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도전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조선 건국을 주도한 유학자 정도전의 삶을 그린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다. 드라마는 권력 다툼, 부패, 혼란스러운 고려 말 상황을 배경으로, 정도전이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건국하고, 이상적인 국가를 건설하려는 과정을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정도전, 이성계, 이방원 등이 있으며, 정치인의 시각에서 역사를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드라마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제작되었으며, 2년간의 사전 제작과 135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2014년 KBS 연기대상에서 유동근이 대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육룡이 나르샤
    육룡이 나르샤는 이성계, 정도전, 이방원, 분이, 이방지, 무휼 여섯 인물을 중심으로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하는 격동의 시대를 그린 SBS 50부작 월화 드라마이며, 2011년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의 프리퀄 형식을 띠고 백상예술대상, 한국방송대상, 서울 드라마 어워즈 등을 수상했다.
  • 정도전 - 불씨잡변
    불씨잡변은 조선 초 정도전이 유교의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해 불교의 교리를 성리학적 관점에서 비판하며 불교의 폐단을 지적하고 유교적 이상 사회 건설을 강조한 책이다.
  • 정도전 - 삼봉집
    삼봉집은 조선 초 정도전의 문집으로, 그의 사상과 정치 철학, 문학적 재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글과 《조선경국전》 등을 담고 있으며, 그의 정치, 경제, 철학 사상이 담긴 삼봉집 목판은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충청북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대추나무 사랑걸렸네》는 1990년부터 2007년까지 KBS에서 방송된 농촌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이며, 시골 풍경과 농사를 소재로 다루며, 《전원일기》와 경쟁 구도를 이루었다.
  • 충청북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달이 내린 산기슭
    달이 내린 산기슭은 태백산지 지역의 실제 지형과 조선 누층군 같은 지질학적 특징을 배경으로 지질학자와 지층의 정령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풀어내는 웹툰이다.
정도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도전 포스터
정도전 포스터
장르시대극
정치 드라마
작가정현민
연출강병택
이재훈
출연조재현
유동근
서인석
박영규
임호
안재모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50
책임 프로듀서김형일
촬영 장소대한민국
방송 시간토요일, 일요일 21:40 (KST)
제작사KBS
제작비1250만 미국 달러
방송 채널KBS 1TV
첫 방송2014년 1월 4일
마지막 방송2014년 6월 29일
관련 정보
극본정현민
연출강병택, 이재훈
방송사KBS
방송 기간2014년 1월 4일 ~ 2014년 6월 29일
방송 횟수50부작
시간대매주 주말 밤 9시 40분 ~ 10시 30분
HD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해설김도현
시대적 배경
시대고려 말기 - 조선 초기

2. 역사적 배경

드라마는 1374년 공민왕 재위 마지막 해에 시작된다. 당시 고려는 권력 남용, 부패, 정치적 혼란이 만연했고, 관료들과 학자들은 새로운 왕조와 시대를 꿈꾸었다.

정도전은 이성계(후일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조선 건국 6년 만인 1398년에 1차 왕자의 난으로 정치적 숙적 이방원에게 살해되었다.[1]

2. 1. 고려 말의 상황

공민왕 말, 권문세족의 발호와 횡포로 국가 기강은 문란해지고 백성들의 고통은 극에 달했다.[1] 이인임, 임견미, 염흥방 등은 권력을 남용하고 부패를 일삼아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1] 이러한 상황에서 정도전, 정몽주 등 신진사대부들은 새로운 시대를 열망하며 개혁을 시도했다.[1]

2. 2. 조선 건국의 배경

정도전은 이성계(후일 태조)를 도와 새로운 왕조 조선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귀족이자 정치가였다. 태조는 조선의 초대 국왕이 된 후 모든 국사를 정도전에게 맡겼으며, 정도전은 조선의 이념, 제도, 법적 기반을 마련하여 500년 왕조의 기틀을 다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1] 그는 군사, 외교, 교육 등 모든 정책을 결정하고, 조선의 정치 시스템과 조세 법을 만들었다.[1] 또한 불교유교로 대체하고,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오늘날의 서울)으로 옮겼으며, 봉건제를 중앙집권화된 관료제로 바꾸고, 경국대전의 토대가 된 법전을 저술했다.[1] 그는 각 궁궐, 8도, 수도 구역의 이름까지 정했으며, 많은 노비를 해방하고 토지 개혁을 추진했다.[1]

이 드라마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실존했던 유학자 정도전을 주인공으로, 그가 이성계 장군과 협력하여 서민을 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과정을 그려낸다.[3]

3. 주요 등장인물

드라마 《정도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배우설명
정도전조재현고려신진사대부 출신으로,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한 인물.
이성계유동근훗날 조선 태조가 되는 고려의 장군.
이인임박영규고려 말 권문세가의 핵심 인물.
최영서인석고려 말 백성들에게 추앙받던 명장이자 재상.
정몽주임호고려 말의 유학자이자 신진사대부의 대표.
이방원안재모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 태종이 된다.
경처 강씨이일화이성계의 둘째 부인.
이지란선동혁여진족 출신으로 이성계의 의형제.
이방우강인기이성계의 장남.
이방과이태림이성계의 차남.
배극렴송용태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무학대사박병호이성계의 꿈을 해몽하여 왕이 될 운명이라고 말해준 인물.
이방번김승찬이성계의 7남.
이방석박준목이성계의 8남.
공민왕김명수고려 31대 왕.
우왕박진우고려 32대 왕.
창왕김준성고려 33대 왕.
공양왕남성진고려 34대 마지막 왕.
임견미정호근이인임의 측근.
염흥방김민상본래 신진사대부였으나, 이인임의 측근으로 돌아선 인물.
이색박지일고려 말기의 대학자이자 신진사대부의 스승.
박상충김승욱정도전의 사형이자, 이색의 매제.
이숭인정희태고려 삼은 중 한 사람.
권근김철기
이첨신용규


  • 그 외 배역(배우 미상)
  • * 최을의
  • * 김진양
  • * 이확
  • * 우홍수
  • * 우홍명
  • * 우홍득
  • * 이종학

3. 1. 정도전과 그 주변 인물

조재현이 연기한 '''정도전'''은 고려가 버린 신진사대부 출신이다. 그는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사상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세계를 실현하고자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했다. 그러나 결국 이방원에게 살해된다.[1]

이아현이 연기한 '''최씨 부인'''은 정도전의 부인이다. 남편을 대신해 홀로 생계를 책임지며 억척스럽게 살아가지만, 누구보다 정도전을 위해 헌신한다.[1]

임대호가 연기한 '''남은'''은 정도전 일파의 핵심 인물로, 사대부이지만 군무 관련 재능도 갖추고 있다.[1]

전현이 연기한 '''조준'''은 권문세가 출신 신진사대부이다. 정도전의 대업에 동참해 토지 개혁을 주도한다. 조선 개국 이후 정도전과는 사안에 따라 다른 입장을 취하게 되면서 조금씩 사이가 멀어진다.[1]

이병욱이 연기한 '''윤소종'''은 정도전 일파의 신진사대부로서 직언이 특기이다.[1]

3. 2. 이성계와 그 주변 인물


  • 유동근: 이성계 역 - 고려의 맹장이자 변방 동북면 화령의 군벌로 훗날 태조가 된다.[6]

: 백성의 고통을 목도하고 이를 구제하고자 하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출신으로 인해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한다. 결국 역성혁명을 받아들이고 위화도 회군을 일으켰으며, 정도전과 함께 조선을 개국한다.

  • 이일화: 경처 강씨 역 - 이성계의 둘째 부인.[6] 권문세가 출신으로 조선 건국 후 신덕왕후가 되었고 슬하에 방번, 방석 형제를 두었다. 1396년 승하했다.
  • 선동혁: 이지란 역 - 여진족 출신으로 이성계의 의형제이다.
  • 강인기: 이방우 역 - 이성계의 장남.[6] 동생들과 달리 고려에 충성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숨어 살다가 이듬해 죽게 된다.
  • 이태림: 이방과 역 - 이성계의 차남.[6] 아버지 이성계를 따라 다니며 묵묵히 무장으로서 활동한다.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지지한다.
  • 송용태: 배극렴 역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 박병호: 무학대사 역 - 이성계가 꾼 꿈을 왕이 될 운명이라고 해몽한다.
  • 김승찬: 이방번 역 - 이성계의 7남.[6] 모친은 신덕왕후로,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살해된다.
  • 박준목: 이방석 역(아역: 길정우) - 이성계의 8남.[6] 모친은 신덕왕후로, 조선 개국년인 1392년 세자에 책봉된다. 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살해된다.
  • 남현주: 박 상궁 역 - 신덕왕후의 상궁.
  • 최동엽: 김 내관 역 - 태조 이성계의 내관.
  • 김명곤: 해남 역 - 이지란의 수하.
  • 이귀염: 사월 역 - 강씨의 몸종.

3. 3. 이방원과 그 주변 인물

3. 4. 고려 왕실 인물


  • 김명수: 공민왕 역. 고려 31대 왕으로, 자주적인 개혁을 펼쳤으나 홍륜에 의해 시해당했다.
  • 박진우: 우왕 역. 고려 32대 왕으로, 이인임의 비호를 받으며 왕위에 올랐으나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폐위당했다.
  • 김준성: 창왕 역. 고려 33대 왕으로,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나 폐위당하고 살해되었다.
  • 남성진: 공양왕 역. 고려 34대 마지막 왕으로, 이성계에 의해 왕위에 올랐으나 폐위당했다.

3. 5. 고려 권문세족


  • 박영규: 이인임 역 - 고려 말기 정권의 핵심에 있던 권문세가.[1]
  • 서인석: 최영 역 - 고려 말 백성들에게 추앙받던 명장이자 고려 왕실을 지키고자 한 재상.[2] 이인임 일파를 몰아냈으나, 요동 정벌을 추진하다가 이성계에게 패배하여 숙청당했다.[3]
  • 정호근: 임견미 역 - 이인임의 측근으로, 폭정과 사치를 일삼던 간신.[11]
  • 김민상: 염흥방 역 - 본래 신진사대부였으나, 이인임의 측근으로 돌아섰다.[12]

3. 6. 신진사대부

4. 정도전의 정치 활동과 사상

고려 말, 공민왕 통치 마지막 해인 1374년은 권력 남용, 부패, 정치적 혼란으로 얼룩진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관료들과 학자들은 새로운 왕조와 시대를 열망했다.

정도전은 이성계(후일 태조)를 도와 조선 건국을 이끈 귀족이자 정치가였다. 태조는 조선의 초대 국왕이 된 후 모든 국사를 정도전에게 맡겼다. 정도전은 조선의 이념, 제도, 법적 기반을 마련하여 500년 왕조의 기틀을 다진 핵심 인물이었다. 그는 군사, 외교, 교육 등 모든 정책을 결정하고, 조선의 정치 시스템과 조세 법을 만들었다. 또한 불교에서 유교로 국교를 바꾸고,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오늘날의 서울)으로 옮겼다. 왕국의 정치 시스템을 봉건제에서 중앙집권화된 관료제로 바꾸고, 경국대전의 모태가 된 법전을 저술했다. 그는 각 궁궐, 8도, 수도 구역의 이름까지 정했으며, 노비 해방과 토지 개혁을 추진하기도 했다.[1]

정도전의 정치 활동과 사상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드라마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실존했던 정도전을 주인공으로, 이성계와 함께 서민을 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던 그의 일대기를 그려낸다.

4. 1. 민본주의와 역성혁명

정도전고려 말, 부패와 정치적 혼란이 만연했던 시기에 신진사대부로서 새로운 시대를 꿈꿨다. 그는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민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성리학적 이상 세계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하고, 건국 후에는 조선의 이념, 제도,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정도전은 군사, 외교, 교육 등 모든 정책을 결정하고, 조선의 정치 시스템과 조세 법을 만들었다. 또한 불교유교로 대체하고,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오늘날의 서울)으로 옮겼으며, 왕국의 정치 시스템을 봉건제에서 중앙집권화된 관료제로 바꾸었다. 더불어, 경국대전의 기초가 된 법전을 저술하고, 각 궁궐의 이름, 8도와 수도의 구역 이름까지 정하는 등 조선 건국의 설계자 역할을 했다. 그는 많은 노비들을 해방시키고 토지 개혁을 추진하기도 했다.[1]

하지만 정도전은 태조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과의 정치적 갈등 끝에 1398년, 조선 건국 6년 만에 살해되었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알려진 이 사건으로 태종이 조선의 세 번째 왕이 되었다.[1]

4. 2. 조선 건국과 개혁 정치

정도전신진사대부로서 고려 말 권력 남용, 부패, 정치적 혼란이 만연했던 시기에 이성계(후일 조선 태조)와 뜻을 모아 조선 건국을 주도했다.[1] 유교적 이상 세계를 실현하고자 했던 그는, 조선 건국 이후 왕조의 이념적, 제도적,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태조는 모든 국사를 정도전에게 맡겼고, 그는 군사, 외교, 교육 등 모든 분야의 정책을 결정했다.[1] 조세 법을 제정하고, 불교 대신 유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오늘날의 서울)으로 옮기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 또한 왕국의 정치 시스템을 봉건제에서 중앙집권화된 관료제로 바꾸고, 경국대전의 토대가 된 법전을 저술했다.[1]

정도전은 각 궁궐의 이름, 8도와 수도 구역의 이름을 정하는 데에도 관여했으며, 많은 노비를 해방시키고 토지 개혁을 추진하는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쳤다.[1]

그러나 정도전은 1398년, 조선 건국 6년 만에 정치적 숙적이었던 태조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에게 살해되었다.[1] 1차 왕자의 난으로 알려진 이 사건으로 태종이 조선의 세 번째 왕이 되었다.[1]

4. 3. 이방원과의 갈등과 최후

이방원은 왕권 강화를 추구하였고, 정도전은 재상 중심의 정치를 추구하여 둘은 갈등 관계였다. 이 갈등은 결국 1차 왕자의 난으로 이어진다.[1]

1398년, 조선 건국 6년 만에 태조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은 정치적 숙적이었다. 이방원은 자신의 이복 형제(세자를 포함)와 정도전을 비롯한 지지자들을 살해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는 "1차 왕자의 난"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사건으로 이방원은 태종이 되어 조선의 세 번째 왕이 되었다.[1]

5. 드라마 제작 과정 및 평가

''정도전''은 픽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극에 대한 비판이 높아짐에 따라 KBS가 내놓은 대응으로, 2000년대 초반 이후 희귀해진 정통 시대극의 부활을 바라는 한국 TV 평론가들의 요구에 부응했다.[2] 이 드라마는 군주의 삶이 아닌 정치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135억의 제작비와 2년 간의 사전 제작 과정을 거쳤다.[4] 제작진은 역사 전문가 자문 위원회를 구성하고, 출연진은 이덕일로부터 유교와 조선 건국 관련 교육을 받는 등 역사적 사실성을 확보하려 노력했다.[4] 책임 작가 정현민은 국회의원 보좌관 경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관점에서 드라마에 접근했다.[4]

AGB 닐슨 코리아 집계에 따르면 ''정도전''은 평균 시청률 12%를 기록했으며, 주요 시청층은 40대 이상 남성이었다.[4] 드라마의 성공은 정도전 관련 서적 출판과 타 방송사의 드라마 제작 계획 연기로 이어졌다.[4] KBS는 드라마와 역사 토크쇼 역사저널 그날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려 했다.[4]

이 드라마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실존했던 인물로, 조선 건국에 공헌한 유학자 정도전을 주인공으로 한다. 정도전은 훗날 조선 국왕이 되는 장군 이성계와 협력하여, 서민을 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정도전''은 2010년대 들어 부진했던 KBS 대하 드라마 시리즈에서 오랜만에 작품성과 흥행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4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13]AGB 시청률[14]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1월 4일10.0%11.4%11.6%11.7%
제2회1월 5일9.2%9.6%10.7%10.8%
제3회1월 11일10.2%11.5%10.8%10.6%
제4회1월 12일9.3%9.9%11.2%10.9%
제5회1월 18일11.5%11.5%13.0%12.7%
제6회1월 19일10.0%10.4%11.8%11.9%
제7회1월 25일11.8%12.9%13.2%14.1%
제8회1월 26일11.2%11.9%11.9%12.2%
제9회2월 1일12.2%12.5%12.6%12.3%
제10회2월 2일11.4%11.4%12.8%12.2%
제11회2월 8일11.5%11.9%12.9%12.3%
제12회2월 9일12.7%12.1%13.6%13.0%
제13회2월 15일13.5%14.7%16.1%15.8%
제14회2월 16일12.8%13.9%15.2%14.8%
제15회2월 22일13.9%14.0%14.9%14.2%
제16회2월 23일12.8%13.1%14.0%12.9%
제17회3월 1일13.9%13.5%14.3%13.9%
제18회3월 2일13.2%13.8%14.6%13.7%
제19회3월 8일13.8%14.3%15.4%14.7%
제20회3월 9일14.9%14.9%16.5%16.0%
제21회3월 15일15.5%15.5%16.9%16.3%
제22회3월 16일15.6%16.5%16.1%15.1%
제23회3월 22일15.2%15.2%15.6%14.6%
제24회3월 23일13.3%13.2%15.8%14.9%
제25회3월 29일14.9%16.1%14.6%13.8%
제26회3월 30일13.7%14.6%16.1%15.3%
제27회4월 5일16.0%16.9%17.2%16.6%
제28회4월 6일16.7%17.7%18.2%17.5%
제29회4월 12일16.2%16.8%17.1%17.0%
제30회4월 13일16.4%16.8%17.1%16.0%
제31회4월 26일16.3%16.7%18.2%18.4%
제32회4월 27일17.2%17.8%17.5%16.4%
제33회5월 3일16.3%16.6%16.8%16.8%
제34회5월 4일17.0%16.2%18.4%18.8%
제35회5월 10일14.6%15.3%18.2%18.1%
제36회5월 11일16.6%19.0%19.8%20.1%
제37회5월 17일16.6%17.4%17.3%17.0%
제38회5월 18일18.1%17.7%19.2%19.3%
제39회5월 24일16.0%16.1%16.2%17.2%
제40회5월 25일15.9%16.0%17.6%17.0%
제41회5월 31일14.1%14.6%15.5%17.8%
제42회6월 1일14.5%14.9%18.5%15.5%
제43회6월 7일16.7%16.6%17.4%16.9%
제44회6월 8일17.2%16.4%18.7%18.8%
제45회6월 14일16.4%15.9%18.9%18.6%
제46회6월 15일16.7%16.8%18.4%18.3%
제47회6월 21일14.5%14.8%17.1%17.1%
제48회6월 22일15.7%15.3%18.9%18.6%
제49회6월 28일16.7%17.0%16.6%16.5%
제50회6월 29일17.3%16.3%19.0%18.8%
평균 시청률14.4%14.7%15.8%15.5%


5. 1. 제작 과정

원 ()의 제작비가 투입되고 2년간의 사전 제작 기간을 거친 ''정도전''은, 픽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극에 대한 비판이 높아짐에 따라 KBS가 내놓은 대응이었다. 한국 TV 평론가들은 2000년대 초반 이후 희귀해진 정통 시대극의 부활을 요구했다.[2]

KBS의 장성환은 제작 발표회에서 "저희는 이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고대해 왔습니다. 공영방송으로서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이는 드라마를 제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이 드라마가 역사적 진실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즐거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랐다.[2]

''정도전''은 군주의 삶이 아닌 정치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며 동 장르의 다른 작품들과 차별성을 두었다. 제작진은 정도전이 살았던 시대에 집중하여 한국사 박사 또는 석사 학위를 가진 역사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를 구성했다. 출연진 또한 유명한 역사학자 이덕일로부터 유교와 조선 건국과 함께 만들어진 다양한 정부 규정에 대한 4개월 과정의 교육을 받았다. (고려의 국교는 불교였지만, 조선은 엄격하게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건국되었다) 정도전의 말 "백성의 마음을 얻으면 백성이 따르고, 그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 그들은 배반할 것이다"는 드라마 웹사이트의 제작 노트에 인용되었다.[4]

책임 작가 정현민은 고려 시대에 대한 많은 서적과 드라마 속 인물들의 전기를 탐독했다. 정 작가는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과 제1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한국 국회의원 10명의 보좌관으로 10년간 근무했으며, 정치적 관점에서 드라마의 플롯에 접근하는 그의 능력은 김형일 책임 프로듀서가 그를 TV 시리즈 작가로 기용한 이유였다. 일부 문화 평론가들은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가 권력 게임에 갇힌 한국의 현재 정치 상황이 ''정도전''의 배경과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강병택 감독은 정 작가를 "합리적이고 실용적이다. 이 두 가지는 오늘날 한국에서 중요한 가치이다."라고 평했다.[4]

5. 2. 드라마의 특징 및 평가

鄭道傳중국어은 픽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사극에 대한 비판이 높아짐에 따라 KBS가 내놓은 대응이었다. 한국 TV 평론가들은 2000년대 초반 이후 희귀해진 정통 시대극의 부활을 요구했다. KBS의 장성환은 제작 발표회에서 "저희는 이 프로젝트를 오랫동안 고대해 왔습니다. 공영방송으로서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이는 드라마를 제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이 드라마가 역사적 진실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즐거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랐다.[2]

이 드라마는 군주의 삶이 아닌 정치인의 삶에 초점을 맞추며 동 장르의 다른 작품들과 차별성을 둔다. 2년 간의 사전 제작 과정을 거쳤으며, 12.5억달러 (135억)의 제작비가 투입되었다. 鄭道傳중국어을 제작하기 위해 제작진은 정도전이 살았던 시대에 집중하여 한국사 박사 또는 석사 학위를 가진 역사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를 구성했다. 출연진 또한 유명한 역사학자 이덕일로부터 유교와 조선 건국과 함께 만들어진 다양한 정부 규정에 대한 4개월 과정의 교육을 받았다. (고려의 국교는 불교였지만, 조선은 엄격하게 유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건국되었다). 정도전의 말 "백성의 마음을 얻으면 백성이 따르고, 그들의 마음을 얻지 못하면 그들은 배반할 것이다"는 드라마 웹사이트의 제작 노트에 인용되었다.[4]

특히, 책임 작가 정현민은 고려 시대에 대한 많은 서적과 드라마 속 인물들의 전기를 탐독했다. 정 작가는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과 제1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한국 국회의원 10명의 보좌관으로 10년간 근무했으며, 정치적 관점에서 드라마의 플롯에 접근하는 그의 능력은 김형일 책임 프로듀서가 그를 TV 시리즈 작가로 기용한 이유였다. 일부 문화 평론가들은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가 권력 게임에 갇힌 한국의 현재 정치 상황이 鄭道傳중국어의 배경과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강병택 감독은 정 작가를 "합리적이고 실용적이다. 이 두 가지는 오늘날 한국에서 중요한 가치이다."라고 평했다.[4]

鄭道傳중국어은 평균 시청률 12%(AGB 닐슨 코리아 집계)를 기록했으며, 드라마 공식 웹사이트는 첫 2주 동안 500개의 게시물을 기록했다. 다른 한국 드라마와 달리 주요 시청자 인구 통계는 40대 이상 남성이었다.[4]

2014년
회차방송일TNmS 시청률[13]AGB 시청률[14]
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대한민국(전국)서울(수도권)
제1회1월 4일10.0%11.4%11.6%11.7%
제2회1월 5일9.2%9.6%10.7%10.8%
제3회1월 11일10.2%11.5%10.8%10.6%
제4회1월 12일9.3%9.9%11.2%10.9%
제5회1월 18일11.5%11.5%13.0%12.7%
제6회1월 19일10.0%10.4%11.8%11.9%
제7회1월 25일11.8%12.9%13.2%14.1%
제8회1월 26일11.2%11.9%11.9%12.2%
제9회2월 1일12.2%12.5%12.6%12.3%
제10회2월 2일11.4%11.4%12.8%12.2%
제11회2월 8일11.5%11.9%12.9%12.3%
제12회2월 9일12.7%12.1%13.6%13.0%
제13회2월 15일13.5%14.7%16.1%15.8%
제14회2월 16일12.8%13.9%15.2%14.8%
제15회2월 22일13.9%14.0%14.9%14.2%
제16회2월 23일12.8%13.1%14.0%12.9%
제17회3월 1일13.9%13.5%14.3%13.9%
제18회3월 2일13.2%13.8%14.6%13.7%
제19회3월 8일13.8%14.3%15.4%14.7%
제20회3월 9일14.9%14.9%16.5%16.0%
제21회3월 15일15.5%15.5%16.9%16.3%
제22회3월 16일15.6%16.5%16.1%15.1%
제23회3월 22일15.2%15.2%15.6%14.6%
제24회3월 23일13.3%13.2%15.8%14.9%
제25회3월 29일14.9%16.1%14.6%13.8%
제26회3월 30일13.7%14.6%16.1%15.3%
제27회4월 5일16.0%16.9%17.2%16.6%
제28회4월 6일16.7%17.7%18.2%17.5%
제29회4월 12일16.2%16.8%17.1%17.0%
제30회4월 13일16.4%16.8%17.1%16.0%
제31회4월 26일16.3%16.7%18.2%18.4%
제32회4월 27일17.2%17.8%17.5%16.4%
제33회5월 3일16.3%16.6%16.8%16.8%
제34회5월 4일17.0%16.2%18.4%18.8%
제35회5월 10일14.6%15.3%18.2%18.1%
제36회5월 11일16.6%19.0%19.8%20.1%
제37회5월 17일16.6%17.4%17.3%17.0%
제38회5월 18일18.1%17.7%19.2%19.3%
제39회5월 24일16.0%16.1%16.2%17.2%
제40회5월 25일15.9%16.0%17.6%17.0%
제41회5월 31일14.1%14.6%15.5%17.8%
제42회6월 1일14.5%14.9%18.5%15.5%
제43회6월 7일16.7%16.6%17.4%16.9%
제44회6월 8일17.2%16.4%18.7%18.8%
제45회6월 14일16.4%15.9%18.9%18.6%
제46회6월 15일16.7%16.8%18.4%18.3%
제47회6월 21일14.5%14.8%17.1%17.1%
제48회6월 22일15.7%15.3%18.9%18.6%
제49회6월 28일16.7%17.0%16.6%16.5%
제50회6월 29일17.3%16.3%19.0%18.8%
평균 시청률14.4%14.7%15.8%15.5%



드라마 성공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정도전의 삶에 대한 책의 최근 출판이었다. 이 역사책은 또 다른 방송사 MBC가 이 중요한 학자에 대한 드라마를 계획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KBS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인해 MBC는 계획을 무기한 연기했다.[4]

KBS는 鄭道傳중국어 종영 직후인 일요일 오후 10시 30분에 방송되는 역사 토크쇼인 역사저널 그날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드라마 첫 방송 이후 역사 토크쇼는 정도전, 고려 멸망, 조선 건국을 3회 연속 다뤘다. 역사 토크쇼는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시인, 영화 감독, 대중 문화 평론가를 패널로 초청한다.[4]

이 드라마는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실존했던, 조선 건국에 공헌한 유학자 정도전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다. 정도전은 장군으로 후에 조선 국왕이 되는 이성계에게 협력하여, 서민을 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2010년대 들어 부진했던 KBS 대하 드라마 시리즈에서, 오랜만에 작품성과 흥행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6. 수상 내역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4백상예술대상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조재현수상
한국방송대상대상정도전수상
연출상강병택수상
작가상정현민수상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대상조재현후보
베스트 드라마정도전후보
작가상정현민수상
에이판 스타 어워즈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조재현수상
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박영규후보
KBS 연기대상대상유동근수상
남자 최우수 연기상조재현수상
유동근후보
장편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조재현후보
유동근후보
박영규수상
조연상임호후보
남자 청소년 연기상정윤석후보
PD상조재현후보
작가상정현민수상
2015휴스턴 국제 영화제드라마 TV 시리즈 부문 플래티넘 레미상정도전수상[7]


참조

[1] 웹사이트 Why people are so fascinated by Jeong Do-jeon http://koreajoongang[...] 2014-02-04
[2] 웹사이트 Joseon founding seen in unique angle https://www.koreatim[...] 2014-01-03
[3] 웹사이트 Epic dramas to rule small screen in 2014 https://www.koreatim[...] 2014-01-10
[4] 웹사이트 Unique historical drama tries putting history first http://koreajoongang[...] 2014-02-04
[5] 웹사이트 Song Gang-ho, Jun Ji-hyun get top nods at Baeksang Awards http://www.koreahera[...] 2014-05-27
[6] 웹사이트 Actress Lee Il-hwa boasts coke bottle bodyline http://www.koreahera[...] 2014-01-02
[7] 뉴스 KBS 드라마스페셜 '괴물'·'정도전', 휴스턴 국제영화제 대상 http://www.tvreport.[...] 2015-04-23
[8] 뉴스인용 "정통연기 자신" 연극배우 TV서 각광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1-02-25
[9] 뉴스인용 '제주 초원'서 그리는'사랑의 수채화' KBS 새미니시리즈'열애'6일 첫방송 박상민·성현아·이정길·정애리등 열연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1-02-25
[10] 뉴스인용 '대조영' 끝나면... 11월 '세종대왕' 납신다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21-02-25
[11] 뉴스인용 경숙아버지, TV로 간다…연극 ‘경숙이…’ KBS 미니시리즈로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1-02-25
[12] 문서 실제로 존재하였던 인물로 삼봉집에 기록되어 있다.
[13]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14] 웹인용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4-01-04
[15] 문서 정도전 생가
[16] 문서 전주 이씨 시조 묘소
[17] 뉴스 KBS 드라마스페셜 '괴물'·'정도전', 휴스턴 국제영화제 대상 http://www.tvreport.[...] 2015-04-23
[18] 뉴스 KBS, 대하사극 연간 1편 제작 원칙 "제작비 부담 때문" https://news.naver.c[...]
[19] 뉴스 '징비록' 조대현 사장 "올해부터 대하드라마 쉬지 않을 것" https://news.naver.c[...]
[20] 뉴스인용 [단독] 조재현-유동근, KBS1 대하사극 '정도전'서 맞붙는다 https://entertain.na[...] TV리포트 2020-07-29
[21] 뉴스인용 [연예가 정보통] 서인석, KBS '정도전'에 합류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7-05-29
[22] 뉴스인용 '정도전' 31회 결방, '세월호 참사 뉴스특보' 편성 http://entertain.nav[...] TV리포트 2017-05-29
[23] 뉴스인용 별들의 향연에도 아쉬움으로 남은 드라마 부문 http://bobfull.waple[...] 한국방송작가협회 2017-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