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는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1989년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는 1990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96년부터 1997년까지 폴란드 총리를 역임했다. 이후 외무부 장관을 거쳐 2005년에는 세임 의장을 지냈다. 2005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으나, 선거 전에 사퇴하고 정계 은퇴를 발표했다. 2007년 상원 의원으로 정계에 복귀했으며, 2019년 유럽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그는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에 기여했으며,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좌파연합의 정치인 -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는 폴란드 대통령을 2번 역임한 정치인으로, 민주화 운동 참여 후 폴란드 사회민주당을 창당하고 민주좌파연맹을 이끌었으며, NATO 가입, 폴란드 헌법 제정, 유럽 연합 가입 등에 기여했지만 CIA 비밀 블랙사이트 운영 동의 및 사면 결정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 민주좌파연합의 정치인 - 유제프 올렉시
유제프 올렉시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폴란드 총리, 세임 의원 및 의장을 역임했으며, 좌파연합 민주동맹 공동 창당, EU 가입 준비에 기여했으나, 러시아 스파이 혐의 논란과 당 내부 비판으로 부침을 겪었다. - 폴란드의 유럽 의회 의원 - 안제이 두다
안제이 두다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폴란드 대통령을 역임하고 있으며,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유럽 연합 관련 정책, 중국과의 관계 강화, 우크라이나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 폴란드의 유럽 의회 의원 -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바르샤바 시장으로, 시민 연단 소속 유럽 의회 의원, 폴란드 하원 의원, 행정 및 디지털화부 장관, 외무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202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었고 2025년 대선에 다시 출마할 시민 플랫폼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 폴란드의 부총리 -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야로스와프 카친스키는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반공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법과 정의당을 창당했으며, 폴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유럽회의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부총리 -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는 반체제 운동 경력과 금융 경제 분야 경력을 바탕으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폴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경제 개발 계획 추진, EU 정책 비판, 우크라이나 지원 등의 행보를 보였다.
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 |
로마자 표기 | Włodzimierz Cimoszewicz |
훈격 | 각하 |
직책 | MEP |
정치 경력 | |
폴란드 총리 | 대통령: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
임기 시작 | 1996년 2월 7일 |
임기 종료 | 1997년 10월 31일 |
부총리 | 그제고시 코워드코 로만 야기엘린스키 미로스와프 피에트레비치 마레크 벨카 야로스와프 칼리노프스키 |
이전 | 유제프 올렉시 |
이후 | 예지 부제크 |
세임 의장 | 임기 시작: 2005년 1월 5일 |
임기 종료 | 2005년 10월 18일 |
이전 | 유제프 올렉시 |
이후 | 마레크 유레크 |
외무부 장관 | 총리: 레셰크 밀레르, 마레크 벨카 |
임기 시작 | 2001년 10월 19일 |
임기 종료 | 2005년 1월 5일 |
이전 | 브와디스와프 바르토셰프스키 |
이후 | 아담 다니엘 로트펠트 |
법무부 장관 검찰총장 | 총리: 발데마르 파블라크 |
임기 시작 | 1993년 10월 26일 |
임기 종료 | 1995년 3월 1일 |
이전 | 얀 피옹트코프스키 |
이후 | 예지 야스키에르니아 |
임기 시작 | 2019년 7월 1일 |
임기 종료 | 2024년 7월 15일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50년 9월 13일 |
출생지 | 바르샤바, 폴란드 |
정당 | 통일 노동자당 (1971–1990) 사회민주주의 (1990–1999) 민주좌파연합 (1999–2005) 무소속 (2005년 이후) |
소속 정당 | 진보적 사회주의자 및 민주주의자 동맹 (2019년 이후) 좌파 (2024년 이후) |
학력 | 바르샤바 대학교 |
배우자 | 바바라 치모셰비치 |
자녀 | 1명 |
수상 | |
![]() | |
![]() |
2. 정치 경력
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는 1989년 폴란드 총선에서 하원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후신인 폴란드 공화국 사회민주당과 민주좌파연합 등 좌파 정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하원의원에 선출되었다.
그는 폴란드 총리(1996-1997), 폴란드 외무부 장관(2001-2005), 세임 의장(2005) 등 폴란드의 주요 정치 지도자로서 활동했다. 총리 재임 시절 유럽 통합 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준비를 이끌었고, 외무부 장관으로서 2003년 가입 조약에 서명하며 EU 가입을 실현하는 데 기여했다.
200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출마 및 중도 사퇴 이후, 2007년 무소속으로 상원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으며, 2015년까지 활동했다. 2019년에는 유럽 연정 소속으로 유럽 의회 의원에 선출되어 현재 활동 중이다. 또한, 2015년부터 우크라이나 현대화 기구(AMU)에서 활동하고 있다.[4]
2. 1. 초기 정치 활동 (1989-1996)
1989년 폴란드 총선에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에 처음 당선되며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폴란드 공화국 사회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겨 1990년 대선에 출마했으나, 9.2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4위로 낙선했다.대선 낙선 후에는 민주좌파연합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1991년 총선과 1993년 총선에서 연이어 하원의원으로 당선되며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1996년에는 폴란드 총리로 임명되어 활동했다.
2. 2. 총리 재임 및 유럽 통합 (1996-1997)
치모셰비치는 1996년부터 1997년 말까지 폴란드 총리직을 수행했다. 1996년 10월에는 새로 설립된 유럽 통합 위원회(장관급 직책)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협상을 준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그는 1997년 10월 31일까지 이 직책을 유지하며 폴란드의 유럽 통합 과정에 기여했다.2. 3. 외무부 장관 및 EU 가입 (2001-2005)
치모셰비치는 레셰크 밀러 (2001~2004)와 마렉 벨카 (2004~2005) 정부에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레셰크 밀러 총리와 함께 가입 조약에 서명하여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의 길을 열었다.2. 4. 세임 의장 및 대통령 선거 (2005)
치모셰비치는 2005년 1월부터 10월까지 세임 의장을 역임했다.같은 해 6월 28일, 그는 200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출마 선언 직후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렸으며, 당시 현직 대통령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의 부인인 욜란타 크바시니에프스카가 그의 선거 운동본부장을 맡았다.
그러나 2005년 7월 9일, 치모셰비치는 오를렌 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하여 증언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큰 정치적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위원회가 정치적으로 편향되었으며 자신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방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의 증언 거부가 헌법에 위배되는지에 대해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렸으며, 여론 조사에 따르면 폴란드 국민의 58%가 그의 행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2005년 7월 초 르제치포스폴리타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치모셰비치가 28%의 지지율로 여전히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결선 투표에서도 승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결국 치모셰비치는 선거가 치러지기 전에 후보직에서 사퇴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2. 5. 상원의원 및 유럽의회 의원 (2007-현재)
200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출마를 철회하며 정계 은퇴를 선언했으나, 2007년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폴란드 상원 의석을 얻으며 정계에 복귀했다. 이후 상원의원 및 유럽의회 의원으로 활동한 주요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선거명 | 직책명 | 선거구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
2007년 선거 | 상원의원 | 바르샤바 제23부 | 7대 | 무소속 | 37.86% | 175,839표 | 1위 ( |
2011년 선거 | 상원의원 | 바르샤바 제61부 | 8대 | 무소속 | 49.83% | 39,095표 | 1위 () |
2019년 선거 | 유럽의원 | 바르샤바 선거구 | 9대 | 유럽 연정 | 15.86% | 219,677표 | 비례대표 1번 ( |
브워지미에시 치모셰비치는 좌파 정당인 민주좌파동맹 소속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 좌파 후보로 처음 출마하여 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정치 무대에 등장했다.
치모셰비치는 2015년 임기 종료까지 상원의원직을 유지했다.
2009년에는 테리 데이비스의 후임으로 유럽 평의회 사무총장 후보 2명 중 한 명으로 지명되었으나, 유럽 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토르비외른 야글란을 새로운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 현대화 기구(AMU)의 부패 방지 분야 작업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4]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유럽 의회 의원(MEP)으로 선출되어 현재 활동 중이다.
3. 정치적 입장 및 주요 활동
그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폴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준비를 위한 유럽 통합 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이후 레셰크 밀러 정부와 마렉 벨카 정부(2001년~2005년)에서는 폴란드 외무부 장관으로 활동하며, 2003년 가입 조약에 서명하는 등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005년에는 잠시 세임 의장(폴란드 하원의장)을 지냈다.
치모셰비치는 200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고 초기 여론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보였으나, PKN 오를렌 조사 위원회 증언 거부 논란 등을 겪은 후 선거 전에 출마를 철회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그러나 2007년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상원 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으며, 2015년까지 의원직을 유지했다. 2009년에는 유럽 평의회 사무총장 후보로 나섰으나 선출되지는 못했다.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 현대화 기구(AMU)에서 부패 방지 관련 활동을 하고 있으며[4],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MEP으로 선출되어 활동 중이다.
3. 1. 유럽 통합 관련 활동
치모셰비치는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인물 중 하나이다. 폴란드 총리로 재임하던 1996년 10월, 새로 설립된 유럽 통합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아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협상 준비를 이끌었다. 이 직책은 1997년 10월 31일까지 유지했다.
이후 레셰크 밀러 정부와 마렉 벨카 정부(2001년~2005년)에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유럽 통합 노력을 이어갔다. 특히 이 기간 동안 당시 총리였던 레셰크 밀러와 함께 가입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폴란드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2009년에는 테리 데이비스의 후임으로 유럽 평의회 사무총장 후보에 올랐으나, 유럽 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토르비외른 야글란을 선출했다.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바르샤바 선거구에서 MEP으로 선출되어 유럽 정치 무대에서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2. 대외 관계
치모셰비치는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6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신설된 유럽 통합 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폴란드의 EU 가입 협상 준비를 이끌었다. 이후 레셰크 밀러(2001~2004)와 마렉 벨카(2004~2005) 정부에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레셰크 밀러와 함께 2003년 가입 조약에 서명하여 폴란드의 EU 가입을 확정하는 데 기여했다.
2009년에는 유럽 평의회 사무총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노르웨이의 토르비외른 야글란에게 패배하여 선출되지 못했다.
2014년 5월, 치모셰비치는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 대해 서방 세계의 대응이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주의 서방은 지금까지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러시아의 공격적인 정책에 대해 국제사회가 초기 단계부터 단호하게 대처하지 않으면 더 큰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5] 또한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 현대화 기구(AMU)의 부패 방지 담당 작업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4]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바르샤바 선거구에서 MEP으로 선출되어 유럽 정치 무대에서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3. 국내 정치
치모셰비치는 좌파 정당인 민주좌파동맹 소속으로 정치를 시작했다. 199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 좌파 후보로 출마하여 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1996년부터 1997년 말까지 폴란드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재임 중이던 1996년 10월에는 신설된 유럽 통합 위원회(장관급)의 위원장을 맡아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 협상 준비를 이끌었으며, 이 직책은 1997년 10월 31일까지 유지했다.
이후 레셰크 밀러(2001~2004)와 마렉 벨카(2004~2005) 정부에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외무장관 시절에는 레셰크 밀러 총리와 함께 2003년 가입 조약에 서명하며 폴란드의 유럽 연합 가입을 성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5년 1월부터 10월까지는 폴란드 국회 하원 의장인 세임 의장을 역임했다.
2005년 6월 28일, 치모셰비치는 2005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곧바로 여론조사에서 선두 주자로 나섰다. 이전 1990년 대선에도 출마하여 9.21%를 득표한 바 있으며, 1995년과 2000년 대선에서는 두 차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적 동지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에게 후보 자리를 양보했다. 2005년 그의 선거 운동본부 의장은 당시 대통령 부인이었던 욜란타 크바시니에프스카가 맡았다.
그러나 2005년 7월 9일, 치모셰비치는 오를렌 위원회 증언을 거부하면서 정치적으로 큰 논란을 빚었다. 그는 위원회 위원 8명 중 7명이 정치적 동기를 가지고 편향되어 있으며, 자신의 대통령 출마를 방해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그의 증언 거부가 헌법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헌법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렸다. 당시 폴란드 국민의 58%는 위원회 앞에서의 그의 행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르제치포스폴리타가 2005년 7월 5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시 여론조사상으로는 치모셰비치가 어떤 후보와 맞붙더라도 결선 투표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그는 결국 선거 전에 출마를 철회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이 선거에서는 레흐 카친스키가 최종 승리했다.
정계 은퇴 선언에도 불구하고, 치모셰비치는 2007년 총선에서 무소속 후보로 상원 의원에 당선되며 정계에 복귀했다. 그는 2015년 임기가 끝날 때까지 상원의원직을 유지했다.
2009년에는 테리 데이비스를 대체할 유럽 평의회 사무총장 후보 2명 중 한 명이었으나, 유럽 평의회 의회 의장단은 토르비외른 야글란을 새로운 사무총장으로 선출했다.
2015년부터는 우크라이나 현대화 기구(AMU)에서 부패 방지 관련 작업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4]
201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바르샤바 선거구에서 MEP으로 선출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89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하원 (바르샤바 제10선거구) | 10대 |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 18.69% | 23,398표 | 52.56% | 34,952표 | 1위 | 당선 |
199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 폴란드의 대통령 | 2대 | 폴란드 공화국 사회민주당 | 9.21% | 1,514,025표 | - | 4위 | 낙선 | |
1991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하원 (바르샤바 제25선거구) | 1대 | 민주좌파연합 | 16.35% | 52,677표 | - | 비례대표 1번 | 당선 | |
1993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하원 (바르샤바 제4선거구) | 2대 | 민주좌파연합 | 20.34% | 51,710표 | - | 비례대표 1번 | 당선 | |
1997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하원 (바르샤바 제4선거구) | 3대 | 민주좌파연합 | 20.67% | 53,958표 | - | 비례대표 1번 | 당선 | |
1998년 폴란드 지방선거 | 포들라스키에 주의회 의원 (포들라스키에 제5선거구) | 1대 | 민주좌파연합 | 39.91% | 23,436표 | - | 1위 | 당선 | |
2001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하원 (바르샤바 제24선거구) | 4대 | 민주좌파연합 | 18.06% | 71,819표 | - | 비례대표 1번 | 당선 | |
2007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상원 의원 (바르샤바 제23부) | 7대 | 무소속 | 37.86% | 175,839표 | - | 1위 | 당선 | |
2011년 폴란드 총선 | 폴란드 상원 의원 (바르샤바 제61부) | 8대 | 무소속 | 49.83% | 39,095표 | - | 1위 | 당선 | |
2019년 선거 | 유럽 의회 의원 (바르샤바 선거구) | 9대 | 유럽 연정 | 15.86% | 219,677표 | - | 비례대표 1번 | 당선 |
참조
[1]
뉴스
Charlemagne: Wlodzimierz Cimoszewicz
http://www.economist[...]
2001-11-01
[2]
웹사이트
Placówki Dyplomatyczne Rzeczypospolitej Polskiej
http://www.strasbour[...]
Strasbourgre
2013-07-14
[3]
웹사이트
Document
http://www.msz.gov.p[...]
MSZ
2013-07-14
[4]
웹사이트
Finanznachrichten - Börse & Wirtschaft aktuell
http://www.wallstree[...]
[5]
뉴스
Into the Fold or Out in the Cold? NATO Expansion and European Security after the Cold War
https://www.wilsonce[...]
The Wilson Center
2014-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