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베산은 일본 주고쿠 지방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약 10만 년 전부터 화산 활동을 시작했다. 홀로세에는 약 5000년 전과 4000년 전에 분화했으며, 야마구치현의 아부 화산군과 함께 활화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과거 화산 활동으로 넓은 지역에 화산재를 공급했으며, 4000년 전 분화로 무로노우치가 함몰되어 현재의 지형이 형성되었다. 산베산은 이와미국과 이즈모국의 경계에 위치하며, 이즈모국 풍토기에 등장하는 국토 개척 신화와 관련이 있다. 산록에는 관광 시설과 등산로가 있으며, 특히 가을 단풍이 아름답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난정 - 아카기정
1957년 아카나정과 구루시마촌의 합병으로 탄생한 아카기정은 시마네현 이이시군에 위치했으나, 2005년 돈바라정과 합병하여 이난정이 되면서 폐지되었고, 정내에는 교육기관과 국도 54호선, 184호선이 있었으며 과거 가스 발전소를 통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 이난정 - 돈바라정
돈바라정은 시마네현에 있던 행정 구역으로, 촌에서 정으로 승격 후 시시촌과 합병되었으나, 아카기정과 통합되어 이이난정으로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관광 시설이 있는 지역이다. - 시마네현의 산 - 다쿠히산
다쿠히산은 니시노시마정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칼데라 지형으로 추정되며, 정상에는 다쿠히 신사와 방송 송신탑이 위치하여 바다와 시가지 조망 및 방송 전파 송출 역할을 한다. - 시마네현의 산 - 다이만지산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다이만지산'에 대한 위키백과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산베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산베산 |
원어 이름 (일본어) | 三瓶山[さんべさん] (산베산) |
종류 | 성층 화산 |
화산 활동 상태 | 활화산 (C 등급) |
지리 | |
위치 | 시마네현 오다시, 이난정 |
높이 | 1,126m |
융기 | 1km |
산계 | 독립봉 |
지질학적 정보 | |
화산 호/벨트 | 해당 없음 |
마지막 분출 | 650년 CE |
기타 정보 | |
등재 | 일본의 화산 |
2. 지리 및 지형
산베산은 다이센 오키 국립공원(大山隠岐国立公園)의 일부이며, 남삼병산 북쪽 기슭에서 실의 내에 걸쳐 있는 자연림은 "삼병산 자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해발 800m 이상에는 너도밤나무 숲, 그 이하에는 졸참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고목이 무성한 삼림이 나타난다. 기슭에는 목장이나 밭이 펼쳐져 있고, 방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여삼병산 정상에는 마쓰에시(松江市)・요나고시(米子市) 텔레비전・FM 방송소와 하마다시(浜田市) 텔레비전・FM 방송소를 잇는 고정국이 설치되어 있다.[3]
2. 1. 주요 봉우리

산베산은 직경 약 5km의 칼데라[3] 안에 남삼병산(男三瓶山) (1126m), 여삼병산(女三瓶山) (957m), 자삼병산(子三瓶山) (961m), 손삼병산(孫三瓶山) (907m), 태평산(太平山) (854m), 일영산(日影山) (718m)의 6개 봉우리가 실의 내(室の内)라고 불리는 직경 약 1.2km의 폭렬 화구를 둘러싸고 배열되어 있다.[3][16][4]
2. 2. 칼데라 및 화구호
산베산은 직경 약 5km의 칼데라[3] 안에 주봉인 남삼병산(男三瓶山) (1126m), 여삼병산(女三瓶山) (957m), 자삼병산(子三瓶山) (961m), 손삼병산(孫三瓶山) (907m), 태평산(太平山) (854m), 일영산(日影山) (718m)의 6개 봉우리가 실의 내(室の内)라고 불리는 직경 약 1.2km의 폭렬 화구를 둘러싸고 배열되어 있다.[3][16][4] 화구 안에는 실의 내 연못(室の内池)이라고 불리는 화구호가 존재한다.[4]태평산을 제외한 4개의 봉우리는 외륜산이 아니라, 데이사이트로 이루어진 용암 원정구(원정구 용암)이며,[4] 태평산은 폭발적 분화에 의해 날아간 토사와 화산쇄설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산이다. 실의 내 연못은 수심 1.4m도 안 되는 얕은 연못으로 유입하는 하천도 없어, 빈영양호로 여겨진다.
화구는 이 외에 안의 탕 화구(奥の湯火口)가 있으며, 여기에 삼병 온천(三瓶温泉)의 온천원이 있다. 서쪽의 원(西の原) 서쪽에 부포 연못(浮布池), 북쪽의 원에는 히메니게 연못(姫逃池)이 있으며, 부포 연못은 삼병산의 분화로 생긴 사방댐(堰止湖)이기도 하다.
2. 3. 기타 지형
산베산은 직경 약 5km의 칼데라[3] 안에 주봉인 남삼병산(1126m), 여삼병산(957m), 자삼병산(961m), 손삼병산(907m), 태평산(854m), 일영산(718m)의 6개 봉우리가 실의 내(室の内)라고 불리는 직경 약 1.2km의 폭렬 화구를 둘러싸고 배열되어 있으며[3][16][4], 화구 안에는 실의 내 연못(室の内池)이라고 불리는 화구호가 있다.[4] 태평산을 제외한 4개의 봉우리는 외륜산이 아니라, 데이사이트로 이루어진 용암 원정구(원정구 용암)이며[4], 태평산은 폭발적 분화에 의해 날아간 토사와 화산쇄설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산이다. 실의 내 연못은 수심이 1.4m도 안 되는 얕은 연못으로 유입하는 하천도 없어, 빈영양호로 여겨진다. 화구는 이 외에 안의 탕 화구(奥の湯火口)가 있으며, 여기에 삼병 온천의 온천원이 있다. 서쪽의 원(西の原) 서쪽에 부포 연못, 북쪽의 원에는 히메니게 연못이 있으며, 부포 연못은 삼병산의 분화로 생긴 사방댐이기도 하다.3. 화산 활동
주고쿠 지방에서 가장 젊은 화산인 산베산은 야마구치현의 아부 화산군과 함께 활화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 2012년 기상청 관측에서는 분기나 고열 지대 등 화산 활동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8] 같은 해 12월부터 1년간 임시로 설치한 지진계 관측에서도 화산성 지진은 관측되지 않았다.[8]
3. 1. 분화 역사
산베산의 화산 활동은 약 10만 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3] 이후 7차례의 활동기가 있었으며[16], 홀로세에는 약 5000년 전과 약 4000년 전(모두 역년)에 활동했다. 주고쿠 지방에서 가장 젊은 화산으로, 야마구치현의 아부 화산군과 함께 활화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산베산의 제1기 - 제4기 활동에서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화산재를 공급했으며, 약 10만 년 전의 "삼병 기차 경석 (SKP)"이나 약 1.6만 년 전의 "삼병 부포 경석 (SUP)" 등은 광역 화산재로서 도호쿠 지방까지 일본 열도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며[5], 지질학 및 고고학 조사에서 열쇠층으로 적용되고 있다. 히카게산은 가장 오래된 시기에 형성된 산이다. 4000년 전 마지막 분화로[6] 무로노우치가 함몰되어 현재의 지형이 형성되었으며[3], 날아간 화산 쇄설물이 퇴적된 곳이 다이헤이산이다.[7] 오토코삼병산 등 4개의 봉우리는 칼데라 안쪽에 남겨졌다.[3]
무로노우치 연못에서 서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분기공이 있으며[8], 이전에는 새 등이 죽는 일이 있어서 새 지옥이라고 불렸다.[7] 그러나 2012년 기상청 관측에서는 분기나 고열 지대 등 화산 활동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8] 무로노우치 연못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화구에 물이 고인 것이 아니라, 사면의 붕괴로 인해 무로노우치로 유입된 토사에 의해 메워지고, 가장 해발 고도가 낮은 부분에 빗물이 고인 것이다.
2012년 12월부터 삼병산 주변 시설에 지진계가 임시로 설치되었지만, 1년간의 관측에서 화산성 지진은 관측되지 않았다.[8]
연대 | 활동기 | 분출물 | 분출량 (DRE km3) | 주요 암석 | 분화 양식 |
---|---|---|---|---|---|
120만~90만 년 전 | 선(先)산베 | 모리타산 화산 | 불명 | 데이사이트 | 용암 돔 |
10만 5천 년 전 | 제1기 분화 | 카스야 연쇄류 퇴적물 | 불명 | - | 플리니식 분화: 화쇄류 (SK 테프라에 선행) |
산베 키쓰기 테프라 | 12 | - | 플리니식 분화: 화쇄류, 강하 화산재, 강하 경석 | ||
9만 년 전 | 고(古) 산베 용암 | 불명 | 데이사이트 | 용암류 | |
7만 년 전 | 제2기 분화 | 산베 운난 테프라 | 6 | 유문암 | 플리니식 분화: 강하 화산재·경석 |
산베 오다 테프라 | 유문암 | 플리니식 분화: 강하 화쇄물, 화쇄류 | |||
코야하라 강하 화산재 퇴적물 | - | 강하 화산재 | |||
4만 년 전 | 제3기 분화 | 산베 이케다 테프라 | 2.4 | 데이사이트 | 플리니식 분화: 강하 화산재·경석(화쇄류) |
1만 9천 년 전 | 제4기 분화 | 히카게야마 용암류 | 0.15 | 데이사이트 | 용암류, 용암 돔 |
카세다니 화쇄류 퇴적물 | 2.4 | 데이사이트 | 화쇄류 | ||
오다 서지(Surge) 퇴적물 | 데이사이트 | 화쇄 서지 | |||
오다 화쇄류 퇴적물 | - | 준(準) 플리니식 분화: 화쇄류 | |||
우키누노 강하 경석 퇴적물 | 데이사이트 | 화쇄류, 강하 화산재, 강하 경석, 화쇄 서지 | |||
미도리가오카 화쇄류 퇴적물 | |||||
우키누노 화산재 퇴적물 | |||||
1만 3천~1만 2천 9백 년 전 | 제5기 분화 | 키리타키 강하 화산재 퇴적물 | 불명 | - | 불카노식 분화?: 강하 화산재 |
5천6백~5천5백 년 전 | 제6기 분화 | 시가쿠 강하 화산재 퇴적물 | 불명 | - | 불카노식 분화: 강하 화산재 |
시가쿠 화쇄류 퇴적물 | 데이사이트 | 화쇄류 (Block-and-ash flow) | |||
카쿠이 강하 화산재 퇴적물 | - | 불카노식 분화: 강하 화산재, 화쇄 서지 | |||
3천8백7십 년 전 | 제7기 분화 | 시즈미 강하 화산재 퇴적물 | 2.6 | - | 강하 화산재 |
산베 원정구 용암 | 데이사이트 | 용암류, 용암 돔 | |||
타테이시 암설 사태 퇴적물 | (데이사이트) | 암설 사태 | |||
오쿠노유 화쇄류 | - | 화쇄류, 토석류 | |||
타이헤이잔 화쇄 퇴적물 | 데이사이트 | 화쇄류 (Block-and-ash flow) 불카노식 분화: 강하 화산재 (VEI 4) | |||
이비타니 암설 사태 퇴적물 | - | 암설 사태 | |||
1천4백~1천3백 년 전 | 제8기 분화 | 산정 화산재 퇴적물 | - | - | 수증기 분화? |
3. 2. 화산재
산베산은 주고쿠 지방에서 가장 젊은 화산으로, 야마구치현의 아부 화산군과 함께 활화산으로 지정되어 있다.[3] 산베산의 제1기 - 제4기 활동에서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화산재를 공급했으며, 약 10만 년 전의 "삼병 기차 경석 (SKP)"이나 약 1.6만 년 전의 "삼병 부포 경석 (SUP)" 등은 광역 화산재로서 도호쿠 지방까지 일본 열도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며[5], 지질학 및 고고학 조사에서 열쇠층으로 적용되고 있다.4. 자연환경
산베산은 직경 약 5km의 칼데라[3] 안에 주봉인 남삼병산(1126m), 여삼병산(957m), 자삼병산(961m), 손삼병산(907m), 태평산(854m), 일영산(718m)의 6개의 봉우리가 실의 내(室の内)라고 불리는 직경 약 1.2km의 폭렬 화구를 둘러싸고 배열되어 있다.[3][16][4] 화구 안에는 실의 내 연못(室の内池)이라고 불리는 화구호가 존재한다.[4]
태평산을 제외한 4개의 봉우리는 외륜산이 아니라, 데이사이트로 이루어진 용암 원정구(원정구 용암)이며[4], 태평산은 폭발적 분화에 의해 날아간 토사와 화산쇄설물이 쌓여서 만들어진 산이다. 실의 내 연못은 수심 1.4m도 안 되는 얕은 연못으로 유입하는 하천도 없어, 빈영양호로 여겨진다. 화구는 이 외에 안의 탕 화구(奥の湯火口)가 있으며, 여기에 삼병 온천의 온천원이 있다. 서쪽의 원(西の原) 서쪽에 부포 연못, 북쪽의 원에는 히메니게 연못이 있으며, 부포 연못은 삼병산의 분화로 생긴 사방댐(堰止湖)이기도 하다.
다이센 오키 국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으며[4], 남삼병산 북쪽 기슭에서 실의 내에 걸쳐 펼쳐지는 자연림은 "삼병산 자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것은 해발 800m 이상에는 너도밤나무 숲, 그 이하에는 졸참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고목이 무성한 삼림이다. 기슭에는 목장이나 밭이 펼쳐져 있으며, 방목이 활발하다. 여삼병산의 산정에는 마쓰에시·요나고시 텔레비전·FM 방송소와 하마다시 텔레비전·FM 방송소를 잇는 고정국이 설치되어 있다.
산록에는 동쪽의 원, 서쪽의 원, 북쪽의 원의 완만한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각각을 연결하듯이 산의 주변을 시마네현도 40호 가와모토 하타선, 시마네현도 30호 삼병산 공원선, 삼병산 제1고원도로, 삼병산 제2고원도로가 순환한다.[12]
동쪽의 원에는 오다시가 소유한 삼병 관광 리프트(연장 856m, 표고차 255m)가 있다.[13] 리프트 종점에서 태평산까지는 도보로 몇 분, 여삼병산까지는 도보로 20분이면 오를 수 있다. 하계에는 2만 명 전후(2020년에는 약 2만 5천 명)가 이용한다.[13] 과거에는 동계에도 산베 온천 스키장의 리프트로 사용되었지만, 스키장은 2009년에 폐쇄되었다. 2021년 11월 13일, 이이난정의 이이난 토탈 서포트가 새로운 운영 관리자가 되어 삼병 관광 리프트가 재개되었다.[14]
사진 작가 스도 에이이치는 서쪽의 원에 있는 초원이 신록의 봄부터 여름에 걸쳐 아름답고, 그 중에서도 최고의 볼거리라고 평했다. 서쪽의 원에는 에도 시대에 이정표로 심어진 흑송 "정의 소나무"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각각 한 그루씩 있었지만, 서쪽의 소나무는 2007년에 고사된 것이 확인되어 벌채되었고, 동쪽의 소나무도 2023년 6월에 고사된 것이 확인되었다.[15]
북쪽의 원에는 시마네현립 삼병 자연관이나 국립 삼병 청소년 교류의 집 등의 사회 교육 시설과 캠프장이 있다.
각 봉우리를 종주하는 등산로와, 무로노우치 화구로 내려가는 등산로 등이 정비되어 있다. 등산로는 4곳이 있으며, 등산로 입구와 산정까지의 표고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각 산은 종 모양으로 경사가 강하고, 도중에 물이 없어 난이도는 낮지 않다고 여겨진다.[16] 남삼병산 산정에는 대피소인 삼병산정 산장이 있으며, 2010년에 재건축되었다.[16] 산 개장은 매년 4월이며, 11월까지가 여름 산 시즌이다.[16] 북쪽의 원에는 비련의 전설로 유명한 히메노이케(姫逃池)가 있다.[4] 2008년에는 삼병산 일대에 6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16] 우키누노이케 호반에는 과거 레저랜드 시설인 "삼병 그린랜드"가 있었지만, 1986년 10월에 폐쇄되었다.[17]
4. 1. 삼병산 자연림
산베산 북쪽 기슭의 산베정 다네아즈하라 지구에는 약 4000년 전 화산 활동으로 매몰된 거목군이 존재하며,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4] 삼나무를 중심으로 한 삼림이 그대로 매몰된 것으로, 큰 것은 높이 12m, 지름 2.5m를 넘는 줄기가 곧게 서 있다. 이 매몰림은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 공원"으로 공개되어 있다.[4]5. 문화 및 역사
이와미국과 이즈모국의 국경에 위치한 산베산은 이즈모국 풍토기가 전하는 "국토 개척 신화"에 등장한다.[11] 국토 개척 신화에서는 돗토리현의 다이센과 함께 국토를 끌어당기는 밧줄을 묶어둔 말뚝으로 여겨진다.[11] 『이즈모국 풍토기』에는 "사히메산(佐比売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나라 시대 이름 짓기 규정에 따라 "산베산"으로 표기되었다. "사히메"라는 이름은 1954년(쇼와 29년) 오다시에 합병되기 전까지 "사히메 촌"이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었다.
5. 1. 국토 개척 신화
이와미국과 이즈모국의 국경에 위치한 삼병산은 이즈모국 풍토기가 전하는 "국토 개척 신화"에 등장한다.[11] 국토 개척 신화에서는 삼병산은 돗토리현의 다이센과 함께 국토를 끌어당기는 밧줄을 묶어둔 말뚝으로 여겨진다.[11] 『이즈모국 풍토기』에서는 삼병산은 "사히메산(佐比売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나라 시대의 이름 짓기 규정에 의해 "삼병산"으로 표기되게 되었다. "사히메"라는 이름은 1954년(쇼와 29년)에 오다시에 합병되기 전까지의 지명 "사히메 촌"으로 남아 있었다.5. 2. 사히메산 (佐比売山)
이와미국과 이즈모국의 국경에 위치한 산베산은 『이즈모국 풍토기』가 전하는 "국토 개척 신화"에 등장한다.[11] 국토 개척 신화에서는 산베산은 돗토리현의 다이센과 함께 국토를 끌어당기는 밧줄을 묶어둔 말뚝으로 여겨진다.[11] 『이즈모국 풍토기』에서는 "사히메산(佐比売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나라 시대의 이름 짓기 규정에 의해 "산베산"으로 표기되게 되었다. "사히메"라는 이름은 1954년(쇼와 29년)에 오다시에 합병되기 전까지의 지명 "사히메 촌"으로 남아 있었다.6. 관광
오른쪽부터 여삼병산, 남삼병산, 자삼병산, 손삼병산, (무로노우치 연못), 태평산
산록에는 동쪽, 서쪽, 북쪽의 완만한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각각을 연결하듯이 산 주변을 시마네현도 40호 가와모토 하타선, 시마네현도 30호 삼병산 공원선, 삼병산 제1고원도로, 삼병산 제2고원도로가 순환한다.[12]
동쪽의 원에는 오다시가 소유한 삼병 관광 리프트(연장 856m, 표고차 255m)가 있다.[13] 리프트 종점에서 태평산까지는 도보로 몇 분, 여삼병산까지는 도보로 20분이면 오를 수 있다. 하계에는 2만 명 전후(2020년에는 약 2만 5천 명)가 이용한다.[13] 과거 동계에는 산베 온천 스키장의 리프트로 사용되었지만, 스키장은 2009년에 폐쇄되었다. 2021년 11월 13일, 이이난정의 이이난 토탈 서포트가 새로운 운영 관리자가 되어 삼병 관광 리프트가 재개되었다.[14]
사진 작가 스도 에이이치는 서쪽의 원에 있는 초원이 신록의 봄부터 여름에 걸쳐 아름답고, 그 중에서도 최고의 볼거리라고 평했다. 서쪽의 원에는 에도 시대에 이정표로 심어진 흑송 "정의 소나무"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각각 한 그루씩 있었지만, 서쪽의 소나무는 2007년에 고사되어 벌채되었고, 동쪽의 소나무도 2023년 6월에 고사되었다.[15]
북쪽의 원에는 시마네현립 삼병 자연관(사히메루)이나 국립 삼병 청소년 교류의 집 등의 사회 교육시설과 캠프장이 있다.
북쪽 기슭의 삼병정 다네아즈하라 지구에는 약 4000년 전의 활동으로 매몰된 거목군이 존재하며,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삼나무를 중심으로 한 삼림이 그대로 매몰된 것으로, 큰 것은 높이 12m, 직경 2.5m를 넘는 줄기가 곧게 서 있다. 이 매몰림은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 공원"으로 공개되어 있다.[4]
각 봉우리를 종주하는 등산로와 무로노우치 연못 화구로 내려가는 등산로 등이 정비되어 있다. 등산로는 4곳이 있으며, 등산로 입구와 산정까지의 표고차는 크지 않지만 각 산은 종 모양으로 경사가 강하고, 도중에 물이 없어 난이도는 낮지 않다.[16] 남삼병산 산정에는 대피소인 삼병산정 산장이 있으며, 1500만원을 들여 2010년에 재건축되었다.[16] 산 개장은 매년 4월이며, 11월까지가 여름 산 시즌이다.[16] 북쪽의 원에는 비련의 전설로 유명한 히메노이케(姫逃池)가 있다.[4] 2008년에는 삼병산 일대에 6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16] 우키누노이케 호반에는 과거 레저랜드 시설인 "삼병 그린랜드"가 있었지만, 1986년 10월에 폐쇄되었다.[17]
6. 1. 관광 명소
산베산은 다이센 오키 국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으며[3], 남삼병산 북쪽 기슭에서 실의 내에 걸쳐 펼쳐지는 자연림은 "삼병산 자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해발 800m 이상에는 너도밤나무 숲, 그 이하에는 졸참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고목이 무성한 삼림이다. 기슭에는 목장이나 밭이 펼쳐져 있으며, 방목이 활발하다.
산록에는 동쪽의 원, 서쪽의 원, 북쪽의 원의 완만한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시마네현도 40호 가와모토 하타선, 시마네현도 30호 삼병산 공원선, 삼병산 제1고원도로, 삼병산 제2고원도로가 산 주변을 순환하며 연결한다.[12]
동쪽의 원에는 오다시가 소유한 삼병 관광 리프트(연장 856m, 표고차 255m)가 있다.[13] 리프트 종점에서 태평산까지는 도보로 몇 분, 여삼병산까지는 도보로 20분이면 오를 수 있다. 하계에는 2만 명 전후(2020년에는 약 2만 5천 명)가 이용한다.[13] 과거 동계에는 산베 온천 스키장의 리프트로 사용되었지만, 스키장은 2009년에 폐쇄되었다. 2021년 11월 13일, 이이난정의 이이난 토탈 서포트가 새로운 운영 관리자가 되어 삼병 관광 리프트가 재개되었다.[14]
사진 작가 스도 에이이치는 서쪽의 원에 있는 초원이 신록의 봄부터 여름에 걸쳐 아름답고, 그 중에서도 최고의 볼거리라고 평했다. 서쪽의 원에는 에도 시대에 이정표로 심어진 흑송 "정의 소나무"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각각 한 그루씩 있었지만, 서쪽의 소나무는 2007년에 고사되어 벌채되었고, 동쪽의 소나무도 2023년 6월에 고사되었다.[15]
북쪽의 원에는 시마네현립 삼병 자연관(사히메루)이나 국립 삼병 청소년 교류의 집 등의 사회 교육 시설과 캠프장이 있다.
북쪽 기슭의 삼병정 다네아즈하라 지구에는 약 4000년 전의 활동으로 매몰된 거목군이 존재하며,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삼나무를 중심으로 한 삼림이 그대로 매몰된 것으로, 큰 것은 높이 12m, 직경 2.5m를 넘는 줄기가 곧게 서 있다. 이 매몰림은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 공원"으로 공개되어 있다.[4]
각 봉우리를 종주하는 등산로와 무로노우치 화구로 내려가는 등산로 등이 정비되어 있다. 등산로는 4곳이 있으며, 등산로 입구와 산정까지의 표고차는 크지 않지만 각 산은 종 모양으로 경사가 강하고, 도중에 물이 없어 난이도는 낮지 않다.[16] 남삼병산 산정에는 대피소인 삼병산정 산장이 있으며, 2010년에 1500만 엔을 들여 재건축되었다.[16] 산 개장은 매년 4월이며, 11월까지가 여름 산 시즌이다.[16] 북쪽의 원에는 비련의 전설로 유명한 히메노이케(姫逃池)가 있다.[4] 2008년에는 삼병산 일대에 6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16] 우키누노이케 호반에는 과거 레저랜드 시설인 "삼병 그린랜드"가 있었지만, 1986년 10월에 폐쇄되었다.[17]
6. 2. 등산
산록에는 동쪽, 서쪽, 북쪽의 완만한 지형이 펼쳐져 있으며, 각각을 연결하듯이 산 주변을 시마네현도 40호 가와모토 하타선, 시마네현도 30호 삼병산 공원선, 삼병산 제1고원도로, 삼병산 제2고원도로가 순환한다.[12]동쪽에는 오다시가 소유한 삼병 관광 리프트(연장 856m, 표고차 255m)가 있다.[13] 리프트 종점에서 태평산까지는 도보로 몇 분, 여삼병산까지는 도보로 20분이면 오를 수 있다. 하계에는 2만 명 전후(2020년에는 약 2만 5천 명)가 이용한다.[13] 과거에는 동계에도 산베 온천 스키장의 리프트로 사용되었지만, 스키장은 2009년에 폐쇄되었다. 2021년 11월 13일, 이이난정의 이이난 토탈 서포트가 새로운 운영 관리자가 되어 삼병 관광 리프트가 재개되었다.[14]
사진 작가 스도 에이이치는 서쪽의 원에 있는 초원이 신록의 봄부터 여름에 걸쳐 아름답고, 그 중에서도 최고의 볼거리라고 평했다. 또한, 서쪽의 원에는 에도 시대에 이정표로 심어진 흑송 "정의 소나무"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각각 한 그루씩 있었지만, 서쪽의 소나무는 2007년에 고사된 것이 확인되어 벌채되었고, 동쪽의 소나무도 2023년 6월에 고사된 것이 확인되었다.[15]
북쪽에는 시마네현립 삼병 자연관(사히메루)이나 국립 삼병 청소년 교류의 집 등의 사회 교육시설과 캠프장이 있다.
북쪽 기슭의 삼병정 다네아즈하라 지구에는 약 4000년 전의 활동으로 매몰된 거목군이 존재하며,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으로 국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삼나무를 중심으로 한 삼림이 그대로 매몰된 것으로, 큰 것은 높이 12m, 직경 2.5m를 넘는 줄기가 곧게 서 있다. 이 매몰림은 "삼병 콩아즈하라 매몰림 공원"으로 공개되어 있다.[4]
각 봉우리를 종주하는 등산로와, 무로노우치 화구로 내려가는 등산로 등이 정비되어 있다. 등산로는 4곳이 있으며, 등산로 입구와 산정까지의 표고차는 그다지 크지 않지만 각 산은 종 모양으로 경사가 강하고, 도중에 물이 없어 난이도는 낮지 않다고 여겨진다.[16] 남삼병산 산정에는 대피소인 삼병산정 산장이 있으며, 1500만원을 들여 2010년에 재건축되었다.[16] 산 개장은 매년 4월이며, 11월까지가 여름 산 시즌이다.[16] 북쪽의 원에는 비련의 전설로 유명한 히메노이케(姫逃池)가 있다.[4] 2008년에는 삼병산 일대에 6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했다.[16]
6. 3. 온천
산베산 기슭에는 산베 온천이 있다.참조
[1]
간행물
[2]
웹사이트
Sanbesan [-san be-san]
https://www.data.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4-01-09
[3]
뉴스
(三瓶博物誌)カルデラ 「丸いお盆」直径5キロ 中村唯史 /島根県
朝日新聞
2006-11-10
[4]
뉴스
山を歩けば<17> 三瓶山(島根県)
茨城新聞
2006-07-25
[5]
뉴스
三瓶火山 今度の噴火はいつ? 中村唯史(三瓶博物誌) /島根
朝日新聞
2004-09-03
[6]
뉴스
(しまねアングル)三瓶山の自然楽しむ 片道3時間、見どころ満載/島根県
朝日新聞
2015-05-15
[7]
문서
현지의 안내看板의 기재보다
[8]
문서
三瓶山の火山活動解説資料(平成 24 年 12 月)気象庁地震火山部 火山監視・情報センター 大阪管区気象台地震火山課
[9]
PDF
23)三瓶山火山
https://www.gsj.jp/d[...]
産業技術総合研究所
2016-03-09
[10]
PDF
79. 三瓶山
https://www.data.jma[...]
기상청
2016-03-09
[11]
뉴스
(スローに楽しむ 新・日本百名山)三瓶山 歴史漂う山陰の代表格 岩崎元郎
朝日新聞
2005-07-06
[12]
웹사이트
大田ふるさと学習 わたしたちの三瓶山
https://www.city.oda[...]
大田市教育委員会
2023-12-12
[13]
웹사이트
三瓶山の観光リフト8月1日から運休へ
https://www.sanin-ch[...]
山陰中央新報
2021-07-22
[14]
웹사이트
三瓶観光リフト、13日から運行再開 初日は無料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11-13
[15]
웹사이트
樹齢400年超「定めの松」枯死 大田市の天然記念物指定解除へ
https://www.sanin-ch[...]
山陰中央新報
2023-12-12
[16]
뉴스
(タロウの現場へGO!)急斜面の先、絶景 夏の三瓶山ぐるり縦走 /島根県
朝日新聞
2009-08-05
[17]
웹사이트
いわみ見・聞・想 第1部 三瓶山の50年 <1>三瓶グリーンランド跡
https://web.archive.[...]
読売オンライン
2015-10-01
[18]
문서
다이만지산, 다쿠히산 등이 대표적이다.
[19]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20]
문서
소멸된 판
[21]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