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탄의 국기는 부탄을 상징하는 국기이다. 노란색과 주황색으로 대각선 분할된 바탕에 흰색 용이 그려져 있으며, 용은 각 발톱에 보석을 들고 있다. 노란색은 세속적 권위를, 주황색은 불교 정신을 상징하며, 용은 부탄의 순수함과 주권자의 권위를 나타낸다. 1949년 처음 제정된 국기는 녹색 용을 사용하였으나, 여러 번의 디자인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정착되었다. 부탄 국기는 국가와 국가 원수만큼 존중받으며, 국기 사용에 대한 엄격한 규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웨일스의 국기
웨일스의 국기는 오랜 역사와 전설 속에서 웨일스를 상징하는 붉은 용을 도안으로 한 깃발이며, 켈트족의 저항과 독립 상징으로 웨일스 지도자들에 의해 사용되다 1959년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웨일스를 대표하는 국기로 사용된다. - 용을 소재로 한 미술 작품 - 청나라의 국기
청나라의 국기는 황색 바탕에 용을 배치한 황룡기로, 시대에 따라 형태가 변화했으며 해군에서 삼각 깃발 형태로 사용되다가 사각형 형태로 공식 국기가 되었고, 이후 중화민국의 국기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다. - 부탄의 상징 - 부탄의 국장
부탄의 국장은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형상으로, 불교 국가인 부탄의 종교적 특성과 왕권을 상징한다. - 부탄의 상징 - 부탄의 국가
부탄의 국가는 부탄을 상징하며, 종카어로 쓰여진 가사는 부탄 헌법에 명시되어 있고, 국가 행사 및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르지 롭옌 돌롭 드롭 남가이가 작사, 작곡하고 아쿠 통미가 멜로디를 작곡했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부탄의 국기 | |
---|---|
개요 | |
국가명 | 부탄 |
로마자 표기 | Druk Yul |
의미 | 용의 나라 |
용도 | 국기 |
비율 | 2:3 |
채택일 | 1969년 |
디자인 | 하단 게양쪽 모서리에서 상단 휘날림쪽 모서리까지 대각선으로 나뉘어 있음; 상단 삼각형은 노란색, 하단 삼각형은 주황색이며, 흰색 용이 나누는 선을 따라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발톱에 네 개의 보석을 쥐고 게양대에서 멀어짐 |
디자이너 | 마윰 초잉 왕모 도르지 |
FIAV 기호 | |
색상 |
2. 디자인
현재 부탄의 국기는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대각선으로 나뉘며, 왼쪽 위는 노란색, 오른쪽 아래는 주황색이다. 중앙에는 흰색 드루크(Druk)이 왼쪽(게양대 쪽)을 바라보며 발톱에 노르부 (보석)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1]
국기의 가로 세로 비율은 3:2이다.[2][1] 부탄 정부는 다음과 같은 표준 크기를 지정하였다:[7]
크기 |
---|
21x |
12x |
6x |
3x |
9x (차량용 국기) |
2. 1. 색상
현재 국기는 왼쪽 하단 모서리에서 대각선으로 나뉘어 있으며, 위쪽 삼각형은 노란색이고 아래쪽 삼각형은 주황색이다. 분할선을 따라 중앙에는 왼쪽을 바라보는 크고 검은색과 흰색 용이 있다.[1] 용은 각 발톱에 ''노르부''(norbu), 즉 보석을 들고 있다.[1] 국기의 배경색인 노란색과 주황색은 각각 팬톤 116과 165로 지정되었다.[2]색상 | 노랑 | 주황 | 하양 |
---|---|---|---|
RGB | 239–178–45 (#FFCC33) | 226–61–40 (#FF4E12) | 255–255–255 (#FFFFFF) |
색상 배합 | 노란색 | 주황색 | 흰색 | |||
---|---|---|---|---|---|---|
RAL | RAL 9000 노란색 | RAL 3000 주황색 | RAL 1000 흰색 | |||
CMYK | 0.15.94.0 | 0.60.100.0 | 0.0.0.0 | |||
팬톤 | 116 | 165 | 해당없음 (흰색) | |||
HTML 16진수 | #FFCC33 | #FF4E12 | #FFFFFF | |||
HTML 10진수 | 255.213.32 | 255.78.18 | 255.255.255 |
2. 2. 상징
노란색은 부탄의 용왕인 ''드룩 걀포''가 구현하는 민간 전통과 세속적 권위를 나타내며, 그의 왕실 복장에는 전통적으로 노란색 카브네이(스카프)가 포함된다.[3] 주황색 부분은 불교 정신적 전통, 특히 드룩파 까규와 닝마 종파를 나타낸다.[3]용은 색상 경계선에 균등하게 걸쳐 있다. 깃발의 두 색상 사이의 경계선 중앙에 위치한 것은 드룩 왕국(부탄)에서 민간과 수도원 전통의 동등한 중요성을 나타내며 주권자와 국민 간의 신성한 유대의 힘을 연상시킨다. 용의 흰색은 부탄의 모든 민족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내면의 생각과 행동의 순수함을 나타낸다.[3][4] 드룩의 발톱에 들고 있는 보석은 부탄의 부와 국민의 안전과 보호를 나타내며,[10] 용의 으르렁거리는 입은 부탄의 수호를 위한 부탄 신들의 헌신을 상징한다.[5]
3. 역사
부탄 연구 및 국민총행복 연구 센터(Centre for Bhutan Studies and GNH Research)는 부탄의 독립적인 연구 센터로,[6] 2002년에 부탄 국기의 역사적 발전에 대한 논문("CBS 문서")을 발표했다.[7] 이 논문은 부탄에서 국기 제작 및 수정에 참여한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직접적인 설명을 담고 있어, 부탄 국기의 역사에 대한 중요한 1차 자료이다.
하지만 1949년 국기에 대한 설명은 논문의 내용과 사진 자료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국기 역사와 관련된 사람들의 증언과 정부 기록을 담고 있어 부탄 국기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1970년 이후 서양의 국기 관련 서적들은 부탄 국기를 1949년 사진과 매우 유사하게 묘사하는 경향을 보였다.[12][13][14][15]
3. 1. 1949년 이전
1949년 이전 부탄의 국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3. 2. 1949년 국기
1949년 인도-부탄 조약 체결 당시 사용된 최초의 국기는 노란색과 빨간색 두 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었으며,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대각선으로 나뉘었다. 깃발 중앙에는 녹색 용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는 부탄의 전통적이고 종교적인 표현인 ''yu druk ngon ma'' (གཡུ་འབྲུག་སྔོནམ|터키석 드루크dz)에 따른 것이다.[7]이 국기의 디자인은 1947년 마윰 초잉 왕모 도르지가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당시 왕실에서 몇 안 되는 화가 중 한 명이었던 라립 타우 타우가 이 국기를 수놓았다고 전해진다.[7]
최초의 부탄 국기는 아래쪽 게양대에서 위쪽 날개로 대각선으로 나뉜 두 가지 색상의 사각형 깃발이었다. 노란색 바탕은 게양대에서 위쪽 날개까지 이어졌고, 빨간색 바탕은 날개 끝에서 아래쪽 게양대까지 이어졌다. 깃발 중앙, 노란색과 빨간색 바탕이 만나는 지점에 녹색 드루크가 있었으며, 아래쪽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날개 방향을 향하고 있었다.[7]
하지만, 1949년 깃발에 대한 설명은 남아있는 사진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사진 속 깃발의 비율은 4:5에 더 가깝고, 사진에서 보이는 용은 게양대를 향하고 있으며, 약간 위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사진 속 용의 색조는 매우 옅다.[12][13][14][15]
3. 3. 1956년 국기
1956년, 제3대 드루크 걀포 지그메 도르지 왕축이 동부 부탄을 방문하면서 국기의 두 번째 버전이 개발되었다. 이때 드루크 걀포의 비서실은 1949년의 첫 번째 국기 사진을 바탕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깃발을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용의 색깔이 녹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7] 드루크 걀포의 수행원에는 100마리가 넘는 조랑말 호송대가 포함되었고, 작은 깃발은 매 10번째 조랑말의 안장에 놓였다. 약 약 0.56m2 크기의 큰 깃발은 매일 저녁 나팔 소리에 맞춰 캠프에 게양되었다.[7]3. 4. 1969년 이후

1950년대 후반, 지그메 도르지 왕축의 비서이자 국회 제6대 의장(1971–74)이었던 다쇼 씽카르 람은 국왕의 요청에 따라 국기를 여러 차례 수정하였다. 1969년 이후 현재까지 사용되는 국기 디자인은 그의 작품이다.[16] 국왕은 초기 정사각형 모양의 부탄 국기가 인도를 공식 방문했을 때 게양된 직사각형 인도 국기처럼 펄럭이지 않는 점에 불만을 가졌다고 한다. 이후 부탄 국기의 표준 크기는 약 2.74m x 약 1.83m인 인도 국기와 비슷하게 바뀌었다.[7]
또 다른 변화는 국기 중앙에 수평으로 배치되었던 용을 배경색을 나누는 대각선 위에 놓이도록 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이는 국기가 축 늘어졌을 때 용이 땅을 향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부탄 예술가 킬코르 로펜 자다는 용의 몸체 곡선을 완만하게 하여 다소 길고 부드럽게 물결치는 형태로 드룩의 새로운 디자인을 그렸다.[7]
CBS 문서에 따르면, 국왕은 "1968년 또는 1969년 경"에 국기 하단의 색상을 빨간색에서 주황색으로 바꾸라고 명령했다.[7]
부탄 국기는 1961년 지그메 도르지 왕축의 인도 국빈 방문 때 다른 나라 국기와 함께 처음으로 해외에 게양되었다. 이 방문은 두 나라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18]
4. 국기 사용 규정
1972년 6월 8일, 부탄 국회는 내각에서 초안을 작성한 국기 규칙을 효력 발생시키는 결의안 28호를 승인했다.[19] 이 규칙은 국기의 색상, 구획 및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설명과 상징성을 다루는 8가지 조항을 담고 있다.
부탄 국기는 국가와 국가 원수만큼 존중받는다. 미국 국기 규정과 마찬가지로, 다른 국기는 부탄 국기보다 높이 게양할 수 없으며, 국기는 덮개나 드리개로 사용할 수 없고(일부 예외 있음) 땅에 닿아서도 안 된다. 다른 조항으로는 디자인을 다른 물건이나 로고에 포함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예외적으로 국기는 장관이나 군인과 같은 고위 공무원의 관을 덮는 데 사용할 수 있다.[1]
1972년 규칙은 또한 "모든 종카그(지구 청사)는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종카그가 없는 경우, 주요 정부 관리의 사무실 앞에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 장관급 이상의 공무원은 수도 근처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자신의 거주지에 국기를 게양할 수 있다.[1]
정부 청사 앞에 국기를 게양하는 전통은 1968년 이전에는 부탄에 존재하지 않았지만, 그해에 드루크 갈포가 비서실을 타바 시에서 타시초 종으로 옮긴 후 표준 관행으로 규정되었다.[1] 1972년 규칙에서 규정된 유일한 국기의 날은 매년 12월 17일에 열리는 국경일이다.[1] 국경일은 1907년 12월 17일 우겐 왕축이 부탄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한 것을 기념한다.[10]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Flag
http://www.bhutan.go[...]
National Portal of Bhutan
2010-09-25
[2]
서적
Specification Sheet 007
William Crampton Flag Institute
1994-08-01
[3]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Bhutan
http://www.constitut[...]
constitution.bt
2008-07-18
[4]
웹사이트
The National Flag Rules of Bhutan (1972)
http://www.oag.gov.b[...]
2010-09-25
[5]
웹사이트
First Schedule – The National Flag and the National Emblem of Bhutan
http://www.constitut[...]
2010-09-25
[6]
웹사이트
About the Center
http://www.bhutanstu[...]
2012-04-03
[7]
서적
The Origin and Description of The National Flag and National Anthem of The Kingdom of Bhutan
http://archiv.ub.uni[...]
The Centre for Bhutan Studies
2002-11
[8]
뉴스
In pictures: Rare images of Bhutan go on display
http://news.bbc.co.u[...]
BBC
2010-02-14
[9]
웹사이트
Indo-Bhutanese Treaty
http://www.bhutan200[...]
Bhutan 2008
2010-12-22
[10]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http://www.bhutan200[...]
Depart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0-09-25
[11]
웹사이트
First national flag designed in 1949
http://www.kuenselon[...]
Kuensel Corporation
2010-10-10
[12]
서적
The Observer's Book of Flags
[13]
서적
The Book of Flags
[14]
서적
Flag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15]
서적
Flaggen Wappen Daten
[16]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Eyes
Karma Ura
[17]
서적
The Illustrated Flag Handbook
Gramercy Books
[18]
서적
Himalayan Frontiers of India: Historical, Geo-Political and Strateg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9-28
[19]
서적
Proceedings and Resolu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from 31st to 50th sessions, Vol. 2
Government of Bhutan
[20]
서적
PICTORIAL BOOK OF NATIONAL FLAGS & EMBLEMS OF THE WORLD 苅安 望編著
[21]
서적
The Origin and Description of The National Flag and National Anthem of The Kingdom of Bhutan
http://archiv.ub.uni[...]
The Centre for Bhutan Studies
20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