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기록 역사가 4세기 후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참어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바흐나르어파와 어휘를 공유하며, 과거 말레이 반도에 참어군 언어 화자들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레이엄 서굿은 참어군을 아체어, 해안 참어군(하로이어, 참어), 고지대 참어군(라데자라이어군, 츠루북부참어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말레이어군과의 공통 어휘는 말레이참어군으로 묶는 근거가 되기도 하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어는 베트남 해안 지역에 사멸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참어군의 재구는 자음, 모음, 형태론, 대명사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접두사, 접미사, 그리고 인칭 대명사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참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참어군 |
다른 이름 | 아체-참어군 |
사용 지역 | 인도네시아(아체 주),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 중국(하이난 섬) 및 이민자 거주 국가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말레이숨바와어군 (논쟁 중) 또는 |
하위 언어 | 아체어 연안 참어군 고지 참어군 |
ISO 639-2 | cmc |
ISO 639-5 | cmc |
글롯토로그 | cham1327 (아체-참어군) |
글롯토로그 | cham1330 (참어군) |
![]() |
2. 역사
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안에서 기록 역사가 가장 오래된 언어이다. 고대 참어로 쓰인 동옌쩌우 비문은 4세기 후반의 것이다.
Thurgood (1999:36)는 참어군 언어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4]
장기간 접촉에서 일어난 차용으로 인해, 참어군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바흐나르어파는 공통된 어휘 항목이 많다.[4][5]
2006년 로저 블렌치는[6] 아슬리어파 언어들에 참어군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며, 과거 말레이 반도에 참어군 언어 화자들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3. 분류
로글라이어( Ra Glaivi )
차트어
참조어 수사에서 7부터 9까지가 말레이어군과 공유된다는 사실은 두 어군을 말레이참어군으로 묶는 근거가 될 수 있다(Thurgood 1999:37).
2009년 로저 블렌치[7]는 현존하는 어파로 거슬러 갈 수 없는 오스트로아시아계 차용어들이 오늘날의 참어군 언어들에 여럿 있다는 사실에 근거해, 베트남 해안 지역에 지금은 사멸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어파가 적어도 하나는 존재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8]
4. 재구
그레이엄 서굿이 1999년에 발표한 참조어 재구형은 다음과 같다.[4]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형태소는 다음과 같다.[4]
- *tə-*: "비의도" 접두사
- *mə-*: 일반동사 접두사
- *pə-*: 사동형 접두사
- *bɛʔ-*: 부정 명령형 접두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 *-əm-*: 명사화 접요사
- *-ən-*: 도구 접요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4. 1. 자음
아래의 참조어 전음절 자음 표는 Thurgood (1999:68)에서 가져온 것이다. 의 포함 여부에 따라 총 13~14개의 전음절 자음이 존재했다. 비전음절 자음에는 *ʔ, *ɓ, *ɗ, *ŋ, *y, *w가 있다. 유기음이 재구되기도 한다.[4]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자음군은 다음과 같다(Thurgood 1999:93).
- *pl-, *bl-, *kl-, *gl-
- *pr-, *tr-, *kr-, *br-, *dr-
4. 2. 모음
4개의 모음(*-a, *-i, *-u와 *-e 또는 *-ə)과 3개의 이중모음(*-ay, *-uy, *-aw)이 있었다.[4]
4. 3. 형태론
참조어에서 재구되는 형태소들은 다음과 같다.[4]- *tə-*: "비의도" 접두사
- *mə-*: 일반동사 접두사
- *pə-*: 사동형 접두사
- *bɛʔ-*: 부정 명령형 접두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 *-əm-*: 명사화 접요사
- *-ən-*: 도구 접요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재구성된 원시 참어 형태소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tə-*: "우연한" 접두사
- *mə-*: 일반적인 동사 접두사
- *pə-*: 사동 접두사
- *bɛʔ-*: 부정 명령형 접두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서 차용)
- *-əm-*: 명사화 접미사
- *-ən-*: 조작 도구 접미사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서 차용)
4. 4. 대명사
구분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단수 | *kəumis (친근함) *hulunmis (정중함), 노예 *dahlaʔmis (정중함) | *hãmis | *ñumis |
복수 | *kaməimis (청자 제외) *tamis (청자 포함) *drəimis (청자 포함, 재귀) *gəpmis (다른, 여럿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 |
5. 현대 참어군 언어와 한국 사회
이전 응답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여전히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http://icaal.org/abs[...]
[2]
논문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2006
[3]
문서
[4]
서적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 two thousand years of language contact and change : with an appendix of Chamic reconstructions and loanwords
Univ. of Hawai'i Press
1999
[5]
문서
[6]
웹사이트
Why are Aslian speakers Austronesian in culture
http://www.rogerblen[...]
[7]
웹사이트
Are there four additional unrecognised branches of Austroasiatic?
http://icaal.org/abs[...]
[8]
논문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