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리아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승리의 여신으로, 그리스 여신 니케에 해당한다. 로마 건국 초기부터 숭배되었으며, 포에니 전쟁 이후 니케가 로마에 도입되면서 빅토리아 신앙이 형성되었다. 공화정 말기와 제정 시대에 민간과 군사 모두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승리를 상징하는 날개 달린 여인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면서 쇠퇴하였지만, 승리의 상징으로서의 이미지는 이후 기독교 천사의 묘사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케 - 사모트라케의 니케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조각상으로,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이며, 군함 선수 형상의 기단 위에 선 역동적인 자세와 섬세한 드레이프 표현이 특징이다. - 니케 - 승리의 여신: 니케
승리의 여신: 니케는 시프트업에서 개발하고 레벨 인피니트에서 배급하는, 랩쳐에 맞서 싸우는 안드로이드 소녀 '니케'를 지휘하여 전투를 벌이는 모바일 및 PC 기반의 롤플레잉 슈팅 게임으로,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3인칭 슈팅 방식 전투 시스템, 매력적인 캐릭터 디자인과 다양한 캐릭터 수집 요소가 특징이다. - 의인화 - 여우 이야기
여우 이야기는 중세 유럽 민담 및 문학 작품군으로, 교활한 여우 레나르, 늑대 이젠그림, 사자 노블 왕 등 의인화된 동물들이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에피소드를 다루며, 《로망 드 르나르》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 의인화 - 마네킹
마네킹은 의류 전시, 의료 교육,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체 모형으로, 15세기 패션 돌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소매점 디스플레이, 의료 시뮬레이션 등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 승리 - 사모트라케의 니케
사모트라케의 니케는 기원전 3세기경 제작된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조각상으로,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를 묘사한 대리석 조각상이며, 군함 선수 형상의 기단 위에 선 역동적인 자세와 섬세한 드레이프 표현이 특징이다. - 승리 -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젤라 전투 승리를 로마에 알리기 위해 사용한 라틴어 문구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그의 간결한 문체를 보여주며 군사적 승리 묘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용, 변형되어 현대 사회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빅토리아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Νίκη (Nikē) |
로마자 표기 | Nikē |
라틴어 | Victoria |
주요 속성 | 승리, 힘, 속도 |
상징물 | 월계관, 날개 |
그리스 신화 | |
부모 | 팔라스 스틱스 |
형제자매 | 젤로스 비아 크라토스 |
로마 신화 | |
해당 신 | 빅토리아 |
2. 역사와 도상학
빅토리아의 동전 및 숭배 이미지는 그녀의 신전에 사용된 원래 숭배상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숭배 이미지에서 빅토리아는 날개 달린 여성의 모습으로, 지구본 위에 서서 월계관이나 야자나무 가지를 높이 들고 있거나 제공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전쟁의 상징이 아니라 승리에 따른 평화를 상징한다. 다른 이미지에서는 인간 크기의 빅토리아가 개선 전차를 몰거나, 독립적인 조각상으로, 혹은 로마 최고신 유피테르, 전쟁의 신 마르스, 로마 국가의 신성한 의인화인 로마 등 더 큰 인물의 오른손 바닥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3][4]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로마의 종교적 문제와 기관들은 통치 황제가 기독교인이든 이교도이든 상관없이 "폰티펙스 막시무스"의 권한 아래 남아 있었다. 원로원은 로마의 복지에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이교도 희생 의식 수행을 존중하거나 허용했다. 여기에는 매 회의 전에 원로원 제단에서 빅토리아에게 바치는 희생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기원전 29년 옥타비아누스가 제단을 설치한 이후 필수적인 절차였다.[5]
날개 도안은 대부분 쌍을 이루는 형태로 묘사되어 승리를 상징하며, 로마의 공적 도상에도 자주 사용되었다. 이 도안은 주로 디자인 상단에 배치되었으며, 건축에서는 스팬드럴 등에 그려졌다. 이러한 도안은 여신 자체보다는 승리의 정신을 상징한다. 날개 도안은 로마가 기독교화된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으며, 기독교 천사의 모습으로 이어졌다.
2. 1. 초기 역사와 기원
제1차 포에니 전쟁 동안, 로마는 평화 또는 전쟁에서의 승리를 상징하는 그리스 여신 니케를 받아들였다. 로마 군대는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의 그리스 동맹을 통해 니케 여신을 접했을 것이다. 니케는 마그나 그라에키아와 그리스 본토에서 숭배되었으며 그리스 신화의 대상이었다. 이 시기에, 여러 로마의 전쟁 신들이 "빅토르"(정복자) 또는 "인빅투스"(정복되지 않은 자)라는 칭호를 받기 시작했다.[1]공화정 말기와 제정 초기, 빅토리아는 다른 신들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민간 및 군사 영역 모두에서 인기 있는 여신이 되었다. 기원전 294년, 팔라티노 언덕에 빅토리아 신전이 세워졌다. 이 신전은 전리품을 보관하고, 마그나 마테르 조각상을 임시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빅토리아는 로마 전역에 여러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제정 시대 팀가드에서는 "빅토리아 빅트릭스"(정복하는 승리)가 제국의 성공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2]
비카 포타 여신은 때때로 빅토리아와 동일시되기도 하지만, 그녀의 도상이 그리스의 니케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에는 너무 오래된 신이므로 별개의 신으로 여겨진다. 빅토리아는 사비네 여신 바쿠나와 관련된 많은 로마 신들 중 하나이다.
2. 2. 로마 공화정과 제정 시대
포에니 전쟁 동안, 로마인들은 그리스 여신 니케를 번역하여 승리의 여신 빅토리아를 처음으로 숭배하기 시작했다. 니케는 로마의 그리스 동맹의 여신으로서 로마 군대에 알려졌으며, 마그나 그라에키아와 그리스 본토에서 숭배되었다.[1] 공화정 말기와 제정 초기에 빅토리아는 민간과 군사 양면에서 인기 있는 여신이 되었다. 기원전 294년, 팔라티노 언덕에 빅토리아 신전이 세워졌다.[1] 이 신전은 전리품을 보관하고, 마그나 마테르 조각상을 임시로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빅토리아는 로마 전역에 여러 신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제정 시대 팀가드에서는 "빅토리아 빅트릭스"(정복하는 승리)가 제국의 성공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2]빅토리아의 도상은 주로 날개 달린 여성의 모습으로, 지구본 위에 서서 월계관이나 야자나무 가지를 들고 있는 형태로 묘사된다. 이는 전쟁의 승리뿐만 아니라 평화를 상징한다.[3] 다른 이미지에서는 개선 전차를 몰거나, 유피테르, 마르스, 로마 등 다른 신들과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3][4]
2. 3. 다른 신들과의 관계
여신 비카 포타는 때때로 빅토리아와 동일시되지만, 니케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에는 너무나 오래된 신이므로 별개의 신으로 간주된다.[1] 빅토리아는 사비네 여신 바쿠나와 관련된 많은 로마 신들 중 하나이다.2. 4. 기독교의 부상과 빅토리아 신앙의 쇠퇴
4세기 후반,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면서 빅토리아 신앙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379년, 기독교 황제 그라티아누스는 폰티펙스 막시무스 직을 거부하고 로마 전통 신앙에 대한 국가 지원을 폐지했다.[6] 382년, 그는 쿠리아 율리아에 있던 빅토리아 제단을 제거했다.[6][7][8] 이 제단은 콘스탄티우스 2세 때 제거되었다가 복원된 적이 있었으나,[6] 그라티아누스 황제 때 다시 제거된 후에는 복원되지 않았다.[6][7][8]
3. "날개 달린 승리"
날개 달린 인물들은 승리를 나타내며, 종종 쌍으로 표현되어 '''날개 달린 승리'''라고 불린다. 로마 공식 도상학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건축에서 스팬드럴이나 다른 틈새를 채우는 높은 곳에 위치한다.[9] 이는 완전한 신이라기보다는 "승리의 정신"을 나타낸다. 쌍을 이룬 날개 달린 승리는 로마 제국의 기독교화 이후에도 계속 등장했으며, 점차 기독교 천사의 묘사로 진화했다.[10] 안쪽을 향하는 한 쌍은 아치 스팬드럴에 매우 적합하며, 개선문과 같이 원형 요소가 직사각형으로 프레임된 디자인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다.
4. 갤러리
참조
[1]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Victoria Romana: Archäologische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und Wesensart der römischen Siegesgöttin von den Anfängen bis zum Ende des 3. Jhs. n. Chr.
[4]
논문
ASPECTS OF JUPITER ON COINS OF THE ROME MINT, A.D. 65-318
http://www.jstor.org[...]
2020-12-23
[5]
간행물
Victory as a Coin Type
1962
[6]
문서
The Altar of Victory – Paganism's Last Battle
[7]
문서
Ambrose Epistles 17–18; Symmachus Relationes 1–3
[8]
서적
Religions of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Winged Victoria Spandrels
https://www.google.c[...]
2015-08-05
[10]
서적
'Declaring Victory, Concealing Defeat: Continuity and Change in Imperial Coinage of the Roman West, c. 383 – c. 408', in G. Greatrex, H. Elton (eds.) Shifting Genres in Late Antiquity. With the assistance of Lucas McMahon. Pp. xvi + 341, ills.
Ashgate
[11]
웹사이트
Oscar Gladenbeck (1850–1921)
http://issuu.com/tob[...]
2013-04-06
[12]
웹인용
ビクトリア
2022-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