틴 테루안 (Martine Thérouanne)프랑스
장-마르크 테루안 (Jean-Marc Thérouanne)프랑스
242019배용재대한민국
유동석대한민국
262021이춘윤대한민국
272022고란 토팔로비치 (Goran Topalovic)미국
282023윤정희대한민국
292024이선균대한민국



'''올해의 배우상'''은 뉴 커런츠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한국 독립영화의 신인 배우에게 주목하는 상이다. 저명한 한국 배우들이 뛰어난 연기를 보여준 배우 1명과 여배우 1명을 선정한다. 수상자에게는 시상식에서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회차년도배우영화국가여배우영화국가
192014최우식거인대한민국조수향들꽃대한민국
202015이주원ALONE대한민국선장소통과 거짓말대한민국
212016구교환꿈의 제인대한민국이민지꿈의 제인대한민국
222017박종환밤을 위한 밤대한민국전여빈여자들대한민국
232018#REDIRECT#REDIRECT#REDIRECT최희서
이주영
우리 몸
메기
대한민국
242019김준형에듀케이션대한민국문혜인에듀케이션대한민국
252020지수우리들의 행복한 시간대한민국임성미FIGHTER대한민국
262021권다함겨울밤에대한민국임지호두 여자가 사는 아파트대한민국
272022김영성빅 슬립대한민국김금순울산별대한민국
282023장성범할 일대한민국오민애믿을 수 있는 사람대한민국



'''국제영화평론가협회(FIPRESCI)상'''은 뉴 커런츠 부문에 출품된 작품 중 실험적이고 진보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우수한 작품에 수여된다.

번호년도영화감독국가/지역
21997메이드 인 홍콩 (Made in Hong Kong)프룻 첸 (Fruit Chan)홍콩, 중국
31998이키나이 (Ikinai)시미즈 히로시 (Hiroshi Shimizu)일본
41999 (The Cup)키엔체 노르부 (Khyentse Norbu)부탄
52000해바라기 (Sunflower)유키사다 이사오 (Isao Yukisada)일본
62001꽃섬 (Flower Island)송일곤 (Song Il-gon)대한민국
봄날은 간다 (One Fine Spring Day)허진호 (Hur Jin-ho)대한민국
72002죽기 좋은 날 (Too Young to Die)박진표 (Park Jin-pyo)대한민국
82003심호흡 (Deep Breath)파르비즈 샤바지 (Parviz Shahbazi)이란
92004드라마 (Soap Opera)우얼산 (Wuershan)중국
102005용서받지 못한 자 (The Unforgiven)윤종빈 (Yoon Jong-bin)대한민국
112006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Love Conquers All)탄추이무이 (Tan Chui Mui)말레이시아
122007붉은 망토 (The Red Awn)차이샹쥔 (Cai Shangjun)중국
132008잘라이누르 (Jalainur)예자오 (Ye Zhao)중국
142009킥 오프 (Kick Off)샤우캇 아민 코르키 (Shawkat Amin Korki)이라크/일본
152010무산일기 (The Journals of Musan)박정범 (Park Jung-bum)대한민국
162011애도 (Mourning)모르테자 파르시바프 (Morteza Farshbaf)이란
17201236나와폴 탐롱라타나릿 (Nawapol Thamrongrattanarit)태국
18201310분 (10 Minutes)이용승 (Lee Yong-seung)대한민국
192014당신의 세상에서 몇 시입니까? ('Whats the Time in Your World?'')사피 야즈다니안 (Safi Yazdanian)이란
202015불멸 (Immortal)하디 모하게흐 (Hadi Mohaghegh)이란
212016흰개미 (White Ant)추시엔체 (Chu Hsien-che)타이완
222017마지막 아이 (Last Child)신동석 (Shin Dong-seok)대한민국
232018붉은 음경 (The Red Phallus)타시 겔첸 (Tashi Gyeltshen)부탄/독일/네팔
242019하늘을 향해 달리다 (Running to the Sky)미를란 아브디칼리코프 (Mirlan Abdykalykov)키르기스스탄
252020여름의 흐릿함 (Summer Blur)한수아이 (Han Shuai)중국
262021세이레 (Seire)박강 (Park Kang)대한민국
272022천일야화 (Thousand and One Nights)쿠보타 나오 (Nao Kubota)일본
282023그 여름 거짓말 (That Summer Lie)손현록 (Son Hyeon-rok)대한민국



'''아시아영화진흥기구(NETPAC)상'''은 뉴 커런츠 부문에 상영된 영화 중에서 심사위원단이 선정한 최고의 영화에 수여된다.

회차년도영화감독국가
11996세 친구임순례대한민국
21997시간의 흐름, 끝없는 나쁜 영화장선우대한민국
31998강원도의 힘홍상수대한민국
41999새는 폐곡선을 그린다전수일대한민국
52000춘향뎐임권택대한민국
62001고양이를 부탁해정재은대한민국
72002로드무비김인식대한민국
82003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이재용대한민국
92004빈 집김기덕대한민국
102005용서받지 못한 자윤종빈대한민국
112006마지막 만찬노경태대한민국
122007헬로 스트레인저김동현대한민국
검은 땅의 소녀와전수일대한민국
132008장례식의 멤버백승빈대한민국
나무없는 산김소영대한민국
142009파주박찬옥대한민국
152010두만강장률중국
162011돼지의 왕연상호대한민국
172012지슬오멸대한민국
182013셔틀콕이유빈대한민국
192014소셜포비아홍석재대한민국
202015소통과 거짓말이승원대한민국
212016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모임대형대한민국
222017이월김중현대한민국
232018벌새김보라대한민국
242019남매의 여름밤윤단비대한민국
252020파이터윤재호대한민국
262021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김세인대한민국
272022괴인이정홍대한민국
282023바다 건너 솔리드파티파른 분타릭태국



'''DGK PLUS M상'''(구 DGK상, 한국영화감독조합 플러스엠상)은 부산국제영화제의 '한국영화의 오늘-비전' 부문에서 상영된 한국 영화 두 편에 수여된다. 각 수상작에는 5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며, 한국영화감독조합과 플러스엠이 후원한다.

번호년도수상자부문영화국가
DGK상
162011연상호감독돼지의 왕대한민국
하현관배우뷰티풀 미스 진대한민국
한송희, 황정민배우마더대한민국
172012오멸감독지슬대한민국
신연식러시안 소설대한민국
심희섭, 안재홍(Ahn Jae-hong), 김창환배우써니대한민국
장영남배우아줌마대한민국



번호년도영화감독국가
DGK상
192014한여름의 판타지아장건재대한민국
소셜포비아홍석재대한민국
202015늑대소년김진황대한민국
눈꺼풀오멸대한민국



번호년도감독영화국가
비전 감독상
212016장우진춘천, 춘천대한민국
안선경나의 연기 워크샵대한민국
222017김중현이월대한민국
정가영밤치기대한민국



번호년도영화감독국가
DGK상
232018보리김진유대한민국
영하의 바람김유리대한민국
242019남매의 여름밤윤단비대한민국
찬실이는 복도 많지김초희대한민국
DGK 메가박스상으로 변경
252020젊은이의 양지신수원대한민국
좋은 사람정욱대한민국
262021그 겨울, 나는오성호대한민국
괴인이정홍대한민국
272022빅 슬립김태훈대한민국
울산의 별정기혁대한민국
282023해야 할 일박홍준대한민국
뱀섬이강산대한민국



'''CGV상'''(CGV Award)은 2011년 CJ CGV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영화 오늘-비전 부문에 새로운 조명을 비추기 위해 신설되었다. 수상자에게는 CJ CGV가 후원하는 1,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No.년도영화감독국가
무비 콜라주상 (Movie Collage Award)
162011돼지의 왕연상호대한민국
CGV 무비 콜라주상 (CGV Movie Collage Award)으로 명칭 변경
172012지슬오멸대한민국
182013한공주이수진대한민국
192014오늘영화윤성호, 이병헌, 이광국대한민국
CGV 아트하우스상 (CGV Arthouse Award)으로 명칭 변경
202015눈꺼풀오멸대한민국
212016꿈의 제인조현훈대한민국
222017소공녀전고운대한민국
232018메기이옥섭대한민국
242019찬실이는 복도 많지김초희대한민국
252020좋은 사람정욱대한민국
262021초록밤윤서진대한민국
CGV상 (CGV Award)으로 명칭 변경
272022사랑의 고고학이완민대한민국
282023믿을 수 있는 사람이미랑대한민국



'''KBS독립영화상'''(KBS Independent Film Award)은 한국 독립영화를 지원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한국영화의 오늘-비전과 뉴 커런츠 부문 중 한 편의 한국 영화가 선정되어 1천만 원의 상금을 받는다.

회차년도영화감독국가
232018메기(Maggie)이옥섭대한민국
242019찬실이는 복도 많지(Lucky Chan-sil)김초희대한민국
252020라임크라임(LIMECRIME)이승환, 유재욱대한민국
262021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고(Hot in Day, Cold at Night)박송열대한민국
272022괴인(a Wild Roomer)이정홍대한민국
282023만분의 일초(House of the Seasons)오정민대한민국



'''CGK촬영상'''(CGK Award)은 한국촬영감독조합(Cinematographers Guild of Korea)이 후원하며, 뉴 커런츠(New Currents) 또는 한국영화의 오늘-비전(Korean Cinema Today - Vision) 부문 출품작 중 한국 영화 한 편에 수여된다. 수상자에게는 500만 원이 수여된다.

회차년도영화촬영감독국가
CGK&SamyangXEEN Award
242019경미의 세계(Kyungmi’s World)김길자(Kim Gilja)대한민국(South Korea)
252020스노우볼(Snowball)이재우(Lee Jae-u)대한민국(South Korea)
CGK Award로 명칭 변경
262021초록밤(Chorokbam)추경엽(Choo Kyeong-yeob)대한민국(South Korea)
272022지옥만세(Hail to Hell)정그림(Jung Grim)대한민국(South Korea)
282023만분의 일초(House of the Seasons)이진근(Lee Jinkeun)대한민국(South Korea)



'''크리틱b상'''(Critic b Award)은 부산영화평론가협회가 뉴 커런츠(New Currents)와 한국영화의 오늘-비전(Korean Cinema Today - Vision) 부문 출품작 중 한 작품을 선정하여 수여하는 상이다. 수상작은 1,000만 원의 상금을 받는다.

{|class=wikitable style="width:750px"

|-

! width=10|회차

! width=10|년도

! 영화

! 감독

! 국가

|-

| 26 || 2021 ||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고'' (''Hot in Day, Cold at Night'') || 박송열 || 대한민국

|-

| 27 || 2022 || ''괴인'' (''a Wild Roomer'') || 이정홍 || 대한민국

|-

| 28 || 2023 || ''지난 여름'' (''Last Summer'') || 최승우 || 대한민국

|-

5. 조직 구성

부산국제영화제는 1996년 4월 16일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설립된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운영을 맡고 있다.[67] 조직위원장은 초기에는 부산광역시장이 당연직으로 맡았으나,[67] 이후 민간 체제로 변경되면서 사단법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이사장이 그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 역대 이사장은 문정수(1996-1998), 안상영(1998-2004), 허남식(2004-2014), 서병수(2014-2016), 김동호(2016-2017), 이용관(2018-2023), 박광수(2024~)이다.

집행위원장은 영화제 운영을 총괄하는 직책이다. 김동호는 1996년 1회부터 2010년 15회까지 집행위원장직을 맡으며 "문화의 불모지로 불리던 부산을 영화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71][72] 이용관은 2007년 12회부터 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았고,[68] 2011년 16회부터는 단독으로 집행위원장직을 맡았다.[69] 2015년에는 배우 강수연이 공동집행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70] 2021년 1월 31일에는 1996년 원년 멤버이기도 한 전양준 집행위원장이 취임 3년 만에 위원장직을 사퇴하고,[73] 3월 25일 정기총회에서는 평론가이자 영화의전당 프로그래밍과 시네마테크 운영 부문을 맡고 있는 허문영이 신임 집행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74]

선정위원회는 영화제의 초청작을 선정하는 프로그래머로 구성된다.[75]

6. 관련 행사

아시안필름마켓


PPP(부산프로모션플랜) 미팅


아시아 영화 아카데미


'''아시안필름마켓'''은 영화, 영상 콘텐츠, 도서, 웹툰, 웹소설 등 원천 IP를 거래하는 종합 콘텐츠 시장이다.[76] 국내외 영화, 영상, 엔터테인먼트 산업 관계자에게 참가 자격이 주어지는 전문 행사로, 아시아프로젝트마켓(구 부산프로모션플랜), 아시아영화펀드등을 포함한다. 2006년 부산국제영화제 산업행사의 시장으로 출범했으며, 홍콩 필름 마트와 함께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시아프로젝트마켓'''(구 부산프로모션플랜)은 아시아 영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아시아영화펀드'''(Asian Cinema Fund)는 아시아 독립영화 제작 지원 펀드로, 시나리오 개발, 후반 작업, 다큐멘터리 영화 등 다양한 범주의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아시아영화아카데미'''는 동서대학교와 부산국제영화제가 공동 주최하는 영화 교육 프로그램으로, 아시아의 유망한 영화 제작자와 기성 감독들이 교류하는 장이다.

'''부산영화포럼'''(Busan Cinema Forum, BCF)은 2011년 제16회 영화제부터 신설된 영화 학술대회로, 영화 산업과 영화 미학에 대한 지식과 지원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ACA & G.OTT)는 2019년부터 시작된 시상식으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 트렌드에 맞춰 신설되었다.

7. 상영관 및 행사장

부산국제영화제는 초기에 남포동 일원에서 개최되었으나, 센텀시티에 영화제 전용관인 영화의전당이 설립되면서 주요 행사장이 해운대로 옮겨졌다. 영화의전당을 비롯해 인근에 위치한 CGV 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와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한 메가박스 해운대(장산) 등에서 영화가 상영된다. 해운대해수욕장에는 비프빌리지가 설치되며, 벡스코에서는 아시아필름마켓이 진행된다. 영화제가 열리는 동안에는 해운대와 남포동 등에 위치한 행사장들을 잇는 셔틀버스를 운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8) http://www.imdb.com/[...] 2019-02-21
[2] 웹사이트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aces competition - Junotane https://web.archive.[...] 2012-03-31
[3] 웹사이트 KANG Soo-yeon, Co-director of BIFF Organization Committee, Finally Speaks http://www.koreanfil[...] 2015-08-10
[4] 웹사이트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s://web.archive.[...] 2015-08-01
[5] 웹사이트 The 18th BIFF Final Statistics Data https://web.archive.[...] 2013-10-12
[6] 웹사이트 The 19th BIFF Final Statistics Data https://web.archive.[...] 2014-10-11
[7] 뉴스 [현장EN:]부국제, 정상 개최 예고…"100% 극장 상영·개막식 진행" https://n.news.naver[...] Naver 2021-09-15
[8] 뉴스 [26th BIFF]열흘간 7만6072명…감염 사례는 1건(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1-10-15
[9] 뉴스 "3년만 정상 개최"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포스터 공개 https://n.news.naver[...] Naver 2022-08-08
[10] 뉴스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화란'→'LTNS'…한국영화의 오늘x온 스크린 선정작 공개 https://n.news.naver[...] Naver 2023-08-24
[11] 웹사이트 부산국제영화제, 29회 공식 포스터 "멈추지 않는 영화의 물결" https://m.entertain.[...] Naver 2024-08-27
[12] 웹사이트 BIFF Program Sections https://www.biff.kr/[...]
[13] 웹사이트 The 1st Busan Cinema Forum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BIFF Awards https://www.biff.kr/[...]
[15] 웹사이트 Yash Chopra honored at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www.businesso[...]
[16] 웹사이트 Busan: Ryuichi Sakamoto Named Asian Filmmaker of the Year https://www.hollywoo[...] 2018-08-22
[17] 웹사이트 Hirokazu Kore-eda recognized as Asian filmmaker of the year at 24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s://www.japantim[...] 2019-09-04
[18] 뉴스 임권택 감독 아시아영화인상, 故이춘연 대표 한국영화공로상 https://n.news.naver[...] Naver 2021-09-15
[19] 웹사이트 양조위, 부국제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수상 "매우 영광" 소감 https://biz.chosun.c[...] ChosunBiz 2022-10-06
[20] 웹사이트 Busan film festival unveils 2023 line-up and will honour Chow Yun-fat https://www.screenda[...] 2023-09-05
[21] 뉴스 부산국제영화 개막작에 '전,란'…224편 공식 초청 https://n.news.naver[...] Naver 2024-09-03
[22] 웹사이트 26th BIFF Honors the Late Lee Choon-yun as Recipient of Korean Cinema Award https://www.hapskore[...] 2021-06-07
[23] 웹사이트 The 27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Korean Cinema Award https://www.biff.kr/[...]
[24] 웹사이트 기억은 잃어도 감정은 잊지 않으려…'천생 배우' 고 윤정희 https://news.jtbc.co[...] 2023-10-06
[25] 웹사이트 이선균, 부산영화제 한국영화공로상 수상자·특별전 주인공 선정 https://m.entertain.[...] Naver 2024-08-23
[26] 웹사이트 Awards https://web.archive.[...]
[27] 뉴스 부산영화제 뉴커런츠상에 '안녕, 내고향'·'같은 속옷을…'(종합) https://n.news.naver[...] Naver 2021-10-15
[28] 웹사이트 22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stablishes 'Kim Jiseok Award' https://web.archive.[...] 2017-09-04
[29] 뉴스 Konkona-starrer 'The Rapist' wins top award at Busan film fest https://www.onmanora[...] Onmanorama 2021-10-15
[30] 뉴스 왓챠 박태훈 대표 "부산국제영화제 '왓챠상' 신설…독립영화 발굴" https://n.news.naver[...] Naver 2021-09-17
[31] 웹사이트 23r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Vision's Night Award Announcement https://web.archive.[...] 2018-09-12
[32] 웹사이트 Busan: Vision Awards Go to South Korean Indie Filmmakers http://www.hollywood[...] 2016-10-14
[33] 웹사이트 부산국제영화제 까멜리아상 신설…첫 수상자에 류성희 미술감독 https://m.entertain.[...] Naver 2024-09-26
[34] 뉴스 釜山国際映画祭、市井昌秀監督の『無防備』が最高賞受賞 https://www.afpbb.co[...]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ヴ・リンク 2008-10-11
[35] 뉴스 中国での栄誉に続き、アジア最大の映画祭、釜山国際映画祭で快挙!新人監督コンペ部門最高賞を受賞!春本雄二郎監督『由宇子の天秤』-片渕須直プロデューサーなどのコメント到着! https://cinefil.toky[...] 株式会社miramiru 2020-10-30
[36] 웹사이트 オダギリジョー、審査員に 釜山映画祭史上初のW参加が決定 https://eiga.com/new[...] eiga.com 2011-09-29
[37] 웹사이트 釜山映画祭、國村隼さんに謝罪 会見で旭日旗巡る質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0-07
[38]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BIFF로 불러주세요` http://article.joins[...] CBS 노컷뉴스 2011-02-24
[39] 뉴스 월드·국제 프리미어 132편… 亞최고 재확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4-10-03
[40] 웹사이트 https://dacine.danko[...]
[41] 뉴스인용 https://www.sisain.c[...] 시사IN 2017-06-15
[42] 뉴스인용 [부산 국제영화제] 9월 13일 첫 개막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6-05-22
[43] 뉴스인용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 공식출범 "아시아영화, 젊은감독 창작 지원"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6-06-06
[44] 웹인용 부산국제영화제 https://terms.naver.[...] 2021-09-07
[45] 뉴스인용 부산국제영화제 성공 확인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4-10-16
[46] 뉴스인용 [김혜리가 만난 사람]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 http://m.cine21.com/[...] 2009-04-13
[47] 뉴스 PIFF '이용관 체제'로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10-06
[48] 뉴스 김동호씨 부산영화제조직위 명예 집행위원장 위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17
[49]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이용관 공동위원장 체제로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7-02-24
[50] 뉴스 '영화의 전당' 건립…亞 최대 영화제 키운 주역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10-12
[51] 뉴스 BIFF '영화의 전당'시대 개막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09-30
[52] 뉴스 영화계 "BIFF·부산 촬영 전면 보이콧"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5-01-25
[53] 뉴스인용 영화인 비대위, 부산국제영화제 참가 전면 거부 결의 https://news.naver.c[...] SBS 2016-04-18
[54] 뉴스인용 부산국제영화제 영화인 보이콧 철회…재도약 한목소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8-09-10
[55] 뉴스 부산영화제 '다이빙벨' 상영 탓? 부산시, 이용관 위원장 사퇴 압박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5-01-26
[56] 뉴스 부산시 BIFF 위원장 사퇴 권고… 영화계 집단 반발 등 파문 확산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5-01-27
[57] 뉴스 해외 영화제에서도…"부산국제영화제 독립성 보장하라" http://www.yonhapnew[...]
[58] 뉴스 영진위의 보복? 부산영화제 지원 대폭 삭감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59] 뉴스인용 김기춘, 부산영화제 예산삭감 지시 정황…특검 진술 확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1-17
[60] 뉴스인용 협찬수익 ‘뚝’ 부산국제영화제 최악의 재정위기…부산시에 13억 지원 요청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11-22
[61]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폐막… 아시아 최대를 넘어 세계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1-10-16
[62]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폐막… 관객 21만 동원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13-10-12
[63] 뉴스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폐막…역대 최대 관객수 기록 http://news1.kr/arti[...] news1
[64] 뉴스 스무살 BIFF, 비온 뒤 더 단단하게 굳었다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15-10-10
[65] 뉴스인용 [ON+View┃영화] 악재 속에 지켜낸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6-10-17
[66] 문서 2012년까지는 3만 달러, 2010년까지는 2만 달러
[67] 뉴스 부산시-부산영화제 한시적 휴전? "불씨는 여전" http://star.ohmynews[...] 오마이뉴스 2015-02-25
[68]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김동호-이용관 공동위원장 체제로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7-02-24
[69] 뉴스 '영화의 전당' 건립…亞 최대 영화제 키운 주역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10-12
[70] 뉴스 부산국제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 및 부집행위원장 위촉! http://www.biff.kr/a[...] 부산국제영화제 보도자료 2015-07-16
[71] 뉴스 PIFF '이용관 체제'로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10-06
[72] 뉴스 김동호씨 부산영화제조직위 명예 집행위원장 위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17
[73] 뉴스인용 전양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25년만에 둥지 떠난다(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1-26
[74] 뉴스인용 부산국제영화제 허문영 집행위원장 https://www.hani.co.[...] 한겨레 2021-03-25
[7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21-09-08
[76] 뉴스 부선국제영화제, 부산영화포럼 부문 신설 http://news.sportsse[...] 스포츠서울 2011-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