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레시오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레시오회는 18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성 요한 보스코에 의해 창립된 교황청립 성직 수도회이다.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 활동을 펼치며, 2018년 기준 전 세계 132개국에서 15,6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 두 번째로 큰 남자 수도회이다. 살레시오회는 예방교육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교육하며, 학교, 쉼터, 기술 교육 센터 등을 운영한다. 또한, 출판, 선교 활동, 살레시오 청소년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로마에 살레시오 교황청립대학교를 두고 있다. 그러나 아동 성 학대 스캔들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레시오회 - 도미니코 사비오
도미니코 사비오는 19세기 이탈리아 소년으로 요한 보스코의 제자이자 살레시오회 학생이었으며, 깊은 신앙심과 성덕으로 가톨릭교회의 성인으로 시성되었고, 특히 순교 없이 성덕으로 성인이 된 가장 어린 성인 중 한 명으로 청소년과 학생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살레시오회 - 요한 보스코
요한 보스코는 이탈리아 출신의 사제이자 교육자로, 가난한 소년들을 위한 사목 활동과 청소년 교육에 헌신하며 살레시오회와 마리아 도움의 딸들 수녀회를 설립했고, 청소년, 가톨릭 출판업자, 마술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숭배받고 있다.
살레시오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창립일 | 1859년 12월 18일 |
창립자 | 요한 보스코 |
설립 장소 | 발도코, 토리노 |
유형 | 교황청립 성직자 수도회 |
본부 | Sacro Cuore di Gesù a Castro Pretorio 로마, 이탈리아 |
회원수 | 14,614명 (주교 128명, 사제 14,056명, 수련자 430명) |
회원수 기준 년도 | 2022년 |
총장 | 앙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 SDB |
총장 대리 | 프란체스코 체레다, SDB |
웹사이트 | 살레시오회 공식 웹사이트 |
별칭 |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로고 | |
일본어 창립일 | 1859년 12월 18일 |
일본어 창립자 | 聖요한 보스코 |
일본어 유형 | 가톨릭교회의 수도회 |
일본어 목적 | 사도적 활동에 전념 |
일본어 회원수 | 15,298명 (수련자와 주교 제외 14,731명) |
일본어 회원수 기준 년도 | 2014년 |
일본어 웹사이트 | 살레시오회 일본 공식 웹사이트 |
언어별 명칭 | |
2. 역사
살레시오회는 요한 보스코 성인(St. John Bosco, 1815~1888)에 의해 18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창립된 교황청립 성직 수도회이다.[12] 창립자 성 요한 보스코는 프란치스코 살레스의 단순한 영성과 친절의 철학에 감탄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를 설립했다.[2] 1845년, 요한 보스코 신부는 현재 토리노 시에 속한 발도코에 소년들을 위한 야간학교를 열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여러 학교를 더 열었고, 1857년에는 조력자들을 위한 규칙들을 만들었다.
19세기 후반 리소스르지멘토(Risorgimento)와 산업혁명 속에서 방치되는 청소년들의 현실에 직면하여, 그는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1869년에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다.[13]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 비오 9세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아 교황 직속 수도회가 되었다.[14]
요한 보스코는 청소년에게 친구이자 아버지처럼 다가갔으며, 청소년들과의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보스코 신부님'이라는 명칭 대신에 '돈 보스코'라고 불리기를 원했다. '돈 보스코의 살레시안'으로 불리는 살레시오 회원들은 예방교육에 따라 이성, 종교, 사랑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정직한 시민과 착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시키며, 궁극적으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하고자 활동한다.
수도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공식적으로 인정된 지 1년 만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에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수도회의 공식 간행물인 ''살레시오 회보''는 1877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살레시오회는 오스트리아, 영국, 스페인, 그리고 남아메리카 여러 나라로 확장되었다. 1888년 보스코 신부의 죽음은 수도회의 성장을 늦추지 않았다. 살레시오회는 1892년 멕시코에 첫 기관을 설립했고,[3] 1894년에는 포르투갈에 도착했다.[4] 1911년까지 살레시오회는 콜롬비아,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튀니지, 베네수엘라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설립되었다.
현재 살레시오회의 본부는 로마(Roma)에 있으며, 요한 보스코의 이상을 이어받아 전 세계에서 청소년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15] 2018년 기준으로, 전세계 132개 국가에서 15,60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들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남자 수도회가 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2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태석 신부' 등의 유명한 인물들이 있다.
2. 1. 창립 배경
살레시오회는 요한 보스코 성인(St. John Bosco, 1815~1888)에 의해 18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창립된 교황청립 성직 수도회이다.[12] 창립자 성 요한 보스코는 프란치스코 살레스의 단순한 영성과 친절의 철학에 감탄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를 설립했다.[2] 1845년, 요한 보스코 신부는 현재 토리노 시에 속한 발도코에 소년들을 위한 야간학교를 열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여러 학교를 더 열었고, 1857년에는 조력자들을 위한 규칙들을 만들었다.
19세기 후반 리소스르지멘토(Risorgimento)와 산업혁명 속에서 방치되는 청소년들의 현실에 직면하여, 그는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1869년에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다.[13]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 비오 9세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아 교황 직속 수도회가 되었다.[14]
요한 보스코는 청소년에게 친구이자 아버지처럼 다가갔으며, 청소년들과의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보스코 신부님'이라는 명칭 대신에 '돈 보스코'라고 불리기를 원했다. '돈 보스코의 살레시안'으로 불리는 살레시오 회원들은 예방교육에 따라 이성, 종교, 사랑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정직한 시민과 착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시키며, 궁극적으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하고자 활동한다.
수도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공식적으로 인정된 지 1년 만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에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수도회의 공식 간행물인 ''살레시오 회보''는 1877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살레시오회는 오스트리아, 영국, 스페인, 그리고 남아메리카 여러 나라로 확장되었다. 1888년 보스코 신부의 죽음은 수도회의 성장을 늦추지 않았다. 살레시오회는 1892년 멕시코에 첫 기관을 설립했고,[3] 1894년에는 포르투갈에 도착했다.[4] 1911년까지 살레시오회는 콜롬비아,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튀니지, 베네수엘라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설립되었다.
현재 살레시오회의 본부는 로마(Roma)에 있으며, 요한 보스코의 이상을 이어받아 전 세계에서 청소년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15] 2018년 기준으로, 전세계 132개 국가에서 15,60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들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남자 수도회가 되었다. 대한민국에는 12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태석 신부' 등의 유명한 인물들이 있다.
2. 2. 초기 활동
살레시오회는 1859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요한 보스코(St. John Bosco, 1815~1888) 성인에 의해 창립된 교황청립 성직수도회이다.[2] 창립자 성 요한 보스코의 가르침에 따라 청소년, 특히 가난하고 어려운 처지의 청소년들을 교육한다. 살레시오회는 창립자가 남긴 예방교육이라 불리는 교육학으로 청소년들의 신앙 여정을 동반하며, 교육자와 아이들이 함께 성인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한다.
1845년, 요한 보스코 신부( "돈"은 이탈리아에서 신부를 부르는 전통적인 경칭임)는 현재 토리노 시에 속한 발도코에 소년들을 위한 야간학교를 열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여러 학교를 더 열었고, 1857년에는 조력자들을 위한 규칙들을 만들었다. 프란치스코 살레스의 단순한 영성과 친절의 철학에 감탄하여 1859년 그의 이름을 따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를 설립했다.[2]
이 규칙은 1873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의 규칙으로 최종 승인되었다. 이 수도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수도회가 공식적으로 인정된 지 1년 만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에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수도회의 공식 간행물인 ''살레시오 회보''는 1877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아 교황 직속 수도회가 되었다.[14]
그 후 10년 동안 살레시오회는 오스트리아, 영국, 스페인, 그리고 남아메리카 여러 나라로 확장되었다. 1888년 보스코 신부의 죽음은 수도회의 성장을 늦추지 않았다. 살레시오회는 1892년 멕시코에 첫 기관을 설립했고,[3] 1894년에는 포르투갈에 도착했다.[4] 1911년까지 살레시오회는 콜롬비아,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튀니지, 베네수엘라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설립되었다.
창립자 요한 보스코(Giovanni Bosco)는 1815년 8월 16일, 피에몬테주(Piemonte) 카스텔누오보 돈 보스코(Castelnuovo Don Bosco) 외곽 베키(Becchi) 마을에서 태어났다. 1835년부터 1841년까지 키엘리(Chieri)의 대신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후, 당시 사르데냐 왕국(Regno di Sardegna)의 수도 토리노(Torino)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요한 보스코는 19세기 후반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와 산업혁명 속에서 방치되는 청소년들의 현실에 직면하여,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 학교 사업과 사회 사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인도했다.
현재 살레시오회의 본부는 로마(Roma)에 있으며, 요한 보스코의 이상을 이어받아 전 세계에서 청소년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15] 2018년 기준으로, 전세계 132개 국가에서 15,60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들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남자수도회가 되었다. 살레시오 회원은 ‘돈 보스코의 살레시안’으로 불리며, 예방교육에 따라 이성, 종교, 사랑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정직한 시민과 착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시키며, 궁극적으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하고자 활동하는 청소년교육수도회 수도자이다. 대한민국에는 12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원선오 신부', '이태석 신부' 등의 유명한 인물들이 있다.
2. 3. 교황청 인가와 확장
1845년, 요한 보스코 신부( "돈"은 이탈리아에서 신부를 부르는 전통적인 경칭임)는 현재 토리노 시에 속한 발도코에 소년들을 위한 야간학교를 열었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여러 학교를 더 열었고, 1857년에는 조력자들을 위한 규칙들을 만들었다. 프란치스코 살레스의 단순한 영성과 친절의 철학에 감탄하여 1859년 그의 이름을 따서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를 설립했다.[2]
1869년에 교황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고,[13] 1874년 4월 3일, 살레시오회의 회헌이 교황 비오 9세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아 교황 직속 수도회가 되었다.[14] 이 규칙은 1873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성 프란치스코 살레스 수도회의 규칙으로 최종 승인되었다. 이 수도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수도회가 공식적으로 인정된 지 1년 만에 프랑스와 아르헨티나에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수도회의 공식 간행물인 ''살레시오 회보''는 1877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그 후 10년 동안 살레시오회는 오스트리아, 영국, 스페인, 그리고 남아메리카 여러 나라로 확장되었다. 1888년 보스코 신부의 죽음은 수도회의 성장을 늦추지 않았다. 살레시오회는 멕시코에 도착하여 1892년 첫 기관을 설립했고,[3] 1894년에는 포르투갈에 도착했다.[4] 1911년까지 살레시오회는 콜롬비아,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튀니지, 베네수엘라 및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설립되었다.
창립자 요한 보스코는 1815년 8월 16일, 피에몬테주(Piemonte) 카스텔누오보 돈 보스코(Castelnuovo Don Bosco) 외곽 베키(Becchi) 마을에서 태어났다. 1835년부터 1841년까지 키엘리(Chieri)의 대신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한 후, 당시 사르데냐 왕국(Regno di Sardegna)의 수도 토리노(Torino)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19세기 후반 리소스르지멘토(Risorgimento)와 산업혁명 속에서 방치되는 청소년들의 현실에 직면하여, 가장 가난한 청소년들을 위해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다.[12] 학교 사업과 사회 사업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인도했다.
현재 살레시오회의 본부는 로마(Roma)에 있으며, 요한 보스코의 이상을 이어받아 전 세계에서 청소년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15] 살레시오회는 15600명의 회원들이 전세계 132개 나라에서 청소년 교육활동을 펼치고 있다. 살레시오 수도회는 2018년 기준으로, 전세계 132개 국가에서 15,600여명의 살레시오 회원들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남자수도회가 되었다.
2. 4. 현대
살레시오회는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132개 국가에서 15,600여 명의 살레시오 회원들이 활동하는 가톨릭 교회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남자 수도회이다.[5] 2023년 현재 살레시오회 회원들은 130개국 이상에 퍼져있다.[5] 살레시오 회원은 ‘돈 보스코의 살레시안’으로 불리며, 예방교육에 따라 이성, 종교, 사랑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정직한 시민과 착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시키며, 궁극적으로 그들의 영혼을 구원하고자 활동하는 청소년 교육 수도회 수도자이다. 창립자 요한 보스코 성인처럼 청소년들에게 하느님 사랑의 전달자요 표징으로서 머물기를 원하는 살레시오회 사제와 수사들은 살레시오 가족들을 포함하여 세상 곳곳에서 40만 명이 활동하고 있다.대한민국에는 120여 명의 살레시오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태석 신부등의 유명한 인물들이 있다.
3. 한국에서의 활동
살레시오회는 일제강점기인 1926년 라벤나 출신의 빈첸초 치마티 신부를 단장으로 하는 선교사단이 미야자키에 도착하면서 일본에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보다 늦게 활동을 시작했다.
1928년 일본에서 출판 사업을 위해 돈 보스코사(ドン・ボスコ社)를 설립하였다. 1932년에는 노인과 고아를 위한 미야자키 구호원(후의 카리타스의 원)을 개설하였다. 1933년 미야자키 신학교(후의 히유가가쿠엔 중고등학교)를, 1934년 도쿄 육영공예학교(후의 살레시오 공업고등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 1937년 살레시오회 일본관구가 인가되었고, 미야자키 카리타스 수녀회(현: 예수의 카리타스 수녀회) 설립을 거쳤다.
1946년 전쟁 고아 구제를 위해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후의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 중학교), 도쿄 살레시오 학원(살레시오 초등학교·중학교)을 개설하였다. 1950년 오사카 세이코가쿠인 중고등학교, 1960년 메구로 살레시오 중고등학교(후의 살레시오 학원 중고등학교)를 설립하여 특색 있는 중고 일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교회 운영에서는 가톨릭 도쿄대교구로부터 이즈미야(「언젠가 살레시오 교회에서」 촬영지)·조후·시모이구사·사기누마·아다치·미카와시마를 맡고 있다.
1872년 요한 보스코와 성 마리아 마자렐로에 의해 설립된 여자 수도회인 살레시오 수녀회(보조자 성모회)는 1929년 미야자키에 보조자 성 마리아 수도원을, 1940년 도쿄에 세이비 학원을 설립하여 가톨릭 정신에 기반한 폭넓은 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도쿄도 조후시의 가톨릭 조후 교회에 인접한 조후 살레시오 신학교 내에 가에타노 콤프리 신부가 관장을 맡고 있는 「치마티 자료관」이 있다.
2018년 현재 일본 관구장은 사도 야고부 하마구치 히데아키 신부이다.[16] 프란체스코 하비에르 미조베 오사무 주교, 마리오 야마노우치 토시아키 주교는 살레시오회 회원이다.[17][18]
3. 1. 선교 초기
1926년 라벤나 출신의 가톨릭 사제 빈첸초 치마티(Vincenzo Cimatti) 신부를 단장으로 하는 선교사단이 미야자키(宮崎)에 도착하면서 살레시오회의 일본 선교가 시작되었다.[16]1928년 출판 사업을 위해 돈 보스코사(ドン・ボスコ社)를 설립하였다. 1932년에는 노인과 고아를 위한 미야자키 구호원(후의 카리타스의 원(カリタスの園))을 개설하였다. 1933년 미야자키 신학교(후의 히유가가쿠엔 중고등학교(日向学院中学校・高等学校))를, 1934년 도쿄 육영공예학교(후의 살레시오 공업고등전문학교(サレジオ工業高等専門学校))를 설립하였다. 1937년 살레시오회 일본관구 인가를 받았다.[16]
1946년 전쟁 고아 구제를 위해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후의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 중학교(中津ドン・ボスコ学園中学校)), 도쿄 살레시오 학원(東京サレジオ学園)(살레시오 초등학교·중학교(サレジオ小学校・中学校))을 개설하였다. 1950년 오사카 세이코가쿠인 중고등학교(大阪星光学院中学校・高等学校), 1960년 살레시오 학원 중고등학교(サレジオ学院中学校・高等学校)를 설립하여 특색 있는 중고 일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16]
또한 가톨릭 도쿄대교구로부터 이즈미야(碑文谷)(「언젠가 살레시오 교회에서(いつかサレジオ教会で)」 촬영지)·조후(調布)·시모이구사(下井草)·사기누마(鷺沼)·아다치(足立)·미카와시마(三河島)의 운영을 맡고 있다.[16]
1872년 요한 보스코와 성 마리아 마자렐로(マリア・マザレロ)에 의해 설립된 여자 수도회인 살레시안 시스터즈(サレジアン・シスターズ)(보조자 성모회(扶助者聖母会))는 1929년 미야자키에 보조자 성 마리아 수도원(扶助者聖マリア修道院)을, 1940년에는 도쿄에 세이비 학원(星美学園)을 설립하여 가톨릭 정신에 기반한 폭넓은 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16]
도쿄도 조후시의 가톨릭 조후 교회(가톨릭 도쿄대교구)에 인접한 조후 살레시오 신학교(신학원(神学院)) 내에, 가에타노 콤프리(ガエタノ・コンプリ) 신부가 관장을 맡고 있는 「치마티 자료관(チマッティ資料館)」이 있다.[16]
2018년 현재 일본 관구장은 사도 야고보 하마구치 히데아키(使徒ヤコブ濱口秀昭) 신부이다.[16] 가톨릭 센다이 교구 및 가톨릭 다카마쓰 교구 교구장이었던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미조베 오사무(フランシスコ・ザビエル溝部脩) 주교,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의 마리오 야마노우치 토시아키(マリオ山野内倫昭) 주교는 살레시오회 회원이다.[17][18]
3. 2. 교육 사업
1926년 빈첸초 치마티(Vincenzo Cimatti) 신부를 단장으로 하는 선교사단이 미야자키에 도착하면서 일본에서의 활동이 시작되었다.[16] 1932년 노인과 고아를 위한 미야자키 구호원(후의 카리타스의 원)을 개설하였다.[16] 1933년에는 미야자키 신학교(후의 히유가가쿠엔 중고등학교)를,[16] 1934년에는 도쿄 육영공예학교(후의 사레시오 공업고등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16] 1946년 전쟁 고아 구제를 위해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후의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 중학교), 도쿄 사레시오 학원(사레시오 소학교·중학교)을 개설하였다.[16] 1950년에는 오사카 세이코가쿠인 중고등학교를,[16] 1960년에는 메구로 사레시오 중고등학교(후의 사레시오 학원 중고등학교)를 설립하여[16] 특색 있는 중고 일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자매회인 사레지안 시스터즈(보조자 성모회)는 1929년 미야자키에 보조자 성 마리아 수도원을, 1940년에는 도쿄에 세이비 학원을 설립하여 가톨릭 정신에 기반한 폭넓은 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16]
3. 3. 본당 사목 및 기타 활동
1926년 빈첸초 치마티 신부를 단장으로 하는 선교사단이 미야자키에 도착하면서 일본에서의 활동이 시작되었다.[16] 1937년 사레시오회 일본관구가 인가되었다.[16]1928년 출판 사업을 위해 돈 보스코사를 설립하고, 1932년 노인과 고아를 위한 미야자키 구호원(후의 카리타스의 원)을 개설하였다.[16] 1933년 미야자키 신학교(후의 휴가 학원 중고등학교)를, 1934년 도쿄 육영공예학교(후의 살레시오 공업고등전문학교)를 설립하였다.[16] 1946년 전쟁 고아 구제를 위해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후의 나카츠 돈 보스코 학원 중학교), 도쿄 사레시오 학원(살레시오 초등학교·중학교)을 개설하였다.[16] 1950년 오사카 세이코 학원 중고등학교, 1960년 메구로 사레시오 중고등학교(후의 살레시오 학원 중고등학교)를 설립하였다.[16]
교회 운영에서는 가톨릭 도쿄 대교구로부터 이즈미야(「언젠가 사레시오 교회에서」 촬영지)·조후·시모이구사·사기누마·아다치·미카와시마를 맡고 있다.[16]
1872년 요한 보스코와 마리아 마자렐로에 의해 설립된 여자 수도회인 살레시오 수녀회(보조자 성모회)는 1929년 미야자키에 보조자 성 마리아 수도원을, 1940년 도쿄에 세이비 학원을 설립하였다.[16]
도쿄도 조후시의 가톨릭 조후 교회에 인접한 조후 사레시오 신학교 내에 가에타노 콤프리 신부가 관장을 맡고 있는 「치마티 자료관」이 있다.[16]
2018년 현재 일본 관구장은 사도 야고부 하마구치 히데아키 신부이다.[16] 프란체스코 하비에르 미조베 오사무 주교, 마리오 야마노우치 토시아키 주교는 살레시오회 회원이다.[17][18]
3. 4. 한국 살레시오회 출신 주요 인물
알폰스 마리아 스티클러(Alfons Maria Stickler), 안젤로 아마토(Angelo Amato), 안토니오 마리아 하비에레 오르타스(Antonio María Javierre Ortas), 조반니 칼리에로(Giovanni Cagliero), 이냐시오 벨라스코(Ignacio Velasco), 요셉 젠 쩌키운(Joseph Zen Ze-kiun), 미겔 오반도 이 브라보(Miguel Obando y Bravo), 오스카르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마라디아가(Óscar Andrés Rodríguez Maradiaga), 라울 실바 헨리케스(Raúl Silva Henríquez), 라파엘레 파리나(Raffaele Farina), 로살리오 호세 카스티요 라라(Rosalio José Castillo Lara), 슈테판 트로흐타(Štěpán Trochta), 타르치시오 베르토네(Tarcisio Bertone)는 추기경이다. 카를로 브라가(Carlo Braga), 하비에르 데 니콜로(Javier de Nicoló),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Jean-Bertrand Aristide), 이태석(John Lee Tae-seok), 마시모 팔롬벨라(Massimo Palombella)는 사제이다. 카를루스 필리페 시메네스 벨루(Carlos Filipe Ximenes Belo), 루카스 반 루이(Lucas Van Looy), 슈테판 치밀(Stefan Czmil), 브로더릭 파비요(Broderick Pabillo), 레오 드로나(Leo M. Drona), 빈첸초 사비오(Vincenzo Savio)는 주교였다.
프란체스코 하비에르 미조베 오사무(フランシスコ・ザビエル溝部脩) 주교,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カトリックさいたま教区)의 마리오 야마노우치 토시아키(マリオ山野内倫昭) 주교는 살레시오회 회원이다.[17][18]
4. 조직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는 총장과 수도회 총회의 지휘를 받으며, 94개의 지리적 관구는 각각 관구장이 이끌고 있다. 이러한 직책은 6년 임기이며, 총장과 총회 구성원은 6년마다 또는 총장 사망 시에 소집되는 총회에서 선출된다. 각 지역 살레시오 공동체는 3년 임기의 수장인 관장(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관장"이라고 함)이 이끌며, 3년 임기를 한 번 더 연임할 수 있다.[8][9]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살레시오회 총장은 안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Ángel Fernández Artime) 신부(후에 추기경이 됨)였다.[8][9]
4. 1. 역대 총장
돈 보스코 살레시오회는 총장과 수도회 총회의 지휘를 받으며, 94개의 지리적 관구는 각각 관구장이 이끌고 있다. 이러한 직책은 6년 임기이며, 총장과 총회 구성원은 6년마다 또는 총장 사망 시에 소집되는 총회에서 선출된다. 각 지역 살레시오 공동체는 3년 임기의 수장인 관장(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관장"이라고 함)이 이끌며, 3년 임기를 한 번 더 연임할 수 있다.[8][9]2014년부터 2024년까지 살레시오회 총장은 안헬 페르난데스 아르티메(Ángel Fernández Artime) 신부(후에 추기경이 됨)였다.[8][9]
5. 상징
살레시오회의 문장은 보이디 교수가 디자인했으며, 돈 보스코의 회람 공문을 통해 1885년 12월 8일에 처음 공개되었다.[6] 빛나는 별, 큰 닻, 불타는 심장은 신앙, 희망, 사랑의 신학적 덕목을 상징한다.[6] 성 프란체스코 살레스의 모습은 수도회의 수호성인을 나타낸다.[6] 아래쪽 작은 나무는 수도회 창립자를, 높은 산은 회원들이 추구하는 완덕의 경지를 상징한다.[6] 방패 양쪽을 감싸고 있는 야자수와 월계수는 덕이 있고 희생적인 삶을 위한 상으로 마련된 것을 상징한다.[6] 맨 아래에는 "Da mihi animas, caetera tolle"("영혼을 주시고, 다른 것은 가져가소서")라는 표어가 새겨져 있다.[6]
살레시오회 로고는 독일과 브라질 관구의 로고 요소들을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돈 보스코와 살레시오회는 젊은이들과 함께 세상을 걸어갑니다."라는 중심 주제로 디자인되었다.[7] 로마의 리토스(Litos) 회사 디자이너 파브리치오 에밀리(Fabrizio Emigli)가 두 로고를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7]
배경에는 살레시오회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구본이 있고, 지구본 안에는 흰색으로 스타일리쉬하게 처리된 "S"자가 뱀처럼 구불구불한 길을 닮은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이는 젊은이들을 위한 교육 여정을 상징한다.[7]
전경에는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있는데, 세 개의 수직 다리가 서로 겹쳐져 있으며 그 위에 세 개의 닫힌 원이 있어 세 사람을 형상화하고 있다.[7] 가운데 있는 한 사람은 다른 두 사람보다 키가 크며 화살촉을 이루고, 다른 두 사람은 마치 중앙 인물에게 포옹당하는 것처럼 보인다.[7] 이 세 인물은 젊은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성 요한 보스코와 그의 사업을 계속하도록 살레시오회에 대한 그의 부름을 나타낸다.[7]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세 인물은 경사진 지붕과 그것을 지탱하는 세 개의 기둥이 있는 집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성 요한 보스코의 이성, 종교, 자애로운 친절의 교육 방식을 나타낸다.[7]
5. 1. 문장
살레시오회의 문장은 보이디 교수가 디자인했으며, 돈 보스코의 회람 공문을 통해 1885년 12월 8일에 처음 공개되었다.[6] 빛나는 별, 큰 닻, 불타는 심장은 신앙, 희망, 사랑의 신학적 덕목을 상징한다.[6] 성 프란체스코 살레스의 모습은 수도회의 수호성인을 나타낸다.[6] 아래쪽 작은 나무는 수도회 창립자를, 높은 산은 회원들이 추구하는 완덕의 경지를 상징한다.[6] 방패 양쪽을 감싸고 있는 야자수와 월계수는 덕이 있고 희생적인 삶을 위한 상으로 마련된 것을 상징한다.[6] 맨 아래에는 "Da mihi animas, caetera tolle"("영혼을 주시고, 다른 것은 가져가소서")라는 표어가 새겨져 있다.[6]5. 2. 로고
살레시오회 로고는 독일과 브라질 관구의 로고 요소들을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돈 보스코와 살레시오회는 젊은이들과 함께 세상을 걸어갑니다."라는 중심 주제로 디자인되었다.[7] 로마의 리토스(Litos) 회사 디자이너 파브리치오 에밀리(Fabrizio Emigli)가 두 로고를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했다.[7]
배경에는 살레시오회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구본이 있고, 지구본 안에는 흰색으로 스타일리쉬하게 처리된 "S"자가 뱀처럼 구불구불한 길을 닮은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이는 젊은이들을 위한 교육 여정을 상징한다.[7]
전경에는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있는데, 세 개의 수직 다리가 서로 겹쳐져 있으며 그 위에 세 개의 닫힌 원이 있어 세 사람을 형상화하고 있다.[7] 가운데 있는 한 사람은 다른 두 사람보다 키가 크며 화살촉을 이루고, 다른 두 사람은 마치 중앙 인물에게 포옹당하는 것처럼 보인다.[7] 이 세 인물은 젊은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성 요한 보스코와 그의 사업을 계속하도록 살레시오회에 대한 그의 부름을 나타낸다.[7] 위쪽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세 인물은 경사진 지붕과 그것을 지탱하는 세 개의 기둥이 있는 집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는 성 요한 보스코의 이성, 종교, 자애로운 친절의 교육 방식을 나타낸다.[7]
6. 활동
살레시오회 공동체는 주로 노숙하거나 위험에 처한 청소년들을 위한 쉼터, 학교,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기술, 직업 및 언어 교육 센터, 소년 클럽 및 지역 사회 센터를 운영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본당 교회를 운영하기도 한다. 살레시오회는 출판 및 기타 공공 커뮤니케이션 활동뿐만 아니라 선교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시베리아 - 야쿠츠크 지역),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야노마미)에서 활동하고 있다. '살레시오 회보'는 현재 30개 언어로 52개의 판을 발행하고 있다.
1988년 살레시오회는 살레시오 청소년 운동을 설립했다. 1990년대에는 고등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 58개가 넘는 대학과 대학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살레시오회의 공식 대학교는 로마에 있는 살레시오 교황청립대학교이다.
살레시오회가 설립한 여러 학교와 교회들이 아동 성 학대 스캔들의 중심에 있었는데, 여기에는 플로리다주 템파의 마리아 보좌 성당도 포함된다.[10] 지속적인 성폭행 소송 및 합의로 인해 여러 기숙학교가 폐쇄되었다.[10]
7. 비판과 논란
살레시오회는 노숙 청소년이나 위기에 처한 청소년을 위한 쉼터, 학교,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기술, 직업, 언어 교육 센터, 청소년 클럽, 지역 사회 센터 등을 운영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본당 교회를 운영하기도 한다. 살레시오회는 출판 및 기타 공공 커뮤니케이션 활동, 선교 활동에도 적극적이며, 특히 아시아(시베리아 야쿠츠크 지역),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야노마미)에서 활동하고 있다. '살레시오 회보'는 현재 30개 언어로 52개 판이 발행되고 있다.
1988년 살레시오회는 살레시오 청소년 운동을 설립했다. 1990년대에는 고등 교육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 58개가 넘는 대학과 대학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살레시오회의 공식 대학교는 로마에 있는 살레시오 교황청립대학교이다.
살레시오회가 설립한 여러 학교와 교회들이 아동 성 학대 스캔들의 중심에 있었으며, 플로리다주 템파의 마리아 보좌 성당도 포함된다.[10] 지속적인 성폭행 소송 및 합의로 인해 여러 기숙학교가 폐쇄되었다.[10]
참조
[1]
CathEncy
The Salesian Society
2015-01-16
[2]
웹사이트
Salesians of Don Bosco, Province of St. Philip the Apostle
https://salesians.or[...]
[3]
웹사이트
Coming to America: The Man Who Led the Way
http://www.donboscow[...]
Salesians of Don Bosco in the United States (USA West Province)
[4]
웹사이트
125 anos da chegada dos Salesianos a Portugal
https://www.salesian[...]
[5]
웹사이트
Salesian Missions
https://salesianmiss[...]
[6]
웹사이트
Coat of Arms
https://www.sdb.org/[...]
[7]
웹사이트
Logo
https://www.sdb.org/[...]
[8]
웹사이트
Salesians' new leader worked with Bergoglio in Argentina
https://www.catholic[...]
[9]
웹사이트
Rector Major
https://www.sdb.org/[...]
[10]
웹사이트
Lawsuit filed in Tampa documents child sex abuse case at defunct Catholic school
https://www.tampabay[...]
2019-12-22
[11]
웹사이트
http://donboscoindia[...]
2022-05-00
[12]
서적
ドン・ボスコ
ドン・ボスコ社
1980-12-08
[13]
서적
葡萄畑から遠い道―ドン・ボスコの生涯
春秋社
1987-09-30
[14]
서적
葡萄畑から遠い道―ドン・ボスコの生涯
春秋社
1987-09-30
[15]
웹사이트
創立者ドン・ボスコとサレジオ会の歩み
http://salesians.jp/[...]
2020-02-12
[16]
웹사이트
使徒ヤコブ 濱口秀昭新管区長 就任式行われる
http://salesians.jp/[...]
2020-02-12
[17]
웹사이트
カトリック高松司教区
http://www.cbcj.cath[...]
[18]
웹사이트
さいたま教区に新司教誕生 ひとつの神の家族をめざして
http://www.cwjpn.com[...]
カトリック新聞
2020-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