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코트디부아르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92년, 2015년,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했다. FIFA 월드컵에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3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주요 선수로는 디디에 드로그바, 야야 투레 등이 있으며, 역대 최다 출전 선수는 디디에 조코라, 최다 득점 선수는 디디에 드로그바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 아델 타랍
    모로코 출신 축구 선수 아델 타랍은 뛰어난 드리블과 패싱 능력을 가진 공격형 미드필더로, 프랑스 유소년 대표를 거쳐 모로코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RC 랑스, 토트넘 홋스퍼, 퀸즈 파크 레인저스(QPR), AC 밀란, SL 벤피카 등 유럽 여러 클럽에서 활동했고, 특히 QPR 시절 챔피언십 우승과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
  •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 유수프 하지
    유수프 하지는 프랑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AS 낭시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클럽을 거쳐 모로코 국가대표팀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했고, 리그 2 우승과 득점왕을 기록했다.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코트디부아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코트디부아르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진출하고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3위(2014년), WAFU B 지역 여자 컵 준우승(2018년, 2019년)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클레망틴 투레가 2010년부터 감독을 맡고 있다.
  • 코트디부아르의 축구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코트디부아르에서 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아비장과 부아케에서 개최되어 카메룬이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집트의 타헤르 아부제이드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
별칭레 엘레팡 (Les Éléphants, 코끼리들)
협회Ivorian Football Federation
하위 연맹WAFU (서아프리카)
대륙 연맹CAF (아프리카)
웹사이트fifciv.com
감독에메르스 파에
주장세르주 오리에
최다 출전 선수디디에 조코라 (123)
최다 득점 선수디디에 드로그바 (65)
홈 경기장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
FIFA 트리그램CIV
FIFA 랭킹38
FIFA 최고 랭킹12
FIFA 최고 랭킹 기록일2013년 2월, 2013년 4월 ~ 5월
FIFA 최저 랭킹75
FIFA 최저 랭킹 기록일2004년 3월 ~ 5월
Elo 랭킹42
Elo 최고 랭킹10
Elo 최고 랭킹 기록일2013년 1월 26일
Elo 최저 랭킹70
Elo 최저 랭킹 기록일1996년 10월 6일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주황색
원정 유니폼 색상흰색
첫 경기 정보
첫 경기코트디부아르 3–2 다호메이 (마다가스카르, 1960년 4월 13일)
최대 점수차 승리코트디부아르 11–0 중앙아프리카 (아비장, 코트디부아르; 1961년 12월 27일)
최대 점수차 패배네덜란드 5–0 코트디부아르 (로테르담, 네덜란드; 2017년 6월 4일)
월드컵 정보
월드컵 출전 횟수3
첫 월드컵 출전2006년
월드컵 최고 성적조별 리그 (2006년, 2010년, 201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정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횟수25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196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고 성적우승 (1992년, 2015년,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정보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출전 횟수5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출전200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최고 성적3위 (2016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정보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 횟수1
첫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1992년
컨페더레이션스컵 최고 성적4위 (1992년)

2. 역사

코트디부아르는 1992년 대회에서 가나를 승부차기 끝에 11-10으로 꺾고 첫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는 카메룬을 제치고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아르헨티나, 네덜란드에 패하여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월드컵 첫 승을 기록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포르투갈과 0-0 무승부, 브라질에 1-3 패배, 북한에 3-0 승리를 기록했지만 1승 1무 1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일본에 2-1 승리를 거두었으나, 콜롬비아그리스에 패하며 1승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1992년과 마찬가지로 가나를 승부차기 끝에 9-8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2018년 FIFA 월드컵2022년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는 탈락했다.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3위를 기록했지만,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진출하여 세네갈, 말리, 콩고민주공화국을 차례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세바스티앵 할러의 결승골에 힘입어 2-1로 승리하며 세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2]

2. 1. 초기 (1960년대 ~ 1980년대)

코트디부아르는 1960년 4월 13일 마다가스카르에서 다호메이(현 베냉)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11-0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196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처음 참가했다. 프랑스에서 독립한 후에는 1965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아프리카 축구의 신흥 강자로 떠올랐다.

1970년대 코트디부아르의 성적은 기복이 있었다.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조 1위를 차지했지만, 준결승에서 가나에게 패하고, 3·4위전에서 아랍연합공화국(현재 이집트)에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최종 예선에서 콩고-브라자빌에 패하며 진출하지 못했다. 197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진출했지만 조 최하위에 그쳤고, 197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다시 한번 1차 예선에서 콩고-브라자빌(현재 콩고 공화국)에 패하며 진출하지 못했다.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말리를 꺾고 진출을 확정지었지만, 자격 없는 선수를 출전시켜 실격 처리되었다. 말리 또한 1차전에서 경찰과 경기장 보안 요원이 심판들을 폭행하는 사건으로 인해 실격되었고, 코트디부아르가 1차 예선에서 이겼던 상볼타가 대신 진출하게 되었다.

2. 2. 전성기 (1990년대 ~ 2010년대)

1992년 대회에서는 가나를 승부차기 끝에 11-1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12]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는 카메룬을 제치고 본선에 처음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아르헨티나, 네덜란드에 패하여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3-2로 꺾고 첫 승리를 거두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첫 경기에서 포르투갈과 0-0으로 비겼고, 브라질전에서는 1-3으로 패했다. 북한전에서는 3-0으로 승리했지만, 1승 1무 1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4년 FIFA 월드컵에서는 첫 경기에서 일본을 2-1로 이겼지만, 콜롬비아그리스에 패하며 1승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1992년 우승 당시와 마찬가지로 가나를 승부차기 끝에 9-8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2] --

2. 3. 최근 (2018년 ~ 현재)

2018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모로코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4회 연속 월드컵 진출이 좌절되었다.[12] 2022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도 카메룬에 밀려 탈락했다.[12]

자국에서 개최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A조에 속해 적도 기니나이지리아에 이어 3위를 기록했지만, 3위 팀 중 상위 4팀에 포함되어 와일드카드로 16강에 진출했다.[12] 16강전에서는 전 대회 우승팀인 세네갈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8강에서는 말리를 연장전 끝에 승리했으며, 준결승전에서는 콩고민주공화국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2] 결승전에서는 나이지리아와 다시 만나 세바스티앵 할러의 결승골로 조별 리그에서의 패배를 설욕하고 2-1로 승리하며 대회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2]

3. 경기장

1964년부터 2020년까지 아비장에 있는 5만 명 수용 규모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이 주로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20년에는 아비장에 있는 6만 명 수용 규모의 알라산 우아타라 경기장이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앞두고 개장했다.[5]

4. 서포터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Les Éléphants|레 엘레팡프랑스어)의 팬들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다채로운 팬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4] 코트디부아르 경기에서 코끼리(Les Éléphants|레 엘레팡프랑스어) 팬들은 보통 숲을 지나는 코끼리의 소리를 모방하는 타악기 밴드를 포함한다.[4]

5. 팀 기록

코트디부아르는 FIFA 월드컵 본선에 3회 연속(2006, 2010, 2014) 진출했지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5]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1승 1무 1패, 대회 17위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3회 우승(1992, 2015, 2023)과 2회 준우승(2006, 2012)을 기록했다.[1] 1992년과 2015년 대회 결승전에서는 가나를 승부차기로 꺾고 우승했다.[5][6] 2023년 대회는 대회 도중 감독이 교체되었음에도 우승을 차지했다.[4]

1970년대에는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4위, 197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실격 등 기복 있는 성적을 보였다.[2][3] 1980년대에는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이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198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4]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1992년 킹 파흐드컵에 유일하게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으나, 참가국이 4개국뿐이어서 큰 의미는 없다.[1]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최고 성적은 201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3위이다.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서는 1965년 올아프리카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회최고 성적
FIFA 월드컵조별 리그 (2006, 2010, 2014)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우승 (1992, 2015, 202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4위 (1992)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3위 (2016)
아프리카 게임3위 (1965)


5. 1. FIFA 월드컵 기록

코트디부아르는 2006년 대회에서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고, 이후 2014년 대회까지 3회 연속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5] 3번의 대회에서 모두 1승씩을 거두었지만, 16강 진출에는 실패하고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 대회에서 1승 1무 1패, 대회 17위로 월드컵 본선 3번의 대회 중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예선 경기예선 승예선 무예선 패예선 득점예선 실점
2006년조별 리그19위31025610712207
2010년조별 리그17위31114312840296
2014년조별 리그21위3102458530197
합계조별 리그 3회17위931513143020826820


5. 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

} 2029

|-

! 합계 || 3회 우승 || 25/34 || 106 || 48 || 30 || 28 || 152 || 111 || 140 || 96 || 33 || 18 || 272 || 99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 *금색 배경은 우승을 의미합니다.
  • **빨간색 테두리는 개최국임을 나타냅니다.


코트디부아르는 1992년, 2015년, 2023년 대회에서 우승했다.[1]2006년2012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1]

1970년대 코트디부아르의 성적은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4위를 기록했지만, 1972년1976년 대회에는 예선에서 탈락하는 등 기복이 있었다.[2]1978년 대회에서는 자격 없는 선수 출전으로 실격 처리되기도 했다.[3]

1984년 대회에서는 개최국이었지만 조별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다.[4]1986년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4]

1992년 대회에서 코트디부아르는 결승전에서 가나를 승부차기 끝에 11-10으로 꺾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5] 2015년 대회 결승전에서도 가나를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9-8로 승리하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6]

5. 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현재까지 컨페드컵 출전은 1992년 대회가 유일하며, 이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당시 이 대회에 출전한 국가는 4팀 밖에 없었기 때문에 이 기록은 사실상 무의미하다.[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기록rowspan=42|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경기득점실점
1957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소속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소속
1959
1962CAF 비가입CAF 비가입
1963
19653위3위320154430194
19683위3위531196431070
19704위4위5212119211040
1972예선 탈락2|2|1|6|5
1974|조별리그|7위|3|0|1|2|2|5|4|4|0|0|10|5
1976예선 탈락0|2|0|2|2
1978출전 금지출전 금지
1980|조별리그|6위|3|0|2|1|2|3|4|4|0|0|8|2
1982불참불참
1984|조별리그|5위|3|1|0|2|4|4| colspan="6"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
19863위3위530275431091
1988|rowspan=2|조별리그|6위|3|0|3|0|2|2|4|4|0|0|4|3
1990|6위|3|1|0|2|3|5|4|3|1|0|10|3
1992우승1위523040650193
19943위3위5311115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
1996|조별리그|11위|3|1|0|2|2|5|4|1|2|1|5|4
1998|8강|7위|4|2|2|0|10|6|6|4|1|1|10|8
2000|rowspan=2|조별리그|9위|3|1|1|1|3|4|6|3|2|1|7|2
2002|16위|3|0|1|2|1|4|8|4|3|1|17|4
2004|colspan=8|예선 탈락2|1|1|8|3
2006준우승2위63216510712207
20084위4위64021694310130
2010|8강|8위|3|1|1|1|5|4|12|6|4|0|29|6
2012준우승2위6510906600195
20138강5위421185220062
2015우승1위63309463121311
2017조별리그11위302123413031
20198강5위5311736321125
202116강10위4220636411115
2023우승1위741288641195
2025예선 통과4|0|2|12|3
2027미정미정
{{flagicon|}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92년4위4위200229
1995년 ~ 2017년본선 진출 실패
합계4위1/10200229


5. 4.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자국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본선에 5번 출전했다. 2016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기록
출전 횟수: 5회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
2009년조별 리그8위301204
2011년조별 리그12위310224
2016년3위3위6402104
2018년조별 리그14위301203
2022년8강6위411233
총계3위5/71963101518


5. 5. 아프리카 게임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초대 대회인 1965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이후 2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아프리카 경기대회 기록
연도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65년3위000000
1987년5위000000
합계2/4000000


6. 선수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대표팀에 차출되었거나 대표 자격이 있는 선수들의 명단이다.

포지션선수생년월일출장 경기 수득점현재 소속팀최근 차출
GK이라 엘리에제르 타페(Ira Eliezer Tapé)Ira Eliezer Tapé|이라 엘리에제르 타페프랑스어20TS 갤럭시v. 잠비아, 2024년 11월 15일 PRE
GK이반 코난(Yvann Konan)Yvann Konan|이반 코난프랑스어00리옹 B(Lyon B)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GK모하메드 코네(Mohamed Koné (footballer, born 2002))Mohamed Koné|모하메드 코네프랑스어00샬러루아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GK찰스 폴리 아야이(Charles Folly Ayayi)Charles Folly Ayayi|찰스 폴리 아야이프랑스어20아섹 미모사(ASEC Mimosas)v. 베냉, 2024년 3월 23일 PRE
DF에릭 바이이(Eric Bailly)Eric Bailly|에릭 바이프랑스어502비야레알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DF세드릭 키프레(Cédric Kipré)Cédric Kipré|세드릭 키프레프랑스어00스타드 랭스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DF오딜롱 코수누(Odilon Kossounou)Odilon Kossounou|오딜롱 코수누프랑스어250아탈란타v. 차드, 2024년 9월 10일
DF윌리 볼리(Willy Boly)Willy Boly|윌리 볼리프랑스어221노팅엄 포레스트v. 차드, 2024년 9월 10일
DF아바카르 실라(Abakar Sylla)Abakar Sylla|아바카르 실라프랑스어60스트라스부르v. 차드, 2024년 9월 10일
DF기슬랭 코난(Ghislain Konan)Ghislain Konan|기슬랭 코난프랑스어410알 나스르v. 케냐, 2024년 6월 11일
DF세르주 오리에(Serge Aurier)Serge Aurier|세르주 오리에프랑스어 (주장)934자유 계약 선수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DF시몽 델리(Simon Deli)Simon Deli|시몽 델리프랑스어270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DF코피 쿠아오(Koffi Kouao)Koffi Kouao|코피 쿠아오프랑스어00메츠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DF바모 메이테(Bamo Meïté)Bamo Meïté|바모 메이테프랑스어00마르세유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DF앙토니 트라 비 트라(Anthony Tra Bi Tra)Anthony Tra Bi Tra|앙토니 트라 비 트라프랑스어00아섹 미모사(ASEC Mimosas)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DF아르멜 조우리(Armel Zohouri)Armel Zohouri|아르멜 조우리프랑스어00셰리프 티라스폴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MF장 미셸 세리(Jean Michaël Seri)Jean Michaël Seri|장 미셸 세리프랑스어624알 오로바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MF모하메드 디오만데(Mohamed Diomande)Mohamed Diomande|모하메드 디오만데프랑스어80레인저스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MF이브라힘 상가레(Ibrahim Sangaré (Ivorian footballer))Ibrahim Sangaré|이브라힘 상가레프랑스어4211노팅엄 포레스트v. 잠비아, 2024년 9월 6일 PRE
MF페오도 파콤 조주아(Peodoh Pacome Zouzoua)Peodoh Pacome Zouzoua|페오도 파콤 조주아프랑스어40영 아프리칸스v. 우루과이, 2024년 3월 23일
MF카데르 케이타(Kader Keïta (footballer, born 2000))Kader Keïta|카데르 케이타프랑스어10CFR 클루지(CFR Cluj)v. 우루과이, 2024년 3월 23일
MF장-필립 그바민(Jean-Philippe Gbamin)Jean-Philippe Gbamin|장-필립 그바민프랑스어160낭트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MF폴 아쿠오쿠(Paul Akouokou)Paul Akouokou|폴 아쿠오쿠프랑스어40리옹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MF장 응게산(Jean N'Guessan (footballer))Jean N'Guessan|장 응게산프랑스어10알 와슬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FW니콜라 페이페(Nicolas Pépé)Nicolas Pépé|니콜라 페페프랑스어4611비야레알v. 잠비아, 2024년 11월 15일 PRE
FW장 에브라르 쿠아시(Jean Evrard Kouassi)Jean Evrard Kouassi|장 에브라르 쿠아시프랑스어151저장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FW기 스테판 베디(Guy Stéphane Bédi)Guy Stéphane Bédi|기 스테판 베디프랑스어00생 페드로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5일
FW세바스티앙 알러(Sébastien Haller)Sébastien Haller|세바스티앙 알러프랑스어2610레가네스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1일 PRE
FW아마드 디알로(Amad Diallo)Amad Diallo|아마드 디알로프랑스어61맨체스터 유나이티드v. 시에라리온, 2024년 10월 11일 PRE
FW크리스티앙 쿠아메(Christian Kouamé)Christian Kouamé|크리스티앙 쿠아메프랑스어303피오렌티나v. 차드, 2024년 9월 10일
FW에마뉘엘 라테 라트(Emmanuel Latte Lath)Emmanuel Latte Lath|에마뉘엘 라테 라트프랑스어20미들즈브러v. 차드, 2024년 9월 10일
FW모하메드 밤바(Mohamed Bamba (footballer))Mohamed Bamba|모하메드 밤바프랑스어91로리앙v. 케냐, 2024년 6월 11일
FW윌프리드 자하(Wilfried Zaha)Wilfried Zaha|윌프리드 자하프랑스어335리옹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FW맥스웰 코르네(Maxwel Cornet)Maxwel Cornet|맥스웰 코르네프랑스어316사우스햄튼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FW다비드 다트로 포파나(David Datro Fofana)David Datro Fofana|다비드 다트로 포파나프랑스어30첼시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PRE





  • PRE 예비 명단.

6. 1. 주요 선수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디디에 드로그바, 실뱅 그보후오, 막스 그라델, 세르주 오리에, 윌프리드 보니, 윌프리드 카농, 프랑크 케시에, 로제 아살레, 에릭 바이, 장 미카엘 세리, 조나탕 코디자, 윌프레드 자하 등이 있다.[10]

2024년 11월 19일 차드와의 경기 후 캡과 득점이 업데이트된 최신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경기 수득점현재 소속팀
GK바드라 알리 상가레Badra Ali Sangaré|바드라 알리 상가레영어310세크후쿠네 유나이티드 ()
GK야히아 포파나Yahia Fofana|야히아 포파나영어220앙제 ()
GK이사 포파나Issa Fofana|이사 포파나영어10알힐랄 ()
DF윌프리드 싱고Wilfried Singo|윌프리드 싱고영어270모나코 ()
DF에반 은디카Evan Ndicka|에반 은디카영어200로마 ()
DF에마뉘엘 아그바두Emmanuel Agbadou|에마뉘엘 아그바두영어121랭스 ()
DF시날리 디오만데Sinaly Diomandé|시날리 디오만데영어110옥세르 ()
DF하산 카마라Hassane Kamara|하산 카마라영어90우디네세 ()
DF우스만 디오만데Ousmane Diomande|우스만 디오만데영어91스포르팅 CP ()
DF겔라 두에Guéla Doué|겔라 두에영어71스트라스부르 ()
DF크리스토퍼 오페리Christopher Opéri|크리스토퍼 오페리영어70르 아브르 ()
MF프랭크 케시에Franck Kessié|프랭크 케시에영어8613알아흘리 ()
MF세코 포파나Seko Fofana|세코 포파나영어257알에티파크 ()
MF하메드 트라오레Hamed Traorè|하메드 트라오레영어132옥세르 ()
MF장 티에리 라자르Jean Thierry Lazare|장 티에리 라자르영어71유니온 SG ()
MF장-외드 아홀루Jean-Eudes Aholou|장-외드 아홀루영어60앙제 ()
MF마리오 도르겔레스Mario Dorgeles|마리오 도르겔레스영어30노르셸란 ()
FW제레미 보가Jérémie Boga|제레미 보가영어232니스 ()
FW장-필립 크라소Jean-Philippe Krasso|장-필립 크라소영어237파리 FC ()
FW우마르 디아키테Oumar Diakité|우마르 디아키테영어214랭스 ()
FW시몽 아딩그라Simon Adingra|시몽 아딩그라영어183브라이턴 ()
FW카림 코나테Karim Konaté|카림 코나테영어172레드불 잘츠부르크 ()
FW에반 게산Evann Guessand|에반 게산영어60니스 ()
FW베니 트라오레Bénie Traoré|베니 트라오레영어50바젤 ()
FW바쿤 이수프 바요Vakoun Issouf Bayo|바쿤 이수프 바요영어41왓퍼드 ()



역대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선수활동 기간
GK알랭 구아메네
(Alain Gouaméné)
1987-2000
부바카르 바리2000-2015
실뱅 그보우오2013-2021
야야 포파나2023-
DF바질 아카 쿠아메
(Basile Aka Kouamé)
1987-1996
디디에 조콜라2000-2014
콜로 투레2000-2015
시아카 티에네2000-2015
압둘라예 메이테2003-2011
기 드멜2004-2012
에마뉘엘 에부에2004-2013
아르튀르 보카2004-2015
솔 밤바2008-2014
DF세르주 오리에2013-
에릭 바이2015-
에마뉘엘 아그바두2022-
MF도나르 올리비에 시에
(Donnar Olivier Sié)
1990-2000
시레스와 겔
(Tchiressoua Guel)
1993-2006
질 야피 야포2000-2010
캉가 아카레2002-2008
야야 투레2004-2015
로마리치2005-2013
에메르송 파에2005-2011
셰이크 티오테2009-2017
MF세레이 디에2013-2022
프랑크 케시에2014-
세코 포파나2017-
FW로랑 포쿠(Laurent Pokou)1967-1980
압둘라예 트라오레
(Abdoulaye Traoré)
1984-1996
조엘 티에히(Joël Tiéhi)1987-1999
이브라히마 바카요코1996-2002
보나벤튀르 카루1998-2006
알나 딘단2000-2012
압둘 카데르 케이타2000-2012
디디에 드로그바2002-2014
바카리 코네2004-2010
아르나 코네2004-2013
살로몽 카루2007-2017
제르비뉴2007-2021
FW세이두 두음비아2008-2017
윌프리드 보니2010-2019
막스 그라델2011-
FW니콜라 페페2016-
세바스티앙 할러2020-


6. 2. 역대 최다 출전 선수 (2024년 3월 23일 기준)

순위이름출전득점기간
1디디에 조코라12312000년~2014년
2콜로 투레12072000년~2015년
3디디에 드로그바105652002년~2014년
4야야 투레101192004년~2015년
5시아카 티에네10022000년~2015년
6살로몽 칼루96272007년~2017년
7압둘라예 트라오레90491984년~1996년
8아르튀르 보카8812004년~2015년
9제르비뉴86232007년~
부바카르 바리8602000년~2015년


6. 3. 역대 최다 득점 선수 (2024년 3월 23일 기준)

순위이름득점출장득점률
1디디에 드로그바651050.62
2압둘라예 트라오레50880.57
3살로몽 칼루27930.29
4조엘 티에히25400.63
5제르비뉴23860.27
6이브라히마 바카요코22400.55
7야야 투레191010.19
로랑 포쿠19620.31
9아뤼나 댕단18620.29
윌프리드 보니18590.31


7. 역대 감독

연도이름
1960 폴 제보당
1965 알퐁스 비수마 타페
1967–1968 폴 제보당
1968–1970 페터 슈니트거
1970–1972 장 토크파
1972–1974 산타 로사
1976–1980 제라르 가보
1982–1985 오토 피스터
1984 다비드 페헤이라 "두케"
1986 판초 곤살레스
1987–1988, 1992 예오 마르샬
1989 카에 울라이
1989–1992 라디보예 오그냐노비치
1993 필리프 트루시에
1993–1994 헨리크 카스페르차크
1994–1996 피에르 플레임딩
1996–1998, 2002–2004 로베르 누자레
1999–2000 파트릭 파리종
2000–2001 갬보케 티아
2001 라마 밤바
2004–2007 앙리 미셸
2007–2008 울리 슈틸리케
2008 제라르 질리
2008–2010 바히드 할릴호지치
2010 조르주 쿠아디오
2010 스벤-예란 에릭손
2010–2012 프랑수아 자우이
2012–2014 사브리 라무치
2014–2015 에르베 레나르
2015–2017 미셸 두수예
2017 마르크 빌모츠
2018–2020 이브라힘 카마라
2020–2022 파트리스 보멜
2022–2024 장-루이 가세
2024– 에메르세 파에


8.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올아프리카 게임 축구에는 3번 출전하여 이 중 초대 대회인 1965년 대회에서 --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이후 2번의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 '''서아프리카 국가컵 (West African Nations Cup)'''[3]
  • * -- 3위 (2회): 1983년, 1984년
  • '''서아프리카 국가연합컵 (CEDEAO Cup)'''
  • *
    우승
    우승 (3회): 1983년, 1987년, 1991년
  • * -- 준우승 (1회): 1985년
  • *
    3위
    3위 (1회): 1990년
  • UEMOA 토너먼트
  • * -- '''우승 (2회)''': 2007년, 2008년[1]

8. 1. 올림픽 축구

코트디부아르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축구 8강에 진출하여 6위를 기록했다.[21] 4경기를 치러 2승 2패, 6득점 6실점을 기록했으며, 승점은 6점이었다.

년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2008년[21]8강6위4202666
합계1회 진출(1/14[24])8강(1회)4202666


8. 2. 서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서아프리카 국가컵 (West African Nations Cup)'''[3]
  • * -- 3위 (2회): 1983년, 1984년

8. 3. CEDEAO 컵


  • '''서아프리카 국가연합컵 (CEDEAO Cup)'''
  • * 우승 (3회): 1983년, 1987년, 1991년
  • * -- 준우승 (1회): 1985년
  • * 3위 (1회): 1990년

8. 4. UEMOA 토너먼트


  • - '''우승 (2회)''': 2007년, 2008년[1]

참조

[1] 웹사이트 FIFA https://www.fifa.com[...]
[2] 웹사이트 Cote d'Ivoire agrees CAF timetable shift https://web.archive.[...] 2019-01-30
[3] 웹사이트 Host nation Ivory Coast continues miraculous run to AFCON final to set up a matchup against Nigeria https://edition.cnn.[...] CNN 2024-02-11
[4] 웹사이트 Nigeria 1–2 Ivory Coast https://www.bbc.com/[...] BBC Sport 2024-02-11
[5] 웹사이트 AFCON 2023: Ivory Coast opens 60,000-seater stadium https://www.vanguard[...] 2020-10-05
[6] 웹사이트 Côte d'Ivoire vs Nigeria match Report https://globalsports[...]
[7] 웹사이트 Match Report of Senegal vs Côte d'Ivoire – 2024-01-29 – TotalEnergies Africa Cup of Nations – Global Sports Archive https://globalsports[...]
[8] 웹사이트 Mali vs Côte d'Ivoire match Report https://globalsports[...]
[9] 웹사이트 Côte d'Ivoire vs DR Congo match Report https://globalsports[...] 2024-02-07
[10] 웹사이트 Côte d’Ivoire : la liste contre la Zambie sans Haller ni Bailly, avec 2 retours surprises https://www.afrik-fo[...] 2024-11-08
[11] 웹사이트 IvoryCoast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12] 웹사이트 サッカー=アフリカ選手権、コートジボワールが優勝 ハラー決勝点 https://jp.reuters.c[...] 2024-02-12
[13] 문서 코트디부아르 축구협회 창설 이전
[14] 문서 코트디부아르 축구협회 창설 이전
[15] 문서 월드컵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16]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17]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8]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9]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0]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1]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2]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3] 문서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4] 문서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