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은 수마트라섬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분류군으로, 가요어, 바탁어군, 시메울루에어, 니아스어·시쿨레어, 믄타와이어 등이 속한다. 이 분류군은 Lafeber (1922)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Nothofer (1986)는 음운론적, 어휘적 증거를 제시하며 이를 뒷받침했다. 엥가노어의 경우,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포함될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최근에는 엥가노어와 나살어를 포함하는 "수마트라어군" 가설이 제안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 가요어
    가요어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를 가지며, 자음은 다양한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모음은 혀의 높이와 위치에 따라 세분화된다.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언어 정보
이름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다른 이름평행사도·바탁어군
지역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조어프로토-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 (프로토-수마트라어)
Glotto 코드nort2829
Glottolog 참조Northwest Sumatra–Barrier Islands
지도 정보
북수마트라의 언어 지도
북수마트라의 언어 지도.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과 말레이어군, 참어군 언어들이 나타나 있다.

2. 분류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 가요어
  • 바탁어군
  • 시메울루에어
  • 니아스어·시쿨레어
  • 믄타와이어
  • 엥가노어(?)


이 분류군을 처음 제안한 것은 Lafeber (1922)로, “바탁·니아스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6] Nothofer (1986)는 이 분류를 뒷받침하는 음운론적·어휘적 증거를 제시하며 “평행사도·바탁어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7]

엥가노어는 매우 이질적인 언어로서 그 분류는 논란의 대상이다. Lafeber (1922)와 Nothofer (1986) 모두 엥가노어가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6][7] Edwards (2015)는 이를 부정하며 엥가노어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했다.[8] 한편, Smith (2017)의 최근 연구는 그가 잠정적으로 “수마트라어군”이라 이름붙인 분기군에 엥가노어를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하는데, 여기에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남서부의 븡쿨루에서 쓰이는 나살어까지 포함된다.[9] Smith의 제안은 Billings & McDonnell(2022)에 의해 지지되며, 수마트라 언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5]

  • 바탁어군
  • 북부 배리어 제도 (시메울루에어)
  • 중앙 배리어 제도 (시쿨레어, 니아스어)
  • 믄타와이어
  • 가요어
  • 나살어
  • 엥가노어


이 언어들을 수마트라 하위 그룹에 포함시키는 음운론적 증거로 그들은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5]

;합병

# PMP *j, *g > 원시 수마트라어 *g

# PMP *z, *d > 원시 수마트라어 *d

# PMP *ñ, *n > 원시 수마트라어 *n

# PMP *R, *r > 원시 수마트라어 *r

# PMP *h > 원시 수마트라어 zero

;변동 (음운 변화)

# PMP *q > 원시 수마트라어 *h

2. 1. 주요 언어군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는 가요어, 바탁어군, 시메울루에어, 니아스어·시쿨레어, 믄타와이어가 속한다.[6][7] Lafeber (1922)는 이 분류군을 처음 제안하며 “바탁·니아스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6] Nothofer (1986)는 “평행사도·바탁어군”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이 분류를 뒷받침하는 음운론적·어휘적 증거를 제시했다.[7]

엥가노어의 분류는 논란의 대상이다. Lafeber (1922)와 Nothofer (1986)는 엥가노어가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6][7] 그러나 Edwards (2015)는 이를 부정하며 엥가노어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했다.[8] Smith (2017)는 엥가노어를 포함하는 “수마트라어군”을 제안했는데, 여기에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뿐만 아니라 븡쿨루에서 쓰이는 나살어까지 포함된다.[9] Smith의 제안은 Billings & McDonnell(2022)에 의해 지지되었으며,[5] 이들은 수마트라어군에 바탁어군, 북부 배리어 제도 (시메울루에어), 중앙 배리어 제도 (시쿨레어, 니아스어), 멘타와이어, 가요어, 나살어, 엥가노어를 포함시켰다.[5]

2. 2. 엥가노어의 분류 문제

엥가노어는 다른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의 언어들과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그 소속에 대한 논란이 있다. Lafeber (1922)와 Nothofer (1986)는 모두 엥가노어가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6][7] 그러나, Edwards (2015)는 이를 부정하며 엥가노어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했다.[8]

최근에는 엥가노어를 나살어와 함께 "수마트라어군"이라는 더 큰 범주에 포함하려는 시도도 있다. Smith (2017)는 “수마트라어군”에 엥가노어를 포함시키는 것을 지지하는데, 여기에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뿐만 아니라 수마트라 남서부의 븡쿨루에서 쓰이는 나살어까지 포함된다.[9]

2. 2. 1. 수마트라어군 가설

Smith (2017)와 Billings & McDonnell (2022)는 엥가노어와 나살어를 포함하는 "수마트라어군" 가설을 제안했다.[9] 이 가설에 따르면, 수마트라어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이들은 음운론적 증거로 PMP *j, *g > 원시 수마트라어 *g 등의 합병을 제시한다.

3. 어휘

Edwards (2015)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언어들의 신체 부위 어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표를 제시한다.[3][8]

PMP엥가노어믄타와이어니아스어시쿨레어시메울루에어
머리*qulue-(ʔ)uduuteʔhəɡətuhuulu
머리카락*buheke-pududuialaibububuʔ
얼굴*daqihe-bakamatabavamukobobaŋon
*matae-bakamatahərəmatamata
*ijuŋẽ-pãnũasakixunixuixuŋ
*baqbaqe-kaʔaŋaŋabavabafaba(ʔ)ba
입술*biRbiRe-ukudipobibobevebefebefil
*dilaqe-dio†lila, ʤalalelal/neladila
*nipene-kaʔaʧonifɨifɨehen
*taliŋae-kadihataliŋataliŋaɡuɡuyu(k)oeuʔ
*liqeRẽ-ũʔũlolokatbaɡiʔoɡuleŋɡəl
*kamay/*limae-ʔapokabeibələxa,taŋataŋakaoʔ,siʔu
손톱*kanuhkuhẽ-kanũʔũnũsuletsiʔatenatenab˺
가슴*titi(q)/*susue-kokotottotsusutotoʔtotuʔ
*tiane-kitaibaɣataluamatanbesil
다리*qaqaye-aedereaheaehaɨ
무릎*tuhudẽ-pũʔũ u-aebókolotuhibohunboxul
*bulue-pududuibulubububuʔ
살갗*kulite-ʔudikulitulibebibebiʔ
살/고기*hesie-hedaakkelaknaɡoleö(h)iisi
지방*miñak/*himaRẽ-mĩnãʔã‡lainaktavətafɨtafɨ
*tuqelaŋe-ʔaatolattəlatɨ/ölasod˺
심장*pusuqe-báhau, ẽ-kẽmãteinuŋtədəɨlaxa, ohoate
*daRaqe-kiakiloɣaudododala
*qatayẽ-nĩũnĩũateiatebala
오줌*iheqẽ-ĩkõkiaxiɨk/xiɨ
*taqie-kaitanaitaitaitai



Billings & McDonnell (2022)는 원시 수마트라어 어휘 혁신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5]

영어 용어원시 수마트라어가요어 이전원시 바탁어원시 북부 배리어 제도원시 중부 배리어 제도멘타와이어 이전비음어
친구*alay*aley*alay*le*aley
키스하다*aŋgəh*aŋgəh*aŋkə*ago
생강*bahiŋ*bahiŋ*baiŋ
왜가리*baruŋ*baruŋ*baluŋ
박쥐*bəŋkik*bəŋkik*bəŋiʔ*bəgi
구더기*bərŋay*bərŋey*bəŋay
*dələg*dələg*dələk*lələ*lelew
둥지*hasar*asay*asar
배우자*lakun*lakun*laʔun*laʔo*lakun
하나*sada*sara*sada*sara*sara*sara
달팽이*ciəh*cih
지붕*tarub*tarub*talup
낮은*təruh*tuyuh*təruh*təlu*tou
정오*tigər*tigər*tikəl*sixo
연기*timbər*timbər*timbəl*simbo*timbo
부탁하다*tindaw*tiro*tindaw*sində*tidow
등나무*puləgəs*puləgəs*pulege


3. 1. 신체 부위 어휘 비교

Edwards (2015)는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 언어들의 신체 부위 어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표를 제시한다.[3][8]

PMP엥가노어믄타와이어니아스어시쿨레어시메울루에어
머리*qulue-(ʔ)uduuteʔhəɡətuhuulu
머리카락*buheke-pududuialaibububuʔ
얼굴*daqihe-bakamatabavamukobobaŋon
*matae-bakamatahərəmatamata
*ijuŋẽ-pãnũasakixunixuixuŋ
*baqbaqe-kaʔaŋaŋabavabafaba(ʔ)ba
입술*biRbiRe-ukudipobibobevebefebefil
*dilaqe-dio†lila, ʤalalelal/neladila
*nipene-kaʔaʧonifɨifɨehen
*taliŋae-kadihataliŋataliŋaɡuɡuyu(k)oeuʔ
*liqeRẽ-ũʔũlolokatbaɡiʔoɡuleŋɡəl
*kamay/*limae-ʔapokabeibələxa,taŋataŋakaoʔ,siʔu
손톱*kanuhkuhẽ-kanũʔũnũsuletsiʔatenatenab˺
가슴*titi(q)/*susue-kokotottotsusutotoʔtotuʔ
*tiane-kitaibaɣataluamatanbesil
다리*qaqaye-aedereaheaehaɨ
무릎*tuhudẽ-pũʔũ u-aebókolotuhibohunboxul
*bulue-pududuibulubububuʔ
살갗*kulite-ʔudikulitulibebibebiʔ
살/고기*hesie-hedaakkelaknaɡoleö(h)iisi
지방*miñak/*himaRẽ-mĩnãʔã‡lainaktavətafɨtafɨ
*tuqelaŋe-ʔaatolattəlatɨ/ölasod˺
심장*pusuqe-báhau, ẽ-kẽmãteinuŋtədəɨlaxa, ohoate
*daRaqe-kiakiloɣaudododala
*qatayẽ-nĩũnĩũateiatebala
오줌*iheqẽ-ĩkõkiaxiɨk/xiɨ
*taqie-kaitanaitaitaitai



이 표에서 엥가노어는 다른 언어들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 2. 원시 수마트라어 어휘 혁신

Edwards (2015:78)는 평행사도 언어들의 신체부위 어휘 비교표를 제시하며,[3][8] 엥가노어를 북서수마트라평행사도어군의 일부로 보지 않는다.[8]

Billings & McDonnell (2022)는 원시 수마트라어 어휘 혁신을 제시했다.[5]

4. 각주

참조

[1] 서적 Vergelijkende klankleer van het Niasisch https://resolver.kb.[...] Hadi Poestaka
[2] 간행물 The Barrier Island Languages 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Pacific Linguistics, Series C, No. 94, Canberra,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3] 논문 The Position of Enggano within Austronesian
[4] 논문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5] 간행물 Subgrouping Malayo-Polynesian languages of Sumatra and the Barrier Islands https://seals31.sche[...] Presentation given at the 31st Annual Meeting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SEALS 31),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May 18–20, 2022.
[6] 서적 Vergelijkende klankleer van het Niasisch https://resolver.kb.[...] Hadi Poestaka
[7] 간행물 The Barrier Island Languages 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Pacific Linguistics, Series C, No. 94, Canberra,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 논문 The Position of Enggano within Austronesian
[9] 논문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