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선문은 승리나 중요한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된 기념 건축물이다. 고대 로마에서 황제나 장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아치 형태와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지어졌으며, 티투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등이 대표적이다. 중세 이후에는 로마의 유산을 잇는 건축물로 인식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통치자들이 자체 개선문을 건설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이 건설되었고, 현대에는 전쟁 승리뿐 아니라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세계 각지에 개선문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개선문 | |
---|---|
개요 | |
유형 | 기념 건축물 |
형태 | 아치형 구조물 |
목적 | 승리 또는 중요한 사건 기념 |
역사 및 기원 | |
기원 | 고대 로마 |
용도 | 전쟁 승리, 황제 업적 기념 |
주요 특징 | 장식적인 조각 비문 개선 행렬 통과 |
건축적 특징 | |
구조 | 아치 형태 |
재료 | 돌 대리석 |
장식 | 조각상 부조 비문 |
문화적 의미 | |
상징 | 권력, 승리, 제국의 영광 |
현대적 의미 | 역사적 중요성, 관광 명소 |
대표적인 개선문 | |
로마 | 티투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
프랑스 파리 | 에투알 개선문 |
독일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문 |
참고 문헌 |
2. 역사
일본의 개선문은 축하 행사 때 세워졌던 "녹문(緑門)"이 기원이다. 녹문은 삼나무 어린 잎으로 앞면을 장식한 간소한 문이다. 청일 전쟁 종결 시 히비야나 미쓰코시 백화점 앞에 대형 개선문이 만들어지면서 대형화되기 시작했다.
러일 전쟁 종결 시에는 프랑스 에투알 개선문을 본뜬 대형 문이 일본 각지에 건설되었다. 이는 건설 붐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한 현상이었다. 임시 시설이지만 아사쿠사 가미나리몬도 개선문처럼 꾸며졌고, 교바시의 개선문은 높이가 18m에 달했다. 1903년 건축된 초대 쓰텐카쿠는 에펠탑과 에투알 개선문을 본떠 만들었다.
일본 개선문은 녹문이 기원이기에, 시가지에 만들어진 것은 일정 기간 후 철거되는 경우가 많았다. 가미나리몬 개선문도 1년 후 철거되었다. 그러나 지방에는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 가고시마현 아이라시 등지에 몇 기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아이라시 개선문은 2003년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되어 보수 공사를 받았으며, 이를 기념하여 지역 시로가네 주조가 "개선문"이라는 소주를 한정 양조했다.
과거 후지 TV가 가와다초에 있을 당시, 도쿄 여자 의과 대학 병원 쪽 정문도 "개선문"이라 불렸다.
2. 1. 고대 로마
로마 제국의 개선문은 주로 황제나 장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둥근 아치와 사각형 엔타블러처(Entablature)를 결합한 형태로, 정교한 조각 장식이 특징이다.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들로부터 아치 건축 기술을 빌려왔을 것으로 추정된다.[5][6][7]개선문은 둥근 아치와 사각형 엔타블러처가 결합된 독립적인 구조물이다. 원래 지지 기둥은 아치 외면에 장식적인 요소가 되었고, 엔타블러처는 조각상, 상징, 서사적 요소 등을 위한 틀 역할을 했다.[8]
제정 시대 초기, 아우구스투스는 개선식과 개선 명예를 황실 가족 구성원에게만 한정했다. 이에 따라 ''fornix''라는 용어는 ''arcus''(아치)로 대체되었다. 제국 시대의 개선문은 원로원의 법령이나 고위직 부유한 소유자에 의해 후원되어 황제, 그들의 직위 및 제국의 가치를 기리고 홍보했다.[6]
개선문의 장식은 승리와 ''개선자''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역할을 했다. 사실적인 이미지에 집중했으며, 대리석 기둥, 장식적인 처마 장식, 조각된 패널 등으로 구성되었다. 스팬드럴은 날아가는 니케를 묘사했고, 다락방에는 ''개선자''를 찬양하는 헌정 비문이 새겨졌다. 교각과 내부 통로는 부조와 독립 조각상으로, 금고는 케이스로 장식되었다.[6][10]


로마 개선문의 비문은 정교하게 새겨진 문자로, 최대의 명확성과 단순성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는 타이포그래피 예술의 개념으로 이어졌다.[4]
서기 4세기에는 로마에 36개의 개선문이 있었으며, 그 중 티투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3개가 남아 있다.[9]
2. 1. 1. 대표적인 로마 개선문
개선문 | 설명 |
---|---|
티투스 개선문(로마) |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그의 형제 티투스와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의 유대 반란 승리를 기념하여 서기 81년경 건립.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로마)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와 그의 두 아들 카라칼라와 게타의 파르티아 승리를 기념하여 203년-205년 건립. |
콘스탄티누스 개선문(로마) | 312년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가 막센티우스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315년 건립. 콜로세움 옆에 위치하며, 제정 로마 시대 개선문 중 가장 큼. |
2. 2. 로마 이후
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개선문은 권력과 영광의 상징으로 여겨져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건설되었다.임시 개선문은 사용 후 철거되었지만, 판화 등으로 매우 상세하게 기록되어 널리 배포되었다. 판화는 관람객에게 아치가 제시하는 알레고리와 비문을 자세히 검토할 기회를 제공했다.[14] 때로는 묘사된 아치가 실제 구조물이 아니라 왕실 선전을 위한 상상 속 표현으로 존재하기도 했다. 알브레히트 뒤러가 막시밀리안 1세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막시밀리안 1세의 개선문''은 대표적인 예시이다. 뒤러의 개선문은 지금까지 제작된 가장 큰 판화 중 하나로, 높이가 3.75m이고 192장의 개별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로 건설될 의도는 전혀 없었다. 700부로 인쇄되어 색칠되어 시청이나 왕자들의 궁전에 붙여졌다.[17]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은 312년 밀비오 다리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막센티우스 황제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315년에 세워졌다. 콜로세움 바로 옆에 위치하며 높이는 약 25m로, 제정 로마 시대 개선문 중 가장 크다. 장식은 기존의 오래된 개선문 등에서 가져와 사용했으며, 프랑스 에투알 개선문의 모델이 되었다.
2. 2. 1.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개선문은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건축물로 여겨졌다. 특히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은 개선문을 통해 과거 로마의 영광을 재현하고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고자 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로르쉬 수도원의 삼중 아치형 ''토르할레''가 로마 개선문을 모방하여 지어졌다. 이는 카롤링거 제국과 로마 제국 사이의 연속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1230년대 프리드리히 2세는 카푸아 시의 문에 개선문을 세우려 했지만,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으로 시도되었다.[12]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서야 통치자들은 로마의 유산을 체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자체 개선문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470년 아라곤의 알폰소 5세는 나폴리의 카스텔 누오보에 "아라곤 개선문"을 세웠다. 이는 1443년 그가 나폴리 왕국을 장악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개선문은 카스텔 누오보로 들어가는 문의 새로운 파사드였다. 16세기 말까지 개선문은 궁정 극장, 국가 행사, 군사 요새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개선문의 모티프는 시청이나 교회와 같은 공공 건물의 파사드에도 통합되었다.[13][14]
왕의 입성과 같은 행사를 위해 판자와 석고로 만든 임시 개선문이 세워지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통치자들은 행렬이 진행될 일련의 아치를 건설하여 사람들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정의하고 각 단계에서 특정 메시지를 전달했다. 예를 들어, 새로 선출된 교황들은 이 행사를 위해 특별히 건설된 임시 개선문 아래에서 로마의 거리를 행진했다. 또한 왕실 결혼식을 위해서도 아치가 건설되었다. 1585년 사보이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 1세가 스페인의 인판타 카탈리나 미셸과 결혼했을 때, 그는 사보이 가문의 역사를 주장하고 자신의 왕조를 제국 로마와 연결하기 위해 임시 개선문 아래에서 행진했다.[14]
성 요한 기사단 기사단장이 므디나[15]와 비르구[16]를 소유하는 의식을 위해 몰타에 임시 나무 개선문이 건설되기도 했다.
2. 2. 2. 근대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시대에 프랑스는 개선문 건설을 다시 활발하게 추진했다. 이 시기 가장 유명한 개선문은 1806년부터 1836년까지 건설된 파리의 에투알 개선문이다. 에투알 개선문은 전통적인 장식 기둥을 없애 로마 시대의 개선문과 차이를 두었다.[14] 이 외에도 카루젤 개선문처럼 로마 시대의 개선문을 본뜬 사례도 있다.[18]개선문 건설은 현대에도 이어져 독재자들이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베를린에 세계 최대 규모의 개선문 건설을 계획했지만,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다.[19] 북한의 김일성은 1982년 평양에 세계 최대의 개선문을 건설했다.[10] 이 개선문은 김일성이 1945년 10월 14일 북한 주민에게 첫 공개 연설을 한 장소에 세워졌으며, "승리의 위대한 지도자의 조국 귀환"을 묘사한 조각과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20]
개선문의 형태는 기념 아치나 시문 건설에도 영향을 주었다.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 뉴욕의 워싱턴 스퀘어 아치, 뉴델리의 인도 문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군사적 승리 외에도 전쟁 희생자 추모, 시민 행사 기념, 도시 입구 조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3. 각국의 개선문
일본의 개선문은 각종 축하 행사 때 세워졌던 "녹문(緑門)"이 기원이다. 녹문은 문의 앞면을 삼나무의 어린 잎으로 장식한 간소한 문인데, 청일 전쟁 종결 시 히비야나 미쓰코시 백화점 앞에 대형 개선문이 만들어진 것을 계기로 대형화되었다. 러일 전쟁 종결 시에는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을 본뜬 대형 문이 일본 각지에 많이 건설되었다.
대한민국의 독립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 개선문, 인도의 인도 문과 뭄바이 인도 문, 라오스 비엔티안의 빠뚜사이, 대만 타이베이시의 타이베이 북문 등이 아시아의 대표적인 개선문이다.
유럽에는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 카루젤 개선문, 생 드니 문, 이탈리아의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아우구스투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티투스 개선문, 독일의 브란덴부르크 개선문, 뮌헨 승리개선문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영국 런던의 Wellington Arch영어,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Arc de Triomf영어,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개선문,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의 승리의 개선문 등이 있다.
미국에는 뉴욕 워싱턴 스퀘어 공원의 개선문과 워싱턴 D.C.의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등이 있다.
아프리카에는 감비아 반줄의 개선문 22가 있다.
3. 1. 아시아
일본의 개선문은 각종 축하 행사 때 세워졌던 "녹문(緑門)"이 기원이다. 녹문은 문의 앞면을 삼나무의 어린 잎으로 장식한 간소한 문을 말하는데, 청일 전쟁 종결 시 히비야나 미쓰코시 백화점 앞에 대형 개선문이 만들어진 것을 계기로 대형화되었다. 러일 전쟁 종결 시에는 일본 각지에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을 본뜬 대형 문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는 건설 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한 현상이었다. 임시 시설이었지만 아사쿠사의 가미나리몬조차 개선문으로 만들어졌다. 교바시에 만들어진 개선문은 높이가 18m에 달했다고 전해진다. 1903년 건축된 초대 쓰텐카쿠는 에펠탑과 에투알 개선문을 본떠서 세워졌지만, 개선문은 아니었다.시가지에 만들어진 일본 개선문의 대부분은 일정 기간 후에 철거되었다. 가미나리몬의 개선문도 건축 1년 후에 철거되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그대로 보존된 문도 있으며, 2006년 현재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나 가고시마현 아이라시 등에 몇 기의 개선문이 남아 있다.
아이라시의 개선문은 2003년에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되어 보수 공사를 받았으며, 이를 기념하여 지역의 시로가네 주조가 "개선문"이라는 소주를 한정으로 양조하고 있다.
과거 후지 TV가 가와다초에 있었을 당시, 도쿄 여자 의과 대학 병원 쪽에 있었던 정문도 "개선문"이라고 불렸다.
대한민국의 독립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 개선문, 인도의 인도 문과 뭄바이 인도 문도 아시아에 있는 개선문이다. 그 외에도 라오스 비엔티안의 빠뚜사이, 대만 타이베이시의 타이베이 북문 등이 있다.
3. 1. 1. 대한민국
독립문은 한국의 독립 의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개선문이다. 서재필의 주도로 건립되었으며,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을 본떠 설계되었다.3. 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개선문은 김일성의 항일 투쟁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10] 1945년 10월 14일 김일성이 북한 주민에게 첫 공개 연설을 한 장소에 세워졌으며, "승리의 위대한 지도자의 조국 귀환"을 묘사한 조각과 부조로 장식되어 있다.[20]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보다 10m 정도 더 커서 세계에서 가장 큰 개선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3. 1. 3. 일본
일본의 개선문은 각종 축하 행사 때 세워졌던 "녹문(緑門)"이 기원이다. 녹문이란 문의 앞면을 삼나무의 어린 잎으로 장식한 간소한 문을 말하는데, 청일 전쟁 종결 시에 히비야나 미쓰코시 백화점 앞에 대형 개선문이 만들어진 것을 계기로 일시에 대형화되었다.러일 전쟁 종결 시에는 일본 각지에 프랑스의 에투알 개선문을 본뜬 대형 문이 많이 건설되었다. 이는 건설 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한 현상이었다. 임시 시설이었지만 아사쿠사의 가미나리몬조차 개선문으로 만들어졌다. 교바시에 만들어진 개선문은 높이가 18m에 달했다고 전해진다. 1903년 건축된 초대 쓰텐카쿠는 에펠탑과 에투알 개선문을 본떠서 세워졌지만, 개선문은 아니었다.
일본의 개선문은 녹문이 기원이기 때문에, 시가지에 만들어진 개선문의 대부분은 일정 기간 후에 철거되었다. 예를 들어, 가미나리몬의 개선문도 건축 1년 후에 철거되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그대로 보존된 문도 있으며, 2006년 현재 시즈오카현 하마마츠시나 가고시마현 아이라시 등에 몇 기의 개선문이 남아 있다.
아이라시의 개선문은 2003년에 등록 유형 문화재로 등록된 것을 계기로 보수 공사를 받았으며, 이를 기념하여 지역의 시로가네 주조가 "개선문"이라는 소주를 한정으로 양조하고 있다.
과거 후지 TV가 가와다초에 있었을 당시, 도쿄 여자 의과 대학 병원 쪽에 있었던 정문도 "개선문"이라고 불렸다.
3. 1. 4. 인도
인도 문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인도 군인들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인도의 대문은 뭄바이에 위치한 개선문이다.3. 1. 5. 기타 아시아 국가
3. 2. 유럽
유럽에는 여러 개선문이 있다.- 프랑스: 에투알 개선문, 카루젤 개선문, 생 드니 문
- 이탈리아: 콘스탄티누스 개선문, 아우구스투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티투스 개선문
- 독일: 브란덴부르크 개선문(베를린 상징), 뮌헨 승리개선문
- 기타:
- Wellington Arch영어 (영국 런던)[1]
- Arc de Triomf영어 (스페인 바르셀로나)[1]
- 개선문 (루마니아 부쿠레슈티)[1]
- 승리의 개선문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1]
3. 2. 1. 프랑스
에투알 개선문은 나폴레옹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806년에서 1836년 사이에 건설된 파리의 대표적인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14] 이 개선문은 관습적인 장식 기둥을 생략하여 로마 시대의 개선문과 다른 뚜렷한 "상단부" 모양을 가지고 있다.[14]카루젤 개선문은 로마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을 본떠 만든 4주랑문이다.[18]
생 드니 문도 파리에 있는 개선문 중 하나이다.
3. 2. 2. 이탈리아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은 312년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막센티우스 황제에게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315년에 세워졌다. 콜로세움 바로 옆에 위치하며, 높이는 약 25m로 제정 로마 시대 개선문 중 가장 크다. 장식은 기존의 오래된 개선문에서 가져와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 에투알 개선문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10]아우구스투스 개선문(리미니),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로마), 티투스 개선문(로마) 역시 로마 제국 시대의 중요한 개선문이다.
3. 2. 3. 독일
브란덴부르크 개선문은 베를린의 상징으로, 프로이센 왕국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명령으로 건설되었다. 뮌헨에는 뮌헨 승리개선문이 있다.3. 2. 4. 기타 유럽 국가
- Wellington Arch영어 (영국 런던)[1]
- Arc de Triomf영어 (스페인 바르셀로나)[1]
- 개선문 (루마니아 부쿠레슈티)[1]
- 승리의 개선문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1]
3. 3. 아메리카
미국에는 다음과 같은 개선문이 있다.위치 | 이름 |
---|---|
뉴욕 | 워싱턴 스퀘어 공원 |
워싱턴 D.C. |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
3. 3. 1. 미국
- 워싱턴 스퀘어 공원, 뉴욕
-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워싱턴 D.C.
3. 4. 아프리카
감비아 반줄에는 개선문 22가 있다.4. 현대의 개선문
현대에는 전쟁 승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개선문이 건립된다.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OUP
[2]
문서
Fleming, Honour, and Pevsner
[3]
문서
Summerson
[4]
서적
A world history of art
Laurence King Publishing
[5]
문서
Arches
Charles Scribner's Sons
2013-12-01
[6]
서적
Imago triumphalis: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riumphal imagery for Italian Renaissance rulers
https://archive.org/[...]
Peter Lang
[7]
웹사이트
Roman Theatre and its Surroundings and the "Triumphal Arch" of Orange
https://whc.unesco.o[...]
2023-09-04
[8]
서적
Not built in a day: exploring the architecture of Rome
https://archive.org/[...]
Da Capo Press
[9]
문서
Triumphal arch
Encyclopædia Britannica
[10]
문서
Triumphal arch
Grove Art Online. Oxford Art Online
2010-07-30
[11]
서적
The architecture of Rome: an architectural history in 400 presentations
Edition Axel Menges
[12]
Treccani
Capua, Porta di
https://www.treccani[...]
Treccani
[13]
문서
Summerson
[14]
서적
Cities at War in Early Mod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Pietro Paolo Troisi (1686–1750): A Maltese Baroque Artist
https://www.um.edu.m[...]
2006-01
[16]
간행물
Architectural scenography in 18th-century Mdina
https://www.um.edu.m[...]
Malta Historical Society
1994
[17]
서적
German Renaissance Prints, 1490-1550
British Museum Press
[18]
서적
Transformations in late eighteenth century ar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Adolf Hitler: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 views on architecture, art, and music
Popular Press
[20]
서적
North of the DMZ: essays on daily life in North Korea
McFarland
[21]
서적
建築物・様式ビジュアル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クスナレッ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