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는 북한에서 남성의 헤어스타일을 규제하고 단정한 옷차림을 장려하기 위해 진행된 미디어 캠페인이다. 2004년부터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식'의 일부로 시작되어, 짧은 헤어스타일을 권장하고 머리 길이를 제한하는 내용으로 진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사람들의 이름, 주소, 직장을 공개하여 망신을 주는 방식으로 규제를 강화했으며, 평양에서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하여 위반자를 적발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은 자본주의 문화의 침투를 막고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을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19 공동성명
    9·19 공동성명은 2005년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 포기, NPT 복귀, IAEA 사찰 수용 등을 약속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 경제 협력 등을 합의한 성명이나, 이후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합의 이행 과정의 문제로 비판을 받았다.
  • 200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05년 반일 시위
    2005년 반일 시위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영토 분쟁 등 여러 요인으로 중국에서 발생하여 일본 관련 시설을 공격하는 등 격렬한 양상을 보였으며 중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량강도 폭발 사고
    2004년 9월 9일 량강도에서 발생한 량강도 폭발 사고는 당시 북한 핵 개발 문제와 맞물려 핵 실험, 수력 발전소 건설, 탄약고 폭발 등 다양한 원인 추측을 낳았으며, 북한은 수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폭파 작업이라고 해명했다.
  • 2004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북한 인권법
    북한인권법은 북한 주민의 인권 신장, 인도적 지원, 탈북민 보호, 납북자 문제 해결 등을 목표로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법률로, 대한민국 북한인권법은 특정 단체에 대한 예산 지원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캠페인 개요
이름사회주의적 생활 양식에 맞게 머리 단장을 하자
로마자 표기Sahoe juuijeok saenghwal yangsige matge meori danjangeul haja
한자 표기社會主義的生活樣式에 맞게 머리丹粧을 하자
국가북한
목표남성의 머리 길이를 제한하고 사회주의적 기준에 부합하는 외모를 장려
시작 시기2005년
캠페인 내용
주요 내용남성에게 특정한 "사회주의적" 헤어스타일을 권장
긴 머리를 "비사회주의적"으로 간주하고 단속
방송 내용TV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남성 헤어스타일 소개
권장되는 스타일과 그렇지 않은 스타일을 비교
"불량한" 스타일을 따라하는 남성을 비판
헤어스타일 규제
남성 헤어스타일2005년 당시 남성은 10가지 스타일만 허용
머리 길이는 5cm 미만으로 유지 권장
머리카락은 2주마다 다듬어야 함
장발 단속장발족 공개 망신
사회적 영향
반응캠페인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정확한 반응은 알려지지 않음
서방 언론서방 언론은 이 캠페인을 북한 사회의 통제와 획일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보도

2. 북한의 복장 및 헤어스타일 규제

북한 사회에서 복장과 헤어스타일 규제는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 이는 사회주의적 생활양식과 규율을 유지하고 자본주의 문화가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었다.[3]

김정일 시대 이전에도, 북한 당국은 주민들의 복장과 머리 모양을 통제해왔다. 로동신문에 따르면, 북한 지도부는 개인의 외모를 통해 자본주의 문화가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긴 머리카락이나 단정하지 못한 신발은 서구 문화를 따라 해 국가를 멸망으로 이끌 수 있는 위험한 요소로 여겨졌다.[6]

2004년에는 정규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식''의 일부로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남성들에게 짧은 헤어스타일을 권장하며, 머리 길이는 1cm에서 5cm 사이로 유지하고 15일마다 이발할 것을 제안했다.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 탈모를 가리기 위해 윗머리를 7cm까지 기를 수 있도록 허용했다.[2]

이 프로그램은 특정 남성들을 "머리 손질을 하지 말아야 할 예시"로 보여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2005년 1월 방영된 에피소드에서는 머리카락이 귀를 덮은 고광현 씨를 부정적인 사례로 제시하며, "이런 흐트러진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라는 나레이션을 덧붙였다.[7] 평양에서는 몰래카메라를 설치하여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시민들을 적발하기도 했다. 적발된 사람들은 인터뷰를 통해 해명을 요구받았고, 이름, 주소, 직장이 공개되어 망신을 당했다.[8]

2. 1. 김정일 시대

김정일은 1980년대 초 처음 등장했을 때 "속도전 머리"라고 불리는 스포츠 머리를 유지했으나, 이후 아버지가 선호했던 옆머리를 짧게 친 부팡 스타일로 돌아갔다.[3] 김정일 집권 후, 서구식 패션에 대한 규제가 일부 완화되어 여성은 파마를 할 수 있었고, 남성은 머리를 약간 더 길게 기를 수 있었으며, 공개적인 춤도 허용되었다.[4] 그러나 청바지와 같은 명백한 서구 패션은 여전히 금지되었고, 긴 머리 남성은 체포되어 강제 삭발될 수 있었다.[5]

로동신문은 개인의 외모에 자본주의가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지도부의 노력을 강조했다.[6] 2000년대에 들어서도, 축구 경기 중 선수의 장발에 분노를 표하는 김정일의 언행이 보도되었다. 이때 다시 남성의 장발 금지가 공식적으로 선언되었고, 기업이나 대학 등에서 인력을 투입하여 머리 길이 검사가 이루어졌다.[19]

3.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미디어 캠페인

2004년 조선중앙텔레비전은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복장 및 헤어스타일 규제를 장려했다. 이 프로그램은 원래 정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상식''의 일부로 시작되었다.[1]

3. 1.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이 프로그램은 남성들에게 단정한 옷차림과 깔끔한 외모를 요구하며, 특정 헤어스타일을 권장했다. 머리 길이는 1cm에서 5cm 사이로 유지하고, 15일마다 이발할 것을 권고했다. 50세 이상 남성은 탈모를 감추기 위해 윗머리를 7cm까지 기르는 것이 허용되었다.[2] 프로그램은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남성들을 부정적인 예시로 보여주며, 그들의 이름, 주소, 직장을 공개하여 망신을 주는 방식으로 규제를 강화했다.[1] 몰래카메라를 설치하여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시민들을 적발하고 인터뷰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8]

2005년 1월에 방영된 에피소드에서는, 단정하지 못한 머리카락이 귀를 덮은 고광현 씨라는 북한 시민을 부정적인 역할 모델로 보여주며, 나레이션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그의 헤어스타일에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이 동지의 문화적 취향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흐트러진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7]

이러한 방식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사회적 통제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비판받을 수 있다.

3. 2. 기타 미디어 캠페인

2004년 가을, 북한은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프로그램과 더불어 인쇄물, 라디오, 텔레비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남성들의 단정한 옷차림과 깔끔한 외모를 장려하는 대규모 미디어 캠페인을 시작했다.[1] 이 캠페인은 개인의 외모에 자본주의 사상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게릴라전의 일환으로, 로동신문은 긴 머리와 단정하지 못한 신발을 서구 문화를 모방하여 국가를 멸망으로 이끌 수 있는 전형적인 예시로 간주했다.[6]

캠페인의 일환으로,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프로그램은 플랫탑 크루 컷, 중간 스타일, 낮은 스타일, 높은 스타일 등 짧은 헤어스타일을 권장하며, 머리 길이는 1cm 에서 5cm 사이로 유지하고 15일마다 이발할 것을 권고했다. 50세 이상 남성의 경우 탈모를 감추기 위해 윗머리를 7cm까지 기르는 것이 허용되었다.[2]

이 프로그램은 특정 남성들을 "하지 말아야 할" 머리 스타일의 예시로 보여주며, 그들의 이름, 거주지, 직장 정보를 공개하여 사회적 수치심을 유발하고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자 했다.[1] 예를 들어, 2005년 1월 방영된 에피소드에서는 귀를 덮는 단정하지 못한 머리카락을 가진 고광현 씨를 부정적인 역할 모델로 제시하며, "이런 흐트러진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라는 나레이션을 덧붙였다.[7]

평양에서는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시민들을 적발하기 위해 몰래카메라가 설치되었고, 적발된 사람들은 인터뷰를 통해 해명을 요구받고 이름, 주소, 직장이 공개되었다.[8]

4. 비판 및 논란

북한의 복장 및 헤어스타일 규제는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을 침해하고 획일적인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의 외모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망신을 주는 방식은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한다.[7][8] 예를 들어, 2005년 1월에 방영된 한 에피소드에서는 단정하지 못한 머리카락이 귀를 덮은 고광현 씨라는 북한 시민을 부정적인 역할 모델로 보여주며, "우리는 그의 헤어스타일에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이 동지의 문화적 취향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흐트러진 마음가짐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의무를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라는 나레이션을 덧붙였다.[7]

평양에서는 부적절한 헤어스타일을 한 시민들을 잡기 위해 몰래카메라를 설치하고, 위반자들은 인터뷰를 통해 해명을 요구받았으며, 그들의 이름, 주소, 직장이 공개되어 사회적 망신을 주는 방식으로 규제가 이루어졌다.[8]

국제 사회는 북한의 이러한 규제를 시대착오적이고 비인간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북한 사회의 폐쇄성과 통제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한다.

5. 사진 자료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중국어라는 제목으로 제작된 이 프로그램은 북한 주민들의 복장과 머리 모양에 대한 규제를 보여주는 사진 자료를 제시한다.

참조

[1] 뉴스 Get a socialist haircut, North Korea tells men https://www.theguard[...] 2009-03-14
[2] 뉴스 N Korea wages war on long hair http://news.bbc.co.u[...] 2009-03-14
[3] 서적 North Korea: The Paranoid Peninsula: A Modern History Zed Books 2007
[4]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Macmillan 2006
[5] 문서 2007
[6] 웹사이트 Keeping Our Hair On http://ubpost.mongol[...] UB Post 2009-03-14
[7] 웹사이트 It's all about hair as communists wage war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South Africa) 2009-03-14
[8] 웹사이트 N. Korea Wages War on Long Hair http://news.bbc.co.u[...] BBC News 2016-04-17
[9] 뉴스 北, 장발족 또 공개망신 http://news.naver.co[...] 2009-06-06
[10] 뉴스 Get a socialist haircut, North Korea tells men http://www.guardian.[...] 2009-03-14
[11] 뉴스 N Korea wages war on long hair http://news.bbc.co.u[...] 2009-03-14
[12] 뉴스 N Korea wages war on long hair http://news.bbc.co.u[...] 2009-03-14
[13] 뉴스 N Korea wages war on long hair http://news.bbc.co.u[...] 2009-03-14
[14] 서적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Continuum
[15] 서적 North Korea: The Paranoid Peninsula: A Modern History Zed Books 2007
[16]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Macmillan 2006
[17] 문서 2007
[18] 웹사이트 Keeping Our Hair On http://ubpost.mongol[...] UB Post 2009-03-14
[19] 웹사이트 北朝鮮:金総書記が立腹「男子選手の長髪、不潔だ!」 http://mainichi.jp/s[...] 毎日jp 2012-09-16
[20] 웹사이트 It's all about hair as communists wage war http://www.iol.co.za[...] Independent Online (South Africa) 2009-03-14
[21] 뉴스 Way of the world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9-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