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은목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목이과는 붉은목이강에 속하는 곰팡이과의 하나이다. Calocera, Cerinomyces, Cerinosterus, Dacrymyces, Dacryonaema, Dacryopinax, Dacryoscyphus, Ditiola, Femsjonia, Guepiniopsis 등의 속을 포함한다. 2018년 테더수 등의 연구에 따르면 붉은목이과는 담자균아문에 속하며, 녹균아문, 깜부기균아문, 담자균아문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자균류 - 녹병균
    녹병균은 살아있는 식물에 기생하며 최대 5가지 포자를 생성하고 복잡한 생활환을 거치는 절대 기생균으로, 농작물과 산림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주요 병원균이며 살균제 사용 등으로 방제한다.
  • 담자균류 - 엔토르리자과
    엔토르리자과는 엔토르리자균문에 속하며, 담자균류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식물 뿌리에 기생하여 혹을 형성하며,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담자균류의 자매군 또는 이핵균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된다.
붉은목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학적 정보
균계 (Fungi)
담자균문 (Basidiomycota)
아문하라타케아문 (Agaricomycotina)
붉은목이강 (Dacrymycetes)
붉은목이목 (Dacrymycetales)
붉은목이과 (Dacrymycetaceae)
학명Dacrymycetaceae
학명 명명자J. Schröt. 1888
모식 속Dacrymyces
모식 속 명명자Nees (1816)

2. 하위 속


  • ''Calocera''
  • ''Cerinomyces''
  • ''Cerinosterus''
  • ''Dacrymyces''
  • ''Dacryonaema''
  • ''Dacryopinax''
  • ''Dacryoscyphus''
  • ''Ditiola''
  • ''Femsjonia''
  • ''Guepiniopsis''

3. 계통 분류

2018년 테더수(Tedersoo) 등은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담자균문(Basidiomycota)의 새로운 계통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4] 이 연구에 따르면 담자균문은 크게 녹균아문(Pucciniomycotina), 깜부기균아문(Ustilaginomycotina),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의 세 아문으로 나뉜다.[4] 붉은목이과가 속하는 붉은목이강(Dacrymycetes)은 담자균아문에 포함되며, 흰목이강(Tremellomycetes),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등과 함께 분류된다.[4] 각 아문 및 하위 분류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담자균문 (Basidiomycota)

2018년 테더수(Tedersoo) 등의 연구에 따른 담자균문(Basidiomycota)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담자균문은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아문(亞門)으로 나뉜다.[4]

3. 1. 1. 녹균아문 (Pucciniomycotina)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 2018)의 연구에 따른 담자균문녹균아문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3. 1. 2. 깜부기균아문 (Ustilaginomycotina)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의 담자균류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4], 깜부기균아문(Ustilaginomycotina)은 다음과 같은 강(綱)들을 포함한다.

  • 모닐리엘라강 (Moniliellomycetes)
  • 말라세지아강 (Malasseziomycetes)
  • 깜부기균강 (Ustilaginomycetes)
  • 떡병균강 (Exobasidiomycetes)

3. 1. 3. 담자균아문 (Agaricomycotina)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 2018)이 발표한 담자균류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담자균아문은 담자균문의 주요 아문 중 하나이다.[4] 담자균아문은 대부분의 버섯류를 포함하는 가장 큰 분류군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담자균아문 아래에 다음과 같은 주요 강(綱)들을 분류하였다.[4]

분류학적 위치가 잠정적인 Geminibasidiomycetes와 Bartheletiomycetes 등도 담자균아문에 포함된다.[4] 특히 흰목이강, 붉은목이강, 주름버섯강은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4]

참조

[1] 학술지
[2] 학술지 A higher level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Fungi''
[3] 서적 Dictionary of the Fungi. 10th ed CABI
[4] 저널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