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늘도마뱀붙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늘도마뱀붙이속(Geckolepis)은 겹쳐진 뼈로 굳어진 비늘을 가진 도마뱀붙이류의 속이다. 이 속의 비늘은 쉽게 떨어져 나가며, 떨어진 비늘은 재생된다. 비늘도마뱀붙이류는 피부이완 능력이 뛰어나 위험 상황에서 비늘과 피부를 쉽게 벗을 수 있는데, 이는 표피와 결합 조직 사이의 분할 영역과 근섬유모세포 네트워크의 수축, 혈관 수축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늘차례의 다양성으로 인해 분류가 어려우며, 최근 유전적 연구를 통해 은폐종의 존재가 밝혀졌다. 현재까지 5종이 인정되고 있으며, 큰비늘도마뱀붙이 등 새로운 종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파충류 - 검은맘바
    검은맘바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긴 독사 중 하나로, 다양한 체색을 띠며 입 안쪽이 검은색이고, 신경독과 심장독을 가진 치명적인 뱀이다.
  • 아프리카의 파충류 - 우단도마뱀붙이속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4종의 도마뱀붙이로 이루어진 우단도마뱀붙이속은 도마뱀붙이목에 속하며, 각 종은 명명자에 따라 학명이 부여되고 일부 철자가 수정되었다.
  • 도마뱀붙이과 - 지아이파르스도마뱀붙이
    지아이파르스도마뱀붙이는 2016년 학계에 보고된 도마뱀붙이과 도마뱀으로, 이란 호르모즈간주의 자킨 북부에서 발견되며 지면에서 서식하고, 작은 등 비늘과 2mm 크기의 알을 낳는 특징을 가진다.
  • 도마뱀붙이과 - 비브론두툼가락도마뱀붙이
    비브론두툼가락도마뱀붙이는 아프리카 대륙 남부에 널리 분포하며 꼬리까지 15-20cm 정도로 자라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수목과 지상에서 서식하며 암컷은 한 해에 두 번 알을 낳는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식육목 동물로, 4개의 속과 6종의 몽구스를 포함하며, 민첩한 몸과 긴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숲과 열린 서식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비늘도마뱀붙이속
기본 정보
학명Geckolepis
명명자Grandidier, 1867
분포도
모식종'Geckolepis typica'
모식종 명명자Grandidier, 1867

2. 피부와 비늘

비늘도마뱀붙이속의 비늘은 겹쳐져 있으며 뼈처럼 단단하다. 1911년 빌헬름 요제프 슈미트는 비늘의 조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비늘의 겹침과 이질성에 대해 언급했다.[1] [15] 슈미트는 비늘의 겹침은 비늘이 접힌 결과이며, 본질적으로 단일층이 아닌 이중층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비늘 중심부가 불규칙한 결정 형태로 골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

최근의 마이크로-CT 스캔 연구를 통해 큰비늘도마뱀붙이(''G. megalepis'')와 다른 종들이 뼈와 비슷한 수준의 X선 감쇠를 보이며, 이는 골편의 존재를 뒷받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만, 슈미트의 그림과 같이 비늘 끝부분은 골화되지 않았다.[13] [27] Paluh 등은[2] 마이크로-CT와 조직학을 통해 참 비늘도마뱀붙이류(''Geckolepis'' cf. ''maculata'')의 골피를 연구하여, 다른 도마뱀붙이류와 비교했을 때 그 형태가 매우 다르며, 이는 수렴 진화의 결과임을 보였다. 비늘도마뱀붙이류의 골피는 장갑도마뱀과의 골피와 유사하다.[3] [16]

비늘도마뱀붙이류는 19세기부터 비늘을 떼어낼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4] 알프레드 푀르츠코프는 1893년에 솜뭉치로 비늘이 벗겨지는 것을 막으면서 표본을 포획했다고 묘사했다.[18] 비늘이 벗겨지면 다시 재생되어 원래 비늘과 구분하기 어렵다.[5] [13] [19] [27] 이러한 비늘 탈착, 재생에 관한 해부학적 기제는 C. Schubert와 동료들이 연구했다.[6] [19] [20] [5] 연구 결과, 비늘도마뱀붙이류의 '해부학적 피부이완 기제'는 외피와 그 아래의 연결조직 사이에 미리 형성된, 쉽게 박리되는 영역 덕분이며, 이는 박리 영역의 근섬유모세포망이 수축하여 혈관 수축을 통해 혈액 손실을 최소화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6] [20] 아론 M. 바우어와 동료들은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지만, 다른 도마뱀붙이의 비교 증거에만 근거했으며, 이들은 모두 표피 내에 분할 구역을 가지고 있을 뿐 그 아래에는 없었다.[7] [8] [21] [22] 이후 이러한 기제를 제대로 탐구한 연구는 아직 없지만, 인간용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을지 모를 재생 특성에 관해 반복적으로 연구가 요청되고 있다.[2] [13] [16] [27]

2. 1. 비늘의 구조 및 특징

비늘도마뱀붙이류의 비늘은 겹쳐진 형태(골화)로 배열되어 뼈처럼 단단하다. 1911년 빌헬름 요제프 슈미트(Wilhelm Josef Schmidt)는 비늘의 조직학적 구조를 연구하여,[15] 비늘이 이중층으로 배열되어 있고, 중심부가 불규칙한 결정 형태로 골화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5]

최근 마이크로-CT 스캔 연구 결과,[27] 비늘의 끝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뼈와 유사한 수준의 X선 감쇠를 보여 골편(골화된 조각)의 존재를 뒷받침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늘도마뱀붙이류의 골피(osteoderm)는 다른 도마뱀붙이류와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데, 이는 수렴 진화의 결과로 해석된다. 비늘도마뱀붙이류의 골피는 장갑도마뱀의 골피와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16]

2. 2. 피부이완과 재생

비늘도마뱀붙이류는 위험에 처했을 때 비늘과 피부를 쉽게 벗겨내는 '피부이완(skin shedding)'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능력은 19세기부터 알려져 있었는데, 알프레드 푀르츠코프는 1893년에 솜뭉치를 사용하여 비늘 벗겨짐을 방지하며 표본을 채집한 기록을 남겼다.[18][4] 벗겨진 비늘과 피부는 빠르게 재생되며, 원래의 비늘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완벽하게 복원된다.[27][19][13][5]

이러한 피부이완과 재생의 해부학적 기제는 C. Schubert와 동료들이 연구하였다.[20][19][6][5] 연구 결과, 피부이완은 외피와 그 아래의 연결조직 사이에 미리 형성된 분할 영역에서 발생하며, 근섬유모세포의 수축과 혈관 수축을 통해 혈액 손실을 최소화하는 능동적인 과정임이 밝혀졌다.[20][6] 아론 M. 바우어와 동료들은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지만,[21][22][7][8] 피부 재생 능력은 인간 의학, 특히 피부 이식 및 재생 의학 분야에 응용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27][16][13][2]

3. 분류

비늘도마뱀붙이속은 비늘의 형태(중국어: 鳞序, pholidosis)와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분류학적으로 복잡한 그룹이다. 특히, 이 속에는 여러 은폐종이 존재한다. ''G. maculata''의 분류학적 정체성은 여전히 불확실하다.[13]

3. 1. 분류의 어려움과 은폐종

비늘도마뱀붙이류는 다양한 비늘차례(pholidosis, 중국어:鳞序) 때문에 분류가 난해하다.[23][24] 최근의 분류학적, 유전학적 조사를 통해 이 속에 몇몇 은폐종(:en:cryptic species)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25] 2016년에 Hawlitschek과 동료들은 코모로 제도에 자생하는 ''Geckolepis humbloti''를 ''Geckolepis maculata''에서 다시 떼어냈다.[26] 2017년에는 Scherz와 동료들이 안카라나국립공원의 뾰족한 석회암 카르스트 지대에서 발견한 큰비늘도마뱀붙이(G. megalepis)에 대해 최초로 기술하였다. 이 종은 다른 어떤 비늘도마뱀붙이류보다도 비늘이 크지만, 골학적 측면에서도 고유한 특징이 있다.[27] ''G. maculata'' 의 분류적 정체성은 불확실한 채로 남아있다.[27]

3. 2. 하위 종

비늘도마뱀붙이속에는 현재까지 다음 5종이 인정되고 있다.[26][28][12][14]

  • 피터점박이도마뱀붙이 (''Geckolepis maculata'')
  • 코모라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humbloti'')
  • 숱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polylepis'')
  • 그랑디디에도마뱀붙이 (''Geckolepis typica'')
  • 큰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megalepis'')

3. 2. 1. 피터점박이도마뱀붙이 (Geckolepis maculata)

피터점박이도마뱀붙이(Peters, 1880) 또는 물고기비늘도마뱀붙이는 비늘도마뱀붙이속에 속하는 도마뱀붙이류의 일종이다.[26][28][12][14]

3. 2. 2. 코모라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humbloti)

Geckolepis humbloti|코모라비늘도마뱀붙이la[26][28][12][14]

3. 2. 3. 숱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polylepis)

''Geckolepis polylepis'' Boettger|뵈트거la, 1893[26][28][12][14]는 숱비늘도마뱀붙이, 다비늘도마뱀붙이라 불린다.

3. 2. 4. 그랑디디에도마뱀붙이 (Geckolepis typica)

그랑디디에가 1867년에 최초로 기재하였다.[26][28][12][14]

3. 2. 5. 큰비늘도마뱀붙이 (Geckolepis megalepis)

큰비늘도마뱀붙이(''Geckolepis megalepis'') Geckolepis megalepis|게콜레피스 메갈레피스영어[12][14][26][28]

참조

[1] 서적 Beobachtungen an der Haut von ''Geckolepis'' und einigen anderen Geckoniden Schweizerbart’sche Verlagsbuchhandlung
[2] 논문 Sheddable armour: identification of osteoderms in the integument of ''Geckolepis maculata'' (Gekkota) 2017
[3] 논문 Armored geckos: a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osteoderm development in ''Tarentola'' (Phyllodactylidae) and ''Gekko'' (Gekkonidae) with comments on their regeneration and inferred function 2015
[4] 논문 Tägliches Leben eines Sammlers und Forschers auf Exkursionen in den Tropen 1893
[5] 논문 Weitere Beobachtungen zur "dermolytischen Schreckhäutung" bei ''Geckolepis typica'' (Reptilia, Gekkonidae) 1990
[6] 논문 "Dermolytische Schreckhäutung"—ein besonderes Autotomieverhalten von ''Geckolepis typica'' (Reptilia, Gekkonidae) 1985
[7]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cal cor- relates of fragile skin in gekkonid lizards 1989
[8] 논문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regional integumentary loss in island geckos: a complement to caudal autotomy 1992
[9] 논문 A revision of the fish scale geckos, genus ''Geckolepis'' Grandidier (Squamata, Gekkonidae) from Madagascar and the Comoros 2009
[10] 서적 A field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Madagascar Vences & Glaw Verlags GbR 1994
[11] 논문 Molecules and morphology suggest cryptic species diversity and an overall complex taxonomy of fish scale geckos, genus ''Geckolepis'' 2012
[12] 논문 Resurrection of the Comoran fish scale gecko ''Geckolepis humbloti'' Vaillant, 1887 reveals a disjointed distribution caused by natural overseas dispersal 2016
[13] 논문 Off the scale: a new species of fish-scale gecko (Squamata: Gekkonidae: Geckolepis) with exceptionally large scales 2017
[14] 웹사이트 The Reptile Database http://www.reptile-d[...]
[15] 서적 Beobachtungen an der Haut von ''Geckolepis'' und einigen anderen Geckoniden Schweizerbart’sche Verlagsbuchhandlung
[16] 논문 Sheddable armour: identification of osteoderms in the integument of ''Geckolepis maculata'' (Gekkota) 2017
[17] 논문 Armored geckos: a histological investigation of osteoderm development in ''Tarentola'' (Phyllodactylidae) and ''Gekko'' (Gekkonidae) with comments on their regeneration and inferred function 2015
[18] 논문 Tägliches Leben eines Sammlers und Forschers auf Exkursionen in den Tropen 1893
[19] 논문 Weitere Beobachtungen zur "dermolytischen Schreckhäutung" bei ''Geckolepis typica'' (Reptilia, Gekkonidae) 1990
[20] 논문 "Dermolytische Schreckhäutung"—ein besonderes Autotomieverhalten von ''Geckolepis typica'' (Reptilia, Gekkonidae) 1985
[21]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cal cor- relates of fragile skin in gekkonid lizards 1989
[22] 논문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regional integumentary loss in island geckos: a complement to caudal autotomy 1992
[23] 논문 A revision of the fish scale geckos, genus ''Geckolepis'' Grandidier (Squamata, Gekkonidae) from Madagascar and the Comoros 2009
[24] 서적 A field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Madagascar Vences & Glaw Verlags GbR 1994
[25] 논문 Molecules and morphology suggest cryptic species diversity and an overall complex taxonomy of fish scale geckos, genus ''Geckolepis'' 2012
[26] 논문 Resurrection of the Comoran fish scale gecko ''Geckolepis humbloti'' Vaillant, 1887 reveals a disjointed distribution caused by natural overseas dispersal 2016
[27] 논문 Off the scale: a new species of fish-scale gecko (Squamata: Gekkonidae: Geckolepis) with exceptionally large scales 2017
[28] 웹사이트 The Reptile Database http://www.reptil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