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란코 제베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란코 제베츠는 유고슬라비아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FK 파르티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등에서 활약했으며,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65경기에서 17골을 기록했다.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195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주장으로 활약했다. 감독으로서 NK 디나모 자그레브, FC 바이에른 뮌헨, 함부르거 SV 등을 이끌었으며, 특히 바이에른 뮌헨에서 분데스리가와 DFB-포칼 우승을 달성했고, 함부르크 SV를 분데스리가 우승으로 이끌었다. 1988년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으며, 분데스리가에서 413경기를 지휘하여 비독일 출신 코치 중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축구 감독 - 요아힘 슈트라이히
요아힘 슈트라이히는 동독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DDR-오버리가에서 득점왕 4회, 동독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으며, 197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고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감독으로 활동했다.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축구 감독 - 우베 라인더스
우베 라인더스는 공격수 출신 독일 축구 선수 및 감독으로, 선수 시절 분데스리가 준우승, 쿠프 드 프랑스 우승, 월드컵 준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감독을 맡아 한자 로스토크의 분데스리가 승격을 이끌었다. - GNK 디나모 자그레브의 축구 감독 -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전 축구 감독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1998년 FIFA 월드컵 3위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클럽 우승 경력과 강한 카리스마로 유명하며,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GNK 디나모 자그레브의 축구 감독 - 오스발도 아르딜레스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오스발도 아르딜레스는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고, 토트넘 홋스퍼 FC에서 활약하며 사랑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과 J리그 팀들을 지도했다. - 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토니 쿠코치
토니 쿠코치는 유럽 농구 역사상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 유럽 리그, NBA 시카고 불스에서 활약하며 올림픽 메달, FIBA 월드컵 우승, 유로리그 우승, NBA 챔피언십 우승, NBA 식스맨 상 등을 수상한 크로아티아의 은퇴한 농구 선수이다. - 유고슬라비아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드라젠 페트로비치
드라젠 페트로비치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농구 선수로, 유고슬라비아와 크로아티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유로리그 우승, NBA 선수 활동, 올림픽 메달 획득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28세에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브란코 제베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브라니스라프 제베츠 |
| 출생일 | 1929년 5월 17일 |
| 출생지 | 유고슬라비아 왕국 자그레브 |
| 사망일 | 1988년 9월 26일 |
| 사망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자그레브 |
| 신장 | 1.76m |
| 포지션 | 레프트 풀백, 레프트 윙어 |
| 선수 경력 | |
| 유소년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 클럽 | 1943–1945: 그라잔스키 자그레브 1946–1947: 포슈타르 자그레브 1947: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1948–1951: 보라츠 자그레브 1951–1959: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1959–1961: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1961–1965: 알레마니아 아헨 |
| 국가대표 | 1951–1961: 유고슬라비아 (65경기 17골) |
| 수상 | |
| 올림픽 | 1952 헬싱키: 은메달 (축구)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1960 프랑스: 은메달 |
| 감독 경력 | |
| 클럽 | 1966–1967: 디나모 자그레브 1968–1970: FC 바이에른 뮌헨 1970–1972: VfB 슈투트가르트 1972–1973: 하이두크 스플리트 1974–1978: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978–1980: 함부르거 SV 1981–1982: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982–1983: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984: 디나모 자그레브 |
2. 선수 경력
브란코 제베츠는 선수 시절, 여러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과 클럽 팀에서 활약했다.
주요 경력:
| 팀 | 기간 | 주요 기록 |
|---|---|---|
| 파르티잔 | 1951년 - 1959년 | 유고슬라비아 컵 우승 (1952, 1954, 1957), 1954년 FIFA 월드컵 및 1958년 FIFA 월드컵 참가 |
| 츠르베나 즈베즈다 | 1959년 - 1960년 |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 (1959-60) |
| 알레마니아 아헨 | 1963년 - 1965년 | |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51년 - 1961년 | 65경기 17골,[7] 1952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1954년 FIFA 월드컵 및 1958년 FIFA 월드컵 참가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FK 파르티잔 두 팀에서 모두 선수로 활약했으며,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에서는 65경기에 출전하여 17골을 기록했다.[7]
2. 1. 유년 시절 및 FK 파르티잔
그는 젊은 시절 고향의 여러 팀에서 활약하였다. (그라단스키 자그레브, 포슈타르 자그레브,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보라크 자그레브) 1951년, 유고슬라비아 축구계를 지배하던 수도의 파르티잔의 제의를 받았다. 그의 경기 능력과 스피드는 레프트 윙어로 기용되도록 하였고, 짧은 기간 내에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었다. 그는 국가대표팀 경기에 65경기 출장하여 17득점을 기록하였다.[3] 1952년, 그는 첫 국가 컵대회 우승을 하였고, 같은 해 여름 헬싱키에서 열린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참여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헝가리에 패하여 은메달에 만족해야 했다.[2] 제베츠는 7골을 득점하여 이 대회의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클럽에서, 제베츠의 성공은 계속되었다. 1954년, FK 파르티잔은 리그 준우승을 하였고, 컵대회 우승을 하였다. 제베츠는 1954년 FIFA 월드컵 명단에 포함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프랑스에 1승, 브라질과 1무를 기록하였다. 8강에서 유고슬라비아는 서독에 패하였다.
제베츠는 클럽에서 미드필더의 리더 역할을 맡았고, 이 포지션은 그의 영리함으로 인해 가장 알맞은 자리였다. 1955년, 그는 유러피언컵의 첫 번째 대회에 참여하였다. (파르티잔은 선정팀으로 참가하였지만, 국가 챔피언은 아니었다.) 파르티잔은 1라운드에서 스포르팅 CP를 5-2, 8-5로 제압하였다. 8강에서 파르티잔은 레알 마드리드 CF를 만나 홈에서 3-0 승리를 거두었으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이끄는 마드리드는 2차전에서 파르티잔에 0-4 패배를 안겼다. 국가 대회에서 파르티잔은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와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에 가려져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1956년에 파르티잔은 리그 준우승에 만족하였고, 2년 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이 기간 동안 파르티잔은 유고슬라비아 컵대회 우승을 하였다.
스웨덴에서 열린 1958년 FIFA 월드컵 기간 동안 브란코 제베츠는 국가대표팀 주장이었다. 조별 리그에서 유고슬라비아는 스코틀랜드, 파라과이, 프랑스와 한 조였다. 유고슬라비아는 8강에 진출하였으나, 4년 전과 마찬가지로 서독에 패하였다.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는 1961년 6월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폴란드를 상대로 한 경기였다.[4]
유고슬라비아에서 파르티잔은 다시 준우승을 하였고, 이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로 이적하여 1960년에 선수 생활의 마지막 리그 우승을 하였다.
2. 2.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알레마니아 아헨
1960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소속으로 마침내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 우승은 그가 선수로서 획득한 마지막 타이틀이었다.1963년, 유고슬라비아의 출국 허가 연령이 되어 정치적으로 험악한 자국을 떠났다. 빅 클럽에서 뛰기에는 나이가 많았던 제베츠는 당시 독일 2부 리그에 속해 있던 알레마니아 아헨으로 이적하였으나, 경기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2년의 값진 경험을 통해 훗날 감독으로서 성공을 거두는 밑거름을 마련하였다.
3. 감독 경력
브란코 제베츠는 선수 은퇴 직후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1965년, 고향 팀인 NK 디나모 자그레브의 공동 감독을 맡아 이비차 호르바트와 함께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이끌었다. 이는 동유럽 클럽 최초의 국제 대회 우승이었다.[3]
이후 FC 바이에른 뮌헨 감독으로 부임하여 1968-69 시즌 분데스리가와 DFB-포칼 우승을 동시에 달성하며 더블을 기록했다. 1973년에는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감독을 맡아 팀을 레기오날리가에서 분데스리가로 승격시키는데 기여하였다.[1]
함부르거 SV 감독 시절에는 만프레트 칼츠, 호르스트 흐루베슈, 케빈 키건 등의 선수들을 이끌고 1978-79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4] 1979-80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노팅엄 포레스트 FC에 패배했다.[4]
엄격한 훈련 방식으로 인해 선수들과 불화를 겪었고, 음주 문제까지 겹치면서 함부르거 SV 감독직에서 물러났다.[4]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감독을 거쳐 다시 NK 디나모 자그레브 감독을 맡은 후 은퇴했다. 1988년 알코올 중독 관련 질병으로 59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그는 분데스리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 중 한 명으로, 비독일 출신 코치 중 가장 많은 413번의 분데스리가 경기를 지휘했다.
3. 1. NK 디나모 자그레브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
브란코 제베츠는 현역 은퇴 이후, 1965년에 고향 클럽이자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 속한 NK 디나모 자그레브의 감독이 되었다. 그는 이비차 호르바트와 함께 감독직을 수행했고, 나중에 둘은 독일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디나모는 UEFA 컵의 전신인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에 참가하였다. 1라운드에서 디나모는 체코의 BC 브르노와 2-2로 비겼고, 동전 던지기로 간신히 진출하였다. 던펌린과 디나모 피테슈티를 꺾은 뒤, 유벤투스 FC가 8강에서 디나모와 맞붙었으나, 2-2로 비긴 뒤 3-0으로 토리노 클럽의 수비진을 무너뜨렸다. 준결승전에서 디나모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1차전에서 0-3으로 패한 뒤, 2차전에서 4-0으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어 결승에 올랐다.[3]결승전에서 디나모는 피터 로리머와 빌리 브렘너를 앞세운 리즈 유나이티드 FC와 대치하였다. 1차전에서 디나모는 홈에서 2-0으로 승리하였고, 원정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동유럽 클럽으로는 최초로 국제 타이틀을 확보하였다.[3]
3. 2. FC 바이에른 뮌헨과 분데스리가 더블
제베츠는 1968년 FC 바이에른 뮌헨의 감독이 되어, 1952년 올림픽과 1954년 FIFA 월드컵에 함께 출전했던 즐라트코 차이코프스키의 뒤를 이었다. 당시 뮌헨은 프란츠 베켄바워와 게르트 뮐러를 중심으로 DFB-포칼에서 두 번 우승하고 UEFA 컵 위너스컵에서 우승한 팀이었다. 제베츠는 뮌헨의 공격 축구를 자제시키고 수비를 보강하였다. 그는 부임 첫 시즌에 분데스리가 우승을 달성하여 37년 만에 리그 우승을 안겼고, DFB-포칼에서도 우승하며 분데스리가 역사상 최초의 더블을 달성하였다.그러나 다음 시즌은 문제로 시작되었다. 바이에른은 프랑스의 AS 생테티엔과의 경기에서 패하며 유러피언컵 1라운드에서 조기 탈락하였다. 시즌 초였지만, 제베츠는 1969-70 시즌 이후로는 계약을 연장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바이에른은 시즌 후반기 3경기에서 1승점만을 획득하고 1위 팀과 승점 5점 차로 벌어지자, 그의 계약은 조기에 종료되었다. 우도 라텍이 그의 후임 감독이 되었다. 프란츠 베켄바워의 자서전에 따르면 당시 감독과 팀 간의 "분위기 불협화음"이 있었다고 한다.
3. 3. VfB 슈투트가르트와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브란코 제베츠는 선수 은퇴 직후 첫 감독직을 맡았다. 1965년, 고향 자그레브의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팀 디나모 자그레브의 공동 감독이 되었다. 그는 이후 독일에서 성공을 거둔 이비차 호르바트와 함께 감독직을 수행했다. 디나모 자그레브는 UEFA 컵의 전신인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참가 자격을 얻었다. 초기에는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체코 팀 BC 브르노와의 1라운드 합산 결과는 2-2였고, 동전 던지기로 디나모 자그레브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던펌린과 디나모 피테슈티를 꺾은 후, 유벤투스 FC가 8강 상대였지만 2-2, 3-0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와의 원정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한 후, 홈에서 4-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결승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는 피터 로리머와 빌리 브렘너가 뛰고 있던 리즈 유나이티드 FC를 상대했다.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고, 잉글랜드에서 0-0으로 비기며 우승을 차지했다.
3. 4.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1973년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는 양조 회사를 메인 스폰서로 두고 제베츠를 감독으로 영입하여 팀을 재건하기 시작했다. 제베츠는 다닐로 포피보다(라이트 윙)와 알렉산다르 리스티치(미드필더) 등 유고슬라비아 출신 선수들을 영입했다. 또한 국가대표팀 골키퍼 베른트 프랑케를 비롯한 주요 선수들을 영입하여 리그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3년 동안 아인트라흐트는 9위에서 3위로 순위를 끌어올렸으나, 1점 차로 승격에는 실패하였다. 브라운슈바이크에서의 4년째, 197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던 파울 브라이트너가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이적해 왔다. 이러한 보강에도 불구하고 리그를 13위로 마감하면서 제베츠는 절반의 성공만을 거두었다.[1]3. 5. 함부르거 SV와 두 번째 분데스리가 우승
1977년 UEFA 컵 위너스컵 우승팀이었던 함부르거 SV는 1960년 이후 첫 번째 챔피언십을 갈망했지만 1976-77 시즌에는 11위에 그쳤다. 제베츠는 이 임무에 적합한 인물이었다. 그는 첫 시즌에 윙백 만프레트 칼츠, 스트라이커 호르스트 흐루베슈를 중심으로 경쟁력 있는 팀을 구성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첫 시즌에 성공하지 못했던 "마이티 마우스" 케빈 키건을 팀에 녹아들게 했다는 것이다. 제베츠가 지휘봉을 잡은 첫 해 말에 함부르크는 챔피언이 되었고, 키건은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스트라이커였다.[4]1년 후, 팀은 유러피언컵 결승까지 진출하여 노팅엄 포레스트 FC와 맞붙었다. 함부르크는 부진한 경기 끝에 0-1로 패했다. 제베츠와 그의 코칭 방식이 널리 비난을 받았다. 엄격한 규율을 중시했던 제베츠는 팀이 성공적인 경기를 할 때 더 많은 훈련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선수들은 시즌 후반에 가해진 혹독한 훈련에 불만을 품었고, 비평가들은 이것이 함부르크가 결승전 4일 만에 결정적인 경기를 놓쳐 리그 준우승으로 전락한 이유라고 말했다.[4]
함부르크에서의 세 번째 시즌이 시작될 무렵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브란코 제베츠는 심각한 음주 문제를 겪고 있었고, 심지어 코칭 벤치에서도 술에 취한 모습이 발견되었다. 웃지 못할 일화로, 하프타임에 그가 탈의실에 들어와 선수들에게 "0-2로 졌어! 괜찮아, 다음 경기는 이겨야 해!"라고 말한 적이 있다. 12월이 되자 문제와 그 결과(예: 벤치에서 졸고 있는 모습)가 자주 눈에 띄게 되었고 해결책이 필요해졌다. 그리하여 12월에 계약이 해지되었다. 알렉산다르 리스티치가 반년 동안 그의 후임이 되었고, 그 후 에른스트 하펠이 함부르크를 다시 영광으로 이끌었다.[4]
3. 6. 말년
브란코 제베츠는 현역 은퇴 이후, 고향 팀인 NK 디나모 자그레브의 감독을 맡아 이비차 호르바트와 함께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이끌었다. 이는 동유럽 클럽 최초의 국제 대회 우승이었다. 이후 함부르거 SV 감독으로 부임하여 만프레트 칼츠, 호르스트 흐루베슈, 케빈 키건 등의 선수들을 이끌고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노팅엄 포레스트 FC에 패배했다.엄격한 훈련 방식으로 인해 선수들과 불화를 겪었고, 음주 문제까지 겹치면서 함부르거 SV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감독을 거쳐 다시 NK 디나모 자그레브 감독을 맡은 후 은퇴했다. 1988년 알코올 중독 관련 질병으로 59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그는 분데스리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 중 한 명으로, 비독일 출신 코치 중 가장 많은 413번의 분데스리가 경기를 지휘했다.
4. 경력 결산
| 선수 경력 | ||
|---|---|---|
| 기간 | 클럽 | 타이틀 |
| 1951–1959 | FK 파르티잔 | 1952, 1954, 1957 |
| 1959–1961 |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1959-60 |
| 1961–1965 | 알레마니아 아헨 | |
| 감독 경력 | ||
| 기간 | 클럽 | 타이틀 |
| 1965–1967 | NK 디나모 자그레브 | 1967 |
| 1968–1970 | FC 바이에른 뮌헨 | 1969, 1968-69 |
| 1970–1972 | VfB 슈투트가르트 | |
| 1972–1973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73 |
| 1974–1978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
| 1978–1980 | 함부르거 SV | 1978-79 |
| 1981–1982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 1982–1983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 1984 | NK 디나모 자그레브 | |
| 팀 | 시작 | 종료 | 기록 |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 디나모 자그레브 | 1966년 6월 3일 | 1967년 7월 1일 | |||||
| FC 바이에른 뮌헨 | 1968년 7월 1일 | 1970년 3월 13일 | |||||
| VfB 슈투트가르트 | 1970년 7월 1일 | 1972년 4월 18일 | |||||
|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72년 7월 1일 | 1973년 6월 30일 | |||||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1973년 7월 6일 | 1978년 6월 30일 | |||||
| 함부르크 SV | 1978년 7월 1일 | 1980년 12월 18일 | |||||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1981년 7월 1일 | 1982년 6월 30일 |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1982년 9월 | 1983년 10월 | |||||
| 디나모 자그레브 | 1984년 4월 28일 | 1984년 10월 1일 | |||||
| 합계 | |||||||
제베츠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FK 파르티잔 두 팀에서 모두 선수로 뛰었고, 디나모 자그레브와 하이두크 스플리트 두 팀을 모두 감독한 흔치 않은 경력을 가지고 있다.[7]
참조
[1]
웹사이트
Indian football at the Olympics: The complete history
https://olympics.com[...]
The Olympics
2022-02-03
[2]
웹사이트
Branko Zebec
https://www.olympedi[...]
2021-11-05
[3]
웹사이트
Branko Zebec -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23-01-28
[4]
웹사이트
Player Database
https://eu-football.[...]
2023-01-28
[5]
뉴스
Osoblje treneri kroz povijest
http://povijest.gnkd[...]
povijest.gnkdinamo.hr
2017-12-24
[6]
뉴스
Alle Trainer des FC Bayern
https://fcbayern.com[...]
fcbayern.com
2017-12-24
[7]
웹사이트
Zebec Branko
https://www.reprezen[...]
reprezentacija.rs
2024-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