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브 (199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레이브는 1997년에 개봉한 영화로, 조니 뎁이 감독, 주연, 각본을 맡았다. 이 영화는 미국 원주민 라파엘이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스너프 필름에 출연하기로 결심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라파엘은 가난과 사회적 냉대에 시달리며, 스너프 필름 출연을 통해 가족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려 한다. 영화는 라파엘이 마지막 일주일을 가족과 함께 보내며 겪는 갈등과 고뇌를 그린다. 비평가들의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미국에서는 정식 개봉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영화 - 에어 포스 원 (영화)
해리슨 포드 주연의 영화 《에어 포스 원》은 테러리스트에게 납치당한 대통령이 에어포스 원에서 생존을 위해 테러리스트들과 맞서 싸우는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1997년 영화 - 밀림의 왕자 레오
《밀림의 왕자 레오》는 데즈카 오사무의 만화를 원작으로 흰 사자 레오가 정글의 왕이 되어 인간과 동물의 공존을 추구하는 이야기이며,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고, 특히 1965년 애니메이션 시리즈 『정글대제』는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라이온 킹》과의 유사성 논란, 흑인 묘사에 대한 논쟁도 있었다. - 미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미국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 월드워Z
《월드워Z》는 맥스 브룩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브래드 피트 주연의 2013년 미국 좀비 영화로, 전직 유엔 조사관이 좀비 바이러스의 기원을 추적하고 백신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찾는 과정을 그린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영어 영화 작품 - 더 트리
더 트리(The Tree)는 2010년 개봉한 줄리 베르투첼리 감독의 영화로, 남편을 잃은 던 오닐 가족이 거대한 나무와 교감하며 슬픔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영어 영화 작품 -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디언》은 67세 뉴질랜드인 버트 먼로가 1920년형 인디언 스카우트 오토바이를 개조하여 보네빌 솔트 플랫츠에서 속도 기록에 도전하는 실화를 바탕으로, 관료주의와 어려움 속에서 여러 사람의 도움을 받아 201.851mph의 신기록을 달성하지만 사고를 당하는 과정을 그린, 앤서니 홉킨스 주연의 불굴의 의지와 인간애를 보여주는 영화이다.
브레이브 (199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조니 뎁 |
원작 | 그레고리 맥도널드의 소설 《더 브레이브》 |
각본 | D. P. 뎁 조니 뎁 폴 매커든 |
출연 | 조니 뎁 말론 브란도 마셜 벨 프레더릭 포레스트 엘피디아 카릴로 |
음악 | 이기 팝 |
촬영 | 빌코 필라치 유진 D. 슐글레이트 |
편집 | 파스콸레 부바 에르베 슈네이드 |
배급사 | 마제스틱 필름스 인터내셔널 |
개봉일 | 1997년 5월 10일 (칸 영화제) 1997년 7월 30일 (프랑스) 1998년 3월 28일 (일본) |
상영 시간 | 123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5백만 ~ 6백만 달러 |
2. 줄거리
라파엘은 미국 원주민으로, 아내와 두 아이와 함께 쓰레기 매립지 근처의 빈민촌에서 살고 있다. 생계를 위해 무엇이든 팔며 살아가는 그는 절망적인 상황과 가족을 부양할 수 없다는 현실에 직면하여, 가족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해주기 위해 스너프 필름에 출연하여 큰돈을 받기로 한다.[1]
그는 돈의 일부를 선불로 받고 일주일 후 카메라 앞에서 고문당하고 살해되는 촬영에 응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삶의 마지막 일주일 동안 라파엘은 아내, 아이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자신의 운명에 대해 고뇌한다.[1]
미국 시골에서 가족과 함께 가난하게 생활하는 인디언 라파엘(조니 뎁)은 사회로부터 냉대받으며, 직업을 구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그는 과거에 강도 등의 범죄를 저질러 복역한 적도 있었다. 일자리를 찾아 어떤 빌딩을 방문한 그는 수수께끼의 남성 매카시(말론 브란도)를 만나고, 스너프 영화에 출연하여 고문당하고 살해되는 대가로 50000USD를 받기로 하는 거래를 제안받는다. 가난에 시달리는 가족을 위해 목숨을 버리기로 결심한 라파엘은 이를 받아들이고, 돈의 3분의 1을 먼저 받고 돌아간다. 계약에 따라 그는 일주일 후에 촬영에 응해야 한다.[1]
남은 시간 동안 그는 두 아이 프랭키(코디 라이트닝)와 마르타(니콜 만세라), 그리고 아내 리타(엘피디아 카릴로)와 함께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1]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라파엘 | 조니 뎁 | 히라타 히로아키 |
매카시 | 말론 브란도 | 후지모토 조 |
리타 | 엘피디아 카릴로 | 다나다 에미코 |
래리 | 마셜 벨 | 코지마 토시히코 |
루 시니어 | 프레데릭 포레스트 | 토쿠마루 칸 |
스트래튼 신부 | 클라렌스 윌리엄스 3세 | |
루 주니어 | 맥스 페를리치 | |
루이스 | 루이스 구즈만 | 나카지마 토시히코 |
프랭키 | 코디 라이트닝 | |
마르타 | 니콜 만세라 | |
파파 | 플로이드 웨스터먼 | |
알레산드로 | 페페 세르나 | |
마리아 | 루페 온티베로스 | |
헤이먼 | 알렉시스 크루즈 | |
위지 | 척 E. 바이스 | |
새 다리를 먹는 남자 | 이기 팝 |
3. 2. 조연
배역 | 배우 |
---|---|
리타 | 엘피디아 카릴로 |
래리 | 마셜 벨 |
루 시니어 | 프레더릭 포레스트 |
스트래튼 신부 | 클래런스 윌리엄스 3세 |
루 주니어 | 맥스 페를리치 |
루이스 | 루이스 구즈만 |
마르타 | 니콜 만세라 |
파파 | 플로이드 웨스터만 |
알레산드로 | 페페 세르나 |
위지 | 척 E. 바이스 |
새 다리를 먹는 남자 | 이기 팝 |
4. 제작
폴 맥커든이 쓴 초기 각본은 그레고리 맥도널드의 책을 바탕으로 했으며, 어두운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1993년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의 관심을 끌었다.[7] 디즈니의 터치스톤 픽처스가 결국 이 영화를 선택했고, 1994년 초에 제작이 시작될 예정이었다.[7] 그러나 1993년 12월, 이 영화에 참여했던 USC 영화학교 출신의 신인 감독 아지즈 가잘이 아내와 딸을 살해하고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 그의 시신은 로스앤젤레스 경찰에 의해 한 달 넘게 발견되지 않았다.[7] 영화 감독이 실종되고 그의 가족 살해의 책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자, 터치스톤은 즉시 제작을 중단했다.[7]
이러한 큰 차질에도 불구하고 맥커든과 그의 제작 파트너 찰스 에반스는 이미 상당한 액수의 사비를 투자했기 때문에 영화 제작을 계속 추진했다.[7] 1994년, 그들은 조니 뎁을 설득하여 영화의 각본을 다시 쓰고, 감독하고, 제작하도록 했다.[7] 뎁은 원래 각본을 싫어했지만, "가족을 위한 희생"이라는 아이디어에 감동받아 이 프로젝트를 맡았다.[7]
이기 팝이 영화의 모든 음악을 작곡하고 연주했다. 이 영화의 일부 곡들은 후에 그의 1999년 스튜디오 앨범 ''Avenue B''에 수록되었다. 조니 뎁은 잠재적인 자금 제공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자신이 주연을 맡았다.[7] 이 영화는 약 500만달러의 제작 예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뎁은 비용이 초과될 경우 지불하기로 동의했고, 개인적으로 최대 200만달러를 투자했을 수 있다.[7]
각본에 참여한 D. P. 뎁은 조니 뎁의 친형이며, 조니 뎁과 사적으로도 친분이 있는 뮤지션 이기 팝이 음악을 담당하고 카메오 출연도 했다. 말론 브란도는 1972년 영화 대부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지만, "영화, TV 업계의 인디언 민족에 대한 부당한 대우"를 이유로 수상을 거부한 적이 있으며, 본 작품에는 무상으로 출연하여 미국 원주민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5. 평가
미국 평론가들은 대체로 이 영화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6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준으로 33%의 지지도를 받았다.[3] ''버라이어티''는 "침울하고 믿을 수 없는 네오 서부극"이라고 평가했으며,[4] 타임 아웃은 "비현실성 외에도 연출에 두 가지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지루하고, 카메라가 뎁의 머리 두건과 물결치는 몸통에 반복적으로 초점을 맞추면서 매우 자기 도취적이다."라고 비판했다.[5] 이러한 혹평으로 인해 조니 뎁은 미국 내 극장 및 홈 미디어 개봉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7]
5. 1. 해외 영화제
The Brave영어는 1997년 5월 10일 칸 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이후 타오르미나 국제 영화제, 레이캬비크 국제 영화제, 캐머이미지 국제 영화제에 출품되었다. 칸 영화제에서는 황금종려상 후보에 올랐으며, 캐머이미지 국제 영화제에서는 골든 프로그 상 후보에 올랐다.5. 2. 평론가 반응
칸 영화제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미국 평론가들은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6명의 평론가 리뷰를 기준으로 33%의 지지도를 받았다.[3]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를 "침울하고 믿을 수 없는 네오 서부극"이라고 일축했다.[4] 타임 아웃은 "비현실성 외에도 연출에는 두 가지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지루하게 느리고, 카메라가 뎁의 머리 두건과 물결치는 몸통에 반복적으로 초점을 맞추면서 매우 자기 도취적이다."라고 말하며 영화를 비판했다.[5] 이러한 혹평으로 인해 조니 뎁은 미국 내 극장 및 홈 미디어 개봉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7]6.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브레이브》는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의 빈곤과 차별 문제를 다루면서, 한국 사회의 소외 계층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특히, 사회적 약자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과 그로 인한 극단적인 선택의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1] 영화는 인간의 존엄성과 희생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
영화에서 주인공 라파엘(조니 뎁)은 가난 때문에 가족을 위해 스너프 영화에 출연하여 죽음을 맞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1]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회적 약자들의 현실을 떠올리게 한다.[1]
참조
[1]
뉴스
Equal Status, Kemo Sabe Johnny Depp Revises Tonto in 'The Lone Rang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6-28
[2]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Brave
http://www.festival-[...]
Festival de Cannes
2009-09-21
[3]
웹사이트
The Brave (1997)
https://www.rottento[...]
[4]
웹사이트
The Brave
https://variety.com/[...]
1997-05-25
[5]
웹사이트
The Brave
https://www.timeout.[...]
2006-02-09
[6]
웹사이트
Movies You Might Not Have Seen: The Brave (1997)
https://www.filmink.[...]
2016-05-27
[7]
웹사이트
The Sad, Strange Journey of Johnny Depp's 'The Brave'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7-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