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인도황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인도황단은 듬성듬성한 수관을 가진 중대형 낙엽수로, 씨앗과 뿌리순으로 번식한다. 최대 25m까지 자라며, 잎은 깃털 모양을, 꽃은 흰색 또는 분홍색을 띤다. 히말라야 산맥 산록에 자생하며, 가구, 악기 제작에 사용되는 목재는 시즈닝 과정을 거쳐 최고급 캐비넷 및 합판 재료로 활용된다. 또한 연료, 전통 의학, 칫솔, 살연체동물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펀자브주의 상징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북인도황단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albergia sissoo Roxb. |
이명 | Amerimnon sissoo Roxb.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콩아과 |
속 | 황단속(:en:Dalbergia) |
종 | 북인도황단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취약 (VU) |
2. 식물학적 특징
북인도황단은 씨앗과 신장지(기저 맹아)를 통해 번식한다. 원뿌리(직근)는 길고, 지면뿌리(surface root)가 많이 나는데, 여기에서 뿌리순(기저 맹아)이 뻗어나온다.[13][4] 씨앗은 심기 전에 48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어야 하며, 1~3주 후에 60~80% 정도 발아한다. 묘목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직접적으로 햇빛을 받아야 한다.[1] 검은라자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이다.[1]
2. 1. 형태
북인도황단은 씨앗과 신장지(기저 맹아)를 통해 번식하는, 듬성듬성한 수관을 가진 중대형 낙엽수이다.[13][4] 최대 높이 25m, 지름 2m에서 3m까지 자랄 수 있지만 보통은 이보다는 작다. 줄기는 개활지에서 자라날 경우 대개 굽이진다. 잎은 가죽 질감을 띠고, 번갈아 가며 나며, 깃털 모양으로 무리지어 나며 길이는 15cm 정도다. 꽃은 흰색 또는 분홍색이며, 향기를 풍기고, 거의 꽃자루가 없으며, 길이는 1.5cm에 달하고, 길이가 5cm에서 10cm에 이르는 빽빽한 송이를 이룬다. 길고 납작하고 얇으며 끈 같은 느낌이 드는 갈색 꼬투리는 길이 4cm에서 8cm, 폭 1cm에 달한다. 꼬투리 안에는 길이가 8mm에서 10mm에 달하는 납작한 콩 모양의 씨앗들이 1-5개 들어있다. 원뿌리(직근)는 길고, 지면뿌리(surface root)가 많이 나는데, 여기에서 뿌리순(기저 맹아)이 뻗어나온다. 어린 순은 보송보송하고 흐늘흐늘하다. 처음 생겨난 줄기는 밝은 갈색에서 짙은 회색 사이의 색깔을 띄고, 두께는 2.5cm에 이르며, 껍질이 좁은 띠로 벗겨진다; 높이 난 큰 가지는 자라나 수관을 이룬다.2. 2. 생육 조건
히말라야산맥의 산록소구(:en:Foothill)에서 자생한다. 보통 고도 900m 이하의 강둑을 따라 자라나지만, 자연적으로 1300m까지의 고도 지역에 분포한다. 자생지의 온도는 평균 10°C에서 40°C에 달하지만, 거의 영하권의 온도로 떨어지거나, 50°C까지 올라가는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연간 2000mm까지의 강수량과 서너 달의 가뭄을 견딜 수 있다. 고운 모래와 자갈에서부터 강둑의 기름진 충적토에 이르는 토양에서 자라난다. 북인도황단은 염분이 다소 함유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다. 묘목이 자라나려면 그늘 밑에 있어서는 안 된다.[1]번식은 보통 나무뿌리에서 순이 솟아나오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씨앗으로도 퍼진다. 씨앗은 몇 달 뒤에는 죽어버린다. 씨앗은 심기 전에 48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어야 하며, 1~3주 후에 60~80% 정도 발아한다. 묘목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직접적으로 햇빛을 받아야 한다.[1]
2. 3. 생태
북인도황단은 검은라자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이다.[1]3. 분포
북인도황단은 히말라야산맥의 산록소구(:en:Foothill)에 자생한다. 보통 고도 900m 이하의 강둑을 따라 자라나지만, 자연적으로 1300m까지의 고도 지역에 분포한다. 자생지의 온도는 평균 10°C에서 40°C에 달하지만, 거의 영하권의 온도로 떨어지거나, 50°C까지 올라가는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연간 2000mm까지의 강수량과 서너 달의 가뭄을 견딜 수 있다. 고운 모래와 자갈에서부터 강둑의 기름진 충적토에 이르는 토양에서 자라난다. 북인도황단은 염분이 다소 함유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다. 묘목이 자라나려면 그늘 밑에 있어서는 안 된다.[1]
북인도황단은 서쪽의 아프가니스탄에서 동쪽의 인도 비하르 주에 이르기까지 히말라야 산기슭이 원산지이다. 또한 이란에서도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해발 200m 이상 강둑을 따라 주로 자라지만, 자연적으로 최대 1400m까지 분포할 수 있다.[1]
4. 용도
북인도황단은 목재, 연료, 전통 의학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4. 1. 목재
북인도황단은 국제적으로 판매되는 자단류 중에서 제일 널리 알려진 목재 종이며, 연료목이나 그늘, 쉼터로도 쓰인다. 비하르주는 인도에서 티크나무 다음으로 북인도황단을 제일 많이 생산하며, 주로 길가, 수로, 차나무 플랜테이션의 그늘목, 방갈로르 같은 인도 남부에서는 가로수로 심는다.북인도황단은 최고급 캐비닛, 박편 (:en:Wood veneer) 목재 중 하나다. 라자스탄주의 타악기인 므리당가(:en:Khol)의 재료로 흔히 쓰이며, 이 밖에도 합판, 농경 도구, 바닥재, 곡목, 회전가공공예의 자재로 쓰인다.
심재는 금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고, 변재(:en:sapwood)는 흰색에서 옅은 황백색을 띤다. 심재는 비중이 0.7 – 0.8 로 견고하고 균류 저항성이 높지만, 변재는 흰개미와 나무뚫이(borer)에 취약하다.[14] 북인도황단은 줄기 껍질과 심재에 네오플라보노이드(:en:neoflavonoid)의 일종인 달베르기크로민(:en:dalbergichromene)을 함유한다고 알려져 있다.[5]


4. 1. 1. 건조 (시즈닝)
북인도황단은 가구 제조에 사용되기 전에 일반적으로 건조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건조(시즈닝)라고 한다. 지역에서는 약 6개월 동안 햇볕 아래에서 건조하기 위해 열린 공간에 둔다. 상업적으로는 날씨 조건에 따라 약 7~15일 동안 열풍 순환이 있는 밀폐된 챔버에서 건조한다. 이상적인 수분 수준은 얇은 조각의 경우 약 5~6%, 더 두꺼운 조각의 경우 최대 11%인데,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이보다 낮은 수준은 최종 제품의 갑작스러운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5]4. 2. 연료
변재와 심재 모두 발열량이 우수하며, 각각 4,908 kcal/kg, 5,181 kcal/kg에 달한다.[1] 연료목으로 키울 때는 10 - 15년마다 베어낸다.[1] 북인도황단은 맹아갱신 능력이 뛰어나지만, 두세 번 줄기를 잘라낸 후에는 기력이 떨어진다.[1] 북인도황단으로 난방, 요리에 쓰기 참 좋은 숯을 만들 수 있다.[1]4. 3. 전통 의학
전통적으로 가느다란 나뭇가지는 다툰(datun)이라 불리는데, 잘근잘근 씹어서 칫솔로 쓴 다음 뱉어서 혀닦이로 쓴다.[15] 인도에서는 시드하약(:en:Siddha medicine) 체계에서 피부병, 위장병 약으로 쓰였다. 전통적으로 파키스탄, 아프리카, 중동에서 수 세기 동안 이런 식으로 나뭇가지를 활용했다. 인도의 80%를 차지하는 시골 인구의 대부분은 여전히 북인도황단, 님나무, 칫솔나무(:en:Salvadora persica) 나뭇가지를 칫가지(:en:teeth cleaning twig)로 사용하면서 하루를 시작한다. 지구촌의 어느 곳에서는 여전히 시골에서 북인도황단 나뭇가지를 판매하고, 이를 이를 닦는 데 쓰고 있다.나무의 씨앗 기름과 나무 가루는 피부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4] 또한 ''달베르기아 시소''는 위장 및 혈액 질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1]
4. 4. 기타 용도
북인도황단 과일의 에탄올 추출물은 민물 달팽이 파이퍼두배꼽달팽이(:en:Biomphalaria pfeifferi)의 알에 대해 살연체동물제(:en:molluscicide)로서의 효과를 보인다.[16] 실파샤스트라(Śilpaśāstra, 인도의 예술&건축 과학)에 대해 다루는 산스크리트어 논문 사마라앙가나 수트라다라(Samarāṅgaṇa Sūtradhāra)에 따르면, 북인도황단 수액은 벽에 바르는 회반죽 혼합물의 중요한 성분이다.[17]전통적으로 가늘고 긴 나무 가지(이를 ''다툰''이라고 함)는 먼저 칫솔로 씹은 다음, 혀 클리너로 갈라 사용했다.[6] 이러한 관행은 파키스탄, 아프리카, 중동 지역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다. 인도 농촌 인구의 80%는 여전히 이 닦는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하루를 시작하며, ''Salvadora persica''(살바도라 페르시카) 또는 ''Azadirachta indica''(아자디라흐타 인디카)를 사용한다.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시샴 나뭇가지를 여전히 수집하여 농촌 지역의 시장에서 이 용도로 판매하고 있다.
5. 재배
북인도황단은 보통 나무뿌리에서 순이 솟아나오는 형태로 번식하며, 씨앗으로도 퍼진다. 씨앗은 몇 달 뒤면 생존력을 잃는다. 씨앗을 심기 전에는 48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어야 하며, 1~3주 후에 60~80% 정도 발아한다. 묘목은 최소한 어느 정도는 직접적으로 햇빛을 받아야 한다.[1] 인도에서는 시샴(shisham) 나무의 거래와 사용이 정부의 규제를 받는다.[1]
6. 별칭
북인도황단의 일반명은 시수(sisu), 타힐리(tahli), 탈리(tali), 이루구두자바(irugudujava)이다. 인도의 일반명은 비라디(biradi), 시사우(sisau)이고, 파키스탄의 일반명은 시샴(sheesham), 펀자브주에서는 타힐(tahli)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셰와(shewa), 페르시아에서는 자그(jag)라 불린다. 북인도황단의 목재는 시샴(sheesham, shisham)이라고 불리며, 상업적으로 고평가받는다.[18]
참조
[1]
간행물
"''Dalbergia sissoo''"
2020
[2]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015-12-12
[3]
웹사이트
"''Dalbergia sissoo''"
https://gd.eppo.int/[...]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 (EPPO)"
2021-04-15
[4]
웹사이트
Dalbergia sissoo
http://www.worldagro[...]
2016-12-25
[5]
논문
"Dalbergichromene : a new neoflavonoid from stem-bark and heartwood of ''Dalbergia sissoo''"
[6]
웹사이트
Make A Neem Toothbrush (Neem Tree Home Remedies)
http://www.discovern[...]
Birgit Bradtke
2013-07-16
[7]
논문
EFFECTS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THE CRUDE AQUEOUS AND ETHANOLIC
https://journals.ath[...]
2009-03-07
[8]
서적
The Theory of Citrasutras in Indian Painting
Routledge
[9]
서적
The Tree
Random House
2005
[10]
웹사이트
State Trees of India
http://www.bsienvis.[...]
ENVIS Resource Partner on Biodiversity
2021-01-03
[11]
문서
smenvis.nic.in/database/PlantDiversity_833.aspx?format=Print#:~:text=Some%20important%20tree%20species%20found,Khair%20(Acacia%20catechu)%20etc.
[12]
인용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13]
웹인용
Dalbergia sissoo
http://www.worldagro[...]
[14]
저널
"Dalbergichromene : a new neoflavonoid from stem-bark and heartwood of ''Dalbergia sissoo''"
[15]
웹인용
Make A Neem Toothbrush (Neem Tree Home Remedies)
http://www.discovern[...]
Birgit Bradtke
[16]
문서
Adenusi A. A. & Odaibo A. B. (2009). "Effects of varying concentrations of the crude aqueous and ethanolic". ''African Journal of Tradition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6'''(2). [http://journals.sfu.ca/africanem/index.php/ajtcam/article/view/465 abstract], [http://journals.sfu.ca/africanem/index.php/ajtcam/article/view/465/396 PDF].
[17]
서적
The Theory of Citrasutras in Indian Painting
Routledge
[18]
서적
The Tree
Random Hous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