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탈선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탈선 사고는 1980년 발생한 사고로, 부산진역을 출발하여 용산역으로 향하던 제1002 화물열차가 덕포동 부근에서 탈선하며 발생했다. 사고는 상행선 레일 뒤틀림으로 인해 화차 14량이 탈선하고 7량이 전복된 것으로, 부실한 레일 용접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인해 인근 주민 20여 명이 황산 가스에 중독되고 200여 명이 구토 및 복통을 호소했으며, 상하행선 철도 운행이 중단되고 50여 톤의 황산이 누출되어 환경 오염이 발생했다. 탈선한 기관차는 손상되어 폐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선 - 몽파르나스 탈선 사고
    몽파르나스 탈선 사고는 1895년 프랑스 파리 몽파르나스역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로, 기관사의 과속과 제동 장치 결함으로 인해 열차가 역 구내를 돌파하여 추락,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
  • 탈선 - 천안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
    천안 새마을호 열차 탈선 사고는 트레일러 기사의 후진 부주의로 선로를 침범하여 새마을호 열차와 충돌, 승객 부상과 열차 탈선을 야기하고 후속 열차 운행 지연 및 코레일 안전 관리 소홀 문제를 드러낸 사고이다.
  • 1980년 대한민국 - 5·17 쿠데타
    5·17 쿠데타는 1980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12·12 군사반란 이후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국회를 해산하여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 1980년 대한민국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전라남도 광주에서 신군부의 계엄령 확대와 정치 탄압에 항거한 시민들의 민주화 운동이자 계엄군의 무력 진압 사건으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탈선 사고
사고 개요
제목부산 덕포동 화물열차 탈선 사고
날짜1980년 4월 20일
시간오후 4시 30분쯤
위치부산시 (현 부산광역시) 북구 덕포동 경부선 구포역 ~ 사상역 (서울역 기점 431km)
노선경부선
운영자대한민국 철도청
사고 종류탈선
원인레일 용접 부실
열차 종류화물열차
열차 수1
인명 피해
부상자약 200여 명
재산 피해
재산 피해알 수 없음 (문서에 명시된 재산 피해 정보 없음)
추가 정보
내용경부 상행선 구포~사상 황산 실은 열차 탈선, 50톤 유출

2. 사고 발생

부산진역을 출발하여 서울 용산역으로 향하던 제1002 화물열차가 사고 지점을 지나던 중 레일의 문제로 탈선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화물열차의 일부 차량이 탈선하고 전복되었으며, 사고의 주된 원인은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부실한 용접 작업으로 밝혀졌다.[2]

2. 1. 탈선 및 전복

탈선한 열차는 제1002 화물열차로, 화차 26량(유개차 17량, 무개차 1량, 조차 7량, 차장차 1량)을 연결하여 부산진역을 출발해 서울 용산역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이 열차가 사고 지점에 이르렀을 때, 상행선 오른쪽 레일 1.24m가 갑자기 뒤틀리면서 화차가 오른쪽으로 기울었다. 이로 인해 앞에서부터 10번째부터 23번째까지의 화차 14량이 탈선했고, 그중 7량은 전복되었다.[2] 사고 원인은 공사 비용을 줄이기 위해 표준 용접봉 대신 강도가 낮은 용접봉을 사용하여 레일 연결 부분을 부실하게 용접(땜질)한 것으로 밝혀졌다.

2. 2. 부실 공사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부실 공사로 밝혀졌다. 공사 비용을 줄이기 위해 레일 연결 시 표준 용접봉 대신 강도가 낮은 용접봉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레일 연결 부분의 땜질이 부실해졌다.[2] 이 부실한 용접 부분이 열차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뒤틀리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사고 당시 상행선 오른쪽 레일 1.24m가 갑자기 뒤틀렸고, 이로 인해 부산진역을 출발하여 서울 용산역으로 향하던 제1002 화물열차(총 화차 26량 편성: 유개차 17량, 무개차 1량, 조차 7량, 차장차 1량)의 10번째부터 23번째까지 총 14량이 탈선했으며, 그중 7량은 전복되었다.[2] 이는 안전 규정을 무시하고 비용 절감을 우선시한 결과로 발생한 인재(人災)로 볼 수 있다.

3. 피해

이 사고로 인해 황산 가스 중독 및 화상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 다량의 황산 누출로 인한 환경 오염, 철도 시설 파손으로 인한 운행 중단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또한, 사고 기관차는 파손되어 폐차되었다.

3. 1. 인명 피해

이 사고로 현장 인근 주민 20여 명이 황산 가스에 중독되어 호흡 곤란이나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다. 또한 200여 명이 구토나 복통 증세를 보였다.

3. 2. 환경 오염

이 사고로 황산 약 50ton이 누출되어 인근 지역을 오염시켰다. 누출된 황산 가스로 인해 현장 인근 주민 20여 명이 중독되어 호흡장애를 일으키거나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200여 명이 구토나 복통을 호소하는 등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3. 3. 철도 운행 중단

열차가 탈선하는 충격으로 상행선 레일 40m가량이 튕겨 나갔으며, 이로 인해 하행선 레일마저 휘어버렸다. 결국 상하행선 모두 열차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3. 4. 기관차 폐차

탈선한 기관차는 차체가 손상되어 1980년 7월 14일 폐차 발령되었다.

참조

[1] 뉴스 경부 상행선 구포~사상 황산 실은 열차 탈선…50톤 유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04-21
[2] 뉴스 "[오래 전 '이날']4월 21일 열차가 엎어져 황산 50톤이 쏟아졌다"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