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 경전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김해 경전철은 부산광역시 사상역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까지 운행하는 경량전철 시스템이다. 1991년 김해시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2011년 9월 정식 개통되었으며, 총 21개 역과 1개의 차량기지를 운영한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의 1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되며, 무인 운전 방식으로 운영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김해국제공항을 경유하여 접근성을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상남도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 계획 수립 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며,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2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부산-김해 경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부산-김해 경전철 |
다른 이름 | BGL |
로마자 표기 | Busan-Gimhae Gyeongjeoncheol |
종류 | 경전철, 공항 연락 철도 |
노선 체계 | 부산 도시철도 |
상태 | 운영 중 |
기점 | 사상 |
종점 | 가야대역 |
역 수 | 21개 |
노선 길이 | 23.9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제3궤조 방식 직류 750V |
신호 방식 | RF-CBTC (보조: ATP/ATO) |
최고 속도 | 운행 70km/h, 설계 80km/h |
운영 회사 | 부산-김해경전철 운영 주식회사 (2011년 - 2017년),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 (2017년 - 현재) |
개통 정보 | |
개통일 | 2011년 9월 16일 |
기술 정보 | |
차량 기지 | 신명 차량 기지 |
사용 차량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도 | |
2. 역사
-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출발됐다.
- 1992년 8월 12일 :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38]
- 1995년 3월 6일 :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38]
- 2000년 1월 7일 :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 고시[38]
- 2000년 8월 18일 :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 선정[38]
- 2002년 1월 9일 :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38]
- 2003년 1월 10일 :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 설립[38]
- 2006년 2월 15일 : 부산-김해경전철 착공[38]
- 2009년 11월 26일 : 김해시 역명위원회로부터 김해시 구간의 12개 역명 확정[12]
- 2009년 12월 17일 :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로부터 부산시 구간의 9개 역명 확정[13]
- 2009년 12월 : 시운전 개시[15]
- 2010년 2월 2일 - 설립[23]。
- 2010년 7월 19일 - 유지보수 계약을 비츠로시스(VITZRO SYS)사와 체결. 궤도 보수 등을 자회사 비츠로 C&C사가 담당[24][25]。
- 2011년 7월 4일 :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
- 2011년 7월 29일 : 개통예정이였으나 소음문제로 무기한 연기[40]
- 2011년 8월 25일 : 소음 재측정.
- 2011년 8월 30일 : 준공 승인.
- 2011년 9월 9일 ~ 9월 16일 : 8일간 무료시승[41]
- 2011년 9월 16일 : 정식 개통 및 사상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저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3호선)[41]
- 2011년 9월 17일 : 운임 징수 개시[41]
- 2012년 9월 17일 - 공식 웹사이트 개설.
- 2015년 2월 12일 :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에서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으로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역명 변경
- 2017년 4월 1일 : MRG 폐지[42]
- 2017년 4월 17일 : 시공사인 (구) 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BGL), 운영사인 부산-김해경전철운영(BGM), 노선 보수 업체인 비츠로씨앤씨 컨소시엄(BGT)이 통합하여 (신) 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BGL)가 발족[22]。이로 인해 노선의 운영은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2. 1. 추진 배경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사업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 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같은 해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으며,[38] 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다.[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2. 2. 건설 과정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의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같은 해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그러나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다.[38] 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다.[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 이후 2009년 11월 26일 김해시 역명위원회에서 김해시 구간 12개 역명을 확정했고,[39] 12월 17일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에서 부산시 구간 9개 역명이 확정되었다.[13] 같은 해 12월 시운전이 개시되었다.[38]
2011년 7월 4일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되었고, 7월 29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소음 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었다.[40] 8월 25일 소음 재측정 후, 8월 30일 준공 승인을 받았다.[38]
2011년 9월 9일부터 9월 16일까지 8일간 무료 시승을 거쳐[41] 9월 16일 정식 개통 및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사상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 환승이 개통되었다.[38] 9월 17일부터 운임 징수가 개시되었다.[38]
2015년 2월 12일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이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과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변경되었다.[38] 2017년 4월 1일 MRG가 폐지되었다.[42]
2. 3. 개통 및 운영
1991년 10월 5일 김해시가 부산~김해 간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 도시철도를 김해까지 연장해 달라는 건의서를 부산교통공단과 부산시에 보내면서 부산-김해 경전철 사업이 시작되었다.[38] 1992년 8월 12일 국무회의에서 정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도록 의결되었고,[38] 1995년 3월 6일 재정경제원에서 민자유치대상사업으로 결정되었다.[38] 2000년 1월 7일 부산 ~ 김해간 경량전철건설 민간투자시설사업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38] 2000년 8월 18일 우선협상대상자로 금호산업컨소시엄이 선정되었다.[38] 그러나 2002년 1월 9일 우선협상대상자가 현대산업개발컨소시엄으로 변경되었다.[38]2003년 1월 10일 주식회사 부산-김해경전철이 설립되었고,[38] 2006년 2월 15일 부산-김해경전철이 착공되었다.[38] 2009년 11월 26일 김해시 역명위원회는 김해시 구간의 12개 역명을 확정했으며,[38] 2009년 12월 17일 부산시 역명제정위원회는 부산시 구간의 9개 역명을 확정했다.[38] 같은해 12월 시운전이 개시되었다.[38]
2011년 7월 4일 김해시청이 대학 이름이 들어간 4개 역명 변경을 결정하였으나[39] 철회되었다. 당초 2011년 7월 29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소음문제로 무기한 연기되었고,[40] 2011년 8월 25일 소음 재측정이 이루어졌다. 2011년 8월 30일 준공 승인을 거쳐 2011년 9월 9일부터 9월 16일까지 8일간 무료시승이 진행되었다.[41] 2011년 9월 16일 정식 개통 및 사상역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저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환승이 개통되었고, 9월 17일부터 운임 징수가 개시되었다.[41]
2015년 2월 12일 봉황(전하)역과 수로왕릉(김해여객터미널)역의 역명이 각각 봉황(김해여객터미널)역, 수로왕릉(김해보건소)역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4월 1일에는 MRG가 폐지되었다.[42]
3. 운영
부산김해경전철㈜가 운영 및 유지보수 준비용역의 입찰을 시작하자 여러 사업자가 응찰하였다. 대표적으로 서울메트로와 부산교통공사가 있으며, 외국 사업자도 다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부산교통공사의 경우 지리적 근접성을 토대로 적극 참여할 계획을 밝혔었다.[44][45] 경합 끝에, 2009년 12월 21일에 서울메트로가 경전철 운영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12월 28일에 부산김해경전철㈜와의 관리, 운영위탁, 운영수탁 계약을 체결하였다.[46]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3. 1. 운영 주체
부산김해경전철㈜는 부산-김해 경전철 노선의 운영 및 유지보수 준비용역 입찰을 진행하였고, 서울메트로와 부산교통공사를 비롯한 여러 사업자가 응찰하였다. 특히 부산교통공사는 지리적 근접성을 강점으로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다.[44][45] 2009년 12월 21일, 서울메트로가 경전철 운영 사업자로 최종 선정되었고,[46] 12월 28일 부산김해경전철㈜와 관리, 운영위탁, 운영수탁 계약을 체결하였다.[46]'''부산-김해 경전철 주식회사'''(한글:부산-김해경전철주식회사, 영:Busan-Gimhae Light Rail Transit Co., Ltd.)는 부산-김해 경전철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노선 건설과 보유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이후 노선 운영도 담당하게 되었다.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B&G Metro)는 과거 부산-김해 경전철을 운영했던 대한민국의 철도 사업자이다.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김해시의 공동 출자로 설립되었다.
3. 2. 운임
1회용 승차권 기준으로 교통카드 사용시 일반 기준 100원이 할인된다. 구간은 외곽1구역(가야대↔인제대), 외곽2구역(대저↔사상), 중심구역(김해대학↔평강)으로 나뉜다.구분 | 일반 | 청소년 | 어린이 | 비고 |
---|---|---|---|---|
1구간 | 1,700원 | 1,100원 | 750원 | 외곽1구역↔중심구역, 외곽2구역↔중심구역 |
2구간 | 1,900원 | 1,250원 | 850원 | 외곽1구역↔외곽2구역 |
환승 | 500원 | 260원 | 0원 | |
환승후 2구간 추가 이용시 | 200원 | 150원 | 0원 |
무임 대상자는 국가·독립·5·18 민주유공자, 장애인이다.[37] 1회용 승차권은 대구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대전 도시철도, 동해선 광역전철에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회수 후 재사용이 가능한 토큰형 RF식 승차권을 사용하며, 별도의 보증금은 없다. 다만 이 토큰형 승차권은 부산-김해경전철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그 이외의 교통 수단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부산 도시철도와 동해선 광역전철의 정기승차권은 사용할 수 없다.
부산-김해경전철의 각 역에서는 설치된 승차권 발권기 근처에 있는 무인충전기를 통해 마이비카드, 하나로카드, 이즐, 티머니를 충전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불교통카드는 호환 사용이 가능하나, 대구 iM유페이의 원패스는 아직 부산김해경전철에서 사용할 수 없다.
3. 3. 개찰구
부산-김해 경전철의 개찰구는 삼발이식이 아닌 플랩식으로, 무임승차 시 양쪽 플랩이 진입을 막는 방식이다. 개찰구는 양쪽으로 입구와 승강장을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교통카드는 다른 개찰구와 동일하게 패드에 찍어 요금을 지불하지만, 토큰형 승차권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승차권 자동 발매기에서 토큰형 승차권을 구입한 후 승강장에 들어갈 때는 교통카드처럼 패드에 찍으면 된다. 하지만 승강장에서 나갈 때는 동전 크기의 구멍에 승차권을 넣어야 하며, 교통카드처럼 찍으면 플랩에 막혀 나갈 수 없다.
4. 노선
부산-김해 경전철의 총 연장은 23.455 km이다.[34] 궤도는 철제궤도를 사용하며, 전동차는 철제차륜 AGT이다.[35] 총 21개 역과 1개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36] 대한민국 도시철도법에 의해 건설된 철도로 우측 통행을 한다.
전 역사에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쪽에 있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4. 1. 노선 정보
부산-김해 경전철의 총 연장은 23.455 km이다.[34] 궤도는 철제궤도를 사용하며, 전동차는 철제차륜 AGT이다.[35] 총 21개 역과 1개 차량기지를 운영하고 있다.[36] 대한민국 도시철도법에 의해 건설된 철도로 우측 통행을 한다.전 역사에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으며, 화장실은 개찰구 안쪽에 있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현재 탈레스(Thales)의 SelTrac 통신 기반 열차 제어 (CBTC) 가동 블록 신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
4. 2. 역 목록
거리거리
경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