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김해 경전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김해 경전철은 부산광역시 사상역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까지 운행하는 경량전철 시스템이다. 1991년 김해시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2011년 9월 정식 개통되었으며, 총 21개 역과 1개의 차량기지를 운영한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의 1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되며, 무인 운전 방식으로 운영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상남도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 계획 수립 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며,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2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부산-김해 경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부산-김해 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
부산-김해 경전철 차량 (공항역에서 촬영)
노선 이름부산-김해 경전철
다른 이름BGL
로마자 표기Busan-Gimhae Gyeongjeoncheol
종류경전철, 공항 연락 철도
노선 체계부산 도시철도
상태운영 중
기점사상
종점가야대역
역 수21개
노선 길이23.9km
궤간1,435mm (표준궤)
복선 구간전 구간
전철화 방식제3궤조 방식 직류 750V
신호 방식RF-CBTC (보조: ATP/ATO)
최고 속도운행 70km/h, 설계 80km/h
운영 회사부산-김해경전철 운영 주식회사 (2011년 - 2017년),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 (2017년 - 현재)
개통 정보
개통일2011년 9월 16일
기술 정보
차량 기지신명 차량 기지
사용 차량해당 정보 없음
노선도
부산-김해 경전철 노선도
부산-김해 경전철 노선도

2. 역사


  •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출발됐다.
  • 1992년 8월 12일 :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38]
  • 1995년 3월 6일 :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38]
  • 2000년 1월 7일 :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 고시[38]
  • 2000년 8월 18일 :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 선정[38]
  • 2002년 1월 9일 :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38]
  • 2003년 1월 10일 :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 설립[38]
  • 2006년 2월 15일 : 부산-김해경전철 착공[38]
  • 2009년 11월 26일 : 김해시 역명위원회로부터 김해시 구간의 12개 역명 확정[12]
  • 2009년 12월 17일 :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로부터 부산시 구간의 9개 역명 확정[13]
  • 2009년 12월 : 시운전 개시[15]
  • 2010년 2월 2일 - 설립[23]
  • 2010년 7월 19일 - 유지보수 계약을 비츠로시스(VITZRO SYS)사와 체결. 궤도 보수 등을 자회사 비츠로 C&C사가 담당[24][25]
  • 2011년 7월 4일 :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
  • 2011년 7월 29일 : 개통예정이였으나 소음문제로 무기한 연기[40]
  • 2011년 8월 25일 : 소음 재측정.
  • 2011년 8월 30일 : 준공 승인.
  • 2011년 9월 9일 ~ 9월 16일 : 8일간 무료시승[41]
  • 2011년 9월 16일 : 정식 개통 및 사상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저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3호선)[41]
  • 2011년 9월 17일 : 운임 징수 개시[41]
  • 2012년 9월 17일 - 공식 웹사이트 개설.
  • 2015년 2월 12일 :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에서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으로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역명 변경
  • 2017년 4월 1일 : MRG 폐지[42]
  • 2017년 4월 17일 : 시공사인 (구) 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BGL), 운영사인 부산-김해경전철운영(BGM), 노선 보수 업체인 비츠로씨앤씨 컨소시엄(BGT)이 통합하여 (신) 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BGL)가 발족[22]。이로 인해 노선의 운영은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2. 1. 추진 배경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사업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 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같은 해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으며,[38] 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다.[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

2. 2. 건설 과정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

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같은 해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그러나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다.[38] 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다.[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 이후 2009년 11월 26일 김해시 역명위원회에서 김해시 구간 12개 역명을 확정했고,[39] 12월 17일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에서 부산시 구간 9개 역명이 확정되었다.[13] 같은 해 12월 시운전이 개시되었다.[38]

2011년 7월 4일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되었고, 7월 29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소음 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었다.[40] 8월 25일 소음 재측정 후, 8월 30일 준공 승인을 받았다.[38]

2011년 9월 9일부터 9월 16일까지 8일간 무료 시승을 거쳐[41] 9월 16일 정식 개통 및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 환승이 개통되었다.[38] 9월 17일부터 운임 징수가 개시되었다.[38]

2015년 2월 12일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이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과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변경되었다.[38] 2017년 4월 1일 MRG가 폐지되었다.[42]

2. 3. 개통 및 운영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사업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 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2000년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그러나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다.[38]

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고,[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 2009년 11월 26일 김해시 역명위원회는 김해시 구간의 12개 역명을 확정했으며,[38] 2009년 12월 17일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는 부산시 구간의 9개 역명을 확정했다.[38] 같은해 12월 시운전이 개시되었다.[38]

2011년 7월 4일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되었다. 당초 2011년 7월 29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소음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었고,[40] 2011년 8월 25일 소음 재측정이 이루어졌다. 2011년 8월 30일 준공 승인을 거쳐 2011년 9월 9일부터 9월 16일까지 8일간 무료시승이 진행되었다.[41] 2011년 9월 16일 정식 개통 및 사상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저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환승이 개통되었고, 9월 17일부터 운임 징수가 개시되었다.[41]

2015년 2월 12일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의 역명이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4월 1일에는 MRG가 폐지되었다.[42]

3. 운영

부산김해경전철㈜가 운영 및 유지보수 준비용역의 입찰을 시작하자 여러 사업자가 응찰하였다. 대표적으로 서울메트로부산교통공사가 있으며, 외국 사업자도 다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부산교통공사의 경우 지리적 근접성을 토대로 적극 참여할 계획을 밝혔었다.[44][45] 경합 끝에, 2009년 12월 21일서울메트로가 경전철 운영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12월 28일에 부산김해경전철㈜와의 관리, 운영위탁, 운영수탁 계약을 체결하였다.[46]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3. 1. 운영 주체

부산김해경전철㈜부산-김해 경전철 노선의 운영 및 유지보수 준비용역 입찰을 진행하였고, 서울메트로부산교통공사를 비롯한 여러 사업자가 응찰하였다. 특히 부산교통공사는 지리적 근접성을 강점으로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다.[44][45] 2009년 12월 21일, 서울메트로가 경전철 운영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고,[46] 12월 28일 부산김해경전철㈜와 관리, 운영위탁, 운영수탁 계약을 체결하였다.[46]

'''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한글: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는 부산-김해 경전철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노선 건설과 보유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이후 노선 운영도 담당하게 되었다.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B&G Metro)는 과거 부산-김해 경전철을 운영했던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김해시의 공동 출자로 설립되었다.

3. 2. 운임

1회용 승차권 기준으로 교통카드 사용시 일반 기준 100원이 할인된다. 구간은 외곽1구역(가야대↔인제대), 외곽2구역(대저↔사상), 중심구역(김해대학↔평강)으로 나뉜다.

구분일반청소년어린이비고
1구간1,700원1,100원750원외곽1구역↔중심구역, 외곽2구역↔중심구역
2구간1,900원1,250원850원외곽1구역↔외곽2구역
환승500원260원0원
환승후 2구간 추가 이용시200원150원0원



무임 대상자는 국가·독립·5·18 민주유공자, 장애인이다.[37] 1회용 승차권은 대구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동해선 광역전철에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회수 후 재사용이 가능한 토큰형 RF식 승차권을 사용하며, 별도의 보증금은 없다. 다만 이 토큰형 승차권은 부산-김해경전철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그 이외의 교통 수단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동해선 광역전철의 정기승차권은 사용할 수 없다.

부산-김해경전철의 각 역에서는 설치된 승차권 발권기 근처에 있는 무인충전기를 통해 마이비카드, 하나로카드, 이즐, 티머니를 충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불교통카드는 호환 사용이 가능하나, 대구 iM유페이의 원패스는 아직 부산김해경전철에서 사용할 수 없다.

3. 3. 개찰구

부산-김해 경전철의 개찰구는 삼발이식이 아닌 플랩식으로, 무임승차 시 양쪽 플랩이 진입을 막는 방식이다. 개찰구는 양쪽으로 입구와 승강장을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교통카드는 다른 개찰구와 동일하게 패드에 찍어 요금을 지불하지만, 토큰형 승차권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승차권 자동 발매기에서 토큰형 승차권을 구입한 후 승강장에 들어갈 때는 교통카드처럼 패드에 찍으면 된다. 하지만 승강장에서 나갈 때는 동전 크기의 구멍에 승차권을 넣어야 하며, 교통카드처럼 찍으면 플랩에 막혀 나갈 수 없다.

4. 노선

부산-김해 경전철의 총 연장은 23.455 km이다.[34] 궤도는 철제궤도를 사용하며, 전동차는 철제차륜 AGT이다.[35] 총 21개 역과 1개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36] 대한민국 도시철도법에 의해 건설된 철도로 우측 통행을 한다.

전 역사에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쪽에 있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4. 1. 노선 정보

부산-김해 경전철의 총 연장은 23.455 km이다.[34] 궤도는 철제궤도를 사용하며, 전동차는 철제차륜 AGT이다.[35] 총 21개 역과 1개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36] 대한민국 도시철도법에 의해 건설된 철도로 우측 통행을 한다.

전 역사에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쪽에 있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4. 2.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1사상(서부터미널)Sasang(Seobu Bus Terminal)沙上(西部터미널)
경부선-0.0부산광역시사상구2괘법르네시떼(강변공원)Gwaebeop Renecite(Gangbyeon Park)掛法르네시떼(江邊公園)0.80.83서부산유통지구(금호마을)Seobusan Yutongjigu(Geumho Town)西釜山流通地區(錦湖마을)2.33.1강서구4공항Gimhae Int'l Airport空港0.94.05덕두Deokdu德斗1.35.36등구Deunggu登龜1.97.27대저Daejeo大渚2.09.28평강Pyeonggang平江1.010.29대사Daesa大沙1.211.410불암Buram佛岩1.112.5경상남도김해시11지내Jinae池內0.713.212김해대학(안동)Gimhae College(Andong)金海大學(安洞)0.814.013인제대(활천)Inje Univ.(Hwalcheon)仁濟大(活川)1.315.314김해시청Gimhae City Hall金海市廳1.016.315부원(최안과의원)Buwon(Choe's Eye Center)府院(崔眼科醫院)0.616.916봉황(김해여객터미널)Bonghwang(Gimhae Bus Terminal)鳳凰(金海旅客터미널)1.017.917수로왕릉(김해보건소)Royal Tomb of King Suro(Gimhae Community Health Center)首露王陵(金海保健所)0.718.618박물관Gimhae Nat'l Museum博物館0.819.419연지공원Yeonji Park蓮池公園1.120.520장신대(화정·강일병원)Presbyterian Univ.(Hwajeong·Kang-il Hospital)長神大(花亭·江一病院)1.221.721가야대(삼계)Gaya Univ.(Samgye)加耶大(三溪)0.922.6



부산-김해 경전철 노선은 부산광역시 사상역을 출발하여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신명마을까지 이어진다. 사상역에서 2호선, 대저역에서 3호선과 환승할 수 있다.[43] 사상역은 역에서 나와 대합실에서 계단에서 내려와 지하통로로 2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으며, 대저역은 대합실에서 연결 다리로 이동할 수 있다.[43]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며, 국제선 청사 인근에 경전철 정거장(김해국제공항역)이 건설되어 김해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이 높아졌다.

김해시청역의 초기 역명은 시청역이었으나 부산 도시철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김해시청역으로 변경하였다.

당초 18개 역만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부산지역에 서부산유통지구역, 덕두역이 건설되었고, 김해지역에 지내역이 추가로 건설되어 총 21개 역이 되었다.

삼락 강변공원에서 연결다리(강변나들교)를 통해 괘법르네시떼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평강역부터 김해대학역까지는 중심 구간이다.

5. 차량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인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 전용 열차를 사용한다.[5] 2량 편성의 1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무인 운전이 실시되고 있지만,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고 있다. 이 열차는 서울의 우이신설선을 위해 이후 제작된 열차와 매우 유사하며, 동일할 가능성도 있다.

6. 문제점

6. 1. 안전 문제

6. 2. 소음 문제

7. 사진



참조

[1] 뉴스 http://www.yonhapnew[...] 2011-08-29
[2] 웹사이트 Introduction > Unmanned Operation http://en.bngmetro.c[...]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 2014-08-11
[3] 웹사이트 Line Guide > Line Map http://en.bngmetro.c[...]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 2014-08-11
[4] 웹사이트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 (BGL) (Korea, South), Urban Transport Systems and Operators http://www.janes.com[...] Jane's Information Group 2008-05-15
[5] 웹사이트 Introduction > Light Rail Vehicles http://en.bngmetro.c[...] Busan 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 2014-08-11
[6] 웹사이트 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Open{{!}} Metro Report https://www.metro-re[...] 2019-03-27
[7]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7월 1일 개통(釜山~金海軽電鉄7月1日開通) http://news20.busan.[...] 2011-04-25
[8]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언제 출발 하능교? http://news20.busan.[...] 2011-07-01
[9] 뉴스 釜山~金海間のライトレール開通、金海国際空港も経由 http://japanese.yonh[...] 연합뉴스 2011-09-09
[10] 웹사이트 연혁(沿革) http://www.bglrt.com[...] 2018-08-19
[11] 뉴스 "<고침> 지방(부산-김해 경전철 시험운행 시작)" https://news.naver.c[...] 聯合ニュース/Naver 2009-11-26
[12] 뉴스 부산-김해경전철, 김해구간 역사명 확정 http://www.nocutnews[...] ノーカットニュース 2009-11-27
[13]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구간 역명 확정 https://news.naver.c[...] 聯合ニュース/Naver 2009-12-17
[14] 뉴스 서울메트로, 부산-김해 경전철사업자로 선정 http://www.nocutnews[...] ノーカットニュース 2009-12-21
[15]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시험운행..내년 4월 개통 https://news.naver.c[...] 聯合ニュース 2010-03-30
[16] 뉴스 줄줄 비새는 부산-김해경전철, 7월말 개통도 불투명 http://www.nocutnews[...] ノーカットニュース 2011-07-01
[17]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소음 문제로 월말 개통 또 연기 http://news.khan.co.[...] 京郷新聞 2011-07-20
[18]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9월 9일 개통 8일간 무료시승… 국내 최초 무인 자동방식 운행 http://news.kmib.co.[...] 国民日報 2011-09-08
[19] 웹사이트 CEO인사말(CEOのご挨拶) http://www.bglrt.com[...] 2018-08-19
[20] 웹사이트 CEO’s Greetings(CEOのご挨拶) http://www.bglrt.com[...] 2018-08-19
[21] 웹사이트 찾아오시는길 http://www.bglrt.com[...] 2018-08-19
[22] 뉴스 부산·김해경전철 3社 통합 직영 '뉴 BGL' 출범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7-04-17
[23] 웹사이트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 http://www.saramin.c[...] サラミン 2018-08-19
[24] 뉴스 비츠로시스, 부산-김해 경전철 유지보수 계약 http://biz.chosun.co[...] 朝鮮日報 2010-07-19
[25] 웹사이트 부산-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사업 유지보수 도급계약 http://www.vitzrosys[...] 2018-08-19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뉴스 기존 시내버스와 경쟁해야 할 부산-김해경전철 https://news.naver.c[...] 뉴시스
[30] 뉴스 서울메트로, 부산-김해 경전철사업자로 선정 http://news.nate.com[...] 노컷뉴스 2009-12-21
[31]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체결구' 부식..안전 우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9-09
[32] 뉴스 부산~김해경전철 녹슨 체결구 `안전엔 이상무' http://news.nate.com[...] 연합뉴스 2009-12-21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신명차량기지
[37] 문서 단, 65세 이상자는 타 도시철도와 달리 어른 운임을 정상 수수함
[38] 웹사이트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2호 http://theme.archive[...] 2000-01-07
[39] 뉴스 부산~김해 경전철… 대학교명 딴 역사, 지역명으로 바꿔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1-07-04
[40] 뉴스 자금 끊기고, 소음 대책도 막막 경전철 시행사 골머리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1-08-02
[41] 문서 이는 정식 개통 이전의 시운전 개념으로 일반에 대해 개방하였으나 운임을 징수하지는 않았다.
[42] 뉴스 부산 김해 경전철, 최소운영수입보장 폐지···양 지자체 3000억 절감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43] 문서 경전선 복선 전철화로 마산행 전동차가 운행되면 사상역 (도시철도)에서 경전선과의 환승도 예정되어 있다.
[44] 뉴스 부산 도시철도, 경전철 운영 가능할까? https://news.naver.c[...]
[45] 웹사이트 부산~김해 경전철 '황금노선'을 잡아라 http://www.kookje.co[...]
[46] 뉴스 서울메트로, 부산∼김해 경전철 운영 사업자로 선정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9-12-21
[47]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48]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4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50]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http://www.yooshin.c[...]
[51]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