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한 갈래로, 보르네오,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 자바, 남중국해, 말라카 해협 등지에서 사용된다. 말레이어군의 내부 분류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으며, 아델라르, 로스, 안데르베크, 스미스, 글로토로그 등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시되었다. 상위 분류와 관련해서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며, 참어군과 가깝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 더 넓은 범위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다. 말레이조어는 19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어근은 주로 두 음절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말레이어군 | |
---|---|
개요 | |
언어 유형 | 어족 |
사용 지역 | 해양 동남아시아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하위 분류 | 논쟁 중: 말레이숨바와어군 또는 대북보르네오어군 |
조어 | 원시 말레이어군 |
관련 어군 | 말레이-참어군 |
언어 코드 | |
글롯톨로그 | mala1538 |
글롯톨로그 명칭 | Malayic |
지도 정보 | |
![]() |
2. 역사
'말레이어군'이라는 용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 대한 딕(Dyen, 1965)의 어휘 통계 분류에서 처음 사용되었다.[1] 딕의 '말레이어 연합체'는 현재 받아들여지는 형태의 말레이어군보다 더 넓은 범위를 가졌으며, 아체어, 람풍어, 마두라어를 포함했다.[1] 노토퍼(Nothofer, 1988)는 말레이어군의 범위를 좁혔지만, 말레이어군이 아닌 레장어, 엠발로어를 포함시켰다.[1]
말레이어군은 보르네오, 수마트라, 말레이 반도, 자바와 남중국해 및 말라카 해협에 위치한 여러 섬에서 사용된다.
말레이어군에 속하는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있지만, 말레이어군의 내부 하위 분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1]
현재 전문가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는 말레이어군의 범위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K.A. 아델라르(Adelaar, 1992, 1993)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1]
3. 사용 지역
지역 사용되는 언어 보르네오 바마요어, 반자르어, 브라우, 브루나이, 부킷, 켄다얀, 케닌잘, 코타 방운 쿠타이, 텡가롱 쿠타이, 사라왁, 이반어군 (이반어, 레문어, 무알랑어, 세버루앙어) 말레이 반도 자쿤어, 케다, 켈란탄-파타니, 느게리슴빌란, 오랑 카낙, 오랑 셀레타르, 페락, 파항, 레만, 테무안, 트렝가누, 우락 라워이' 수마트라 중앙 말레이어, 콜, 하지, 잠비, 카우르, 케린치, 쿠부, 루부, 미낭카바우, 무시, 페칼 자바 베타위 남중국해/말라카 해협 방카, 두아노, 론총, 오랑 셀레타르 말루쿠 바칸
4. 하위 분류
아델라르(Adelaar, 1993)는 말레이어군을 이반어군, 표준 말레이어, 미낭카바우어, 중앙 말레이어, 반자르어, 베타위어 등으로 분류한다.[1]
로스(Ross, 2004)는 문법적 증거에 기반하여 말레이어군을 서말레이다약어군 (켄다얀어, 살라코어)과 핵심 말레이어군 (나머지 전부)으로 분류했다.[1] 이 분류는 글로톨로그 3.4판에 반영되어 있다.
안데르베크는 Malay영어라는 하위 분류를 상정하고, 리아우 제도의 오랑 라웃 부족 방언을 논하면서 이반어군, 켄다얀어/살라코어, 케닌잘어, 말레이다약어 (또는 “다약말레이어”) 및 우락라워이어와 두아노어를 제외한 모든 말레이어군 언어를 잠정적으로 ‘말레이어’로 분류했다.[8] 이 분류는 에스놀로그 17판에 반영되어 있다. 단, 에스놀로그는 두아노어를 ‘말레이어’에 속한다고 본다.
Smith (2017)는 보르네오의 언어를 논하면서, 보르네오 서부와 수마트라 남부의 말레이어군 언어들이 하위 분류를 이룬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여기에 “서보르네오 말레이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9] 그러나 다른 언어들은 분류하지 않았다. 서보르네오 말레이어군은 켄다얀·살라코어, 베세마어[9], 이반어군 (이반어, 세베루앙어, 무알룽어, 케닌잘어)을 포함한다.
오랑 아슬리 민족의 여러 말레이어군 언어가 말레이어와 같은 하위 분류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오마르(Omar)와 야하야(Yahaya)는 2018년에 주장했다.[10] 단, 훨씬 과거에 분기했으리라 여겨지는 두아노어는 포함되지 않는다.
4. 1. 내부 분류
말레이어군에 속하는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있지만, 말레이어군의 내부 하위 분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4. 1. 1. 아델라르 (Adelaar, 1993)
아델라르(Adelaar, 1993)는 말레이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
4. 1. 2. 로스 (Ross, 2004)
로스(Ross, 2004)는 문법적 증거에 기반하여 말레이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
이 분류는 글로톨로그 3.4판에 반영되어 있다.
4. 1. 3. 안데르베크 (Anderbeck, 2012)
안데르베크는 Malay영어라는 하위 분류를 상정하고, 리아우 제도의 오랑 라웃 부족 방언을 논하면서 이반어군, 켄다얀어/살라코어, 케닌잘어, 말레이다약어 (또는 “다약말레이어”) 및 우락라워이어와 두아노어를 제외한 모든 말레이어군 언어를 잠정적으로 ‘말레이어’로 분류했다.[8]
이 분류는 에스놀로그 17판에 반영되어 있다. 단, 에스놀로그는 두아노어를 ‘말레이어’에 속한다고 본다.
4. 1. 4. 스미스 (Smith, 2017)
Smith (2017)는 보르네오의 언어를 논하면서, 보르네오 서부와 수마트라 남부의 말레이어군 언어들이 하위 분류를 이룬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여기에 “서보르네오 말레이어군”이라는 이름을 붙였다.[9] 그러나 다른 언어들은 분류하지 않았다.4. 1. 5. 기타 가설
오랑 아슬리 민족의 여러 말레이어군 언어가 말레이어와 같은 하위 분류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오마르(Omar)와 야하야(Yahaya)는 2018년에 주장했다.[10] 단, 훨씬 과거에 분기했으리라 여겨지는 두아노어는 포함되지 않는다.
4. 2. 상위 분류
말레이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며, 참어군과 가깝다는 데에는 대부분 동의한다. 그러나 더 넓은 범위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크게 말레이숨바와어군 가설과 확대 북보르네오어군 가설이 있다.[1]
4. 2. 1. 말레이숨바와어군 가설 (Adelaar, 2005)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말레이어군은 참어군과 가까운 관계라는 데 대부분이 동의한다. 그러나 그보다 넓은 범위의 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크게 두 가지 제안이 있는데, 아델라르(Adelaar, 2005)는 말레이어군이 말레이숨바와어군에 속한다고 주장한다.[1]
말레이숨바와 가설은 주로 음운론적 증거와 적은 수의 어휘적 증거에 바탕을 둔다.
4. 2. 2. 확대 북보르네오어군 가설 (Blust, 2010; Smith, 2017)
Blust (2010)와 Smith (2017)는 말레이어군이 확대 북보르네오어군에 속한다고 주장한다.[1]
확대 북보르네오 가설은 폭넓은 다량의 어휘적 증거에 바탕을 둔다.[1]
5. 재구
말레이조어는 19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ay, *-aw 두 개의 이중모음을 가졌다.[11] 어근은 주로 두 음절이었지만, 한 음절, 세 음절, 네 음절인 경우도 있었다. 어근의 음절 구조는 [C V (N)] [C V (N)] [C V (N)] C V C 와 같았다.(C = 자음, V = 모음, N = 비음)[1] 말레이조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음운론
말레이조어에는 19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이 있었다.[11]
이중모음은 *-ay, *-aw 두 개가 있었다.
5. 2. 형태론
말레이조어 어근은 주로 두 음절이었지만 한 음절, 세 음절, 네 음절인 것도 있었다. 어근의 음절 구조는 다음과 같았다.[1]: 참고: C = 자음, V = 모음, N = 비음
[C V (N)] [C V (N)] [C V (N)] C V C |
참조
[1]
논문
Where does Malay come from? Twenty years of discussions about homeland, migrations and classifications
2004
[2]
서적
Indonesian language for Higher Education (eng)
https://books.google[...]
Aksara Timur
2020-12-30
[3]
간행물
Badan Bahasa Tegaskan Bahasa Indonesia dan Melayu Berbeda!
https://www.detik.co[...]
[4]
서적
Malay as a pluricentric language Pluricentric Languages: Differing Norms in Different Nations
Mouton de Gruyte
[5]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NU Press
2006
[6]
웹사이트
Malayic (mala1538)
https://glottolog.or[...]
2024-12-05
[7]
서적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ANU E Press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