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52개 축구 협회에서 총 76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첼시가 바이에른 뮌헨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각 팀은 UEFA 리그 점수에 따라 배정되었으며,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는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각 조 1, 2위 팀이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토너먼트는 16강부터 결승전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독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열렸다. 리오넬 메시가 1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고, 카카, 카림 벤제마, 니콜라스 가이탄, 메시, 프랑크 리베리가 5도움으로 도움 공동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12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12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12년 5월 19일 뮌헨의 알리안츠 아레나에서 FC 바이에른 뮌헨과 첼시 FC 간에 치러진 경기로, 첼시가 승부차기 끝에 우승하며 창단 첫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바이에른 뮌헨은 준우승했으며, 챔피언스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홈 구장에서 결승전을 치르는 팀이 나온 사례이다. -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전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전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5월까지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첼시 FC가 결승전에서 FC 바이에른 뮌헨을 승부차기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 2011년 축구 - 2011년 코파 아메리카
2011년 코파 아메리카는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우루과이가 파라과이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고, 루이스 수아레스가 MVP, 파올로 게레로가 득점왕을 수상했다. - 2011년 축구 -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클랜드 시티 FC가 AS 테파나를 꺾고 우승하여 201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클럽 축구 대회이며, 마넬 엑스포시토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UEFA 챔피언스리그 |
시즌 | 2011-12 |
![]() | |
날짜 | 예선: 2011년 6월 28일 – 2011년 8월 24일 본선: 2011년 9월 13일 – 2012년 5월 19일 |
참가 팀 수 | 본선: 32 총합: 75 |
참가 협회 수 | 52 |
우승 팀 | 첼시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팀 | 바이에른 뮌헨 |
총 경기 수 | 125 |
총 득점 수 | 345 |
최다 득점자 | 리오넬 메시 (바르셀로나), 14골 |
이전 시즌 | 2010–11 |
다음 시즌 | 2012–13 |
2. 팀 배정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52개 축구협회에서 총 76개 팀이 참가한다. 리히텐슈타인은 국내 리그가 없어 참가하지 않는다.[29] 각 협회별 참가 팀 수는 2005-06 시즌부터 2009-10 시즌까지 유럽 대회에서의 성적을 고려한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배정된다.[4]
참가팀 수는 아래와 같다.[30]
- 1~3위 협회: 각 4팀
- 4~6위 협회: 각 3팀
- 7~15위 협회: 각 2팀
- 16~53위 협회: 각 1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바르셀로나는 프리메라리가 2010-11 우승으로 이미 조별리그에 진출하여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자리는 공석이 되었다.
2. 1. 협회 랭킹
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52개 축구협회에서 총 76개 팀이 참가했다. 리히텐슈타인은 국내 리그가 없어 참가하지 않았다.[29] 각 협회별 참가 팀 수는 2006-07 시즌부터 2010-11 시즌까지 유럽 클럽 대항전 성적을 바탕으로 한 UEFA 리그 점수에 따라 결정되었다.[30]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참가팀 수는 다음과 같다.[30]
- 1~3위 협회: 각 4팀 참가
- 4~6위 협회: 각 3팀 참가
- 7~15위 협회: 각 2팀 참가
- 16~53위 협회: 각 1팀 참가 (리히텐슈타인 제외)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은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조별리그 진출권이 주어졌지만, 바르셀로나가 프리메라리가 2010-11 우승으로 이미 조별리그에 진출하여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자리는 공석이 되었다.
순위 | 협회 | 점수 | 참가 팀 |
---|---|---|---|
1 | 잉글랜드 | 81.856 | 4 |
2 | 스페인 | 79.757 | |
3 | 이탈리아 | 64.338 | |
4 | 독일 | 64.207 | 3 |
5 | 프랑스 | 53.740 | |
6 | 러시아 | 43.791 | |
7 | 우크라이나 | 39.550 | 2 |
8 | 루마니아 | 39.491 | |
9 | 포르투갈 | 38.296 | |
10 | 네덜란드 | 36.546 | |
11 | 터키 | 34.450 | |
12 | 그리스 | 29.899 | |
13 | 스위스 | 28.375 | |
14 | 벨기에 | 27.900 | |
15 | 덴마크 | 27.350 | |
16 | 스코틀랜드 | 25.791 | 1 |
17 | 불가리아 | 22.000 | |
18 | 체코 | 21.975 | |
19 | 오스트리아 | 19.575 | |
20 | 이스라엘 | 18.875 | |
21 | 키프로스 | 17.999 | |
22 | 노르웨이 | 17.400 | |
23 | 슬로바키아 | 15.832 | |
24 | 스웨덴 | 14.191 | |
25 | 세르비아 | 14.000 | |
26 | 폴란드 | 12.541 | |
27 | 크로아티아 | 12.332 | |
28 | 벨라루스 | 11.541 | |
29 | 아일랜드 | 9.541 | |
30 | 핀란드 | 9.499 | |
31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8.749 | |
32 | 리투아니아 | 8.416 | |
33 | 라트비아 | 8.248 | |
34 | 몰도바 | 7.290 | |
35 | 슬로베니아 | 6.957 | |
36 | 헝가리 | 6.750 | |
37 | 조지아 | 5.748 | |
38 | 아제르바이잔 | 5.498 | |
39 | 아이슬란드 | 5.415 | |
40 | 마케도니아 | 5.332 | |
42 | 카자흐스탄 | 4.499 | |
43 | 에스토니아 | 4.374 | |
44 | 알바니아 | 3.999 | |
45 | 아르메니아 | 2.999 | |
46 | 웨일스 | 2.581 | |
47 | 몬테네그로 | 2.125 | |
48 | 페로 제도 | 1.832 | |
49 | 북아일랜드 | 1.624 | |
50 | 룩셈부르크 | 1.249 | |
51 | 안도라 | 1.000 | |
52 | 몰타 | 0.916 | |
53 | 산마리노 | 0.750 |
2. 2. 진출권 배정
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52개 축구협회에서 총 76개 팀이 참가한다. (단, 국내 리그가 없는 리히텐슈타인은 제외) 참가팀 수는 UEFA 리그 점수에 따라 결정된다.[29]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참가팀 수는 다음과 같다.[30]
- 1~3위 협회: 각 4팀 참가
- 4~6위 협회: 각 3팀 참가
- 7~15위 협회: 각 2팀 참가
- 16~53위 협회: 각 1팀 참가 (리히텐슈타인 제외)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인 바르셀로나는 프리메라리가 2010-11 우승팀 자격으로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챔피언스리그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자리는 공백이 되었다. 이 공백을 채우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었다.[31]
- 13위 연맹 (스위스)의 리그 우승팀은 3차 예선전 대신 조별 리그로 진출한다.
- 16위 연맹 (스코틀랜드)의 리그 우승팀은 2차 예선전 대신 3차 예선전으로 진출한다.
- 48위 연맹 (페로 제도)와 49위 연맹 (북아일랜드)의 리그 우승팀은 1차 예선전 대신 2차 예선전으로 진출한다.
2. 3. 참가팀
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52개 축구협회에서 총 76개 팀이 참가한다. (리히텐슈타인은 국내 리그가 없어 불참). 참가팀 수는 2006-2007 시즌부터 2010-2011 시즌까지의 유럽 클럽 대항전 성과에 따른 UEFA 리그 점수에 의해 결정된다.[29]2011-12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참가팀 수는 다음과 같다.[30]
- 1~3위 협회: 각 4팀 참가
- 4~6위 협회: 각 3팀 참가
- 7~15위 협회: 각 2팀 참가
- 16~53위 협회: 각 1팀 참가 (리히텐슈타인 제외)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인 바르셀로나는 자국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 이미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전년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자리는 공백이 되었다. 이 공백을 채우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었다.[31]
- 13위 연맹 (스위스)의 리그 우승팀은 3차 예선전 대신 조별 리그로 진출한다.
- 16위 연맹 (스코틀랜드)의 리그 우승팀은 2차 예선전 대신 3차 예선전으로 진출한다.
- 48위 연맹 (페로 제도)와 49위 연맹 (북아일랜드)의 리그 우승팀은 1차 예선전 대신 2차 예선전으로 진출한다.
colspan="2" | | 새로 참여하는 팀 수 | 전 라운드에 이어 참여하는 팀 수 | |
---|---|---|---|
1차 예선전 (4팀) | |||
2차 예선전 (34팀) | |||
3차 예선전 | 우승팀 루트 (20팀) | ||
비우승팀 루트 (10팀) | |||
플레이오프전 | 우승팀 루트 (10팀) | ||
비우승팀 루트 (10팀) | |||
조별 리그 (32팀) | |||
토너먼트 (16팀) |
조별 리그 | |||
---|---|---|---|
바르셀로나 (1위) | 밀란 (1위) | 마르세유 (2위) | 포르투 (1위) |
맨체스터 Utd (1위) | 인테르 (2위) | 제니트 (1위) | 아약스 (1위) |
첼시 (2위) | 나폴리 (3위) | CSKA 모스크바 (2위) | 트라브존스포르 (2위) |
맨체스터 시티 (3위) | 도르트문트 (1위) | 샤흐타르 도네츠크 (1위) | 올림피아코스 (1위) |
레알 마드리드 (2위) | 레버쿠젠 (2위) | 오첼룰 갈라치 (1위) | 바젤 (1위) |
발렌시아 (3위) | 릴 (1위) | colspan="2"| | |
플레이오프전 | |||
우승팀 | 비우승팀 | ||
rowspan="2"| | 아스날 (4위) | 우디네세 (4위) | 리옹 (3위) |
비야레알 (4위) | 바이에른 뮌헨 (3위) | ||
3차 예선전 | |||
우승팀 | 비우승팀 | ||
헹크 (1위) | 루빈 카잔 (3위) | 트벤터 (2위) | 취리히 (2위) |
쾨벤하운 (1위) | 디나모 키예프 (2위) | 트라브존스포르 (2위) | 스탕다르 리에주 (2위) |
레인저스 (1위) | 바슬루이 (3위) | 파나티나이코스 (PO-1위) | 오덴세 (2위) |
벤피카 (2위) | colspan="2"| | ||
2차 예선전 | |||
리텍스 로베치 (1위) | 파르티잔 (1위) | 스콘토 (1위) | 토볼 (1위) |
빅토리아 플젠 (1위) | 비스와 크라쿠프 (1위) | 다치아 키시너우 (1위) | 플로라 탈린 (1위) |
슈투름 그라츠 (1위) | 디나모 자그레브 (1위) | 마리보르 (1위) | 스컨데르베우 코르처 (1위) |
마카비 하이파 (1위) | 바테 보리소프 (1위) | 비데오톤 (1위) | 퓨닉 (1위) |
APOEL (1위) | 샴록 로버스 (1위) | 제스타포니 (1위) | 뱅고어 시티 (1위) |
로센보르그 (1위) | HJK 헬싱키 (1위) | 네프치 바쿠 (1위) | 모그렌 (1위)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1위) | 보라츠 바냐 루카 (1위) | 브레이다블리크 (1위) | HB 토르스하운 (1위) |
말뫼 (1위) | 에크라나스 (1위) | 쉬켄디자 (1위) | 린필드 (1위) |
1차 예선전 | |||
F91 뒤들랑주 (1위) | FC 산타 콜로마 (1위) | 발레타 (1위) | 트레 피오리 (1위) |
;참고
- 루마니아 (ROU): 전 시즌 리가 I의 준우승팀인 티미쇼아라는 파산으로 인해 프로 라이선스를 박탈당했다. 따라서 바슬루이가 3차 예선전 진출권을 획득하였다.[33]
- 터키 (TUR): 2010-11 쉬페르리그 챔피언 페네르바체는 2011년 8월 24일, 승부조작 혐의로 인해 챔피언스리그 참가 자격을 박탈당하였다.[34][35] UEFA는 그 자리를 준우승팀이자, 당시 3차 예선전에서 이미 탈락해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전을 앞둔 트라브존스포르로 대체하였다.[36]
3. 일정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추첨은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37]
단계 | 라운드 | 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예선전 | 1차 예선전 | 2011년 6월 20일 | 2011년 6월 28-29일 | 2011년 7월 5-6일 |
2차 예선전 | 2011년 7월 12-13일 | 2011년 7월 19-20일 | ||
3차 예선전 | 2011년 7월 15일 | 2011년 7월 26-27일 | 2011년 8월 2-3일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전 | 2011년 8월 5일 | 2011년 8월 16-17일 | 2011년 8월 23-24일 |
조별 리그 | 1차전 | 2011년 8월 25일 (모나코) | 2011년 9월 13-14일 | |
2차전 | 2011년 9월 27-28일 | |||
3차전 | 2011년 10월 18-19일 | |||
4차전 | 2011년 11월 1-2일 | |||
5차전 | 2011년 11월 22-23일 | |||
6차전 | 2011년 12월 6-7일 | |||
토너먼트전 | 16강전 | 2011년 12월 16일 | 2012년 2월 14-15일 / 21-22일 | 2012년 3월 6-7일 / 13-14일 |
8강전 | 2012년 3월 16일 | 2012년 3월 27-28일 | 2012년 4월 3-4일 | |
준결승전 | 2012년 4월 17-18일 | 2012년 4월 24-25일 | ||
결승전 | 2012년 5월 19일, 뮌헨 알리안츠 아레나 |
4. 예선전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예선전은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을 위한 단계였다. 참가 팀들은 2011년 UEFA 점수에 따라 시드 배정과 비시드 배정으로 분류되었다.[38][39] 이후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각 라운드별 두 경기씩 치렀으며, 같은 협회 소속 팀들은 서로 만날 수 없었다.
예선 라운드는 2011년 UEFA 클럽 계수[13][14]를 기준으로 시드 팀과 비시드 팀으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2차전 경기로 추첨되었다.
단계 | 라운드 | 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예선전 | 1차 예선전 | 2011년 6월 20일 | 2011년 6월 28-29일 | 2011년 7월 5-6일 |
2차 예선전 | 2011년 7월 12-13일 | 2011년 7월 19-20일 | ||
3차 예선전 | 2011년 7월 15일 | 2011년 7월 26-27일 | 2011년 8월 2-3일 |
별도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추첨은 스위스 니옹의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37]
4. 1. 1차 예선전
2011년 6월 20일에 1차 예선전 추첨이 진행되었다.[40] 1차전은 2011년 6월 28일과 29일에, 2차전은 2011년 7월 5일과 6일에 각각 치러졌다.
4. 2. 2차 예선전
2차 예선전은 2011년 6월 20일에 1차 예선전과 함께 추첨이 진행되었다.[37] 1차전은 2011년 7월 12일과 13일에, 2차전은 2011년 7월 19일과 20일에 열렸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마카비 하이파 | 7-4 | 보라크 바냐 루카 | 5-1 | 2-3 |
모그렌 | 1-5 | 리텍스 로베치 | 1-2 | 0-3 |
마리보르 | 5-1 | F91 뒤들랑주 | 2-0 | 3-1 |
스켄더베우 코어스 | 0-6 | APOEL | 0-2 | 0-4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3-1 | 토볼 | 2-0 | 1-1 |
슈투름 그라츠 | 4-3 | 비데오톤 | 2-0 | 2-3 |
제스타포니 | 3-2 | 다치아 키시나우 | 3-0 | 0-2 |
디나모 자그레브 | 3-0 | 네프치 바쿠 | 3-0 | 0-0 |
퓨닉 | 1-9 | 빅토리아 플젠 | 0-4 | 1-5 |
파르티잔 | 5-0 | 쉬켄디자 | 4-0 | 1-0 |
발레타 | 2-4 | 에크라나스 | 2-3 | 0-1 |
말뫼 | 3-1 | HB 토르스하운 | 2-0 | 1-1 |
샴록 로버스 | 1-0 | 플로라 탈린 | 1-0 | 0-0 |
로센보르그 | 5-2 | 브레이다블리크 | 5-0 | 0-2 |
뱅고 시티 | 0-131 | HJK 헬싱키 | 0-3 | 0-10 |
스콘토 | 0-3 | 비스와 크라쿠프 | 0-1 | 0-2 |
린필드 | 1-3 | 바테 보리소프 | 1-1 | 0-2 |
;참고
- 1 추첨 후 이 경기의 1, 2차전의 개최 순서가 바뀌었다.
HJK는 2차전에서 뱅고어 시티를 10-0으로 이기면서 현행 챔피언스리그 방식에서 가장 큰 점수 차 승리 기록을 경신했다.
4. 3. 3차 예선전
3차 예선전은 리그 우승팀이 참가하는 루트와 우승팀이 아닌 클럽이 참가하는 루트, 두 가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차 예선에서 패배한 팀은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전으로 진출하였다.[41] 대진표 추첨은 2011년 7월 15일에 스위스 니옹의 UEFA 본부에서 열렸다.[37] 1차전은 2011년 7월 26일과 27일에, 2차전은 2011년 8월 2일과 3일에 각각 진행되었다.[41]리그 우승팀 루트 | ||||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리텍스 로베치 | 2 - 5 | 비스와 크라쿠프 | 1 - 2 | 1 - 3 |
마카비 하이파 | 3 - 2 | 마리보르 | 2 - 1 | 1 - 1 |
HJK 헬싱키 | 1 - 3 | 디나모 자그레브 | 1 - 2 | 0 - 1 |
APOEL | 2 - 0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0 - 0 | 2 - 0 |
쾨벤하운 | 3 - 0 | 샴록 로버스 | 1 - 0 | 2 - 0 |
헹크 | 3 - 2 | 파르티잔 | 2 - 1 | 1 - 1 |
로센보르그 | 2 - 4 | 빅토리아 플젠 | 0 - 1 | 2 - 3 |
제스타포니 | 1 - 2 | 슈투름 그라츠 | 1 - 1 | 0 - 1 |
에크라나스 | 1 - 3 | 바테 보리소프ФК БАТЭ Барысаўbe | 0 - 0 | 1 - 3 |
레인저스 | 1 - 2 | 말뫼 FF | 0 - 1 | 1 - 1 |
리그 비우승팀 루트 |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스탕다르 리에주 | 1 - 2 | 취리히 | 1 - 1 | 0 - 1 |
트벤터 | 2 - 0 | 바슬루이 | 2 - 0 | 0 - 0 |
벤피카 | 3 - 1 | 트라브존스포르 | 2 - 0 | 1 - 1 |
디나모 키예프 | 1 - 4 | 루빈 카잔 | 0 - 2 | 1 - 2 |
오덴세 | 5 - 4 | 파나티나이코스 | 1 - 1 | 4 - 3 |
5. 플레이오프전
플레이오프전 추첨은 2011년 8월 5일에 스위스 니옹의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42] 1차전은 2011년 8월 16일과 17일에, 2차전은 2011년 8월 23일과 24일에 열렸다.
플레이오프전은 리그 우승팀 루트와 비우승팀 루트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전에서 패한 팀은 양쪽 모두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로 진출했다.
리그 우승팀 루트 | ||||
---|---|---|---|---|
비스와 크라쿠프 | 2-3 | APOEL | 1-0 | 1-3 |
마카비 하이파 | 3-3 (1-4p) | 헹크 | 2-1 | 1-2 (aet) |
디나모 자그레브 | 4-3 | 말뫼 FF | 4-1 | 0-2 |
코펜하겐 | 2-5 | 빅토리아 플젠 | 1-3 | 1-2 |
바테 보리소프 | 3-1 | 슈투름 그라츠 | 1-1 | 2-0 |
리그 비우승팀 루트 | ||||
오덴세 | 1-3 | 비야레알 | 1-0 | 0-3 |
트벤터 | 3-5 | 벤피카 | 2-2 | 1-3 |
아스널 | 3-1 | 우디네세 | 1-0 | 2-1 |
바이에른 뮌헨 | 3-0 | 취리히 | 2-0 | 1-0 |
리옹 | 4-2 | 루빈 카잔 | 3-1 | 1-1 |
6. 조별 리그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는 32개 팀이 참가하여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2011년 UEFA 점수에 따라 시드 배정을 받았으며(전 시즌 챔피언 바르셀로나는 자동 1번 시드), 같은 협회 소속 팀은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었다. 조 편성은 2011년 8월 25일 모나코에서 열렸다.[43]
각 조의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경기 일정은 2011년 9월 13-14일, 9월 27-28일, 10월 18-19일, 11월 1-2일, 11월 22-23일, 12월 6-7일이었다. 각 조 1, 2위 팀은 16강에 진출했고, 3위 팀은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에는 유러피언컵/챔피언스리그 우승 경험이 있는 11개 팀(총 40회 우승)이 참가했고, 맨체스터 시티, 나폴리, 트라브존스포르, 빅토리아 플젠, 오첼룰 갈라치 등 5개 팀은 조별 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했다.[44]
18개 UEFA 회원국 협회가 조별 리그에 참가했으며, 잉글랜드와 스페인이 각각 4개 팀,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가 각각 3개 팀, 러시아와 포르투갈이 각각 2개 팀, 나머지 11개 협회가 각각 1개 팀씩 참가했다. 트라브존스포르는 승부조작 혐의로 페네르바체를 대신하여 참가했다.
두 팀 이상이 승점에서 동률을 이룰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30]
# 동률 팀 간 경기 승점
# 동률 팀 간 골득실
# 동률 팀 간 다득점
# 동률 팀 간 원정 다득점
# 위의 기준으로도 순위가 같으면, 해당 기준 재적용
# 조별 리그 전체 골득실
# 조별 리그 전체 다득점
# UEFA 클럽 점수 및 협회 점수
색의 분류 |
---|
조 1위와 2위로 16강 진출 |
3위 팀으로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 |
조 최하위 팀으로 유럽대항전 탈락 |
A조에서는 바이에른 뮌헨과 나폴리가, B조에서는 인테르나치오날레와 CSKA 모스크바가 16강에 진출했다. C조에서는 벤피카와 바젤이, D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와 리옹이 16강에 진출했다. E조에서는 첼시와 레버쿠젠이, F조에서는 아스널과 마르세유가 16강에 진출했다. G조에서는 APOEL과 제니트가, H조에서는 바르셀로나와 밀란이 16강에 진출했다.
6. 1. A조
6. 2. B조
B조에는 인테르나치오날레(이탈리아), CSKA 모스크바(러시아), 트라브존스포르(터키), 릴(프랑스)이 속해 있었다. 경기 결과, 인테르나치오날레가 3승 1무 2패(승점 10)로 1위, CSKA 모스크바가 2승 2무 2패(승점 8)로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트라브존스포르는 1승 4무 1패(승점 7)로 3위를 기록하여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에 진출하였고, 릴은 1승 3무 2패(승점 6)로 4위에 머물렀다.
6. 3. C조
C조에서는 벤피카 (포르투갈)가 3승 3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고, 바젤 (스위스)이 3승 2무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30]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잉글랜드)는 2승 3무 1패로 3위를 기록하여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으로 이동했고, 오첼룰 갈라치 (루마니아)는 6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6. 4. D조
D조에서는 레알 마드리드가 6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30] 리옹은 아약스와 승점이 같았으나 골득실에서 앞서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30] 아약스는 조 3위로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으로 이동했고, 디나모 자그레브는 6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6. 5. E조
6. 6. F조
F조에서는 잉글랜드의 아스널이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프랑스의 마르세유는 3승 1무 2패, 승점 10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그리스의 올림피아코스는 3승 3패, 승점 9점으로 조 3위를 기록하여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으로 이동했다. 독일의 도르트문트는 1승 1무 4패, 승점 4점으로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아스널은 마르세유와의 홈 경기에서 0-0 무승부, 도르트문트와의 홈 경기에서 2-1 승리를 거두는 등 홈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원정에서는 도르트문트와 1-1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올림피아코스 원정에서는 1-3으로 패배했다.[30]
6. 7. G조
APOEL | 포르투 | 샤흐타르 | 제니트 | |
---|---|---|---|---|
APOEL | – | 2−1 | 0−2 | 2−1 |
포르투 | 1−1 | – | 2−1 | 0−0 |
샤흐타르 | 1−1 | 0−2 | – | 2−2 |
제니트 | 0−0 | 3−1 | 1−0 | – |
G조에서는 APOEL과 제니트가 승점 9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APOEL이 상대 전적에서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 포르투는 승점 8점으로 3위를 기록하여 2011-12년 UEFA 유로파리그 32강으로 진출했다. 샤흐타르 도네츠크는 승점 5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6. 8. H조
주어진 소스는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A조에 대한 내용이며, H조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H조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H조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따라서 이전 출력물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7. 토너먼트
2011-12년 UEFA 챔피언스리그 토너먼트전에서는 결승전을 제외하고 각 팀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16강 대진 추첨은 2011년 12월 16일에,[45]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홈팀 결정을 위한 추첨은 2012년 3월 16일에 진행되었다.[46] 두 번의 추첨 모두 2012년 결승전 홍보대사인 파울 브라이트너가 진행했다.
16강 추첨에서는 각 조 1위 팀이 시드를 받았고, 2위 팀은 시드를 받지 못했다. 시드 팀은 비시드 팀과 경기를 치렀고, 2차전을 홈에서 진행했다. 같은 조나 같은 협회 소속 팀은 16강에서 만나지 않도록 규정되었다. 8강 이후 추첨에서는 시드 배정이 없었고, 같은 협회 소속 팀끼리도 만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