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반일 시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 반일 시위는 일본의 역사 교과서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 동중국해 자원 갈등, 센카쿠 열도 영유권 분쟁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05년 3월부터 중국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대규모 시위이다. 시위는 격렬한 양상을 보이며 일본 대사관, 총영사관, 상점 등을 공격하는 폭력 사태로 이어졌고, 중국 정부의 묵인 속에 진행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시위는 대한민국, 일본을 포함한 각국의 반응을 불러일으켰으며, 중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시위의 원인으로 지목된 역사 교과서 문제, 야스쿠니 신사 참배, 영토 분쟁 등은 동아시아 지역의 민감한 문제로, 2005년 반일 시위는 이러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19 공동성명
9·19 공동성명은 2005년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 포기, NPT 복귀, IAEA 사찰 수용 등을 약속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 경제 협력 등을 합의한 성명이나, 이후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합의 이행 과정의 문제로 비판을 받았다. - 200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게 머리단장을 하자"는 북한에서 사회주의적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는 복장과 머리 모양을 규제하여 사상을 통제하고 사회적 일체감을 형성하려는 사회적 노력 및 정책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2005년 반일 시위 | |
---|---|
개요 | |
명칭 | 2005년 중국 반일 시위 |
영어 명칭 | Anti-Japan activity in China of 2005 |
중국어 간체 | 2005年的中国的反日活动 |
중국어 번체 | 2005年的中國的反日活動 |
중국어 병음 | 2005 nián de zhōngguó de fǎnrì huódòng |
사건 정보 | |
발생 위치 | 중국 |
발생 날짜 | 2005년 |
원인 | 불명확 |
시위 방식 | 시위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2005년 반일 감정 |
2. 역사적 배경
2005년 반일 시위는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취임 이후 악화된 중일 관계에서 비롯되었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중국 내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고, 중국은 중일 양국 정상회담을 거부했다. 2004년 중국 충칭에서 열린 AFC 아시안컵 2004에서는 일본 경기 중 격렬한 야유와 반일 행위가 벌어졌고, 인터넷 상에서도 반일 게시물이 잇따랐다.
2005년 3월, 대한민국에서 독도 문제로 반일 운동이 거세지자, 중국에서도 역사 교과서 문제와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입 반대 서명 운동이 확산되었다. 이는 인터넷과 휴대폰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되었고, 4월에는 청두에서 일본계 슈퍼마켓에 대한 폭동이 발생했으며, 베이징과 상하이에서도 대규모 반일 시위가 벌어졌다.
이러한 반일 감정의 배경에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않았던 후쿠다 야스오 총리와 후진타오 주석의 회담에서 후진타오는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입에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한편, 왕쉐핑(동양대학)은 중국 역사 교과서가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전쟁 책임을 일본 국가 전체에 귀속시키고, 군국주의자와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게 되면서 반일 시위의 대상이 일본 국민 전체로 확대되었다고 분석한다.
2. 1. 중일전쟁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군은 난징 대학살 등 수많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 중국인들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 일본이 진정으로 반성하고 사죄하지 않는다고 인식하며, 반일 감정을 키워왔다.3. 2005년 중국 반일 시위의 전개
2005년 3월, 대한민국에서 독도 문제를 계기로 반일 운동이 고조되자, 중국 각지에서도 역사 교과서 문제와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진입 반대 서명 활동이 시작되었다.[2] 이는 인터넷 사이트나 휴대폰 메일 등을 통해 중국 각지로 확대되었다.
2004년 AFC 아시안컵 2004 당시 중국 충칭에서 열린 경기에서 기미가요 연주 시 야유와 반일 행위가 있었고, 일본인 서포터에게 욕설을 퍼붓거나 쓰레기와 음식을 던지는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인터넷 상에서도 반일 게시물이 잇따랐다.
2005년 4월 2일, 쓰촨 성청두에서 일본계 슈퍼마켓에 대한 폭동이 발생했고, 4월 9일에는 베이징에서, 4월 16일에는 상하이에서 일본에 대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여 일부가 폭도화되었다.
4월 17일부터 18일까지 마치무라 노부타카외상이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국 측에 사과와 배상을 요구했으나, 중국 정부는 유감 표명과 함께 "근본적인 원인은 일본 측에 있다"며 거절했다. 그러나 4월 19일, 중국 지도부는 불법 시위 전면 금지를 통보했고, 반일 시위는 수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4월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국제 회의에서 고이즈미 총리는 과거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를 언급했고, 다음 날 후진타오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도 사죄 요구 등 중국 측을 자극하는 발언은 하지 않았다.
4월 23일 이후, 중국 내 반일 운동은 엄격하게 억제되었으나, 중국 본토 외 거주 중국인들은 시위를 계속하기도 했다. 일본 외무성은 5월 1일(노동절)과 5월 4일(청년절)을 가장 위험한 날로 경계했다.
이후, 일본 등 4개국(G4 국가)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확대 "틀 결의안"에 대해 중국은 거부권을 행사하여 반대했고, 러시아도 이에 동조했다. 결국 독일의 상임 이사국 진입에 반대하는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틀 결의안"은 무산되었다.
이러한 반일 감정의 배경에는 야스쿠니 신사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후쿠다 야스오 총리와 후진타오 주석의 회담에서, 후진타오는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진입에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상임 이사국 진입을 지지했다.
왕쉐핑(동양대학)은 중국의 역사 교과서가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전쟁 책임을 일본 국가 전체에 귀속시키고, 일반 국민과 군국주의자를 구별하지 않게 되면서 반일 시위의 화살이 일본 국민에게도 향하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3. 1. 주요 도시 시위
2005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의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반일 시위가 발생했다.[2] 시위대는 일본의 대사관, 총영사관, 슈퍼마켓, 레스토랑 등을 공격하고 파손했다.[2]

- 베이징: 시 당국이 시위대에 학생들을 수송하기 위해 시내 버스를 사용했고, 칭화 대학과 베이징 대학 학생들은 대학 당국으로부터 시위를 장려하는 전화 통화를 받았다고 보고했다.[2]
- 상하이: 2005년 4월 16일 200명 정도의 학생들이 인민 광장 남쪽에 모여 일본 총영사관이 있는 창닝 구로 이동했다. 1만 명 이상이 총영사관에 벽돌 조각, 페트병 등을 던졌고, 일본 음식점 등 10곳 이상이 파손되었다. 시위 참가자는 10만 명에 달했다.[2] 상하이에서는 일본인 유학생 3명이 중국인으로 보이는 인물에게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기도 했다.[2]
- 광저우, 선전: "애국 무죄", "일본 제품 보이콧" 등을 외치며 시위 행진을 벌였고, 일부 시위대가 폭도화되어 일본 음식점 등에 파괴 활동을 벌였다.[2]
일부 시위대는 폭력적인 양상을 보이며, 중국인이 운영하는 일본 요리 음식점이나 중국인이 탑승한 일본차를 공격하기도 했다. 일본인이 시위 참가자들에게 쫓기는 소동이 있었고, 중국인들에게 둘러싸인 일본인 2명이 경찰차로 피신했지만, 군중이 경찰차의 창문을 깨뜨려 2명은 머리 등에 가벼운 부상을 입었다.[2]
3. 2. 시위의 특징
시위대는 인터넷, 휴대전화 등을 통해 조직되었으며, 주로 학생을 중심으로 한 젊은 층이 참여하였다.[15] 이들은 "애국 무죄"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반일 감정을 표출했다. 청두, 선전, 광저우, 베이징 등 대도시에서 시위 행진을 벌였으며, 일부는 폭력적인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4. 시위의 원인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취임 이후, 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4] 중일 양국 정상회담은 중국에 의해 거부되었고, 중국 내에서는 반일 감정이 고조되었다.[4] "참배 중지라는 중국 측의 거듭된 요청을 듣지 않고,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이라는 인식이 퍼져나갔다.[4]
2004년 7월 AFC 아시안컵 2004가 중국 충칭에서 열렸을 때, 경기 중 격렬한 야유와 반일 행위가 발생했고, 인터넷상에서도 반일적인 게시물이 잇따랐다.[4]
2005년 3월 대한민국에서 독도 문제를 계기로 반일 운동이 고조되자, 중국 각지에서도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나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 이사국 진입 반대 서명 활동이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4]
왕쉐핑 (동양대학)은 1990년대 이후 중국 역사 교과서가 일본의 전쟁 책임을 일본 국가 전체에 귀속시키고, 일부 군국주의자와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게 된 점을 반일 시위가 일본 일반 국민에게도 향하게 된 원인으로 분석했다.[10]
4. 1.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집필하고 일본 정부의 검정을 통과한 '새로운 역사 교과서'는 청일 전쟁, 1910년 일본의 한국 병합,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이 저지른 전쟁 범죄를 은폐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10]일본 정부는 출판사의 언론 자유를 옹호하며, 중앙 정부는 교과서 내용에 사실 오류나 개인적인 의견이 없는 한 출판을 중단시킬 권한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역사 교과서 논쟁 참조)
이 교과서는 난징 대학살에 대해 "많은 중국 군인과 민간인이 일본군에 의해 살해되거나 부상을 입었다(난징 사건). 기록 증거는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실제 희생자 수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라고 언급하며, '사건'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축소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0]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여성들이 어느 정도 강요를 받았는지와 도덕적 책임 소재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일본 내 일부 단체는 일본의 팽창 이전에도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 매춘업소가 존재했으며, 대부분의 위안부들이 제한된 고용 기회 때문에 자원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본 이외의 국가에서는 대부분의 위안부들이 일본 정부와 일본 제국 육군에 의해 납치되어 강제로 성 노예 생활을 강요당했다고 보고 있으며, 일본의 책임 인정과 공식 사과, 역사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 교과서 문제는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악화시켰으며, 일본교원노조는 이 교과서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2005년 9월 아사히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이 교과서는 일본 중학교의 0.04%에서만 사용되어 보급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 야스쿠니 신사 참배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취임 이후,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야스쿠니 신사에는 A급 전범이 합사되어 있어, 중국과 한국 등 피해국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다.[4] 중국 내에서는 "참배 중지라는 중국 측의 거듭된 요청을 듣지 않고,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이라는 인식이 퍼져 반일 감정이 고조되었다.[4]2005년 반일 시위의 배경에는 이러한 야스쿠니 신사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 후쿠다 야스오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지 않았을 때, 후진타오 주석은 일본의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 이사국 진입에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4]
다음 해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참배에 대해, 중국에서는 반일 감정 재연을 억제하기 위해 시위를 봉쇄했지만, 한국에서는 수천 명이 고이즈미 총리의 사진을 불태우는 시위가 일어났다.[4] 한국 정부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에 대해, A급 전범이 분사되더라도 일본 정부 수뇌들의 참배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분사는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이 아니라고 말했다.[4]
4. 3.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
일본은 1969년 아이치 키이치 외무장관이 처음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 상임이사국 진출을 신청했지만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2004년 9월, G4 국가(브라질, 독일, 인도, 일본)는 상임이사국 지위에 대한 상호 지지를 담은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P5 국가인 프랑스와 영국은 이들의 진출 시도를 지지했지만, 중국을 포함한 일본의 극동 이웃 국가들은 강하게 반대했다.이는 일본이 과거 침략 전쟁에 대한 충분한 반성과 사죄 없이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2001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중국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반일 감정을 고조시켰다.[1]
2005년 당시, 일본이 국제적 수준에서 너무 많은 권력을 갖게 되면 일본 제국주의가 다시 부활할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일본의 전시 만행에 대한 충분한 뉘우침이 없다고 여겼기 때문에 일본에게 이사국 자리를 주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를 확대하는 일본 등 4개국 (G4 국가)의 "틀 결의안"에 대해, 중국은 거부권을 행사하여 반대했고, 러시아도 중국에 동조했다. 결국 독일의 상임 이사국 진입에 반대하는 미국의 거부권 행사로 인해 "틀 결의안"은 무산되었다.[6]
야스쿠니 신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은 어렵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하지 않았던 후쿠다 야스오 총리와 후진타오 주석과의 회담에서, 후진타오는 일본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상임 이사국 진입에 유연한 자세를 보였다.[7] 김대중 전 대통령도 일본의 상임 이사국 진입을 지지했다.[7]
4. 4. 동중국해 자원 갈등
동중국해의 천연 가스와 석유 등 자원 개발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 간의 갈등도 반일 감정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양국은 모두 에너지 순 수입국이며, 특히 중국의 에너지 수요는 급증하고 있었다. 중국은 2003년부터 시후 트로프에서 시추를 시작했는데, 일본은 배타적 경제 수역(EEZ)을 기준으로 영유권을 주장하며 중국의 시추가 자국의 자원을 빼앗아갈 가능성을 우려했다.[11]4. 5.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동중국해에 위치한 댜오위/센카쿠 열도는 면적이 7km2인 섬 그룹으로, 현재 일본이 통제하고 있지만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모두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섬들을 둘러싼 긴장은 1990년대 후반부터 나타났으며, 2005년 중국 내 반일 시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 간의 영유권 분쟁은 반일 감정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5. 각국의 반응
- '''미국'''
- 워싱턴 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시위를 용인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이번에는 예외였던 것 같다"며, "최근 중국은 아시아를 리드하고 싶다는 이유로 일본을 편리한 악역으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위기의 원인을 가져온 것은 거의 모두 중국 정부"라고 비판했다.[1]
-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불행하게도 일본은 중국의 정치적인 술수에 빠져 있다"며 "중국은 일본을 협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
- 월스트리트 저널은 "중국 자신의 역사 왜곡 정도는 일본보다 크며, 일본에게 말하기 전에 자신의 역사 해석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에서) 고이즈미 총리가 이토록 명확하게 (과거의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한 이상, 이번에는 중국이 자국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사죄를 표명할 차례"라고 주장했다.[3]
- '''영국'''
- 가디언은 "일본은 중국을 침략한 것을 여러 번 사죄했지만, 많은 중국인들은 충분하지 않다고 느낀다. 신뢰는 정기적인 대화를 통해서만 만들어진다. 중국과 일본 모두 냉정을 유지하고, 대립을 격화시키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보도했다.[4]
- 더 타임스는 "분명히 중국 정부의 암묵적인 장려에 기초하여 진행되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공식 경고에도 불구하고 시위는 진행되었다. 이번 규모는 당국을 놀라게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5]
-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입은 당연하다"며 "중국이 동아시아의 미래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라도 일본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6]
- '''프랑스'''
- 르 피가로는 "공산주의 체제에서 민족주의는 항상 욕구 불만의 배출구로서 정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7]
-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교과서 문제는 단순한 구실이다. 시위의 주요 원인은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입 저지와, 자국의 실정에서 눈을 돌리게 하기 위해서이다"라고 분석했다.[8]
- '''독일'''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는 "일본 정부는 무엇이 원인이 되어 시위가 일어났는지를 무시하고 있다"며 "독일, 프랑스, 영국의 친중파는, 오랜 동맹국인 일본을 희생해서라도 중국을 강대화시키고 싶어하는가?"라고 비판했다.[9]
- '''유엔'''
- 로버트 오어 사무총장보는 "매우 미묘한 문제이며, 유엔으로서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할 입장이 아니다. 양국 간에 해결해야 한다"면서도 "일본이 미묘한 측면에 대응한다면, 이 문제는 해결로 향할지도 모른다"라고 언급하며 일본의 선처에 대한 기대를 간접적으로 드러냈다.[10]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2005년 일본 역사 교과서의 공식 승인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김현종 당시 대한민국 통상교섭본부장은 일본에서 열릴 예정이던 아시아 무역 정상회담 방문을 취소했다.2005년 5월 6일,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자유민주당의 다케베 츠토무 간사장과의 회담에서 일본이 자국민을 제대로 교육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노 대통령은 다케베에게 역사 교육은 학문적 문제로 자유롭게 논의될 것이 아니라 정치적 문제로 다루어져야 하며, 정부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통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5. 2.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정부는 시위대의 폭력 행위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근본적인 원인은 일본 측에 있다"며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를 비판했다.[2]4월 17일 마치무라 노부타카 외무상이 급히 방중하여 베이징의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리자오싱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갖고 사과와 보상을 요구했지만, 리자오싱 외교부장은 이번 사태가 일본의 행동 때문에 발생한 것이며, 중국 정부는 사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2]
4월 18일, 원자바오 총리는 마치무라 외무상과의 회견을 거부했고, 대신 회견한 탕자쉬안 국무위원은 "동중국해 가스전 개발로 중국 국민을 자극하면 헤아릴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2]
5. 3. 일본
일본에서는 대규모 반중 시위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소수의 시위대가 중화인민공화국 영사관 밖에서 시위를 벌였고, 한 경우에는 사용된 탄피가 중국 관리들에게 우편으로 보내지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여행 계획을 취소했고, 베이징에서 개최될 예정인 2008년 하계 올림픽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5][6][7]일본 외무상은 4월 17일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국 외무 장관을 만났다. 신화 통신은 베이징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 외무 장관 회담에서 일본 외무상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잘못에 대해 사과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신화 통신은 이 회담에서 일본 협상자들이 일본 재산과 국민에 대한 피해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했다는 내용을 보도에서 누락시켰다. 이 요구는 중국 외무 장관 리자오싱에 의해 거부되었다. 한편, 일본 외무성은 주요 중국 도시에서 진행 중인 반일 시위에 대해 거의 보도하지 않는, 국영 신화 통신의 뉴스 보도를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도쿄 증권 거래소는 4월 18일 월요일에 급락을 기록했으며, 시위와 중일 경제 관계 사이의 연관성이 금융 업계에서 제기되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4월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 회의에서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른 아시아 국가에 가한 고통에 대해 "깊은 유감과 진심 어린 사과"를 표명했다. 그러나 81명의 국회의원이 그 몇 시간 전에 야스쿠니 신사를 방문하여, 이 문제에 대한 도쿄의 진정한 태도에 대해 일본 국내외에서 더 많은 논란을 야기했다. 고이즈미는 4월 23일 후진타오를 만났다.
5. 4. 기타 국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 국가들은 중일 양국에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하면서도,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미국
- 워싱턴 포스트는 "중국 정부가 시위를 용인하는 것은 드문 일이지만, 이번에는 예외였던 것 같다"면서 "최근 중국은 아시아를 리드하고 싶다는 이유로 일본을 편리한 악역으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위기의 원인을 가져온 것은 거의 모두 중국 정부"라고 비판했다.[1]
-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불행하게도 일본은 중국의 정치적인 술수에 빠져 있다"며 "중국은 일본을 협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
- 월스트리트 저널은 "중국 자신의 역사 왜곡 정도는 일본보다 크며, 일본에게 말하기 전에 자신의 역사 해석을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아시아·아프리카 회의에서) 고이즈미 총리가 이토록 명확하게 (과거의 식민지 지배에 대해) 사죄한 이상, 이번에는 중국이 자국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사죄를 표명할 차례"라고 주장했다.[3]
- 영국
- 가디언은 "일본은 중국을 침략한 것을 여러 번 사죄했지만, 많은 중국인들은 충분하지 않다고 느낀다. 신뢰는 정기적인 대화를 통해서만 만들어진다. 중국과 일본 모두 냉정을 유지하고, 대립을 격화시키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보도했다.[4]
- 더 타임스는 "분명히 중국 정부의 암묵적인 장려에 기초하여 진행되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공식 경고에도 불구하고 시위는 진행되었다. 이번 규모는 당국을 놀라게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5]
- 이코노미스트는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입은 당연하다"며 "중국이 동아시아의 미래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위해서라도 일본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6]
- 프랑스
- 르 피가로는 "공산주의 체제에서 민족주의는 항상 욕구 불만의 배출구로서 정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7]
-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교과서 문제는 단순한 구실이다. 시위의 주요 원인은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진입 저지와, 자국의 실정에서 눈을 돌리게 하기 위해서이다"라고 분석했다.[8]
- 독일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는 "일본 정부는 무엇이 원인이 되어 시위가 일어났는지를 무시하고 있다"며 "독일, 프랑스, 영국의 친중파는, 오랜 동맹국인 일본을 희생해서라도 중국을 강대화시키고 싶어하는가?"라고 비판했다.[9]
- 유엔
- 로버트 오어 사무총장보는 "매우 미묘한 문제이며, 유엔으로서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할 입장이 아니다. 양국 간에 해결해야 한다"면서도 "일본이 미묘한 측면에 대응한다면, 이 문제는 해결로 향할지도 모른다"라고 언급하며 일본의 선처에 대한 기대를 간접적으로 드러냈다.[10]
6. 시위의 영향 및 평가
2005년 반일 시위는 중일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으며,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또한, 이 시위는 중국 내 민족주의와 반일 감정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 사건 이후, 일본 내에서는 중국에 뿌리 깊은 반일 감정이 있다는 것이 알려졌고,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생겨났다. 1992년에 방중한 아키히토 천황은, 원자바오 총리의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초대를 거절했다. 더 나아가 중국 여행 관련 서적에서는, 중국의 반일 감정을 주의하라는 내용이 실렸다.
왕쉐핑 (동양대학)은, 중국의 역사 교과서가 일본의 중국 침략에 대한 설명에 대해, 1980년대까지는 자본주의와 봉건 세력이 결합한 권력 집단이 책임을 진다고 해왔지만, 1990년대 이후, 계급을 나누어 일본 내의 모순을 설명하는 내용이 없어지고, 전쟁 책임을 일본이라는 국가 전체에 귀속시키게 되었으며, 일부 군국주의자와 일반 국민을 구별하는 방법을 멈춘 것으로 인해, 반일 시위의 화살이 일본 정부, 일본의 자산 계급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반 국민에게도 향하게 되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Japan-China Talks Fail to Ease Tensions
https://www.washingt[...]
2010-04-22
[2]
웹사이트
China puts brakes on anti-Japan protests
http://www.iht.com/a[...]
2005-04-23
[3]
뉴스
Chinese Protest Japanese Texts on World War II
https://www.npr.org/[...]
NPR
2016-08-25
[4]
뉴스
China's Selective Memory
https://www.washingt[...]
2016-08-25
[5]
웹사이트
Japan Addresses its War Responsibility
http://global-allian[...]
[6]
뉴스
MPs undermine Japanese apology to China
https://www.theguard[...]
2023-05-15
[7]
뉴스
Asia press concern at China-Japan row
http://news.bbc.co.u[...]
2023-05-15
[8]
웹사이트
Japan's Worst Enemy
https://www.latimes.[...]
2023-05-15
[9]
뉴스
Letter from the Philippines: Long afterward, war still wears onFilipinos
https://www.nytimes.[...]
2005-08-13
[10]
웹사이트
New History Textbook (Chapter 4 & 5) 2005 version
http://www.tsukuruka[...]
[11]
웹사이트
Oil & Gas Journal
http://ogj.pennnet.c[...]
[12]
뉴스
中国の教科書に描かれた日本: 教育の「革命史観」から「文明史観」への転換
http://www.kokusai-s[...]
2017-03-17
[13]
정보
海をゆく巨龍:転換期の安保2010中国で「沖縄返せ」の声
https://megalodon.jp[...]
[14]
문서
https://www.shanghai[...]
[15]
뉴스
共に認識の落差埋めよ
2005-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