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발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전 발견은 천문학에서 특정 천체가 공식적으로 발견되기 전에 과거 관측 기록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의 관측 기록을 통해 천체의 궤도를 정확하게 계산하거나, 이전 발견 사실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소행성 (29075) 1950 DA, 69230 헤르메스, 2060 키론 등이 있으며, 해왕성과 가니메데의 경우, 과거 관측 기록이 있었으나 행성으로 인식되지 못했다. 혜성의 경우, 오르트 구름 혜성의 선행 발견 사례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궤도 및 특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전발견 |
---|
2. 주요 사례
사전 발견은 과거의 천문 관측 기록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천체의 이미지를 찾아내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천체의 궤도를 더 정확하게 계산하거나, 한때 관측되었으나 이후 잃어버린 천체를 다시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사전 발견 사례는 다양한 종류의 천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소행성''': (29075) 1950 DA는 2000년에 발견(당시 임시 명칭 2000 YK66)되었지만, 1950년의 사전 발견 기록 덕분에 매우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다. 69230 헤르메스는 2003년 재발견되기 전인 1937년에 이미 관측되었으나 잃어버렸던 소행성임이 밝혀졌다. 켄타우루스 소행성 2060 키론은 1977년 발견되었지만,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존재한다.
- '''행성''': 해왕성은 1846년 공식 발견 이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 (1612년, 1613년)와 제롬 랄랑드 (1795년)에 의해 관측되었으나, 당시에는 고정된 별로 오인되었다. 천왕성 역시 1690년 존 플램스티드가 관측하고도 별로 착각하여 '34 토리'(34 Tauri|34 타우리la)라는 항성 명칭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 '''위성''':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인 가니메데는 일반적으로 1610년 갈릴레오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기원전 365년경 중국의 천문학자 간더가 맨눈으로 관측하고 이를 작은 붉은 별로 기록했을 가능성이 시쩌쭝에 의해 제기되기도 했다.[1]
- '''혜성''': 특히 오르트 구름에서 오는 장주기 혜성들의 경우, 현대적인 관측 이전에 촬영된 사진 건판 등에서 사전 발견 이미지가 확인되어 궤도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사전 발견은 천문학 연구, 특히 천체의 정확한 궤도를 파악하고 그 역사를 추적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2. 1. 소행성 및 왜행성
사전 발견은 소행성과 왜행성의 궤도를 정밀하게 계산하고, 과거에 관측되었으나 잃어버린 천체를 다시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대표적인 소행성 사전 발견 사례로는 (29075) 1950 DA, 69230 헤르메스, 2060 키론 등이 있다. (29075) 1950 DA는 2000년 발견 후 1950년 기록이 확인되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고, 69230 헤르메스는 1937년 발견 후 잃어버렸다가 2003년 재발견되어 이름이 복원되었다. 켄타우루스 2060 키론은 1977년 발견 이후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확인되었다. 이들 천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이 외에도 많은 소행성과 왜행성에서 사전 발견 사례가 확인되고 있으며, 이는 천체의 특성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알려진 왜행성 및 후보 천체들의 구체적인 발견 및 사전 발견 기록은 아래 하위 섹션의 목록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2. 1. 1. (29075) 1950 DA
2000년 12월 31일에 발견되어 2000 YK66으로 지정된 천체의 근지구 궤도가 계산되었다. 이후 사전 발견 조사를 통해 이 천체가 실제로는 1950년 2월 23일에 이미 관측되어 1950 DA라는 임시 명칭을 부여받았으며, 반세기 동안 잊혀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처럼 이례적으로 긴 관측 기간 덕분에 유례없이 정확한 궤도 계산이 가능해졌고, 그 결과 이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행성의 궤도가 충분한 정밀도로 계산됨에 따라 숫자 접두사가 부여되어 (29075) 1950 DA로 명명되었다. 이는 사전 발견이 천체의 궤도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한 대표적인 사례이다.2. 1. 2. 69230 헤르메스
소행성 69230 헤르메스는 2003년에 발견되어 번호가 매겨졌지만, 1937년에 "헤르메스"라는 이름으로 발견되었으나 이후 잃어버린 천체라는 사실이 밝혀져 이전 이름이 복원되었다.2. 1. 3. 2060 키론
켄타우루스 2060 키론은 1977년에 발견되었으며, 1895년의 사전 발견 이미지가 발견되었다.2. 1. 4. 왜행성 및 후보 천체 목록
년도년도
등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