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풍뎅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특징
- 3. 종
- 3.1. 사슴풍뎅이 (''Dicronocephalus adamsi'')
- 3.2. ''Dicronocephalus bourgoini''
- 3.3. ''Dicronocephlaus bowringi''
- 3.4. ''Dicronocephalus dabryi''
- 3.5. ''Dicronocephalus diminuata''
- 3.6. ''Dicronocephalus chantrainei''
- 3.7. ''Dicronocephalus shimomurai''
- 3.8. ''Dicronocephalus uenoi''
- 3.9. ''Dicronocephalus wallichii''
- 3.10. ''Dicronocephalus yui''
- 참조
1. 개요
사슴풍뎅이속은 뿔사슴벌레라고도 불리며, 중간 크기의 딱정벌레 속이다. 이 속의 종들은 아프리카의 골리앗 딱정벌레와는 달리 비교적 긴 다리를 가지고 있다. 사슴풍뎅이속에는 사슴풍뎅이(Dicronocephalus adamsi)를 포함하여 여러 종이 있으며, 각 종은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슴풍뎅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Dicronocephalus |
명명자 | Hope, 1831 |
속 상위 분류 | 2단계 상위 분류 표시 |
동의어 | Acindrocephalus Au|Keith & Delpont, 2004 Dicranocephalus Au|Burmeister, 1842 Dicranoceps Au|Medvedev, 1972 |
참고 문헌 | Au|Krikken, 1984 |
2. 특징
사슴풍뎅이속 종들은 "뿔사슴벌레"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이는 머리에 뿔이 있는 수컷에게만 해당된다. 멀리 떨어진 친척인 아프리카의 골리앗 딱정벌레와는 달리, 이 속의 종들은 중간 크기(20mm~32mm)이며, 비교적 긴 다리, 특히 앞다리가 긴 것이 특징이다. 암컷은 수컷과 달리 머리에 뿔이 없다.
사슴풍뎅이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한다.
3. 종
글로벌 생물다양성 정보 시설(GBIF)에도 다수의 종이 등재되어 있다.[2]
3. 1. 사슴풍뎅이 (''Dicronocephalus adamsi'')
사슴풍뎅이(''Dicronocephalus adamsi'')는 1863년 Pascoe가 처음 기재한 풍뎅이과의 곤충이다. 베트남,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과거 아종으로 분류되었던 ''Dicronocephalus adamsi drumonti'' (Legrand, 2005)는 2015년 이(Lee) 등의 연구에 따라 ''Dicronocephalus adamsi''의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3]
3. 2. ''Dicronocephalus bourgoini''
''Dicronocephalus bourgoini''는 Pouillaude가 1914년에 명명한 종으로, 대만에 분포한다. 글로벌 생물다양성 정보 시설(GBIF)에도 등재되어 있다.[2]
3. 3. ''Dicronocephlaus bowringi''
''Dicronocephalus bowringi'' (Pascoe, 1863)는 대만, 러시아, 베트남, 중국, 태국에 분포한다. 글로벌 생물다양성 정보 시설 목록에는 ''사슴풍뎅이속 보우린기''로 등재되어 있다.[2]
3. 4. ''Dicronocephalus dabryi''
''Dicronocephalus dabryi''는 1872년 Lucas가 명명한 종으로, 중국에 분포한다.[2] 과거 ''Dicronocephalus bieti'' Pouillaude, 1914는 별개의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2년 Young의 연구에 따라 ''D. dabryi''의 동종이명으로 처리되었다.[4]
3. 5. ''Dicronocephalus diminuata''
중국에 분포한다.
3. 6. ''Dicronocephalus chantrainei''
''Dicronocephalus chantrainei''는 2008년 Devecis가 명명한 종으로, 미얀마에 분포한다.
3. 7. ''Dicronocephalus shimomurai''
''Dicronocephalus shimomurai''는 1986년 구로사와(Kurosawa)가 명명하였으며, 대만에 분포한다. 글로벌 생물다양성 정보 시설(GBIF)에도 ''사슴풍뎅이속 시모무라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2]
3. 8. ''Dicronocephalus uenoi''
''Dicronocephalus uenoi''는 대만에 분포하는 사슴풍뎅이속의 한 종이다.[2] 이 종은 다음 두 아종으로 나뉜다.
글로벌 생물다양성 정보 시설에서도 ''사슴풍뎅이속 우에노이'' (Kurosawa, 1968)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2]
3. 9. ''Dicronocephalus wallichii''
''Dicronocephalus wallichii''는 Hope가 1831년에 명명한 종으로,[2] 베트남, 인도, 중국, 태국 등지에 분포한다.
3. 10. ''Dicronocephalus yui''
''Dicronocephalus yui''는 대만에 분포하는 종이다.[2] 이 종은 다음과 같은 두 아종으로 나뉜다.
참조
[1]
간행물
Synopsis of the new species of Nepal Insects in the collection of Major General Hardwicke
Zoological Miscellany
1831
[2]
웹사이트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Dicronocephalus Hope, 1831
https://www.gbif.org[...]
2024-05-11
[3]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Dicronocephalus (Coleoptera, Scarabaeidae, Cetoniinae) based on mtCOI and 16S rRNA genes
https://zookeys.pens[...]
2015-04-30
[4]
저널
A Diminutive New Species of Dicronocephalus Hope (Coleoptera: Scarabaeidae: Cetoniinae) from Xizang Zizhiqu (Tibet Autonomous Region), China, with a Distributional Analysis of the Genus
http://www.bioone.or[...]
2012-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