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전발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전 발견은 천문학에서 특정 천체가 공식적으로 발견되기 전에 과거 관측 기록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의 관측 기록을 통해 천체의 궤도를 정확하게 계산하거나, 이전 발견 사실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소행성 (29075) 1950 DA, 69230 헤르메스, 2060 키론 등이 있으며, 해왕성과 가니메데의 경우, 과거 관측 기록이 있었으나 행성으로 인식되지 못했다. 혜성의 경우, 오르트 구름 혜성의 선행 발견 사례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궤도 및 특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과학 - 태양계
    태양계는 태양을 중심으로 행성, 위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들이 중력으로 묶여 있는 항성계로, 약 46억 년 전 분자운의 붕괴로 형성되었으며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카이퍼 대, 오르트 구름 등을 포함하고 탐사를 통해 구성과 역사가 밝혀지고 있다.
  • 행성과학 -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지구의 구조, 물질, 과정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지질학, 지구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판구조론, 기후 변화, 지진 및 화산 활동 등 지구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사전발견

2. 주요 사례

사전 발견은 과거의 천문 관측 기록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천체의 이미지를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천체의 궤도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거나, 한때 관측되었으나 이후 잃어버린 천체를 다시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사전 발견 사례는 다양한 종류의 천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소행성''': (29075) 1950 DA는 2000년에 발견(당시 임시 명칭 2000 YK66)되었지만, 1950년의 사전 발견 기록 덕분에 매우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다. 69230 헤르메스는 2003년 재발견되기 전인 1937년에 이미 관측되었으나 잃어버렸던 소행성임이 밝혀졌다. 켄타우루스 소행성 2060 키론은 1977년 발견되었지만,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존재한다.
  • '''행성''': 해왕성은 1846년 공식 발견 이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 (1612년, 1613년)와 제롬 랄랑드 (1795년)에 의해 관측되었으나, 당시에는 고정된 별로 오인되었다. 천왕성 역시 1690년 존 플램스티드가 관측하고도 별로 착각하여 '34 토리'(34 Tauri|34 타우리la)라는 항성 명칭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 '''위성''':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인 가니메데는 일반적으로 1610년 갈릴레오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원전 365년경 중국의 천문학자 간더가 맨눈으로 관측하고 이를 작은 붉은 별로 기록했을 가능성이 시쩌쭝에 의해 제기되기도 했다.[1]
  • '''혜성''': 특히 오르트 구름에서 오는 장주기 혜성들의 경우, 현대적인 관측 이전에 촬영된 사진 건판 등에서 사전 발견 이미지가 확인되어 궤도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사전 발견은 천문학 연구, 특히 천체의 정확한 궤도를 파악하고 그 역사를 추적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2. 1. 소행성 및 왜행성

사전 발견은 소행성왜행성의 궤도를 정밀하게 계산하고, 과거에 관측되었으나 잃어버린 천체를 다시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소행성 사전 발견 사례로는 (29075) 1950 DA, 69230 헤르메스, 2060 키론 등이 있다. (29075) 1950 DA는 2000년 발견 후 1950년 기록이 확인되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고, 69230 헤르메스는 1937년 발견 후 잃어버렸다가 2003년 재발견되어 이름이 복원되었다. 켄타우루스 2060 키론은 1977년 발견 이후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확인되었다. 이들 천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이 외에도 많은 소행성과 왜행성에서 사전 발견 사례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천체의 특성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알려진 왜행성 및 후보 천체들의 구체적인 발견 및 사전 발견 기록은 아래 하위 섹션의 목록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2. 1. 1. (29075) 1950 DA

2000년 12월 31일에 발견되어 2000 YK66으로 지정된 천체의 근지구 궤도가 계산되었다. 이후 사전 발견 조사를 통해 이 천체가 실제로는 1950년 2월 23일에 이미 관측되어 1950 DA라는 임시 명칭을 부여받았으며, 반세기 동안 잊혀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처럼 이례적으로 긴 관측 기간 덕분에 유례없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고, 그 결과 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행성의 궤도가 충분한 정밀도로 계산됨에 따라 숫자 접두사가 부여되어 (29075) 1950 DA로 명명되었다. 이는 사전 발견이 천체의 궤도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2. 1. 2. 69230 헤르메스

소행성 69230 헤르메스는 2003년에 발견되어 번호가 매겨졌지만, 1937년에 "헤르메스"라는 이름으로 발견되었으나 이후 잃어버린 천체라는 사실이 밝혀져 이전 이름이 복원되었다.

2. 1. 3. 2060 키론

켄타우루스 2060 키론은 1977년에 발견되었으며,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발견되었다.

2. 1. 4. 왜행성 및 후보 천체 목록

년도선발견
년도경과 연도절대
등급2팔라스18021779[2]234.13134340명왕성1930190921-0.719521카오스19981991 [3]75.020000바루나20001954[4]463.7638628후야20001996[5]45.04787992002 XW9320021989 [6]135.528978익시온20011982[7]193.6556372002 UX2520021991 [8]113.8750000콰오아20021954[9]482.823072612002 MS420021954[10]483.7555652002 AW19720021997 [11]53.52002 XV9320021990 [12]125.42174567바르다20031980 [13]233.1849222003 VS220031991 [14]124.12089962003 AZ8420031996 [15]73.544555022003 UZ41320031954 [16]494.3890377세드나20031990[17]131.834440302004 NT3320041982 [18]224.42309652004 XA19220041989 [19]154.1905682004 GV920041954 [20]504.2590482오르쿠스20041951[21]532.21751132004 PF11520041992 [22]124.54120347살라시아20041982 [23]224.361203482004 TY36420041983 [24]214.52136108하우메아20041955[25]490.21454512005 RM4320051976 [26]294.41454522005 RN4320051954 [27]513.892024212005 UQ51320051990 [28]153.4136199에리스20051954[29]51-1.17136472마케마케20051955[30]50-0.34703082007 JH4320071984 [31]234.49229762Gǃkúnǁʼhòmdímà20071982 [32]253.69225088곤공20071985[33]221.85236712013 FZ2720132001[34]124.14722712014 UM3320142003 [35]115.25237942015 RR24520152004[36]113.62018 VG1820182003 [37]153.5


2. 2. 행성

행성이 공식적으로 발견되기 전에 여러 차례 관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정체가 밝혀지지 않고 항성과 같은 다른 천체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행성의 느린 겉보기 움직임이나 당시 관측 기술의 한계, 상대적으로 어두운 밝기 등 여러 요인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해왕성천왕성이 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2년과 1613년에 해왕성을 관측했지만 이를 고정된 별로 여겼으며, 존 플램스티드는 1690년에 천왕성을 관측하고 '34 토리'라는 항성 번호를 부여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새로운 행성을 인지하고 발견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인 가니메데 역시 비슷한 사례가 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에 망원경으로 발견하기 훨씬 전인 기원전 365년경, 중국의 천문학자 간더가 맨눈으로 가니메데를 관측하고 이를 목성 옆의 작은 붉은 별로 기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

2. 2. 1. 해왕성

해왕성은 공식적으로 발견되기 전에 여러 차례 관측되었으나 행성으로 인식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12년 12월 28일과 1613년 1월 27일, 두 차례에 걸쳐 해왕성을 관측했다. 당시 해왕성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바로 뒤에 위치하는 궤도 부분에 있었다. 해왕성은 매우 느리게 움직이고 당시 알려진 다른 행성들에 비해 매우 어두웠기 때문에, 갈릴레오는 이를 고정된 별로 잘못 판단했다. 이 때문에 해왕성은 1846년이 되어서야 정식으로 발견될 수 있었다. 갈릴레오는 자신이 관측한 '별'(해왕성)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 즉 두 번의 관측 사이에 다른 별과의 겉보기 거리가 바뀌었다는 점을 기록으로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사진 이미지가 없던 시절 갈릴레오가 그린 그림만으로는 물체의 궤도를 정밀하게 계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후 1795년에는 제롬 랄랑드 역시 해왕성을 관측하고도 이를 별으로 오인하는 일이 있었다.

2. 2. 2. 천왕성

해왕성처럼 천왕성도 정식 발견 이전에 관측되었으나 행성으로 인식되지 못한 사례가 있다. 1690년, 존 플램스티드는 천왕성을 관측했지만 이를 항성으로 잘못 판단하여 '34 토리'라는 번호를 부여하고 항성 목록에 포함시켰다.

2. 3. 혜성

오르트 구름에서 오는 혜성은 해왕성 궤도(약 30.1AU)에서 근일점(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까지 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현대 관측 기술의 발전으로 더 어두운 천체까지 관측 범위가 넓어지고 기록이 방대해짐에 따라, 과거 기록에서 혜성의 사전 발견 이미지를 찾는 것이 용이해졌다. 이는 혜성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2. 3. 1. 오르트 구름 혜성 목록

날짜선행 발견
날짜태양으로부터의
발견 거리(AU)태양으로부터의
선행 발견 거리(AU)C/2010 U3 (Boattini)2010-10-312005-11-0518.425.8C/2012 S1 (ISON)2012-09-212011-09-306.39.4C/2013 A1 (Siding Spring)2013-01-032012-10-047.27.9C/2017 K2 (PANSTARRS)2017-05-212013-05-1216.123.7


2. 4. 기타 천체

극단적인 사전 발견 사례 중 하나는 2000년 12월 31일에 `2000 YK66`으로 지정된 천체가 발견된 경우이다. 이 천체의 근지구 궤도가 계산된 후, 사전 발견 기록을 통해 1950년 2월 23일에 `1950 DA`라는 임시 명칭으로 이미 발견되었으나 반세기 동안 잊혀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처럼 이례적으로 긴 관측 기간 덕분에 유례없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했고, 이 소행성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행성의 궤도가 충분한 정밀도로 계산되면 숫자 접두사를 부여받게 되는데, 이 천체는 (29075) 1950 DA라는 정식 번호를 받았다.

소행성 69230 헤르메스는 2003년에 발견되어 번호가 매겨졌지만, 실제로는 1937년에 '헤르메스'라는 이름으로 발견되었다가 이후 잃어버렸던 천체임이 밝혀져 이전 이름이 복원된 사례이다. 켄타우루스 소행성 2060 키론은 1977년에 발견되었으나, 1895년에 촬영된 사전 발견 이미지가 존재한다.

행성 중에서도 사전 발견 사례가 있다. 해왕성의 경우,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2년 12월 28일과 1613년 1월 27일 두 차례 관측한 기록이 있다. 당시 해왕성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바로 뒤에 위치하여 매우 느리게 움직였고, 다른 행성에 비해 매우 희미했기 때문에 갈릴레오는 이를 고정된 별로 오인했다. 그는 두 관측 사이에 이 '별'이 다른 별에 비해 위치가 변했다는 점을 기록했지만, 그림의 정밀도 한계 등으로 인해 이것이 새로운 행성임을 인지하지는 못했다. 1795년 제롬 랄랑드 역시 해왕성을 별로 오인했다. 천왕성의 경우, 1690년 존 플램스티드가 관측하고도 이를 별로 착각하여 '34 토리'(34 Tauri|34 타우리la)라는 항성 명칭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2. 4. 1. 가니메데

가니메데의 발견은 사전발견의 매우 예외적인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으로 가니메데는 1610년 갈릴레오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국의 과학사학자 시쩌쭝은 기원전 365년에 이미 중국의 천문학자 간더가 맨눈 관측을 통해 가니메데를 발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간더는 가니메데목성 옆에 있는 작은 붉은 별로 기록했다고 한다.[1] 이는 갈릴레오의 발견보다 훨씬 앞선 시기의 기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Galilean Moons– Gan De http://www.mediander[...] 2017-11-27
[2] 웹사이트 Charles Messier, premier observateur de l'astéroïde Pallas http://www.cieletesp[...] 2018-05-07
[3]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018-05-07
[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38628 Huya (2000 EB173) http://ssd.jpl.nasa.[...] 2010-02-09
[6]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7]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8978 Ixion (2001 KX76) http://ssd.jpl.nasa.[...] 2010-02-08
[8]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9]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50000 Quaoar (2002 LM60) http://ssd.jpl.nasa.[...] 2010-02-08
[10]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2 MS4) http://ssd.jpl.nasa.[...] 2015-01-28
[11]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3]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6]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7]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90377 Sedna (2003 VB12) http://ssd.jpl.nasa.[...] 2010-02-08
[18]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19]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0]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1]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90482 Orcus (2004 DW) http://ssd.jpl.nasa.[...] 2010-02-08
[2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3]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36108 Haumea (2003 EL61) http://ssd.jpl.nasa.[...] 2010-02-08
[26]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7]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8]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29]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36199 Eris (2003 UB313) http://ssd.jpl.nasa.[...] 2010-02-08
[30]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136472 Makemake (2005 FY9) http://ssd.jpl.nasa.[...] 2010-02-08
[31]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32]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33]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25088 (2007 OR10) http://ssd.jpl.nasa.[...] 2010-02-08
[34]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3 FZ27) http://ssd.jpl.nasa.[...] 2015-04-13
[35]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36]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15 RR245) http://ssd.jpl.nasa.[...] 2016-12-26
[37]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https://ssd.jpl.nasa[...]
[38] 뉴스 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지킬 수 있을까? http://www.astronome[...] 우주위험감시센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