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씨잡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씨잡변》은 조선 초 정도전이 저술한 책으로, 불교의 교리를 비판하고 유교적 가치관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불교의 윤회, 인과, 심성, 자비 등의 개념을 비판하며, 유교의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가르침을 강조한다. 《불씨잡변》은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종교와 사회, 개인의 윤리적 삶, 전통 가치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며 합리적 사고와 비판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도전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정도전의 삶을 다룬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며, 조선 건국 과정을 정치인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 정도전 - 삼봉집
삼봉집은 조선 초 정도전의 문집으로, 그의 사상과 정치 철학, 문학적 재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글과 《조선경국전》 등을 담고 있으며, 그의 정치, 경제, 철학 사상이 담긴 삼봉집 목판은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조선의 종교 - 서원 철폐
흥선대원군이 붕당 근거지이자 탈세 온상이었던 서원의 폐단을 해소하고 국가 재정을 확보하고자 1864년부터 사설 서원을 철폐하고 1871년 일부를 제외한 전국의 서원을 정리한 정책이 서원 철폐이다. - 조선의 종교 - 천진암
천진암은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한국 천주교 발상지로, 조선 시대 후기 젊은 선비들이 천주교 서적을 연구하며 한국 천주교회 기틀을 다진 역사적 의미를 지닌 천주교 성지이다. - 유교 책 - 태극도설
태극도설은 주돈이가 지은 도설로, 무극에서 태극이 나와 음양 운동을 통해 오행이 생성된다는 도교적 세계관을 담고 있으며, 음양의 조화와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고 인간을 음양오행의 조화가 뛰어난 존재로 여겨 한국 사회의 전통 가치관과 문화, 예술, 특히 성리학적 질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유교 책 - 통서
통서는 주돈이가 성(誠)을 핵심 개념으로 세상의 참된 기능이자 인간 도덕의 근본 규범으로 정의하며, 5성과 행위의 기미, 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철학 사상을 담은 책이다.
불씨잡변 | |
---|---|
개요 | |
![]() | |
한글 | 불씨잡변 |
한자 | 佛氏雜辨 |
로마자 표기 | Bulssi Japbyeon |
상세 정보 | |
저자 | 정도전 |
저술 시기 | 조선 초기 |
내용 | 불교 비판 |
2. 내용 구성
佛氏雜辨중국어은 총 1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은 불교 교리에 대한 비판적인 논변을 담고 있다.
장 | 제목 | 내용 |
---|---|---|
1장 |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 불교의 윤회설을 논변함 |
2장 |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 불교의 인과설을 논변함 |
3장 |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辨) | 마음과 본성에 대한 불교 이론을 논변함 |
4장 | 불씨작용시성지변(佛氏作用是性之辨) | 작용을 본성이라 여기는 불교 이론을 논변함 |
5장 | 불씨심적지변(佛氏心跡之辨) | 불교의 마음과 마음의 흔적에 대해 논변함 |
6장 | 불씨매어도기지변(佛氏昧於道器之辨) | 불교가 도(道)와 기(器)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논변함 |
7장 | 불씨훼기인륜지변(佛氏毁棄人倫之辨) | 불교가 인륜을 파괴하는 것을 논변함 |
8장 | 불씨자비지변(佛氏慈悲之辨) | 불교의 자비에 대해 논변함 |
9장 | 불씨진가지변(佛氏眞假之辨) | 불교의 진가(참과 거짓)에 대해 논변함 |
10장 | 불씨지옥지변(佛氏地獄之辨) | 불교의 지옥설을 논변함 |
11장 | 불씨화복지변(佛氏禍福之辨) | 불교의 화복설을 논변함 |
12장 | 불씨걸식지변 | 불교의 탁발(걸식)을 논변함 |
13장 | 불씨선교지변 | 불교의 선교를 논변함 |
14장 | 유석동이지변(儒釋同異之辨) | 유교와 불교의 같고 다름을 논변함 |
15장 | 불법입중국(佛法入中國) | 불교가 중국에 들어온 것을 논변함 |
16장 | 사불득화 | 불교를 섬기면 재앙을 받는다고 논변함 |
17장 | 사천도이담불과 | 하늘의 도를 섬기고 불교의 과보를 말하는 것을 논변함 |
18장 | 사불심근연대우촉 | 부처를 섬기는 것이 매우 가까운 연대(시대)에 일어난 일임을 논변함 |
19장 | 이단지변 | 이단을 논변함 |
참조
[1]
서적
Korean Religions in Relation: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SUNY Press
2016-09-30
[2]
백과사전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 불씨잡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