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대만을 기원으로 하여 동남아시아, 태평양 지역, 마다가스카르까지 널리 분포하는 언어들의 어족이다. 이 어족은 언어 구조에 따라 필리핀형, 인도네시아형, 탈인도네시아형으로 분류되며, 첩어, 접사, 중복 등의 특징을 보인다. 어휘 연구를 통해 동계어를 파악하며, 대만 제어를 포함하여 13개의 어파로 나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중국티베트어족, 일본어족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Y염색체 해플로그룹 O1a와 mtDNA 해플로그룹 B4a1a, E와 관련이 있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며, 마다가스카르, 타이완, 태평양 지역에도 널리 퍼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오스트로네시아조어는 비교언어학적 방법론을 통해 재구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공통 조상으로, 다양한 음소 체계, 접사, 초점, 폐음절 구조 등의 특징과 어휘, 통사 구조, 어순, 태 체계 등 다양한 언어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오스트로네시아 정렬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은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중심어를 중심으로 문법 구조가 형성되며, 직격 표지나 이동, 동사의 태 접사를 통해 의미 역할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인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지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역사적 분포
기본 정보
이름오스트로네시아어족
다른 이름남도어족
로마자 표기Austronesian
발음/ˌɔːstrəˈniːʒən/
어족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사용 지역대만, 동남아시아 연해, 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 중국 하이난 일부
사용 민족오스트로네시아인
사용 인구3억 2800만 명
기원타이완
어족 분류
조어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하위 어족아타얄어파
부눈어
동부 포르모사어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서부 평원어파
북서 포르모사어파
파이완어
푸유마어
루카이어
초우어파
언어 코드
ISO 639-2map
ISO 639-5map
Glottologaust1307
Glottolog 명칭Austronesian

2. 구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다양한 언어를 포함하고 있어 일반화하기 쉽지 않다. 크게 필리핀형, 인도네시아형, 탈인도네시아형 언어로 나눌 수 있다.


  • 필리핀형 언어: 필리핀 언어 외에도 타이완, 사바, 북술라웨시, 마다가스카르의 언어들이 속한다. 오스트로네시아 정렬이라는 고유의 체계를 유지하며, 3~4 종류의 태를 통해 주어의 의미역을 표시한다. 주어의 의미역은 행위자, 피행위자, 장소, 수혜자, 도구 등이 될 수 있다. 이 현상은 '중심'(focus영어)이라고도 불린다. 동사가 처음에 오는 VSO형 또는 VOS형 어순이 일반적이다.

  • 인도네시아형 언어: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서부에 주로 분포하며, 원래의 태 체계가 축소되어 '행위자태'와 '피행위자태' 두 가지만 구분한다. 사라진 태의 역할은 적용태가 대신한다. 전접어 대명사가 존재하며, 동사가 두 번째로 오는 어순이 일반적이다. 바탁어군, 카위어, 발리어, 사삭어 등은 필리핀형과 인도네시아형의 중간 단계 성격을 띤다.[9][10]

  • 탈인도네시아형 언어: 원래의 태 체계가 완전히 붕괴되었으며, 태를 표시하던 접사들은 기능을 잃어버렸다.


하와이어의 위키위키(wiki-wiki)와 같이, 오스트로네시아어들은 다양한 용도로 첩어를 사용한다. 대부분 음절 구조가 단순하고 음소 개수가 적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전반적으로 세계 평균보다 음소 목록이 작다. 약 90%는 19~25개의 음소(15~20개의 자음과 4~5개의 모음)를 가지며, 이는 세계 평균 20~37개 범위 중 하위에 속한다. 그러나 네미어(뉴칼레도니아)처럼 43개의 자음을 가진 경우도 있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전형적인 어근 형태는 CV(C)CVC(C=자음, V=모음)의 이음절이며,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여전히 발견된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자음군은 중간 위치에서만 허용되며, 종종 제약이 있다. 종성 자음 수를 줄이는 변이가 일반적인데, 부기스어는 /ŋ/과 /ʔ/ 두 자음만 종성으로 허용한다. 종성 자음이 완전히 없는 경우는 니아스어, 말라가시어 및 많은 오세아니아어에서 관찰된다.

성조 대조는 드물다. 하지만 모켄-모클렌어족과 참어족, 남할마헤라-서뉴기니어족, 뉴칼레도니아어족의 소수 언어는 어휘적 성조를 보인다.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는 접사가 비교적 많고 형태소 경계가 명확한 교착어이다. 대부분 접두사이며,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의 ''ber-jalan'' '걷다' < ''jalan'' '길'), 접미사 (타갈로그어의 ''titis-án'' '재떨이' < ''títis'' '재')와 중간삽입접사 (로비아나어의 ''tavete'' '일(명사)' < ''tavete'' '일(동사)')는 수가 적다.

중복은 흔히 사용된다. 완전 중복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의 ''anak-anak'' '아이들' < ''anak'' '아이'; 카로 바탁어의 ''nipe-nipe'' '애벌레' < ''nipe'' '뱀') 또는 부분 중복 (아그타어의 ''taktakki'' '다리' < ''takki'' '다리', ''at-atu'' '강아지' < ''atu'' '개')이 있다.

3. 어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소리와 의미가 비슷하고,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동일한 단어에서 유래했음을 보여줄 수 있는 동계어 집합을 이용해 비교 재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확립되었다. 일부 동계어는 매우 안정적인데, 예를 들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최북단의 부눈어와 아미스어부터 최남단의 마오리어에 이르기까지 많은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서 ‘눈(目)’을 뜻하는 단어는 ‘mata’로 동일하다.[45]

하지만, 다른 단어들은 재구하기가 더 어렵다. 예를 들어 ‘둘(2)’을 뜻하는 단어도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전체에서 사용되지만, 부눈어에서 ‘dusa’, 아미스어에서 ‘tusa’, 마오리어에서 ‘rua’로 나타나는 등,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언어학적 훈련이 필요하다. 오스트로네시아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는 동계어 관계가 표시된 약 1000개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단어 목록을 제공한다.[45]

다음은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서 1부터 10까지의 수사와 아홉 개 어휘를 비교한 표이다.

class="nowrap" | 수사 비교
수사 1-1012345678910
오스트로네시아조어*əsa
*isa
*duSa*təlu*Səpat*lima*ənəm*pitu*walu*Siwa*(sa-)puluq
대만 제어12345678910
아타얄어qutuxsazingcyugalpayatmagalmtzyumpitumspatmqerumopuw
세에디크어kingaldahaterusepacrimammterumpitummsepacmngarimaxal
트루쿠어kingaldhatruspatrimamataruempitumaspatmngarimaxal
사오어tahatushaturushpattarimakaturupitukashpattanathumakthin
파포라어tanunyatulpatlimaminumpitumehalmesimetsi
바부자어natanaroanaturanaspatnahopnaitunaitonatapmaitutsihet
타오카스어tatanuruatool'alapathasaptahapyuwetomahalpattanasotais'id
파제흐어adangdusatu'usupatxasepxasebuzaxasebidusaxasebitu'uxasebisupatisit
사이시야트어'aeihae'roSa'to:lo'SopathasebSayboSi:maykaSpathae'hae'lampez
초우어coniyusotuyusʉptʉeimonomʉpituvoyusiomaskʉ
부눈어tasʔadusataupaathimanuumpituvausivamasʔan
루카이어ithadrusatulrusupatelrimaenemepituvalrubangatepulruku
파이완어itadrusatjelusepatjlimaenempitjualusivatapuluq
푸유마어isazuwatelupatlimaunempituwaluiwapulu'
크바란어usiquzusautuluuspatulimaunemupituuwaluusiwarabtin
바사이어tsalusatsusəpattsjimaanəmpituwasusiwalabatan
아미스어cecaytosatolospatlimaenempitofalosiwamo^tep
사키자야어cacaytosatolosepatlimaenempitowalosiwa
시라야어sasaatduhaturutapattu-rimatu-numpitupipakudaketeng
타이보안어tsaha'ruhatohopaha'himalomkito'kipa'matuhakaipien
마카타오어na-saadra-ruhara-rumara-sipatra-limara-hurumra-pitora-harura-siwara-kaitian
야미어asadoraatloapatlimaanempitowaosiyampoo
카우카우트어iszusdorsoprimənpitarsiutor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12345678910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əsa
*isa
*duha*təlu*əpat*lima*ənəm*pitu*walu*siwa*puluq
아체어saduwalheepeuetlimongnamtujohlapansikureuengsiploh
발리어besik
siki
duatelupapatlimenenempitukutussiadasa
반자르어asaduataluampatlimaanampituwalusangasapuluh
토바바탁어sadaduatoluopatlimaonompituualusiasampulu
부기어ceddiduatelluempalimaennengpituaruaaseraseppulo
찌아찌아어dise
ise
rua
ghua
tolupa'alimano'opicuwalu
oalu
siuaompulu
참어saduaklaupaklimanamtujuhdalapansalapansapluh
고대 자와어[46]sa
(sa' / sak)
rwatĕlupātlimanĕmpituwalusangasapuluh
자와어(크라마)setunggalkalihtigasekawangangsalenempituwolusangasedasa
자와어(응오코)[47]siji
← sahiji
loro
← ka-rwa
(ka-ro)
telupapatlimaenempituwolusangasepuluh
빠따니 말레이어soduwotigopaklimonetujohlapesmilespuloh
마두라어settongdhuwa'tello'empa'lema'ennempetto'ballu'sanga'sapolo
마카사르어se'reruatalluappa'limaannangtujusangantujusalapangsampulo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
sa/se
satu
suatu
duatiga[48]empatlimaenamtujuhdelapan
lapan[49]
sembilansepuluh
미낭카바우어ciekduotigoampeklimoanamtujuahsalapansambilansapuluah
모켄어cha:?thuwa:?teloj
(təlɔy)
pa:tlema:?namluɟuːkwaloj
(walɔy)
chewaj
(cʰɛwaːy / sɛwaːy)
cepoh
르장어doduaitlaupatlêmonumtujuakdêlapênsêmbilansêpuluak
사삭어sekekdueteloempatlimeenampitukbaluksiwaksepulu
순다어hijiduatiluopatlimageneptujuhdalapansalapansapuluh
트렝가누 말레이어seduwetigepaklimenangtujohlapangsmilangspuloh
테툼어idaruatoluhatlimanenhituualusiasanulu
차트어
일로코어maysaduatallouppatlimainnempitowalosiamsangapulo
이바나그어taddayduwatalluappa'limaannampituwalusiyammafulu
팡가시난어sakeyduwataloapatlimaanempitowalosiyamsamplo
팜팡가어métung
isá
adwáatlúápatlimáánampitúwalúsiámapúlu
타갈로그어isádalawátatlóapatlimáanimpitówalósiyámsampû
비콜어sarôduwátulóapatlimáanompitówalósiyámsampulû
아클라논어isaea
sambilog
daywatatloap-atlimaan-ompitowaeosiyamnapueo
카라이아어(i)saradarwatatloapatlimaanəmpitowalosiyamnapulo
온한어isyadarwatatloupatlimaan-ompitowalosiyamsampulo
롬블로마논어isaduhatuyoupatlimaonumpitowayosiyamnapuyo
마스바테어isad
usad
duwa
duha
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o
힐리가이논어isaduhatatloapatlimaanompitowalosiyamnapulo
세부어usaduha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o
pulo
와라이어usaduha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ò
타우수그어isaduwaupatlimaunumpituwalusiyamhangpu'
마라나오어isaduatelupatlimanempituualusiausapulu'
라왕안어erayduaqtoluuopaatlimaqjawatnturuwalosiesepuluh
룬바왕어ecehduehteluhepatlimehenemtudu'waluhliwa'pulu'
두순어isoduotoluapatlimoonomturuwalusiamhopod
말라가시어isa
iray
roateloefatradimyeninafitovalosivyfolo
상이르어sembaudaruatateluepalimaenengpituwalusiomapulo
오세아니아어군12345678910
피지어duaruatoluvaalimaonovituwaluciwatini
하와이어'e-kahi'e-lua'e-kolu'e-hā'e-lima'e-ono'e-hiku'e-walu'e-iwa'umi
키리바시어teuanauouatenuaauanimauaonouaituawanuaruaiwatebwina
마오리어tahiruatoruwhārimaonowhituwaruiwatekau
ngahuru
마셜어[50]juonruojiluemānļalemjiljinojimjuonralitōkratimjuonjon̄oul
모투어[51]taruatoihaniimatauratoihitutaurahanitaurahani-tagwauta
니우에어tahauatolulimaonofituvaluhivahogofulu
라파누이어tahiruatorurimaonohituva'uivaangahuru
라로통아어ta'iruatorurimaono'ituvaruivanga'uru
로투마어taruafoluhakelimaonohifuvạlusivasaghulu
사모아어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
사모아어(K형)kasiluakolufalimaogofikuvaluivasefulu
타히티어hō'ē
tahi
pititorumahapaeōnohituva'uivaē ahuru
통가어tahauatolufanimaonofituvaluhivahongofulu
taha noa
추크어eetérúúwéénfáánniimwoonfúúswaanttiwengoon
투발루어tahi
tasi
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



class="nowrap" | 아홉 개 어휘 비교
한국어사람새롭다우리(대명사)무엇
오스트로네시아조어*Cau*balay, *Rumaq*asu*zalan*qaləjaw, *waRi*baqəRu*kita, *kami*anu, *apa*Sapuy
테툼어emaumaasudalanloronfounitasaidaahi
아미스어tamdawlumawaculalancidalfarohkitaumannamal
푸유마어tawrumahsoandalanwarivekarmiamanaiapue,
asi
타갈로그어taobahayasodaanarawbagotayo / kamianoapoy
중부 비콜어táwoharongáyamdálanaldawbâgokitáanókalayó
린코나다 비콜어tawōbaləyayamraranaldəwbāgokitāonōkalayō
와라이어tawobalayayam,
ido
dalanadlawbag-okitaanukalayo
세부어tawobalayirodalanadlawbag-okitaunsakalayo
힐리가이논어tawobalayidodalanadlawbag-okitaanokalayo
아클라논어tawobaeayayamdaeanadlawbag-okitaanokaeayo
카라이아어tawobalayayamdalanadlawbag-okitaanokalayo
타우수그어taubayiru'danadlawba-gukitaniyuunukayu
마라나오어tawwalayasolalangawi'ibagosəkita/səkamiantona’aapoy
팜팡가어táubaléásudálanaldóbáyuíkatamunánuapî
팡가시난어tooabongasodalanageobalosikatayoantopool
일로코어taobalayasokalsadaaldawbarodakamianiaapuy
이바탄어taovahaychitorarahanarawva-yoyatenangoapoy
이바나그어tolaybalaykitudalanaggawbagusittamanniafi
요가드어tolaybinalayatudaddamanagawbagusikitamganiafuy
가당어tolaybalayatudallanawbawuikkanetamsanenayafuy
트볼리어taugunuohulankdawlomitekuyteduofih
룬 바왕어lemulun/lunruma'uko'dalanecoberuhteuenunapui
말레이어orangrumah,
balai
anjingjalanharibarukitaapa,
anu
api
고대 자와어wwangumahasudalandinahañar, añar[52]kami[53]apa,
aparan
apuy,
agni
자와어[54]uwong,
tiyang,
priyantun
omah,
griya,
dalem
asu,
sĕgawon
dalan,
gili
dina,
dinten
anyar,
énggal
awaké dhéwé,
kula panjenengan
apa,
punapa
gĕni,
latu,
brama
순다어urangimahanjingjalanpoeanyar,
enggal
arurangnaonseuneu
아체어ureuëngrumoh,
balè,
seuëng
asèëröturoëbarô(geu)tanyoëpeuëapui
미낭카바우어urangrumahanjianglabuah,
jalan
haribaruawakapoapi
르장어tunumêakkuyukdalênbilaiblauitêjano,
gen,
inê
opoi
람풍어jelemalambankaciranlayakhanibarukhamapiapui
부기어taubolaasulalengessobaruidi'agaapi
트무안어uwang,
eang
gumah,
umah
anying,
koyok
jalanaik,
haik
bahaukkitakapakapik
토바바탁어halakjabubiangdalanaribaruhitaahaapi
빠따니 말레이어ogheghumoh,
dumoh
anjingjaleaghibaghukitogapoapi
차모로어taotao/tautauguma'ga'lågu[55]chålanha'åninuebu[56]hitahåfaguåfi
모투어taurumasisiadaladinamatamataita,
ai
dahakalahi
마오리어tangatawharekurīarahoutāua, tātou/tātau
māua, mātou/mātau
ahaahi
투발루어tokofalekuliala,
tuu
asofoutāuaaafi
하와이어kanakahale'īlioalaaohoukākouahaahi
반자르어urangrūmahhadupanhekohǎrihanyarkamiapaapi
말라가시어olonatranoalikalalanaandrovaovaoisikainonaafo
두순어tulunwalai,
lamin
tasuralantadauwagutokouonu/nutapui
해안 카다잔어tuhunhamintasulahantadauvagutokouonu,
nunu
tapui
룽우스어tulun,
tulzun
valai,
valzai
tasudalantadauvagutokoununutapui,
apui
탐바누오어lobuwwaloiasuralanrunatwagutokoonuapui
이반어orang,
urang
rumahukui,
uduk
jalaiharibarukitainamaapi
사라왁 말레이어orangrumahasukjalanaribarukitaapaapi
트렝가누 말레이어oghangghumoh,
dumoh
anjingjalangaghibaghukitemende, ape,
gape, nape
api
카나이튼어urakngrumahasu'jalatnaribarukami',
diri'
aheapi


4. 분류


  • isa*duSa*təlu*Səpat*lima*ənəm*pitu*walu*Siwa*(sa-)puluq대만 제어12345678910아타얄어qutuxsazingcyugalpayatmagalmtzyumpitumspatmqerumopuw세에디크어kingaldahaterusepacrimammterumpitummsepacmngarimaxal트루쿠어kingaldhatruspatrimamataruempitumaspatmngarimaxal사오어tahatushaturushpattarimakaturupitukashpattanathumakthin파포라어tanunyatulpatlimaminumpitumehalmesimetsi바부자어natanaroanaturanaspatnahopnaitunaitonatapmaitutsihet타오카스어tatanuruatool'alapathasaptahapyuwetomahalpattanasotais'id파제흐어adangdusatu'usupatxasepxasebuzaxasebidusaxasebitu'uxasebisupatisit사이시야트어'aeihae'roSa'to:lo'SopathasebSayboSi:maykaSpathae'hae'lampez초우어coniyusotuyusʉptʉeimonomʉpituvoyusiomaskʉ부눈어tasʔadusataupaathimanuumpituvausivamasʔan루카이어ithadrusatulrusupatelrimaenemepituvalrubangatepulruku파이완어itadrusatjelusepatjlimaenempitjualusivatapuluq푸유마어isazuwatelupatlimaunempituwaluiwapulu'크바란어usiquzusautuluuspatulimaunemupituuwaluusiwarabtin바사이어tsalusatsusəpattsjimaanəmpituwasusiwalabatan아미스어cecaytosatolospatlimaenempitofalosiwamo^tep사키자야어cacaytosatolosepatlimaenempitowalosiwa시라야어sasaatduhaturutapattu-rimatu-numpitupipakudaketeng타이보안어tsaha'ruhatohopaha'himalomkito'kipa'matuhakaipien마카타오어na-saadra-ruhara-rumara-sipatra-limara-hurumra-pitora-harura-siwara-kaitian야미어asadoraatloapatlimaanempitowaosiyampoo카우카우트어iszusdorsoprimənpitarsiutor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12345678910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əsa
    *isa*duha*təlu*əpat*lima*ənəm*pitu*walu*siwa*puluq아체어saduwalheepeuetlimongnamtujohlapansikureuengsiploh발리어besik
    sikiduatelupapatlimenenempitukutussiadasa반자르어asaduataluampatlimaanampituwalusangasapuluh토바바탁어sadaduatoluopatlimaonompituualusiasampulu부기어ceddiduatelluempalimaennengpituaruaaseraseppulo찌아찌아어dise
    iserua
    ghuatolupa'alimano'opicuwalu
    oalusiuaompulu참어saduaklaupaklimanamtujuhdalapansalapansapluh고대 자와어[46]sa
    (sa' / sak)rwatĕlupātlimanĕmpituwalusangasapuluh자와어(크라마)setunggalkalihtigasekawangangsalenempituwolusangasedasa자와어(응오코)[47]siji
    ← sahijiloro
    ← ka-rwa
    (ka-ro)telupapatlimaenempituwolusangasepuluh빠따니 말레이어soduwotigopaklimonetujohlapesmilespuloh마두라어settongdhuwa'tello'empa'lema'ennempetto'ballu'sanga'sapolo마카사르어se'reruatalluappa'limaannangtujusangantujusalapangsampulo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시아어)sa/se
    satu
    suatuduatiga[48]empatlimaenamtujuhdelapan
    lapan[49]sembilansepuluh미낭카바우어ciekduotigoampeklimoanamtujuahsalapansambilansapuluah모켄어cha:?thuwa:?teloj
    (təlɔy)pa:tlema:?namluɟuːkwaloj
    (walɔy)chewaj
    (cʰɛwaːy / sɛwaːy)cepoh르장어doduaitlaupatlêmonumtujuakdêlapênsêmbilansêpuluak사삭어sekekdueteloempatlimeenampitukbaluksiwaksepulu순다어hijiduatiluopatlimageneptujuhdalapansalapansapuluh트렝가누 말레이어seduwetigepaklimenangtujohlapangsmilangspuloh테툼어idaruatoluhatlimanenhituualusiasanulu차트어일로코어maysaduatallouppatlimainnempitowalosiamsangapulo이바나그어taddayduwatalluappa'limaannampituwalusiyammafulu팡가시난어sakeyduwataloapatlimaanempitowalosiyamsamplo팜팡가어métung
    isáadwáatlúápatlimáánampitúwalúsiámapúlu타갈로그어isádalawátatlóapatlimáanimpitówalósiyámsampû비콜어sarôduwátulóapatlimáanompitówalósiyámsampulû아클라논어isaea
    sambilogdaywatatloap-atlimaan-ompitowaeosiyamnapueo카라이아어(i)saradarwatatloapatlimaanəmpitowalosiyamnapulo온한어isyadarwatatloupatlimaan-ompitowalosiyamsampulo롬블로마논어isaduhatuyoupatlimaonumpitowayosiyamnapuyo마스바테어isad
    usadduwa
    duha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o힐리가이논어isaduhatatloapatlimaanompitowalosiyamnapulo세부어usaduha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o
    pulo와라이어usaduhatuloupatlimaunompitowalosiyamnapulò타우수그어isaduwatūupatlimaunumpituwalusiyamhangpu'마라나오어isaduatelupatlimanempituualusiausapulu'라왕안어erayduaqtoluuopaatlimaqjawatnturuwalosiesepuluh룬바왕어ecehduehteluhepatlimehenemtudu'waluhliwa'pulu'두순어isoduotoluapatlimoonomturuwalusiamhopod말라가시어isa
    irayroateloefatradimyeninafitovalosivyfolo상이르어sembaudaruatateluepalimaenengpituwalusiomapulo오세아니아어군12345678910피지어duaruatoluvaalimaonovituwaluciwatini하와이어'e-kahi'e-lua'e-kolu'e-hā'e-lima'e-ono'e-hiku'e-walu'e-iwa'umi키리바시어teuanauouatenuaauanimauaonouaituawanuaruaiwatebwina마오리어tahiruatoruwhārimaonowhituwaruiwatekau
    ngahuru마셜어[50]juonruojiluemānļalemjiljinojimjuonralitōkratimjuonjon̄oul모투어[51]taruatoihaniimatauratoihitutaurahanitaurahani-tagwauta니우에어tahauatolufālimaonofituvaluhivahogofulu라파누이어tahiruatoruhārimaonohituva'uivaangahuru라로통아어ta'iruatoru'ārimaono'ituvaruivanga'uru로투마어taruafoluhakelimaonohifuvạlusivasaghulu사모아어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사모아어(K형)kasiluakolufalimaogofikuvaluivasefulu타히티어hō'ē
    tahipititorumahapaeōnohituva'uivahōē ahuru통가어tahauatolufanimaonofituvaluhivahongofulu
    taha noa추크어eetérúúwéénfáánniimwoonfúúswaanttiwengoon투발루어tahi
    tasiluatolufalimaonofituvaluivasefulu



아홉 개 어휘 비교
한국어사람새롭다우리(대명사)무엇
오스트로네시아조어*Cau*balay, *Rumaq*asu*zalan*qaləjaw, *waRi*baqəRu*kita, *kami*anu, *apa*Sapuy
테툼어emaumaasudalanloronfounitasaidaahi
아미스어tamdawlumawaculalancidalfarohkitaumannamal
푸유마어tawrumahsoandalanwarivekarmiamanaiapue,
asi
타갈로그어taobahayasodaanarawbagotayo / kamianoapoy
중부 비콜어táwoharongáyamdálanaldawbâgokitáanókalayó
링코나다 비콜어tawōbaləyayamraranaldəwbāgokitāonōkalayō
와라이어tawobalayayam,
ido
dalanadlawbag-okitaanukalayo
세부어tawobalayirodalanadlawbag-okitaunsakalayo
힐리가이논어tawobalayidodalanadlawbag-okitaanokalayo
아클라논어tawobaeayayamdaeanadlawbag-okitaanokaeayo
카라이아어tawobalayayamdalanadlawbag-okitaanokalayo
타우수그어taubayiru'danadlawba-gukitaniyuunukayu
마라나오어tawwalayasolalangawi'ebagotanotonaaapoy
팜팡가어táubaléásudálanaldóbáyuíkatamunánuapî
팡가시난어tooabongasodalanageobalosikatayoantopool
일로코어taobalayasodalanaldawbarodatayoaniaapoy
이바탄어taovahaychitorarahanarawva-yoyatenangoapoy
이바나그어tolaybalaykitudalanaggawbagusittamanniafi
요가드어tolaybinalayatudaddamanagawbagusikitamganiafuy
갓당어tolaybalayatudallanawbawuikkanetamsanenayafuy
트볼리어taugunuohulankdawlomitekuyteduofih
룬바왕어lemulun/lunruma'uko'dalanecoberuhteuenunapui
말레이어orangrumah,
balai
anjingjalanharibarukitaapa,
anu
api
고대 자와어wwangumahasudalandinahañar, añar[52]kami[53]apa,
aparan
apuy,
agni
자와어[54]uwong,
tiyang,
priyantun
omah,
griya,
dalem
asu,
sĕgawon
dalan,
gili
dina,
dinten
anyar,
énggal
awaké dhéwé,
kula panjenengan
apa,
punapa
gĕni,
latu,
brama
순다어urangimahanjingjalanpoeanyar,
enggal
arurangnaonseuneu
아체어ureuëngrumoh,
balè,
seuëng
asèëröturoëbarô(geu)tanyoëpeuëapui
미낭카바우어urangrumahanjianglabuah,
jalan
haribaruawakapoapi
르장어tunumêakkuyukdalênbilaiblauitêjano,
gen,
inê
opoi
람풍어jelemalambankaciranlayakhanibarukhamapiapui
부기어taubolaasulalengessobaruidi'agaapi
트무안어uwang,
eang
gumah,
umah
anying,
koyok
jalanaik,
haik
bahaukkitakapakapik
토바바탁어halakjabubiangdalanaribaruhitaahaapi
빠따니 말레이어ogheghumoh,
dumoh
anjingjaleaghibaghukitogapoapi
차모로어taotao/tautauguma'ga'lågu[55]chålanha'åninuebu[56]hitahåfaguåfi
모투어taurumasisiadaladinamatamataita,
ai
dahakalahi
마오리어tangatawharekurīarahoutāua, tātou/tātau
māua, mātou/mātau
ahaahi
투발루어tokofalekuliala,
tuu
asofoutāuaaafi
하와이어kanakahale'īlioalaaohoukākouahaahi
반자르어urangrūmahhadupanhekohǎrihanyarkamiapaapi
말라가시어olonatranoalikalalanaandrovaovaoisikainonaafo
두순어tulunwalai,
lamin
tasuralantadauwagutokouonu/nutapui
해안 카다잔어tuhunhamintasulahantadauvagutokouonu,
nunu
tapui
룽우스어tulun,
tulzun
valai,
valzai
tasudalantadauvagutokoununutapui,
apui
탐바누오어lobuwwaloiasuralanrunatwagutokoonuapui
이반어orang,
urang
rumahukui,
uduk
jalaiharibarukitainamaapi
사라왁 말레이어orangrumahasukjalanaribarukitaapaapi
트렝가누 말레이어oghangghumoh,
dumoh
anjingjalangaghibaghukitemende, ape,
gape, nape
api
카나이튼어urakngrumahasu'jalatnaribarukami',
diri'
aheapi



Blust (1999)에 따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분포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내적 계통 관계는 복잡하다. 방언연속체나 서로 유사하고 가까운 언어들이 아주 많아서, 분기군 간의 경계를 긋기가 힘들다. 그렇지만 계통적 다양성이 대만 제어 사이에서 가장 크고, 태평양 섬의 언어들 사이에서 가장 작은 것은 분명하므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대만이나 중국 지역에서 퍼져나갔다고 볼 수 있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t, *C와 *n, *N가 각각 /t/와 /n/으로 합류한 점, *S가 /h/로 변화한 점, 다른 타이완 제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lima '다섯' 등의 어휘를 보유한 점을 들어 블러스트의 동타이완어파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이 빠르게 광대한 영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지역마다 계통 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여러 어군들이 생겨났다. 특히 두 번의 큰 이주 사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첫 번째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멜라네시아에 분포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이주이다. 중동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언어들의 유사성은 계통적으로 가까워서가 아니라 비오스트로네시아계 기층 언어들의 강한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두 번째는 폴리네시아와 미크로네시아로 퍼져나간 오세아니아어군의 이주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외에도 13개의 대만 어파들이 널리 인정된다. 논란은 주로 이 어파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Blust (1999)에 따른 중국인의 대만 진출 이전 대만 제어의 분포

4. 1. 타이완 제어



Li (2008)에 따른 중국인의 대만 진출 이전 대만 제어의 분포. 녹색으로 표시된 언어들(부눈어, 푸유마어, 파이완어)은 남대만어파를 이룰 가능성이 있으나 확실치 않음.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외에도 13개의 포르모사어군(Formosan subgroups)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38][39] 포르모사어군, 그리고 더 나아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최상위 구조 분류에 대한 중요한 논문은 Blust (1999)이다. 저명한 포르모사어 연구자들은 일부 세부 사항에 대해 이견을 가지고 있지만, 이 논문은 여전히 현재 언어학적 분석의 기준점으로 남아 있다. 논쟁은 주로 이들 어족 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Blust (1999)는 두 어족을 서부 평원 그룹으로, 두 어족을 북서부 포르모사 그룹으로, 세 어족을 동부 포르모사 그룹으로 묶는 반면, Li (2008)는 다섯 어족을 북부 포르모사 그룹으로 묶는다. Harvey (1982), Chang (2006) 및 Ross (2012)는 초우어군(Tsouic)을 분리했으며, Blust (2013)는 이 그룹이 유효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 동의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파이완어족, 푸유마어, 부눈어, 아미스어, 말레이폴리네시아어의 축소된 파이완어족에 대한 음운론적 증거를 제시했지만, 이는 어휘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동부 포르모사 지역의 바사이어, 카발란족, 아미스족은 "시나사이(Sinasay)" 또는 "사나사이(Sanasay)"라는 섬에서 온다는 공통된 기원 설화를 공유한다. 특히 아미스족은 자신들이 동쪽에서 왔으며, 정착했던 푸유마족에게 종속적인 집단으로 취급받았다고 주장한다.[11]

언어학적 분류는 언어학자에 따라 여러 학설이 있지만, 여기서는 유력한 분류를 소개한다. 어떤 분류이든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우선 타이완 제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의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단 최신 계통 분석에서는 타이완 제어가 측계통군이다.

어군언어
아타얄어군(타이얄어군)
초우어군
파이완어군


4. 2.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서쪽으로 마다가스카르에서 동쪽으로 이스터 섬, 남쪽으로 뉴질랜드에서 북쪽으로 타이완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게 분포하며, 1000개 가까운 언어[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언어들은 아마도 6000년 전경 오스트로네시아 원어에서 갈라져 나오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언어학적 분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타이완 제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으로 나뉜다.[38][39] 다만, 최신 계통 분석에서는 타이완 제어가 측계통군으로 나타나고 있다.

는 보르네오섬 북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마다가스카르어도 이 그룹에 포함된다.

위의 출력 형식에서 발견된 문제점 및 수정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템플릿 제거: ``, `` 등의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2. 불필요한 문장: "는 주로 보르네오섬 북부에 분포하는 언어이지만, 마다가스카르어도 이 그룹에 속한다." 문장은 중복되므로 삭제해야 합니다. 또한, 소제목 아래 첫 문장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3. 목록 형식: `` 템플릿을 제거하면서 하위 목록의 들여쓰기가 깨졌습니다. 이를 수정해야 합니다.

수정된 출력: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보르네오섬 북부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마다가스카르어도 이 그룹에 포함된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오스트로어족이라는 하나의 대어족으로 묶으려는 시도가 있다. 대부분은 유형론적 증거를 기반으로 한 주장이지만, 전자의 보수적인 분기군인 니코바르어파와 필리핀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 간에 형태론적인 관련성이 있다는 증거도 있다.

태국어가 속한 크라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연결시키려는 시도가 있는데, 이를 오스트로타이 가설이라고 한다. 폴 베네딕트가 처음 제안했으며, 위라 오사타피랏, 로저 블렌치, 로랑 사가르 등의 지지를 받고 있다. 오사타피랏은 두 어족을 연결시키는 규칙적인 대응 관계들을 제시하며, 원향인 중국에 남은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크라다이조어 화자로 갈라져 나왔다고 주장한다.[63] 블렌치는 "만약" 이 연결이 타당하다면, 두 어족이 동등하게 하나의 조어에서 갈라져 나왔을 가능성은 적다고 보았다. 크라다이조어 화자들은 필리핀 북부에서 하이난섬으로 이주했다가 대륙부 아시아로 돌아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고, 크라다이어족만의 특징은 몽몐어족중국어파 언어들과의 접촉을 통해 급격하게 재구조화된 결과라는 것이다.

베네딕트는 오스트로타이 가설을 확장해 일본어족을 추가했다.[63] 프랑스의 언어학자이자 중국학자 로랑 사가르는 이에 더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중국티베트어족과도 친연 관계가 있다고 본다.[64] 사가르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순환적인 방식으로 분류하여, 크라다이어족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자매 분기군으로 설정했다. 동료 학자들은 사가르가 사용한 방법론이 겉보기에만 그럴 듯하다고 여긴다.

베네딕트 (1990), 마쓰모토 (1975), 밀러 (1967) 등을 위시한 언어학자들은 일본어족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다른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오스트로네시아계 기층 언어나 인접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더 그럴 듯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설을 제시하는 학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남쪽뿐 아니라 북쪽의 섬들에도 퍼져나갔었다고 여긴다. 2017년 마르티너 로베이츠[65] 일본어가 "트랜스유라시아어족"(대알타이어족)에 속하지만,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가상의 자매 언어인 "유사오스트로네시아어"로부터 어휘 방면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2009년 언어학자 앤 쿠마르는 일부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아마도 자와섬 출신의 지배계층이 일본으로 이주해 일본 사회의 위계 구조를 만들었다고 주장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일본어 간에 82가지 동근어 후보를 제시했다.[66] 2011년 이타바시 요시조는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계통상 관련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찾았다고 주장했다. 이타바시는 음운론뿐 아니라 형태론, 통사론, 어휘까지 유사하며, 또한 이러한 증거를 통해 두 어족 간에 강한 계통적 관련성이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

최근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옹게조어가 공통 조상 언어의 후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8]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논란의 소지가 다분하다. 2014년 로버트 블러스트는 블레빈스의 가설이 설득력 없으며, 우연적인 유사성과 방법론적으로 잘못된 비교에 기반해 있다며 이 가설을 기각했다.[69]

프랑스 언어학자이자 한문학자로랑 사가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중국-티베트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며, 크라다이어족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 더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분류한다.[18] 사가르는 기본 어휘의 음운 대응과 형태론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중국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 간의 남북 방향 유전적 관계를 주장한다. 로랑 사가르(2017)는 대만 오스트로네시아어에 두 종류의 기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초기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중국 동북부, 즉 중국-티베트어족의 기원지와 인접한 지역에 살았다는 결론을 내린다. Ko 등의 유전 연구(2014)는 오스트로네시아어에만 독점적으로 존재하는 mtDNA E-해플로그룹과 대부분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M9a 해플로그룹이 자매 그룹임을 지적하며, 적어도 초기 오스트로네시아인과 중국-티베트어족의 모계 유전자 풀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시사하여 로랑 사가르의 언어학적 제안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Wei 등(2017)의 연구 결과 또한 사가르의 제안과 일치하는데, 그들의 분석은 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Y-DNA 해플로그룹 O3a2b*-P164(xM134)가 한국에서 베트남에 이르는 아시아 동부 해안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새롭게 정의된 해플로그룹 O3a2b2-N6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가르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재귀적인 방식으로 분류하여 크라다이어족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자매 분기로 위치시킨다. 그러나 그의 방법론은 동료 학자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다른 일부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없고, 오스트로네시아어의 기층(Substratum) 또는 혼합층(Adstratum)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학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과거 남쪽뿐 아니라 북쪽 섬들에도 걸쳐 분포했었다고 제안한다. 마르틴 로베츠(2017)[19]는 일본어가 "트란스유라시아어"(= 거대알타이어족)에 속하지만, 추정되는 원오스트로네시아어의 자매 언어인 "준오스트로네시아어"의 어휘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언어학자 앤 쿠마르(2009)는 일부 오스트로네시아인, 특히 자바(Java) 출신의 엘리트 집단이 일본으로 이주하여 일본의 계층적 사회를 형성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 그녀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와 일본어 사이에 82개의 가능한 동족어를 확인했지만, 그녀의 이론은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다.[20] 언어학자 아샤 페렐츠바이그는 쿠마르의 이론을 여러 측면에서 비판했다.[21]

2001년, 스탠리 스타로스타는 동아시아어족이라는 새로운 어족을 제안했는데, 여기에는 동아시아 지역의 주요 어족 대부분이 포함되지만 일본어족한국어족은 제외된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관련된 유전자로는 Y염색체 해프로그룹O1a가 있다. 그러나 Y염색체 해프로그룹은 모든 유전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일부 유전자만을 나타낸다. O1a 계통은 타이완 원주민에서 66.3%[42]-89.6%[43], 니아스섬에서 100%[43]동남아시아의 반도, 도서 지역, 오세아니아에도 고빈도로 나타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관련성이 추정된다.[44] 또한 O2a2* 계통(xO2a2b-M7, O2a2c1-M134)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관련이 있으며, 수마트라섬의 토바인에게 55.3%, 통가에 41.7%, 필리핀에 25.0% 관찰된다.[43]

mtDNA 해프로그룹은 해프로그룹 B4a1a(타이완에서 폴리네시아까지 광역 분포), 해프로그룹 E(섬 동남아시아가 중심)가 관련되어 있다.

6. 지역별 상황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마다가스카르에서 이스터 섬, 타이완에서 뉴질랜드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게 분포한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에서 다양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가 사용된다. 인도차이나 반도의 참어마다가스카르의 마다가스카르어도 이 어족에 속한다.

타이완 원주민의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조상 형태를 보존하고 있으며, 아미족어 화자가 가장 많다. 그러나 현대 타이완에서는 중국어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원주민 언어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태평양 지역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멜라네시아계와 폴리네시아계로 나뉜다. 멜라네시아계는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피지 등에, 폴리네시아계는 하와이 제도, 이스터 섬, 사모아, 통가, 뉴질랜드 등에 분포한다.

6. 1.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이며,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를 바탕으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각 지역에서는 자바어,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어, 발리어, 부기스어, 마카사르어, 아체어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어는 이러한 말레이계 언어들의 새로운 공통어로 제정되었다. 말레이어가 인도네시아의 공통어가 된 역사적 배경으로는 15세기부터 16세기 초에 걸쳐 말레이 반도 남쪽 해안에서 번성했던 말라카 왕국의 영향을 들 수 있다. 말라카 왕국에서 이슬람이 퍼져나갔고, 그 언어가 상업 용어로도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자바어 모어 화자 수는 압도적이지만, 자바어를 공용어로 선정하면 자바인의 다수 우위를 조장하는 것, 난해한 경어 표현을 배워야 하는 어려움, 그리고 경어를 중시하는 것은 새로운 국가가 표방하는 자유와 평등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채택되지 않았다.

6.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의 국어는 바하사 말레이시아(말레이시아어)이며, 이 나라에서 사용되는 표준 말레이어2007년에 말레이시아어로 제정하였다. 기존의 "말레이어"는 넓은 의미로 인도네시아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지만, 국가명을 넣음으로써 구별이 명확해졌다.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는 매우 공통적인 부분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식민지 시대의 종주국 언어의 차이에 따른 차용어의 차이, 그리고 인도네시아어 제정 이전부터 사용해 온 모어자와어, 부타위어 등 방언의 유입으로 인해, 양국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에서는 공통되지 않는 부분도 많다.

6. 3. 필리핀

필리핀 제어[40]는 북쪽으로는 타이완 해협의 란위에서 남쪽으로는 보르네오 북부까지 분포하고 있다. 필리핀의 공용어는 루손섬 남부의 말레이계 언어인 타갈로그어(Tagalog)이지만, 필리핀 각 지역에는 세부아노어(Cebuano), 일로카노어(Ilokano), 판가시난어(Pangasinan) 등 다양한 말레이계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타갈로그어마닐라(Manila) 수도권을 포함한 루손섬 중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것을 표준화하여 1987년에 필리핀어(Filipino)로 정해졌으며, 영어(English)와 함께 헌법에 의해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6. 4. 인도차이나 반도

말레이계 언어는 인도차이나 반도에도 분포한다. 참파 왕국을 건국한 참족의 언어인 참어가 그 예이다. 참파 왕국은 베트남에 멸망했지만, 민족으로서의 참족은 베트남 중부에서 캄보디아까지 현재에도 존속하고 있다.[61]

6. 5. 마다가스카르

아프리카 동부의 마다가스카르까지 말레이계 언어가 분포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지만, 이는 해양 민족인 말레이계 민족의 이주 때문이다.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다가스카르어(말라가시어)와 말레이어 사이의 언어학적 친연 관계는 강하다고 여겨진다. 마다가스카르의 말레이계 민족(말라가시인종)은 인종적으로 아프리카 흑인인 반투족혼혈되어 있으며, 언어에도 그 영향이 보인다.

Bornean languages영어는 주로 보르네오섬 북부에 분포하는 언어이지만, 마다가스카르어도 이 그룹에 속한다.

East Barito languages영어
마다가스카르어


6. 6. 타이완

리 런구이는 Starosta (1995)의 모형을 따라 대만조어(F0)를 설정하고 오스트로네시아조어(PAN)와 동일시했다.[58][59] 루카이어의 위치가 논란거리이기는 하나,[60] 루카이어와 초우어파는 서로 크게 다르다고 본다.
초우어
남초우어군
* 사아로아어
* 카나카나부어
'''북대만어파'''
* 북서대만어군 (평원)
** 사이시야트어, 쿨론어, 파제흐어
** 서대만어군
*** 사오어
*** 서안: 파포라어, 호아냐어, 바부자어, 타오카스어
* 아타얄어군
** 아타얄어
** 세에디크어
'''동대만어파'''
* 크바란어, 바사이어
* 시라야어, 아미스어
?'''남대만어군''' (불확실)
* 부눈어
* 파이완어, 푸유마어 (불확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조상 형태를 남긴 타이완 원주민(중국어: 高山族중국어, 일본어: 高砂族일본어) 여러 부족의 언어는 아타얄어(타이알어)군, 조우어군, 파이완어군으로 크게 나뉘며, 이 중 파이완어군에 속하는 아미족어 화자가 10만 명 전후로 가장 많고, 다른 언어 화자는 수천 명 이하이다. 현대 타이완인 대부분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주민과 혼혈되었지만, 타이완 정부에 의해 중국어(주로 베이징어, 타이완어) 사용이 일반적이며, 원주민 언어는 소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원주민 언어의 언어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6. 7. 기타 지역

2009년 맬컴 로스는 다양한 타이완 제어의 형태론적 특징을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새로운 분류를 제시했다.[61] 로스는 현재의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재구가 사실은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이 단계를 "핵심 오스트로네시아 조어"라고 이름붙였다. 로스는 또한 초우어파 언어들이 단일 분기군을 이루지 않는다고 보고, 남초우어군으로 분류되었던 카나카나부어와 사아로아어를 다른 어파로 재분류했다. 이는 Chang (2006)에서 초우어파가 유효한 분류군이 아니라는 주장과 결을 같이한다.[62]

태평양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해양계)은 뉴기니아 북부 연안 지역의 언어에서 파생되었다. 멜라네시아계와 폴리네시아계로 크게 나뉘며, 전자에서 후자가 파생되었다. 멜라네시아계는 중부 태평양의 솔로몬 제도, 뉴헤브리디스 제도(바누아투), 피지 등에 분포하고, 폴리네시아계는 미국하와이 제도, 칠레이스터섬, 사모아, 통가, 뉴질랜드에 분포한다. 뉴질랜드의 폴리네시아계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남쪽 한계가 된다.

7. 일본어와의 관련

일본어의 문법은 한국어와 유사성이 높지만, 모음의 음운 체계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유사성이 약간 있다. 일본 죠몬 시대에 일본 열도에서 한반도에서 남하한 언어 집단과 남방계 언어 집단이 만나 혼합되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설은 아직 확실한 근거가 없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일본어가 서로 관련이 있다는 설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이 아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의 유사성은 우연의 일치라고 생각되고 있다[45].

일부 언어학자들은 일본어족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다른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계통상 관련이 있다기보다는, 오스트로네시아계 기층 언어나 인접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는 것이 더 그럴 듯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가설을 제시하는 학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남쪽뿐 아니라 북쪽의 섬들에도 퍼져나갔었다고 여긴다.

2017년 마르티너 로베이츠[65] 일본어가 "트랜스유라시아어족"(대알타이어족)에 속하지만,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가상의 자매 언어인 "유사오스트로네시아어"로부터 어휘 방면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2009년 언어학자 앤 쿠마르는 일부 오스트로네시아인들, 아마도 자와섬 출신의 지배계층이 일본으로 이주해 일본 사회의 위계 구조를 만들었다고 주장했으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일본어 간에 82가지 동근어 후보를 제시했다.[66]

2011년 이타바시 요시조는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계통상 관련이 있다는 강력한 증거를 찾았다고 주장했다. 이타바시는 음운론뿐 아니라 형태론, 통사론, 어휘까지 유사하며, 또한 이러한 증거를 통해 두 어족 간에 강한 계통적 관련성이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

참조

[1] 백과사전 Austrones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6-10-26
[2]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ies; Ethnologue https://www.ethnolog[...]
[3] 웹사이트 Austronesian; Ethnologue https://www.ethnolog[...]
[4] 서적 The Indonesian Language: Its History and Role in Modern Society UNSW Press
[5]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The Philippine Experience Thus Far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6] 서적 History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7] 3 vols Vergleichende Lautlehre des austronesischen Wortschatzes Dietrich Reimer
[8] Dictionary Official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2)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10] 서적 Verbs: Aspect and Causal Stru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1] 간행물 A ramble through southern Formosa
[12] 서적 Austronesian Studies Relating to Taiwan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1995
[13] 논문
[14] 논문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15] 논문 A more detailed early Austronesian phylogeny
[16] 웹사이트 Shared innovations in early Austronesian phylogeny https://f-origin.hyp[...] 2021-07
[17] 간행물 Japanese/Austro-Tai By Paul K. Benedict (review)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1992-03
[18] 서적 Contemporary Issues in Nepalese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Nepal 2010-10-29
[19] 간행물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20] 서적 Globalizing the Prehistory of Japan: Language, Genes and Civilization. Routledge
[21] 웹사이트 Javanese influence on Japanese https://www.language[...] 2023-06-13
[22] 서적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https://archive.org/[...] Routledge Curzon
[23] 간행물 The East Asian linguistic phylum: A reconstruction based on language and genes https://web.archive.[...]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2018
[24] 서적 Kamus Jawa Kuno-Indonesia PT. Gramedia Pustaka Utama
[25] 웹사이트 Javanese alphabet (Carakan) http://www.omniglot.[...]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Peace Corps Marshall Islands: Marshallese Language Training Manual http://linguistics.b[...] 2007-08-27
[30] 서적 Say It In Motu: An instant introduction to the common language of Papua http://www.exkiap.ne[...] Pacific Publications
[31]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1982
[32]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1982
[33]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1982
[34] 서적 Javanese English Dictionary 2002
[35] 언어
[36] 언어
[37] 간행물 エスノローグ
[38] 서적 A Guide to the World Languages Stanford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http://language.psy.[...] Evolutionary Bioinformatics
[40] 기타
[41] 일반
[42] 논문 A Predominantly Indigenous Paternal Heritage for the Austronesian-Speaking Peoples of Insular Southeast Asia and Oceania 2001
[43] 논문 "Major East-West Division Underlies Y Chromosome Stratification across Indonesia" 2010
[44]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45] 간행물 隼人 : オーストロネシア系の古代日本部族 1998-03
[46] 서적 Kamus Jawa Kuno-Indonesia PT. Gramedia Pustaka Utama 1995
[47] 웹인용 Javanese alphabet (Carakan) http://www.omniglot.[...]
[48] 일반
[49] 일반
[50] 웹사이트 Peace Corps Marshall Islands: Marshallese Language Training Manual http://linguistics.b[...] 2007-08-27
[51] 서적 Say It In Motu: An instant introduction to the common language of Papua http://www.exkiap.ne[...] Pacific Publications
[52]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53] 서적 Old Javanese-English Dictionary
[54] 서적 Javanese English Dictionary
[55] 기타
[56] 기타
[57] 논문 A ramble through southern Formosa
[58] 간행물 Time perspective of Formosan Aborigines Taylor & Francis US
[59] 간행물 A grammatical subgrouping of Formosan languages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60] 기타
[61] 서적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Pacific Linguistics
[62] 서적 "Rethinking the Tsouic Subgroup Hypothesis: A Morphosyntactic Perspective."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63] 저널 Japanese/Austro-Tai By Paul K. Benedict (review) https://muse.jhu.edu[...]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1992-03-01
[64] 간행물 "Sino-Austronesian vs. Sino-Caucasian, Sino-Bodic vs. Sino-Tibetan, and Tibeto-Burman as default theory" http://www.eastling.[...] Contemporary Issues in Nepalese Linguistics
[65] 저널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https://brill.com/vi[...] 2019-04-02
[66] 서적 Globalizing the Prehistory of Japan: Language, Genes and Civilization. Routledge
[67] 논문 "An examination of a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tone distinction of the word-initial mora of Old-Japanese words and the voicing distinction of the word-initial consonant of the putative matching Austronesian words" http://www.izumi-syu[...] University of Kyushi 2019-04-23
[68] 저널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http://email.eva.mpg[...]
[69] 저널 "Some Recent Proposal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