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부산-김해 경전철에서 운행되는 2량 1편성의 전동차이다. 각 차량은 M1, M2로 구성되며, 차량 번호는 11XX, 12XX로 표기된다. 2009년에 101~112편성, 2010년에 113~125편성이 도입되어 현재 모든 편성이 운행 중이다. 모든 전동차는 신명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관리되며, 사상역에서 가야대역 구간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김해 경전철 - 서부산유통지구역
서부산유통지구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사상 및 가야대 방면으로 운행된다. - 부산-김해 경전철 - 부원역
부원역은 부산-김해 경전철의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11년 9월 9일에 개업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 | |
|---|---|
| 기본 정보 | |
![]() | |
| 일반 사항 | |
| 차량 이름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 |
| 노선 색상 | BG |
| 편성량수 | 2량 |
| MT비 | 전량 M카(2M) |
| 편성 정원 | 184명 (좌석 84, 입석 120), 만원 시 304명 |
| 축 배치 | Bo′(2)′Bo′ |
| 제작 회사 | 현대로템 |
| 제작 연도 | 2009년~2010년 |
| 생산량 | 50량 |
| 크기 | |
| 편Final 길이 | 28,000 mm |
| 전체 길이 | 14,000 mm |
| 전체 폭 | 2,650 mm |
| 전체 높이 | 3,400 mm |
| 차량 중량 | 46.5t |
| 궤간 | 1,435 mm |
| 성능 | |
| 영업 최고 속도 | 70 km/h (CBTC/ATP/ATO 구간) |
| 설계 최고 속도 | 80 km/h |
| 기동 가속도 | 4.0 km/h/s |
| 감속도 (통상) | 4.7 km/h/s |
| 전기 장치 | |
| 전기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하면접촉 |
| 제어 방식 | VVVF-IGBT |
| 구동 장치 | WN 구동 방식 |
| 모터 출력 | 125 kW |
| 편성 출력 | 500 kW |
| 제동 및 안전 장치 | |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응하중부) |
| 보안 장치 | RF-CBTC, (보조 : ATP/ATO) [무인 반자동 운전] |
2. 편성
부산-김해 경전철 차량은 2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각 차량은 M1, M2로 구성되며, 차량 번호는 11XX, 12XX로 표기된다. (XX는 편성 번호) 부산-김해 경전철 승강장은 4량 1편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스크린도어가 설계되어 있으나, 현재는 2량 1편성으로만 운행되고 있다. 차량 앞뒤는 차량기지의 루프선으로 인해 사상역 주박 열차가 아니면 다음날 앞뒤가 바뀌어 운행된다. 각 차량당 1대의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다.[2]
| 호차 | 1 | 2 |
|---|---|---|
| 차량 번호 | 11XX (M) | 12XX (M) |
| 2009년 | 1101-1112 | 1201-1212 |
| 2010년 | 1113-1125 | 1213-1225 |
| 기타 | x1 | x1 |
| 차량 중량 | 23.3ton | 23.3ton |
| 정원 | 152명 | 152명 |
모든 차량(101~125편성)은 신명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중검수도 이곳에서 실시한다.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도입되었다. 2009년에 101~112편성이, 2010년에 113~125편성이 도입되어 현재 모든 편성이 운행 중이다.[1]
3. 배속
4. 운행 구간
5. 현황
5. 1. 차량 목록
다음은 현재 운행 중인 차량 목록이다. (2024년 5월 기준)
| 차호 | 도입 시기 | 비고 |
|---|---|---|
| 101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2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3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4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5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6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7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8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09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10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11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12 편성 | 2009년 | 운행 중 |
| 113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4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5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6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7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8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19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0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1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2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3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4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 125 편성 | 2010년 | 운행 중 |
참조
[1]
웹사이트
경전철차량
http://www.bglrt.com[...]
[2]
웹사이트
부산김해경전철 장애인 배려 엉망 관련
http://www.busan.go.[...]
[3]
웹사이트
경전철차량
http://www.bglrt.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