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4년 FIFA 창립 전후에 창단되어, 1930년 FIFA 월드컵에 처음 참가했다. 1984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첫 메이저 국제 대회를 제패했고, 1998년 자국에서 열린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이후 2000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FIFA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고, 2021년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 우승을 거두었다. 프랑스는 FIFA 월드컵에서 2번,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번,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 1번, CONMEBOL–UEFA 챔피언스컵에서 1번,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2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클레르퐁텐 국립 기술 단지
클레르퐁텐 국립 기술 단지는 1988년 프랑스에 개장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 시설이며, 프랑스 축구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립되어 1998년 FIFA 월드컵 당시 베이스캠프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육성 시스템 강화와 유망주 배출에 기여하고 있다.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역사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은 프랑스 국기 색상을 반영하여 디자인되었으며, 1972년부터 2010년까지 아디다스가, 2011년부터는 나이키가 제작하면서 시대별로 변화를 겪어왔다. - 프랑스의 축구 - 프랑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프랑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71년 첫 경기를 치렀으며 FIFA 여자 월드컵 4위, UEFA 여자 유로 4강, 올림픽 축구 4위 등의 성적을 기록했다. - 프랑스의 축구 - 프랑스 축구 연맹
프랑스 축구 연맹은 1919년 설립되어 프랑스 본토와 해외 영토의 축구 교육 및 실천을 조직, 개발, 감독하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을 운영하는 협회이다. - FIFA 월드컵 우승국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에 의해 운영되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020년 유로 대회에서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스코틀랜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웸블리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FIFA 월드컵 우승국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라 로하"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스페인 대표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1회 우승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우승을 달성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특히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메이저 대회를 연달아 우승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티키타카' 패싱 플레이로 유명하며, 이탈리아, 포르투갈, 프랑스 등과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레 블루 (Les Bleus, The Blues) |
협회 | Fédération Française de Football (FFF) |
연맹 | UEFA (Europe) |
감독 | 디디에 데샹 |
주장 | 킬리안 음바페 |
최다 출장 선수 | 위고 요리스 (145) |
최다 득점 선수 | 올리비에 지루(57) |
홈 경기장 | 스타드 드 프랑스 |
FIFA 코드 | FRA |
FIFA 최고 랭킹 | 1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01년 5월 – 2002년 5월, 2018년 8월–9월 |
FIFA 최저 랭킹 | 26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0년 9월 |
Elo 최고 랭킹 | 1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84–1985, 1986, 1998–1999, 2000–2002, 2003–2004, 2006, 2007, 2018 |
Elo 최저 랭킹 | 40 |
Elo 최저 랭킹 날짜 | 1930년 3월–7월 |
유니폼 정보 | |
![]() | |
![]() | |
경기 정보 | |
첫 경기 | 3–3 (Uccle, Belgium; 1 May 1904) |
최대 점수차 승리 경기 | 14–0 (Nice, France; 18 November 2023) |
최대 점수차 패배 경기 | 17–1 (London, England; 22 October 1908) |
월드컵 기록 | |
월드컵 출전 횟수 | 16 |
월드컵 첫 출전 | 1930 |
월드컵 최고 성적 | 챔피언 (1998, 2018) |
유럽 선수권 대회 기록 | |
대회 명칭 | European Championship |
유럽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11 |
유럽 선수권 대회 첫 출전 | 1960 |
유럽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챔피언 (1984, 2000) |
UEFA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대회 명칭 | Nations League Finals |
UEFA 네이션스 리그 출전 횟수 | 1 |
UEFA 네이션스 리그 첫 출전 | 2021 |
UEFA 네이션스 리그 최고 성적 | 챔피언 (2021)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 | 2 |
컨페더레이션스컵 첫 출전 | 2001 |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 | 챔피언 (2001, 2003) |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기록 | |
대회 명칭 | CONMEBOL–UEFA Cup of Champions |
컵 오브 챔피언스 출전 횟수 | 1 |
컵 오브 챔피언스 첫 출전 | 1985 |
컵 오브 챔피언스 최고 성적 | 챔피언 (1985) |
메달 기록 (남자 축구) | |
FIFA 월드컵 | 금메달: 1998 프랑스 (팀) 금메달: 2018 러시아 (팀) 은메달: 2006 독일 (팀) 은메달: 2022 카타르 (팀) 동메달: 1958 스웨덴 (팀) 동메달: 1986 멕시코 (팀) |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84 프랑스 (팀) 금메달: 2000 벨기에–네덜란드 (팀) 은메달: 2016 프랑스 (팀) |
UEFA 네이션스 리그 | 금메달: 2021 이탈리아 (팀)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금메달: 2001 한국/일본 (팀) 금메달: 2003 프랑스 (팀) |
올림픽 | 금메달: 1984 로스앤젤레스 (팀) 은메달: 1900 파리 (팀) |
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 금메달: 1985 파리 (팀) |
2. 역사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4년 FIFA 창립을 전후로 하여 창단되었으며, 같은 해 5월 1일 벨기에와 첫 국제 경기를 치러 3-3으로 비겼다.[104] 이후 프랑스는 FIFA와 프랑스 체육 스포츠 사회 연합(USFSA) 간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19년 프랑스 국제연합 위원회(CFI)가 프랑스 축구 협회로 재조직되고 1921년 USFSA가 합병되면서 안정을 찾았다.
1930년 초대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프랑스는 멕시코를 4-1로 꺾었으나, 아르헨티나와 칠레에 연패하며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38년 FIFA 월드컵에서는 8강에 올랐으나, 디펜딩 챔피언 이탈리아에 패했다.
1950년대 프랑스는 쥐스트 퐁텐, 레몽 코파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바탕으로 황금기를 맞이했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브라질에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퐁텐의 4골 활약에 힘입어 서독을 6-3으로 꺾었다. 퐁텐은 이 대회에서 13골을 기록하며 역대 FIFA 월드컵 한 대회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프랑스는 여러 감독 교체와 함께 주요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침체기를 겪었다. 슈테판 코바치 감독은 프랑스 대표팀을 지휘한 유일한 외국인 감독이었으나, 1974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1976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미셸 이달고 감독 부임 후 프랑스는 다시 부흥했다. 미셸 플라티니, 장 티가나, 알랭 지레스, 루이스 페르난데스 등 이른바 ''"마방진"''(carré magique)으로 불리는 미드필더진을 중심으로 1982년 FIFA 월드컵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서독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105] 2년 뒤 UEFA 유로 1984에서 프랑스는 플라티니의 9골 활약에 힘입어 결승에서 스페인을 2-0으로 꺾고 첫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프랑스는 1984년 하계 올림픽 축구 금메달, 아르테미오 프란키 트로피 우승을 차지하며 1년 만에 3개의 주요 대회에서 우승했다.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다시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서독에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벨기에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1988년 프랑스 축구 협회는 클레르퐁텐을 개장했다. 앙리 미셸 감독 경질 후 미셸 플라티니가 감독을 맡았으나, 199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제라르 울리에 감독 체제에서는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에메 자케 감독 부임 후 프랑스는 UEFA 유로 1996 준결승에 진출했고, 자국에서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 결승에서 브라질을 3-0으로 꺾고 우승했다. 로제 르메르 감독은 UEFA 유로 2000에서 프랑스를 우승으로 이끌었고, 프랑스는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를 모두 우승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이후 프랑스는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무득점 조별 리그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결과를 겪었다.[106] UEFA 유로 2004에서는 8강에서 그리스에 패했고, 2006년 FIFA 월드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이탈리아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UEFA 유로 2008에서 프랑스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아일랜드와의 플레이오프에서 논란의 상황 끝에 본선에 진출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선수단 내분과 레이몽 도메네크 감독과의 갈등으로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107][108][109][110][111][112]
로랑 블랑 감독 부임 후 프랑스는 UEFA 유로 2012 8강에 진출했다. 디디에 데샹 감독은 2014년 FIFA 월드컵 8강, UEFA 유로 2016 준우승, 2018년 FIFA 월드컵 우승, 2022년 FIFA 월드컵 준우승을 이끌며 프랑스를 세계적인 강팀으로 만들었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16강에서 스위스에 패했으나, 2020-21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 우승했다. UEFA 유로 2024에서는 준결승에서 스페인에 패배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2. 1. 초창기 (1900-1930년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창설 무렵인 1904년에 창단되었다.[16] 1904년 5월 1일 브뤼셀에서 벨기에와 첫 공식 국제 경기를 치렀는데, 3-3 무승부를 기록했다.[17] 1905년 2월 12일에는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스위스와의 첫 홈 경기를 가졌고, 가스통 시프레스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5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지켜보았다.
FIFA와 프랑스의 스포츠 연맹인 Union des Sociétés Françaises de Sports Athlétiques|프랑스 스포츠 연맹프랑스어(USFSA)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프랑스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08년 5월 9일, USFSA의 경쟁 단체인 프랑스 연방위원회(CFI)는 앞으로 열리는 올림픽 경기에서 USFSA가 아닌 FIFA가 클럽의 출전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결정했다. 1919년, CFI는 프랑스축구협회(FFF)로 개편되었고, 1921년에는 USFSA가 마침내 FFF와 합병되었다.
1930년 7월, 프랑스는 우루과이에서 열린 첫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몬테비데오의 에스타디오 포시토스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멕시코를 4-1로 이겼으며, 뤼시앵 로랑은 월드컵 역사상 첫 골을 넣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에게 1-0으로 패하며 월드컵 경기에서 득점하지 못한 최초의 팀이 되었고, 칠레에게도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1931년에는 처음으로 흑인 선수가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다. 세네갈계인 라울 디아녜는 2월 15일 체코슬로바키아와의 경기에서 첫 출전을 기록했고, 이후 1938년 월드컵에도 출전했다. 라르비 벤바렉은 북아프리카 출신 선수 중 최초로 국가대표팀에서 뛴 선수 중 한 명이었다. 1934년 월드컵에서 프랑스는 개막전에서 오스트리아에 3-2로 패하며 탈락했지만, 파리로 돌아온 팀은 4,000명이 넘는 팬들의 환영을 받았다. 프랑스는 1938년 월드컵을 개최했고 8강에 진출했지만, 우승팀이자 당시 디펜딩 챔피언인 이탈리아에 3-1로 패했다.
2. 2. 제1차 황금기 (1950년대)
쥐스트 퐁텐, 레몽 코파, 장 뱅상, 로베르 롱케, 마리앙 위스니에스키, 타데 시소프스키, 아르망 팽베르네 등의 선수들로 구성된 프랑스의 첫 번째 '황금 세대'는 1950년대 후반에 등장했다. 1958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는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했다. 3위 결정전에서 프랑스는 서독을 6-3으로 이겼고, 퐁텐은 4골을 기록하며 대회 13골로 월드컵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2. 3. 암흑기 (1960-1970년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감독 아래에서 크게 부진하며 많은 국제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1962년 4월 25일, 앙리 게랭이 공식적으로 팀의 첫 감독으로 취임했다. 게랭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1962년 월드컵과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에 출전하지 못했다. 1966년 월드컵 본선 진출로 주요 국제 대회에 복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월드컵 이후 게랭은 경질되었고, 호세 아리바스와 장 스넬라가 공동 감독직을 맡았다. 이들은 4경기 만에 경질되었고, 전 국가대표 선수였던 쥐스트 퐁텐이 후임으로 2경기를 지휘했다. 루이 두가게즈가 퐁텐의 뒤를 이었지만, 1970년 월드컵 예선에서 부진하여 경질되었고, 조르주 불로뉴가 후임으로 임명되었지만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불로뉴는 이후 1974년 월드컵 예선 실패 후 경질되었고, 루마니아 출신의 슈테판 코바치가 프랑스 국가대표팀을 지휘한 유일한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코바치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UEFA 유로 1976에 출전하지 못했다. 2년간 감독직을 수행한 후 그는 해임되었고, 미셸 이달고가 그의 후임이 되었다.
2. 4. 플라티니 시대 (1980년대)
미셸 이달고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마리우스 트레소르, 막심 보시와 같은 뛰어난 수비수, 공격수 도미니크 로슈토, 그리고 미드필더 미셸 플라티니의 활약 덕분에 크게 발전했다. 플라티니는 장 티가나, 알랭 지레스, 루이스 페르난데스와 함께 "마법의 사각형(carré magique)"을 형성하여 1982년 월드컵부터 상대 수비진을 괴롭혔다. 프랑스는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라이벌 서독에 승부차기 끝에 패했다. 준결승전은 월드컵 역사상 가장 위대한 경기 중 하나로 여겨지며,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18] 프랑스는 폴란드에 3-2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년 후 프랑스는 유로 1984에서 우승하며 첫 메이저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최다 득점자인 플라티니(9골)의 리더십 아래 프랑스는 결승전에서 스페인을 2-0으로 이겼다. 플라티니와 브루노 벨로네가 득점을 기록했다. 유로 우승 후 이달고는 팀을 떠났고, 전 국가대표 선수였던 앙리 미셸이 그의 후임이 되었다. 프랑스는 이어 1984년 하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년 후 우루과이를 2-0으로 이기고 아르테미오 프란키 트로피를 우승했다. 이는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초기 전신이었다. 도미니크 로슈토와 조제 투레가 득점을 기록했다. 1년 만에 프랑스는 4개의 주요 국제 대회 트로피 중 3개를 차지했다. 1986년 월드컵에서 프랑스는 준결승에 진출하여 서독을 만났다. 다시 한번 독일에 패했지만, 벨기에를 4-2로 이기며 3위를 차지했다.1988년 프랑스축구협회(FFF)는 클레르퐁텐 국립 축구 센터를 개장했다. 개장식에는 당시 프랑스 대통령인 프랑수아 미테랑이 참석했다. 클레르퐁텐 개장 5개월 후, 앙리 미셸 감독은 경질되었고, 미셸 플라티니가 그의 후임으로 임명되었지만, 1990년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 5. 지단 시대와 월드컵 우승 (1996-2006)
자크 울리에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1994년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하는 큰 실망을 겪었다. 남은 두 경기에서 최하위 이스라엘과 예선 경쟁 중이던 불가리아를 상대할 예정이었기에 예선 통과가 거의 확실시되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홈에서 이스라엘에게 3-2로 패배하고, 불가리아와의 경기에서 90분에 실점하며 2-1로 패배했다.[19] 이후 비난 여론과 함께 울리에 감독은 경질되고 여러 선수들이 대표팀을 떠났다. 울리에의 수석코치였던 아이메 자케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자케 감독 체제에서 대표팀은 지네딘 지단과 같은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유로 1996 준결승에 진출하여 체코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 다음 메이저 대회는 프랑스가 개최한 1998년 월드컵이었다. 프랑스는 무패로 대회를 통과하여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7번째 국가가 되었고, 파리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브라질을 3-0으로 꺾었다. 자케는 월드컵 우승 후 사임했고, 로제 르메르 수석코치가 후임을 맡아 유로 2000까지 이끌었다. FIFA 올해의 선수 지단을 중심으로 프랑스는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를 2-1로 꺾었다. 다비드 트레제게가 골든골을 넣었다. 이 승리로 프랑스는 1974년 서독 이후 처음으로 월드컵과 유로를 동시에 우승했고, 월드컵 우승팀이 유로 우승을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 결과 이후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랭킹 1위에 올랐다. 이듬해에는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우승했다.
이후 프랑스는 2002년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프랑스는 대회 첫 경기에서 세네갈에 1-0으로 패배했다. 프랑스는 월드컵 우승팀으로서 1차전에서 탈락한 두 번째 국가가 되었다.[20][21] 조별리그 최하위를 기록한 프랑스는 르메르 감독이 경질되었고 자크 상티니가 후임으로 임명되었다. 유로 2004에서 프랑스는 8강에서 우승팀 그리스에 패했다. 상티니 감독이 사임했고, 레몽 도메네크가 후임으로 선임되었다. 프랑스는 2006년 월드컵 예선 초반에 고전했으나, 도메네크 감독은 은퇴 선수들을 설득하여 대표팀에 합류시켜 예선을 통과했다. 2006년 월드컵 본선에서 프랑스는 조별리그를 무패로 통과하여 결승에 진출했고, 스페인, 브라질, 포르투갈을 꺾었다. 프랑스는 결승전에서 이탈리아와 맞붙었다.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끝났다. 지네딘 지단은 파넨카 킥으로 페널티킥을 성공시켰지만, 이탈리아 수비수 마르코 마테라치가 동점골을 넣었다. 이탈리아는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하여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중 연장전에 지단과 마테라치 사이에 주목할 만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지단이 마테라치의 가슴을 헤딩으로 가격하여 퇴장당했다. 이는 지단이 2006년 월드컵 후 은퇴를 선언했기 때문에 그의 마지막 경기였다.
2. 6. 도메네크 체제 하의 혼란기 (2007-2010)
레이몽 도메네크 감독은 UEFA 유로 2008 예선에서 조지아를 꺾고, 200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승부차기로 패했던 이탈리아에도 승리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2007년 10월 17일에는 티에리 앙리의 2골로 리투아니아를 격파했는데, 이 골로 앙리는 미셸 플라티니의 대표팀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 프랑스는 예선 B조를 이탈리아에 이어 2위로 마쳤다.[90]UEFA 유로 2008 본선에서 프랑스는 이탈리아, 네덜란드, 루마니아와 함께 "죽음의 조"에 편성되었다. 프랑크 리베리, 앙리, 릴리앙 튀람, 클로드 마켈렐레 등 베테랑 선수들과 사미르 나스리, 카림 벤제마 등 유망주들이 조합된 팀이었지만, 루마니아와 0-0으로 비기고 네덜란드에 1-4로 대패했다. 이탈리아와의 최종전에서는 에리크 아비달의 퇴장과 리베리의 부상까지 겹쳐 0-2로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튀람과 마켈렐레는 다시 한번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도메네크 감독은 선수 기용과 편향된 선수 선발로 비판받았지만, 프랑스 축구 협회는 그를 유임시켰다.[90]
2010 FIFA 월드컵 예선에서 프랑스는 루마니아, 세르비아, 리투아니아, 페로 제도, 오스트리아와 함께 7조에 배정되었다. 리베리 외에도 요앙 귀르퀴프, 위고 요리스 등 유망주들과 니콜라 아넬카가 기용되었지만, 프랑스는 고전하며 도메네크 감독 경질 논란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결국 세르비아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여 아일랜드와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원정 1차전에서 1-0으로 승리했지만, 홈 2차전에서는 연장전에서 앙리의 핸드볼 반칙으로 득점하며 논란 끝에 본선에 진출했다.[24]
2010년 3월, 스페인과의 친선 경기에서 "도메네크 경질" 구호와 야유가 쏟아질 정도로 완패했다. 리베리와 시드니 고부의 성매매 의혹, 팀 내 불화 등 문제가 있었다. 본선 조별 리그 A조에서는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우루과이와 비교적 유리한 조 편성이었지만, 우루과이와 0-0으로 비기고 멕시코에 0-2로 패했다. 멕시코전 하프타임 중 아넬카가 감독에게 폭언을 해 강제 퇴국 및 대표팀에서 추방되었고, 아넬카는 은퇴를 선언했다. 이에 반발한 선수들이 훈련을 거부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까지 개입하는 큰 스캔들이 되었다.[32] 팀은 붕괴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최종전에서도 패하며 조별 리그 최하위로 탈락했다. 도메네크 감독은 지속적인 비판을 받았고, 관중 수 감소 등 프랑스 대표팀의 권위는 실추되었다. 대회 후 앙리는 대표팀 은퇴를 발표했다.[91]
월드컵 후, 프랑스 축구 연맹(FFF)은 로랑 블랑을 후임 감독으로 임명했다.
2. 7. 블랑과 데샹 체제 (2010-현재)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대회 기간 동안 선수단 내 불화와 감독과의 갈등 등 부정적인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대회 후, 로랑 블랑 감독이 새롭게 부임했고,[34] 월드컵에 참가했던 선수 23명 전원에게 출전 정지 징계를 내리는 등[35] 팀 쇄신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UEFA 유로 2012 이후, 1998년 FIFA 월드컵과 UEFA 유로 2000 우승 주역인 디디에 데샹이 로랑 블랑의 뒤를 이어 프랑스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다.[40][41] 데샹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2014년 FIFA 월드컵 8강,[43] UEFA 유로 2016 준우승,[46][47] 2018년 FIFA 월드컵 우승,[50] 2022년 FIFA 월드컵 준우승[56]을 기록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18년 월드컵에서는 킬리안 음바페와 같은 젊은 선수들의 활약과 함께 20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49]
UEFA 유로 2020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1년에 개최되었으며, 프랑스는 16강에서 스위스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52] 이후 2020-21 UEFA 네이션스리그 결승전에서 스페인을 2-1로 꺾고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52]
UEFA 유로 2024에서는 조별리그를 2위로 통과하여 16강에 진출,벨기에와 포르투갈을 이기고 준결승에 진출하였으나, 스페인에 1-2로 패배하며 대회를 마감했다.[57]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TF1 그룹과 방송 계약을 체결했으며, 프랑스 축구 연맹(FFF)은 해당 채널과의 독점 방송 계약 연장에 동의했다. 새 계약에 따라 TF1은 2010년 8월부터 2014년 6월까지 4시즌 동안 국가대표팀 경기(친선 경기 및 국제 경기 포함)에 대한 독점 방송 권한을 갖게 되며, 인터넷 등 확장된 권한을 갖고 자사의 주간 프로그램인 텔레풋(Téléfoot)에서 국가대표팀 경기 영상을 방송할 수 있게 되었다.[130] FFF는 시즌당 4500만유로를 받게 되는데, 이는 2006년 체결된 이전 계약금 5500만유로보다 1000만유로 감소한 금액이다.[131]
방송 채널 | 기간 |
---|---|
TF1 | 1984–2022 |
M6 | 2009–2022 |
TMC (친선 경기만) | 2018–2022 |
LÉquipe (UEFA 네이션스리그 재방송 경기) | 2018–2023 |
2. 7. 1. 블랑 체제 (2010-2012)
로랑 블랑 감독은 2010년 FIFA 월드컵 이후 프랑스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했다. 블랑 체제 하의 첫 경기는 노르웨이와의 친선 경기로, 1-2로 패했다. 이후 UEFA 유로 2012 예선에서 프랑스는 루마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벨라루스, 알바니아, 룩셈부르크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예선 첫 경기에서 벨라루스에 0-1로 패했지만,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2-0으로 꺾는 등 6승 3무 1패의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본선에 진출했다.[130][131]UEFA 유로 2012 본선에서 프랑스는 잉글랜드, 스웨덴, 우크라이나와 함께 D조에 속했다. 잉글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거두고, 우크라이나를 2-0으로 꺾었지만, 스웨덴에 0-2로 패하며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당시 2010년 FIFA 월드컵 우승팀이자 UEFA 유로 2008 우승팀인 스페인을 만나 0-2로 패하며 탈락했다.
2. 7. 2. 데샹 체제 (2012-현재)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 디디에 데샹 감독이 이끌고 있다.[132] 데샹 감독 체제에서 프랑스는 2014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고, UEFA 유로 2016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20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으며,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데샹 감독의 첫 경기였던 2012년 8월 우루과이와의 친선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후 201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핀란드와 벨라루스를 꺾고 2연승을 거두었지만, 스페인 원정에서는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폴 포그바, 라파엘 바란 등 젊은 선수들을 기용하며 팀을 재정비했지만, 스페인에 패하고 5경기 연속 무득점을 기록하는 등 부진을 겪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의 플레이오프에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월드컵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2014년 월드컵 본선에서는 카림 벤제마의 활약으로 온두라스와 스위스를 꺾고 조별 리그를 통과했지만, 8강전에서 독일에 패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UEFA 유로 2016에서는 개최국으로서 결승전까지 진출했지만, 포르투갈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앙투안 그리즈만은 6골로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킬리안 음바페 등 젊은 선수들의 활약과 디디에 데샹 감독의 지도력을 바탕으로 결승전에서 크로아티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음바페는 대회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데샹 감독은 선수와 감독으로 모두 월드컵 우승을 차지한 세 번째 인물이 되었다.
UEFA 유로 2020에서는 16강전에서 스위스에 승부차기 끝에 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202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주축 선수들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결승전까지 진출했지만, 아르헨티나와의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음바페는 결승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월드컵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UEFA 유로 2024에서는 조별리그를 통과했으나, 준결승에서 스페인에 패하며 대회를 마감했다.
지위 | 성명 |
---|---|
감독 | 디디에 데샹 |
수석 코치 | 기 스테팡 |
골키퍼 감독 | 프랑크 라비오 |
팀 닥터 | 프랑크 르 갈 |
접골사 | 장-이브 방드와유 |
물리치료사 | 크리스토프 조프로이 |
물리치료사 | 티에리 로랑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TF1 그룹과 방송 계약을 체결했으며, 프랑스 축구 연맹(FFF)은 해당 채널과의 독점 방송 계약 연장에 동의했다. 새 계약에 따라 TF1은 2010년 8월부터 2014년 6월까지 4시즌 동안 국가대표팀 경기(친선 경기 및 국제 경기 포함)에 대한 독점 방송 권한을 갖게 되며, 인터넷 등 확장된 권한을 갖고 자사의 주간 프로그램인 텔레풋(Téléfoot)에서 국가대표팀 경기 영상을 방송할 수 있게 되었다.[130] FFF는 시즌당 4500만유로를 받게 되는데, 이는 2006년 체결된 이전 계약금 5500만유로보다 1000만유로 감소한 금액이다.[131]
방송 채널 | 기간 |
---|---|
TF1 | 1984–2022 |
M6 | 2009–2022 |
TMC (친선 경기만) | 2018–2022 |
LÉquipe (UEFA 네이션스리그 재방송 경기) | 2018–2023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레 블뢰'(Les Bleus)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이는 프랑스어로 '파란색들'이라는 뜻이며, 대표팀 유니폼의 상징적인 파란색에서 유래했다.[78] 프랑스 국가대표팀은 파란색 상의, 흰색 하의, 빨간색 양말로 구성된 삼색 유니폼을 착용하며, 이는 프랑스 국기인 트리콜로의 색상을 반영한다.
3. 팀 이미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프랑스 사회의 다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우승 당시 '레 블뢰'는 다인종 선수단으로 구성되어 프랑스 사회 통합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3. 1. 유니폼
제공된 원본 소스에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기 때문에,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3. 1. 1. 킷 스폰서
제공된 텍스트에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킷 스폰서에 대한 명시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1. 2. 유니폼 변천사
제공된 소스에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 변천사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3. 2. 별칭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레 블뢰'(Les Bleus)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이는 프랑스어로 '파란색들'이라는 뜻이다. 이 별칭은 프랑스 대표팀 유니폼의 상징적인 파란색에서 유래했다. 프랑스 국가대표팀은 파란색 상의, 흰색 하의, 빨간색 양말로 구성된 삼색 유니폼을 착용하며, 이는 프랑스 국기인 트리콜로(Tricolore)의 색상을 반영한다.
3. 3. 다인종 프랑스를 대표하며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인종적 배경을 가진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프랑스 사회의 다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한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우승 당시 '레 블뢰 (Les Bleus, 프랑스 대표팀의 별명)'는 다인종 선수단으로 구성되어 프랑스 사회 통합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2024년 11월 14일 이스라엘, 17일 이탈리아와의 2024-25 UEFA 네이션스리그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78]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출신 배경의 선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선수 이름 | 출신 배경 |
---|---|
Brice Samba | 콩고 공화국 |
Mike Maignan | 프랑스령 기아나 |
Benjamin Pavard | 프랑스 |
Lucas Digne | 프랑스 |
Dayot Upamecano | 기니비사우 |
Jules Koundé | 베냉 |
Ibrahima Konaté | 말리 |
William Saliba | 카메룬 |
Théo Hernandez | 스페인 |
Manu Koné | 코트디부아르 |
N'Golo Kanté | 말리 |
Adrien Rabiot | 프랑스 |
Warren Zaïre-Emery | 마르티니크 |
Mattéo Guendouzi | 모로코 |
Michael Olise | 나이지리아, 알제리 |
Marcus Thuram | 이탈리아 (출생지) |
Christopher Nkunku | 콩고 민주 공화국 |
Kingsley Coman | 과들루프 |
Randal Kolo Muani | 콩고 민주 공화국 |
Bradley Barcola | 토고 |
이처럼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선수들이 함께 뛰며, 이는 프랑스 사회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다.
3. 4. 중계권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는 여러 방송사를 통해 중계되며, 중계권은 방송사 간의 계약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기 중계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4. 홈구장
프랑스는 초창기에 파르크 데 프랭스와 콜롱브의 스타드 올랭피크 이브-뒤-마누아르를 국립경기장으로 번갈아 사용하였다. 스타드 페르싱, 스타드 드 파리, 스타드 뷔팔로에서도 홈경기를 간혹 주최하기도 하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낭트의 스타드 마르셀, 마르세유의 스타드 벨로드롬, 리옹의 스타드 드 젤랑 등 파리 외 도시에서도 국가대표팀 경기를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1972년, 파르크 데 프랭스는 리모델링을 통해 파리의 최대 경기장으로 발돋움했고, 프랑스는 이 구장을 정식 홈구장으로 활용하였다. 프랑스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전 경기들 중 중요도가 떨어지는 경기들을 여전히 이곳에서 치르곤 한다. 프랑스 국가대표팀은 해외 영토에서 홈경기를 두 번 열었는데, 한 번은 2005년에 마르티니크 포르-드-프랑스에서 코스타리카를, 2010년에는 레위니옹 생드니에서 중국을 상대하였으며, 이 두 경기 모두 친선전이었다.
1998년 FIFA 월드컵을 앞둔 1998년, 스타드 드 프랑스가 프랑스 국립경기장으로 개장하였다. 파리 교외의 생드니에 위치한 경기장은 81,338명을 수용 가능한 전좌석 구장이다. 프랑스가 이곳에서 치른 첫 경기는 1998년 1월 28일에 열린 스페인전이었다. 프랑스는 이 경기에서 지네딘 지단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이 경기 이후로, 프랑스는 대부분 홈경기를 이곳에서 치렀다.
홈경기나 원정경기 직전, 국가대표팀은 클레르퐁텐-앙-이블린에 위치한 클레르퐁텐 단지에서 훈련에 임한다. 클레르퐁텐은 국립 축구 단지로 국내 12개의 엘리트 단지들 중 하나이다. 이 단지는 1976년, 페르낭 사스트르 전 협회장에 의해 개설되었고, 1988년에 공식적으로 개장되었다. 이 단지는 프랑스 국가대표팀이 1998년 FIFA 월드컵을 우승할 당시 사용했던 거처로써 그 시기를 기점으로 언론의 주목 대상이 되었다.
5. 선수단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오랜 역사를 통해 수많은 선수들이 거쳐갔다.
위고 요리스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5경기에 출전하여 프랑스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9] 릴리앙 튀람(142경기), 티에리 앙리(123경기)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현역 선수 중에는 올리비에 지루가 137경기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했으며, 앙투안 그리즈만이 137경기로 올리비에 지루와 함께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다.[79]
순위 | 선수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위고 요리스 | 145 | 0 | 2008–2022 |
2 | 릴리앙 튀람 | 142 | 2 | 1994–2008 |
3 | 올리비에 지루 | 137 | 57 | 2011–2024 |
앙투안 그리즈만 | 44 | 2014–2024 | ||
5 | 티에리 앙리 | 123 | 51 | 1997–2010 |
6 | 마르셀 드사이 | 116 | 3 | 1993–2004 |
7 | 지네딘 지단 | 108 | 31 | 1994–2006 |
8 | 파트리크 비에이라 | 107 | 6 | 1997–2009 |
9 | 디디에 데샹 | 103 | 4 | 1989–2000 |
10 | 카림 벤제마 | 97 | 37 | 2007–2022 |
로랑 블랑 | 16 | 1989–2000 | ||
비센테 리자라주 | 2 | 1992–2004 |
순위 | 선수 | 골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평균 득점 | 활동 기간 |
---|---|---|---|---|---|
1 | 올리비에 지루 (목록) | 57 | 137 | 0.42 | 2011–2024 |
2 | 티에리 앙리 (목록) | 51 | 123 | 0.41 | 1997–2010 |
3 | 킬리안 음바페 | 48 | 86 | 0.56 | 2017–현재 |
4 | 앙투안 그리즈만 | 44 | 137 | 0.32 | 2014–2024 |
5 | 미셸 플라티니 | 41 | 72 | 0.57 | 1976–1987 |
6 | 카림 벤제마 | 37 | 97 | 0.38 | 2007–2022 |
7 | 다비드 트레제게 | 34 | 71 | 0.48 | 1998–2008 |
8 | 지네딘 지단 | 31 | 108 | 0.29 | 1994–2006 |
9 | 쥐스트 퐁텐 | 30 | 21 | 1.43 | 1953–1960 |
장피에르 파팽 | 54 | 0.56 | 1986–1995 |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1월 14일 이스라엘, 11월 17일 이탈리아와의 2024-25 UEFA 네이션스리그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78]''2024년 11월 17일 이탈리아와의 경기 후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골 | 소속팀 | |
---|---|---|---|---|---|---|---|
1 | GK | 브리스 삼바 | Brice Samba|브라이스 삼바영어 | 3 | 0 | 랭스 | |
16 | GK | 마이크 메냥 | Mike Maignan|마이크 메냐낭영어 | 28 | 0 | 밀란 | |
23 | GK | 뤼카 슈발리에 | Lucas Chevalier|뤼카 슈발리에영어 | 0 | 0 | 릴 | |
2 | DF | 뱅자맹 파바르 | Benjamin Pavard|방자맹 파바르영어 | 55 | 5 | 인터 밀란 | |
3 | DF | 뤼카 디뉴 | Lucas Digne|뤼카 디뉴영어 | 50 | 0 | 애스턴 빌라 | |
4 | DF | 다요 우파메카노 | Dayot Upamecano|다요 우파메카노영어 | 28 | 2 | 바이에른 뮌헨 | |
5 | DF | 쥘 쿤데 | Jules Koundé|쥘 쿤데영어 | 40 | 0 | 바르셀로나 | |
15 | DF | 이브라히마 코나테 | Ibrahima Konaté|이브라히마 코나테영어 | 21 | 0 | 리버풀 | |
17 | DF | 윌리엄 살리바 | William Saliba|윌리암 살리바영어 | 26 | 0 | 아스널 | |
22 | DF | 테오 에르난데스 | Théo Hernandez|테오 에르난데스영어 | 36 | 2 | 밀란 | |
8 | MF | 마누 코네 | Manu Koné|마누 코네영어 | 4 | 0 | 로마 | |
13 | MF | 은골로 캉테 | N'Golo Kanté|은골로 캉테영어 | 64 | 2 | 알 이티하드 | |
14 | MF | 아드리앵 라비오 | Adrien Rabiot|아드리앵 라비오영어 | 50 | 6 | 마르세유 | |
18 | MF | 워렌 자이르-에메리 | Warren Zaïre-Emery|워렌 자이르-에메리영어 | 6 | 1 | 파리 생제르맹 | |
19 | MF | 마테오 귈롱지 | Mattéo Guendouzi|마테오 귈롱지영어 | 12 | 2 | 라치오 | |
7 | FW | 마이클 올리세 | Michael Olise|마이클 올리세영어 | 4 | 0 | 바이에른 뮌헨 | |
9 | FW | 마르쿠스 튀람 | Marcus Thuram|마르퀴스 튀람영어 | 29 | 2 | 인터 밀란 | |
10 | FW | 크리스토퍼 은쿤쿠 | Christopher Nkunku|크리스토퍼 은쿤쿠영어 | 14 | 1 | 첼시 | |
11 | FW | 킹슬리 코망 | Kingsley Coman|킹슬리 코망영어 | 58 | 8 | 바이에른 뮌헨 | |
12 | FW | 랑달 콜로 무아니 | Randal Kolo Muani|랑달 콜로 무아니영어 | 27 | 8 | 파리 생제르맹 | |
20 | FW | 브래들리 바르콜라 | Bradley Barcola|브래들리 바르콜라영어 | 11 | 2 | 파리 생제르맹 |
순위 | 선수 | 출전 경기 수 | 득점 | 활동 기간 |
---|---|---|---|---|
1 | 위고 요리스 | 145 | 0 | 2008–2022 |
2 | 릴리앙 튀람 | 142 | 2 | 1994–2008 |
3 | 올리비에 지루 | 137 | 57 | 2011–2024 |
앙투안 그리즈만 | 44 | 2014–2024 | ||
5 | 티에리 앙리 | 123 | 51 | 1997–2010 |
6 | 마르셀 드사이 | 116 | 3 | 1993–2004 |
7 | 지네딘 지단 | 108 | 31 | 1994–2006 |
8 | 파트리크 비에이라 | 107 | 6 | 1997–2009 |
9 | 디디에 데샹 | 103 | 4 | 1989–2000 |
10 | 카림 벤제마 | 97 | 37 | 2007–2022 |
로랑 블랑 | 16 | 1989–2000 | ||
비센테 리자라주 | 2 | 1992–2004 |
순위 | 선수 | 골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평균 득점 | 활동 기간 |
---|---|---|---|---|---|
1 | 올리비에 지루 (목록) | 57 | 137 | 0.42 | 2011–2024 |
2 | 티에리 앙리 (목록) | 51 | 123 | 0.41 | 1997–2010 |
3 | 킬리안 음바페 | 48 | 86 | 0.56 | 2017–현재 |
4 | 앙투안 그리즈만 | 44 | 137 | 0.32 | 2014–2024 |
5 | 미셸 플라티니 | 41 | 72 | 0.57 | 1976–1987 |
6 | 카림 벤제마 | 37 | 97 | 0.38 | 2007–2022 |
7 | 다비드 트레제게 | 34 | 71 | 0.48 | 1998–2008 |
8 | 지네딘 지단 | 31 | 108 | 0.29 | 1994–2006 |
9 | 쥐스트 퐁텐 | 30 | 21 | 1.43 | 1953–1960 |
장피에르 파팽 | 54 | 0.56 | 1986–1995 |
5. 2. 최근 차출된 선수 명단
2024년 11월 14일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과 11월 17일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2024-25 UEFA 네이션스리그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78]''2024년 11월 17일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 후 기준 출전 경기 수와 득점 수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나이)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
---|---|---|---|---|---|---|---|
1 | GK | Brice Samba | 3 | 0 | 랭스 | ||
16 | GK | Mike Maignan | 28 | 0 | 밀란 | ||
23 | GK | Lucas Chevalier | 0 | 0 | 릴 | ||
2 | DF | Benjamin Pavard | 55 | 5 | 인터 밀란 | ||
3 | DF | Lucas Digne | 50 | 0 | 애스턴 빌라 | ||
4 | DF | Dayot Upamecano | 28 | 2 | 바이에른 뮌헨 | ||
5 | DF | Jules Koundé | 40 | 0 | 바르셀로나 | ||
15 | DF | Ibrahima Konaté | 21 | 0 | 리버풀 | ||
17 | DF | William Saliba | 26 | 0 | 아스널 | ||
22 | DF | Théo Hernandez | 36 | 2 | 밀란 | ||
8 | MF | Manu Koné | 4 | 0 | 로마 | ||
13 | MF | N'Golo Kanté | 64 | 2 | 알 이티하드 | ||
14 | MF | Adrien Rabiot | 50 | 6 | 마르세유 | ||
18 | MF | Warren Zaïre-Emery | 6 | 1 | 파리 생제르맹 | ||
19 | MF | Mattéo Guendouzi | 12 | 2 | 라치오 | ||
7 | FW | Michael Olise | 4 | 0 | 바이에른 뮌헨 | ||
9 | FW | Marcus Thuram | 29 | 2 | 인터 밀란 | ||
10 | FW | Christopher Nkunku | 14 | 1 | 첼시 | ||
11 | FW | Kingsley Coman | 58 | 8 | 바이에른 뮌헨 | ||
12 | FW | Randal Kolo Muani | 27 | 8 | 파리 생제르맹 | ||
20 | FW | Bradley Barcola | 11 | 2 | 파리 생제르맹 |
5. 3. 역대 국제대회 스쿼드
현역 선수는 '''강조 표시'''가 되어있다.
# | 성명 | 기간 | 출장 | 골 |
---|---|---|---|---|
1 | 위고 요리스 | 2008–2022 | 145 | 0 |
2 | 릴리앙 튀람 | 1994–2008 | 142 | 2 |
3 | 티에리 앙리 | 1997–2010 | 123 | 51 |
4 | 올리비에 지루 | 2011–현재 | 120 | 53 |
5 | 앙투안 그리즈만 | 2014–현재 | 117 | 42 |
6 | 마르셀 드사이 | 1993–2004 | 116 | 3 |
7 | 지네딘 지단 | 1994–2006 | 108 | 31 |
8 | 파트리크 비에이라 | 1997–2009 | 107 | 6 |
9 | 디디에 데샹 | 1989–2000 | 103 | 4 |
10 | 카림 벤제마 | 2007–2022 | 97 | 37 |
로랑 블랑 | 1989–2000 | 97 | 16 | |
빅상트 리자라쥐 | 1992–2004 | 97 | 2 |
2022년 12월 18일 기준
6. 코칭스태프
디디에 데샹 감독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있다. 현재 코칭스태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원본 소스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