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님나무는 15~20m까지 자라는 상록수로, 깃털 모양의 잎과 흰색 향기로운 꽃, 올리브와 비슷한 핵과 열매를 맺는다. 학명은 'Azadirachta indica'이며, 님나무는 멀구슬나무와 외형이 유사하다. 인도 아대륙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며, 가뭄에 강하고 다양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님나무는 살충 효과가 있는 아자디라크틴을 함유하여 방충제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서도 활용되지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님나무 특허를 둘러싼 분쟁과 문화적, 종교적 중요성을 지니며, 생명공학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멀구슬나무과 - 랑삿
랑삿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나무로,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타원형 또는 둥근 모양의 열매는 달콤하고 신맛이 나며, 생으로 먹거나 시럽에 절여 먹고, 건축 자재로도 사용된다. - 멀구슬나무과 - 랑삿속
랑삿속은 조제 프란시스쿠 코레아 다 세라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현재 랑삿 브레비라케모숨, 랑삿 도메스티쿰, 랑삿 멤브라나세움이 속으로 인정되고, 랑삿 도메스티쿰은 기준 종으로서 말레이시아 및 동남아시아에 도입되었으며, 라인와르티오덴드론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방글라데시의 나무 - 리모니아
리모니아(우드애플)는 인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가 원산지인 높이 9m까지 자라는 큰 나무로, 감귤 향이 나는 잎과 단단한 껍질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열매는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주스, 잼 등으로 가공된다. - 방글라데시의 나무 - 용안
용안은 껍질을 벗기면 보이는 검은 씨앗이 용의 눈을 닮아 이름 붙여진 열매로,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달콤한 과육은 식용으로 쓰이고 한의학에서는 보혈 및 자양강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832년 기재된 식물 - 벚나무아과
벚나무아과는 장미과에 속하며 자두, 복숭아, 사과, 배 등 친숙한 식물과 중요한 과수들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과거 벚나무아과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사과나무아과, 쉬땅나무아과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재분류되었고, 계통 분류는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 1832년 기재된 식물 - 불암초아과
불암초아과는 아욱과의 하위 분류로 26속 650종을 포함하며, 전 열대 지역, 특히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라시오페탈룸족, 비트네리아족, 카카오족, 헤르만니아족과 아브로마속, 카카오속, 불암초속 등을 포함한다.
님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zadirachta indica |
이명 | Antelaea azadirachta (L.) Adelb. Antelaea canescens Cels ex Heynh. Antelaea javanica Gaertn. Azadirachta indica subsp. vartakii Kothari, Londhe & N.P.Singh Melia azadirachta L. Melia fraxinifolia Salisb. Melia hasskarlii K.Koch Melia indica (A.Juss.) Brandis Melia japonica Hassk. Melia parviflora Moon Melia pinnata Stokes |
IUCN 보존 상태 | LC (최소 관심) |
멸종 위기 평가 기준 | IUCN3.1 |
다른 이름 | 님(Nim), 인도센단(印度栴檀) |
생물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문 |
강 | 쌍떡잎식물강 |
목 | 무환자나무목 |
과 | 멀구슬나무과 |
속 | 아자디라크타속 |
분포 | |
원산지 | 인도 아대륙 |
기타 지역 |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및 동남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도입됨 |
활용 | |
용도 | 전통 의약품 살충제 비료 |
2. 식물학적 특징
님나무는 형태, 생장, 분류, 분포 및 생태적 특징을 가진다.
님나무는 빠르게 자라는 나무로, 보통 키가 15m에서 20m까지 자라며, 드물게는 35m에서 40m까지 자란다. 상록수이지만, 건조한 겨울철에는 많은 잎을 떨어뜨린다. 님나무는 그 친척인 멀구슬나무와 외관이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는데, 님나무 잎은 깃꼴 겹잎인 반면 멀구슬나무 잎은 두 번 및 세 번 깃꼴 겹잎이라는 차이점이 있다.[9][10]
1830년 아드리앵앙리 드 쥐시외는 님나무의 학명 ''Azadirachta indica''를 발표했다.[11] 1753년 칼 린네는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와 ''Melia azadirachta'' 두 종을 기술했는데,[12] 드 쥐시외는 ''Melia azadirachta''가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와 충분히 달라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3] 린네가 언급한 'azedarach'는 프랑스어 'azédarac'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시 페르시아어 'āzād dirakht' (ازادرخت|아자드 디라크트fa)에서 유래되었고, '자유로운 나무 또는 고귀한 나무'를 의미한다.[14] 님나무의 페르시아어 이름인 ''azad darakhat-e-hind''는 '인도의 자유로운 나무'라는 뜻으로, 질병과 해충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15]
님나무는 인도 아대륙의 인도 아삼 지역, 방글라데시와 인도차이나의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에 자생종으로 여겨진다. 현재는 남미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기까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다른 지역으로 널리 도입되었다.[2] 가뭄 저항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토양에서 자랄 수 있으며, 특히 배수가 잘 되는 깊고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2. 1. 형태 및 생장
님나무는 빠르게 자라는 나무로, 키는 15m에서 20m까지 자라며, 드물게는 35m에서 40m까지 자란다. 상록수이지만, 건조한 겨울철에는 많은 잎을 떨어뜨린다. 가지는 넓게 퍼지며, 꽤 빽빽한 수관은 둥근 모양이고 직경이 20m에서 25m에 이를 수 있다. 마주보는 깃털 모양 잎은 길이가 20cm에서 40cm이며, 길이가 약 3cm에서 8cm인 중간에서 짙은 녹색의 작은 잎이 20~30개 있다.[7] 끝부분의 작은 잎이 없는 경우가 많다. 잎자루는 짧다.[8]흰색이고 향기로운 꽃은 길이가 최대 25cm인 다소 늘어진 겨드랑이눈의 원추꽃차례로 배열된다. 세 번째까지 분기하는 꽃차례에는 250개에서 300개의 꽃이 달린다. 개별 꽃은 길이가 5mm에서 6mm이고 너비가 8mm에서 11mm이다. 수꽃 선숙성, 양성 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 개체에 존재한다.
열매는 매끄러운(무모의) 올리브와 같은 핵과로, 모양이 길쭉한 타원형에서 거의 둥근 모양까지 다양하며, 익으면 14mm에서 28mm x 10mm에서 15mm이다. 열매 껍질(외과피)은 얇고 쓴맛과 단맛이 나는 과육(중과피)은 황백색이며 섬유질이 매우 많다. 중과피는 두께가 3mm에서 5mm이다. 열매의 흰색, 단단한 내피(내과피)는 갈색 씨앗 껍질을 가진 1개, 드물게 2개 또는 3개의 길쭉한 씨앗(커널)을 둘러싼다.

님나무[9]는 그 친척인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10]와 외관이 유사하여 혼동될 수 있다. ''Melia azedarach'' 또한 톱니 모양의 작은 잎과 비슷한 모양의 열매를 가지고 있다. 한 가지 차이점은 님나무 잎은 깃꼴 겹잎인 반면 멀구슬나무 잎은 두 번 및 세 번 깃꼴 겹잎이라는 것이다.
2. 2. 분류 및 학명
''님나무''의 학명 ''Azadirachta indica''는 1830년 아드리앵앙리 드 쥐시외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다.[11] 1753년 칼 린네는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와 ''Melia azadirachta'' 두 종을 기술했다.[12] 드 쥐시외는 ''Melia azadirachta''가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와 충분히 달라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3] 린네는 두 종 모두 'azedarach'라는 이름을 언급했는데,[12] 이는 프랑스어 'azédarac'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시 페르시아어 'āzād dirakht' (ازادرخت|아자드 디라크트fa)에서 유래되었고, '자유로운 나무 또는 고귀한 나무'를 의미한다.[14] 님나무의 페르시아어 이름인 ''azad darakhat-e-hind''는 '인도의 자유로운 나무'라는 뜻으로, 질병과 해충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15]2. 3. 분포 및 생태
님나무는 인도 아대륙의 인도 아삼 지역, 방글라데시와 인도차이나의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에 자생종으로 여겨진다. 현재는 남미에서 인도네시아에 이르기까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다른 지역으로 널리 도입되었다.[2]님나무는 가뭄 저항성으로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이 400mm에서 1200mm인 아건조 및 반습윤 기후 조건에서 잘 자란다. 연간 강수량이 400mm 미만인 지역에서도 자랄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주로 지하수 수위에 의존한다. 다양한 종류의 토양에서 자랄 수 있지만, 배수가 잘 되는 깊고 모래가 많은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전형적인 열대 및 아열대 나무로 연평균 기온이 21°C에서 32°C인 곳에서 서식한다. 높은 온도에서 매우 높은 온도까지 견딜 수 있으며, 5°C 미만의 온도는 견디지 못한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건조한 해안, 남부 지역과 같이 가뭄에 취약한 지역에서 잘 자라는 몇 안 되는 그늘을 제공하는 나무 중 하나이다. 이 나무는 물의 질에 전혀 민감하지 않으며, 물의 질에 관계없이 아주 적은 양의 물에서도 잘 자란다. 인도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인도 및 열대 국가에서는 님나무를 거리, 사원, 학교 및 기타 공공 건물 주변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뒷마당에 심어 그늘을 만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매우 건조한 지역에서는 광대한 토지에 나무를 심는다.
님나무는 중동,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대부분 지역, 서아프리카 및 인도양 연안 국가,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지역을 포함한 많은 지역에서 잡초로 간주된다. 생태적으로는 자체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잘 생존하지만, 잡초로서의 잠재력은 아직 완전히 평가되지 않았다.[16]
194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님나무는 원래 소에게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노던 준주에 심어졌다. 1960년대와 1980년대 사이에 다윈, 퀸즐랜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시험 재배지가 설립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님나무 산업은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현재 이 나무는 초원 지역, 특히 수로 주변으로 확산되었으며, 여러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하는 개체군이 존재한다.[18] 2015년 4월, 님나무는 오스트레일리아 노던 준주에서 B급 및 C급 잡초로 지정되어, 생장과 확산을 통제해야 하며, 식물이나 종자를 준주로 반입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해당 식물이나 씨앗을 구매, 판매 또는 운송하는 것은 불법이다. 잡초로 지정된 것은 노던 준주 "탑 엔드" 지역의 수로 침입에 대한 대응이었다.[17]
3. 화학적 성분
님나무의 열매, 씨앗, 잎, 줄기, 나무껍질에는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21] 이 중 일부는 1960년대에 곤충 섭식 저해제, 성장 방해제, 살충제로 밝혀진 아자디라크틴으로, 아자디라크타 씨앗 추출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1][20] 2kg의 씨앗을 분쇄하면 약 5g의 아자디라크틴이 생성된다.[21]
씨앗 오일에는 아자디라크틴 및 관련 리모노이드 외에도 글리세리드, 다양한 폴리페놀, 님볼라이드, 트리테르펜, 베타-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21][19] 노란색의 쓴 오일은 마늘과 비슷한 냄새가 나며 약 2%의 리모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21] 잎에는 퀘르세틴, 카테킨, 카로틴,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21]
님나무는 곤충에게 잎을 갉아 먹히지 않도록 하는 특별한 방어 기능을 가지고 있다. 잎, 나무껍질, 님 오일에는 구충 효과가 있는 생화학 물질이나 스테로이드 유사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많은 곤충의 생명 활동을 교란하여 섭식을 피하게 만든다.
3. 1. 주요 성분
님나무[9]의 열매, 씨앗, 잎, 줄기, 나무껍질에는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21] 이 중 아자디라크틴은 1960년대에 곤충 섭식 저해제, 성장 방해제, 살충제로 밝혀졌으며, 아자디라크타 씨앗 추출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1][20] 씨앗 2kg을 분쇄하면 약 5g의 아자디라크틴이 생성된다.[21]씨앗 오일에는 아자디라크틴 및 관련 리모노이드 외에도 글리세리드, 다양한 폴리페놀, 님볼라이드, 트리테르펜, 베타-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21][19] 이 노란색의 쓴 오일은 마늘과 비슷한 냄새가 나며 약 2%의 리모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21] 잎에는 퀘르세틴, 카테킨, 카로틴,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21]
님나무는 곤충에게 잎을 갉아 먹히지 않도록 하는 방어 기능이 특별하다. 잎, 나무껍질, 님 오일에는 구충 효과가 있는 생화학 물질이나 스테로이드 유사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많은 곤충은 님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화학 물질 때문에 생명 활동에 교란을 느껴 섭식을 피하고 굶어 죽는다. 이는 과학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특히 모기 등 비행해 오는 곤충에 대한 구충 효과가 높으며, 10 ppm이라는 저농도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님나무 추출물은 생분해성이 있어 합성 살충제만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합성 살충제는 하나의 유해 작용으로 즉시 벌레를 죽이지만, 님나무 추출물은 여러 화학 물질이 곤충 생명 활동의 다양한 측면을 파괴한다. 이 추출물은 물고기에게는 유해하지만, 인간 등 온혈동물은 체내에서 분해하여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수천 년 전부터 님나무 추출물을 화장품이나 크림에 사용하거나, 빈대를 없애기 위해 아이들 침구에 뿌리는 등 다양하게 이용해 왔다.
3. 2. 방충 효과
님나무는 1960년대에 곤충 섭식 저해제, 성장 방해제, 살충제로 밝혀진 아자디라크틴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21][20] 2kg의 씨앗을 분쇄하면 약 5g의 아자디라크틴이 생성된다.[21]아자디라크틴 및 관련 리모노이드 외에도 씨앗 오일에는 글리세리드, 다양한 폴리페놀, 님볼라이드, 트리테르펜 및 베타-시토스테롤이 함유되어 있다.[21][19] 잎에는 퀘르세틴, 카테킨, 카로틴 및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21]
님나무는 합성 살충제에 대한 자연적 대안을 제공하는 비농약적 관리 (NPM)의 핵심 성분이다. 님나무 씨앗을 가루로 갈아 물에 하룻밤 담가 작물에 뿌리면, 섭식 억제제, 기피제, 산란 억제제 역할을 하여 곤충을 굶어 죽게 하고 알 부화를 억제한다.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최소 10일에 한 번씩 반복해서 살포해야 한다. 님나무 기반 비료는 남부 멸구(Spodoptera eridania)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4] 님나무 케이크는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님나무 오일'''은 흰개미의 공격을 막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제 수단이다.[25]
님나무는 잎, 수피, 님 오일에 구충 효과가 있는 생화학 물질이나 스테로이드 유사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많은 곤충의 생명 활동을 교란하여 섭식을 피하고 굶어 죽게 만든다. 특히 모기 등 비행해 오는 곤충에 대한 구충 효과가 높으며, 10 ppm이라는 저농도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님나무 추출물은 생분해성이 있으며, 합성 살충제만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님나무 추출물은 여러 화학 물질이 곤충의 생명 활동의 다른 측면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 추출물은 물고기에게는 유해하지만, 인간 등 온혈동물에서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수천 년 전부터 님나무 추출물을 화장품이나 크림에 사용하거나, 빈대를 구제하기 위해 아이들의 침구에 뿌리는 등 이용해 왔다.
4. 용도
님나무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유용한 나무이다.
씨앗에서 추출한 "님 오일"은 아자디락틴이라는 성분을 함유하여 방충제로 이용된다. 건조된 잎 또한 방충 효과가 있으며, 님 오일을 짜고 남은 씨앗은 "님 케이크"로 유통되어 해충 기피, 선충 방제, 방선균 번식을 통한 토양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20] 님나무 잎, 수피, 님 오일에는 구충 효과가 있는 생화학 물질이나 스테로이드 유사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모기와 같은 비행 해충에 대한 구충 효과가 높으며,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님나무 추출물은 생분해성이 있어 합성 살충제보다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물고기에게는 유해하지만, 인간과 같은 온혈동물은 체내에서 분해되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24]
님나무는 사막화 방지에 효과적이며, 이산화 탄소 흡수원 역할과 토양 비옥도 유지에도 기여한다.[26][27] 님 추출물은 요소 비료에 질화 작용 억제제로 첨가되기도 한다.[28] 님나무 잎은 반추 동물과 토끼의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29] 인도에서는 님나무 가지를 칫솔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30]
님 오일이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않는 이유는 기업이 님 오일 제법 특허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도 정부 등이 유럽 특허청에 권리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미국 기업의 특허 신청을 무효화한 사건도 있었다.
4. 1. 요리
님나무의 부드러운 새싹과 꽃은 인도에서 채소로 먹는다. 타밀나두에서는 님나무 꽃으로 만든 "님나무 꽃 라삼"(வேப்பம் பூ சாறுta)을 끓여 먹는다.[20] 벵골에서는 어린 님나무 잎을 작은 조각의 가지와 함께 기름에 볶은 ''님 베군 바자'' (নিম বেগুন ভাজাbn)를 밥과 함께 먹는데, 이는 벵골 식사의 첫 번째 요리로 식욕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20]님나무는 캄보디아(''카다오'' [ກະເດົາlo]), 라오스, 태국(''사다오'' [สะเดาth] 또는 ''사타오'' [สะเตาth]), 미얀마(''타마'' [တမာmy]), 베트남(sầu đâuvi, 샐러드 gỏi sầu đâuvi에 사용)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식재료로 활용된다.[20] 가볍게 조리하더라도 쓴맛이 강해 모든 사람이 즐겨 먹지는 않는다. 미얀마에서는 어린 님나무 잎과 꽃봉오리를 타마린드 열매와 함께 삶아 쓴맛을 부드럽게 하거나, 절인 님나무 잎을 토마토 및 생선 페이스트 소스와 함께 먹기도 한다.[20]
4. 2. 전통 의학
님나무로 만든 제품은 수세기 동안 인도의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어 왔다.[20][21] 피부 문제와 류머티즘 치료에 사용되었지만,[22] 님나무를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나타내는 임상적 증거는 불충분하다.[21] 성인의 경우 특정 복용량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님나무의 단기 사용은 안전한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 사용은 신장 또는 간에 해로울 수 있다. 어린 아이에게는 님나무 오일이 유독하며 사망에 이를 수 있다.[21] 님나무는 또한 유산, 불임,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21]미국 신경방사선학 저널에 따르면, 님 오일은 150ml 이상 섭취할 경우 일부 형태의 독성 뇌병증과 안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31]
님 오일은 자가 제조 만병통치약으로 인도 문화 속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분석 결과, 인도 센단 나무 추출물에는 매우 다양한 항균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통적으로 전해지는 약효의 많은 부분에 근거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임상 연구는 아직 불충분하며, 용량을 잘못 사용하면 신장이나 간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님 오일은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악영향을 미쳐 사망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44]
4. 3. 해충 방제
님나무는 비농약적 관리(NPM)의 핵심 성분으로, 합성 살충제에 대한 자연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님나무 씨앗을 가루로 갈아 물에 하룻밤 담가 작물에 뿌리면, 섭식 억제제, 기피제, 산란 억제제 역할을 하여 작물을 보호한다.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최소 10일에 한 번씩 반복해서 살포해야 한다.[24] 님나무는 곤충을 직접 죽이지는 않지만, 며칠 안에 굶어 죽게 하고 알 부화를 억제한다.[24] 님나무 기반 비료는 남부 멸구에 효과가 있고, 님나무 케이크는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24]씨앗에 포함된 아자디락틴 성분은 방충제에 효과가 있어 "님 오일"로 이용된다. 건조된 잎도 방충 효과가 있다. 님 오일을 짜낸 후의 씨앗은 님 케이크로 유통되며, 해충 기피 효과와 선충 방제 효과, 방선균 번식을 통한 토양 개선 효과가 있다.
님나무 잎, 수피, 님 오일에는 구충 효과가 있는 생화학 물질이나 스테로이드 유사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많은 곤충은 님나무 추출물의 화학 물질 때문에 생명 활동에 교란을 일으켜 섭식을 피하고 굶어 죽는다. 특히 모기 등 비행해 오는 곤충에 대한 구충 효과가 높으며, 10 ppm이라는 저농도에서도 효과를 발휘한다.
님나무 추출물은 생분해성이 있으며, 합성 살충제만큼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 님나무 추출물은 여러 화학 물질이 곤충의 생명 활동의 다른 측면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이 추출물은 물고기에게는 유해하지만, 인간 등 온혈동물에서는 체내에서 분해되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
'''님나무 오일'''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제 수단으로 흰개미의 공격을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25]
4. 4. 기타 용도
님나무는 사막화 방지 특성이 뛰어나고, 좋은 이산화 탄소 흡수원 역할을 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토양 비옥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6][27] 님 추출물은 요소 비료에 질화 작용 억제제 역할로 첨가된다.[28] 님나무 잎은 반추 동물과 토끼의 사료로 드물게 사용될 수 있다.[29]님나무는 전통적으로 일종의 치아 세척용 나뭇가지로 사용되어 왔다.[30] 인도에서는 님나무 가지가 칫솔 대용으로 사용된다.
씨앗에 포함된 아자디락틴이라는 성분은 방충제에 효과가 있어, "님 오일(Neem Oil)"로 이용되고 있다. 건조된 잎도 방충 효과가 있다. 님 오일을 짜낸 후의 씨앗은 님 케이크(Neem cake)로 유통되며, 해충 기피 효과와 선충 방제 효과, 방선균을 번식시켜 흙을 풍요롭고 건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님 오일이 세계적으로 보급되지 않는 이유는, 기업이 상품이 되는 님 오일 제법의 특허를 취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도 정부 등이 유럽 특허청에 대해 권리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미국 기업의 특허 신청을 무효화한 사건도 있었다.
님나무는 가뭄 내성이 있으며, 성장 속도도 빨라 사막 확대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45][46] 인도 빈곤 마을의 문에는 가족의 부적으로 톱니 모양의 님나무 잎을 끈으로 꿰어 장식한다. 나무 자체에 구충 효과가 있어 인도에서는 목화와 함께, 서아프리카에서는 채소밭에 함께 심는 동반 식물로 활용된다.
5. 논란 및 사회적 영향
바크티 운동의 바이슈나바교 성자 차이타냐 마하프라부는 님나무 아래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니마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니마이는 님나무 아래에서 태어났다는 뜻이다.[14] 님나무의 학명 ''Azadirachta indica''는 '인도의 자유로운 나무'라는 뜻의 페르시아어 ''azad darakhat-e-hind''에서 유래되었으며, 질병과 해충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15]
1990년대에는 님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제 특허를 둘러싸고 유럽 특허청(EPO), 미국 농무부, W. R. 그레이스 앤드 컴퍼니, 인도 정부 간의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5. 1. 님나무 특허 분쟁
1995년, 유럽 특허청(EPO)은 마고사를 추출하여 만든 항진균제에 대해 미국 농무부와 W. R. 그레이스 앤드 컴퍼니(W. R. Grace and Company)에 특허를 부여했다.[37] 인도 정부는 이에 이의를 제기하며, 특허가 부여된 공정이 2,000년 이상 인도에서 사용되어 왔다고 주장했다. 2000년, EPO는 인도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W. R. 그레이스는 해당 제품에 대한 선행 기술이 공개된 적이 없다고 주장하며 항소했다. 2005년 3월 8일, 해당 항소가 기각되었고 EPO는 님나무 특허를 철회했다.[37]님 오일이 세계적으로 보급되지 않는 이유는, 기업이 상품이 되는 님 오일 제법의 특허를 취득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기 때문이며, 실제로 인도 정부 등이 유럽 특허청에 대해 권리 무효 소송을 제기하여 미국 기업의 특허 신청을 무효화한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5. 2. 문화적, 종교적 중요성
바크티 운동의 바이슈나바교 성자이자 차이타냐 마하프라부(가우디야 바이슈나비즘과 ISKCON에서 라다 크리슈나의 화신으로 여겨짐)는 님나무(Neem) 아래에서 태어났다고 하며, 이 때문에 니마이(Nimai)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6. 생명공학적 연구
님나무의 열매, 씨앗, 잎, 줄기, 그리고 나무껍질에는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1960년대에 곤충 섭식 저해제, 성장 방해제, 그리고 살충제로 밝혀진 아자디라크틴과 같이 아자디라크타 씨앗 추출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1][20] 2kg의 씨앗을 분쇄하면 약 5g의 아자디라크틴이 생성된다.[21]
님나무 씨앗 추출물로 생산된 생물 살충제는 리모노이드 트리테르펜을 함유하고 있다.[21] 현재 추출 과정은 곰팡이 오염, 유전적, 기후적, 지리적 변동으로 인한 리모노이드 함량의 불균일성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38][39]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생물 반응기에서 식물 세포 현탁액 및 털뿌리 배양을 통한 리모노이드 생산이 연구되었으며,[40][41] 여기에는 ''A. indica''의 세포 현탁액 배양을 통해 성장과 리모노이드 생산을 향상시키는 2단계 생물 반응기 공정 개발이 포함된다.[42]
7. 사진
참조
[1]
간행물
"''Azadirachta indica''"
2018
[2]
웹사이트
"''Azadirachta indica'' A.Juss."
http://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3]
GRIN
"''Azadirachta indica''"
[4]
서적
Compact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서적
Hobson-Jobson
Wordsworth Reference
1996
[6]
서적
Encarta World English Dictionary
St. Martin's Press, New York
1999
[7]
웹사이트
"Neem {{!}} Azadirachta indica"
https://pfaf.org/pla[...]
[8]
웹사이트
"Factsheet - Azadirachta indica (Neem)"
https://keys.lucidce[...]
2024-08-07
[9]
웹사이트
How to Use Neem- Uses and benefits - prakasti.com
https://prakasti.com[...]
2023-01-02
[10]
서적
The Tree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1]
웹사이트
"''Azadirachta indica'' A.Juss.."
https://www.ipni.org[...]
2023-03-26
[12]
간행물
Species Plantarum
Laurentius Salvius
1753
[13]
학술지
Mémoire sur le groupe des Méliacées
https://www.biodiver[...]
1830
[14]
웹사이트
azedarach
https://www.merriam-[...]
[15]
서적
Neem A Treatise
https://books.google[...]
I.K. International Publishing House, India
[16]
서적
"Plant Risk Assessment, Neem Tree, ''Azadirachta indica''"
http://www.daff.qld.[...]
Biosecurity Queensland
[17]
간행물
Neem has been declared: what you need to know
http://lrm.nt.gov.au[...]
Department of Land Resource Management
[18]
간행물
"''Neem'' Azadirachta indica"
http://lrm.nt.gov.au[...]
Department of Land Resource Management
[19]
웹사이트
Nimbolide
https://pubchem.ncbi[...]
PubChe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1-03-06
[20]
뉴스
Neem: India's tree of life
http://news.bbc.co.u[...]
2006-04-17
[21]
웹사이트
Neem
https://www.drugs.co[...]
Drugs.com
2020-08-13
[22]
학술지
Phylogenetic analysis of endophytic ''Pestalotiopsis'' species from ethnopharmaceutically important medicinal trees.
2009
[23]
웹사이트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 A History of the Toothbrush – Page 4 – Virtual Dental Museum"
https://dentalmuseum[...]
[24]
웹사이트
"Neem Cake Fertilizer, Uses, Application, Benefits {{!}} Agri Farming"
https://www.agrifarm[...]
2020-08-09
[25]
학술지
Neem-seed oil inhibits growth of termite surface-tunnels
https://www.research[...]
[26]
학술지
Carbon storage potential of short rotation tropical tree plantations
[27]
문서
"Mahua (Madhuca indica) seed oil: a source of renewable energy in India."
[28]
간행물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29]
문서
Neem (Azadirachta indica)
https://www.feediped[...]
'Feedipedia, a programme by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CIRAD]], AFZ and [[FAO]]'
[30]
웹사이트
"Different Strokes for Different Folks: A History of the Toothbrush – Page 4 – Virtual Dental Museum"
https://dentalmuseum[...]
[31]
학술지
Letters: MR Imaging Findings of Neem Oil Poisoning
2010-05-06
[32]
학술지
"De novo sequencing and assembly of ''Azadirachta indica'' fruit transcriptome"
http://www.currentsc[...]
2011-12-25
[33]
학술지
"A Draft of the Genome and Four Transcriptomes of a Medicinal and Pesticidal Angiosperm ''Azadirachta indica''"
2012-09-09
[34]
학술지
"An Improved Genome Assembly of ''Azadirachta indica'' A. Juss"
2016-04-20
[35]
학술지
"Comparative transcripts profiling of fruit mesocarp and endocarp relevant to secondary metabolism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in ''Azadirachta indica'' (neem)"
[36]
논문
Subtractive transcriptomes of fruit and leaf reveal differential representation of transcripts in ''Azadirachta indica''
[37]
뉴스
India wins landmark patent battl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3-09
[38]
논문
Variability in Neem (''Azadirachta indica'') with Respect to Azadirachtin Content
2003-01-15
[39]
논문
Production of azadirachtin from plant tissue culture: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rospects
2002-08-01
[40]
논문
Production of the Biopesticide Azadirachtin by Hairy Root Cultivation of Azadirachta indica in Liquid-Phase Bioreactors
2013-08-17
[41]
논문
Production of Biopesticides in an in Situ Cell Retention Bioreactor
2008-04-05
[42]
논문
Production of Limonoids with Insect Antifeedant Activity in a Two-Stage Bioreactor Process with Cell Suspension Culture of Azadirachta indica
2015-09-01
[43]
YList
2024-08-10
[44]
웹사이트
Neem Uses, Benefits & Dosage - Drugs.com Herbal Database
https://www.drugs.co[...]
2022-03-13
[45]
논문
Carbon storage potential of short rotation tropical tree plantations
[46]
문서
"Mahua (Madhuca indica) seed oil: a source of renewable energy in India."
[47]
간행물
Neem (Azadirachta indica)
https://www.feediped[...]
Feedipedia, a programme by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CIRAD]], AFZ and [[FAO]]
2015-10-02
[48]
웹인용
"''Azadirachta indica'' A.Juss."
http://www.theplantl[...]
2019-04-09
[49]
웹인용
"''Azadirachta indica'' A. Juss."
https://npgsweb.ars-[...]
USDA
2019-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