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3세 (모나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3세는 1856년부터 1889년까지 모나코를 통치한 군주이다. 그는 망통과 로크브륀-카프-마르탱을 프랑스에 할양하고 사르데냐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영토 손실로 인한 재정난을 해결하기 위해 몬테카를로 카지노를 건설하여 관광 산업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통해 모나코는 세금 없는 국가로 자리 잡았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외교 활동을 강화하고, 1889년 사망 후 아들 알베르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 후작 - 알베르 1세 (모나코)
알베르 1세는 모나코의 대공으로서 해양학, 고생물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해양학 연구에 기여하여 '해양학의 선구자'로 불린다. - 보 후작 - 루이 2세 (모나코)
루이 2세는 1922년부터 1949년까지 모나코를 통치한 군주로, 왕위 계승 문제 해결, AS 모나코 FC 창단 및 모나코 그랑프리 개최 등 문화적 발전을 이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정권과의 관계 및 유대인 주민을 넘긴 사건으로 비판을 받았다. - 모나코의 공자 - 알베르 1세 (모나코)
알베르 1세는 모나코의 대공으로서 해양학, 고생물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해양학 연구에 기여하여 '해양학의 선구자'로 불린다. - 모나코의 공자 - 모나코 공세자 자크
모나코 공세자 자크는 알베르 2세와 샤를린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 중 장남으로, 모나코의 세습 왕세자이며 보 후작 작위를 받았다. - 모나코의 군주 - 알베르 1세 (모나코)
알베르 1세는 모나코의 대공으로서 해양학, 고생물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해양학 연구에 기여하여 '해양학의 선구자'로 불린다. - 모나코의 군주 - 루이 2세 (모나코)
루이 2세는 1922년부터 1949년까지 모나코를 통치한 군주로, 왕위 계승 문제 해결, AS 모나코 FC 창단 및 모나코 그랑프리 개최 등 문화적 발전을 이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정권과의 관계 및 유대인 주민을 넘긴 사건으로 비판을 받았다.
샤를 3세 (모나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모나코 공작 |
전체 이름 | 샤를 오노레 그리말디 |
출생일 | 1818년 12월 8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일 | 1889년 9월 10일 |
사망지 | 프랑스, 엔, 샤토 드 마르셰 |
매장지 | 모나코 모나코빌, 성 니콜라 대성당 |
통치 | |
군주 즉위 | 1856년 6월 20일 |
군주 퇴위 | 1889년 9월 10일 |
이전 군주 | 플로레스탕 |
다음 군주 | 알베르 1세 |
가문 | |
왕가 | 그리말디 가 |
아버지 | 플로레스탕 |
어머니 | 카롤린 지베르 |
배우자 | 안토네트 드 메로드 |
자녀 | 알베르 1세 |
2. 생애
플로레스탄 공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통치 아래 모나코는 중대한 변화를 맞이했다. 1861년, 모나코로부터 분리를 원했던 망통과 로크브륀 지역을 프랑스에 할양하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 이 대가로 모나코는 사르데냐 왕국의 보호 상태에서 벗어나 완전한 독립 주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영토의 상당 부분을 잃게 되면서 모나코는 새로운 재정 수입원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샤를 3세는 당시 '스페르그'라 불리던 황무지 지역의 지중해성 기후 등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고급 휴양지로 개발할 가능성을 보았다. 그는 이 지역 개발을 지시하며, 당시 금지되어 있던 카지노 운영을 허가했다. 이 결정은 모나코가 오늘날과 같은 세계적인 리조트 및 관광 대국으로 성장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카지노와 관광 산업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수입 덕분에 샤를 3세 시대부터 모나코 국민들은 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새롭게 개발된 지역은 '샤를의 산'이라는 의미를 가진 몬테카를로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2. 1. 초기 생애
플로레스탄 공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2. 2. 통치 기간
1856년, 아버지 플로레스탕 1세의 뒤를 이어 모나코 공국의 통치자가 되었다.그의 통치 기간 중 중요한 사건은 영토 문제였다. 당시 모나코 영토의 약 80%를 차지하던 망통과 로크브륀-카프-마르탱 지역에서는 사르데냐 왕국의 지원을 받은 분리 독립 움직임이 수십 년간 지속되어 모나코의 군사적, 재정적 부담이 컸다.[2] 결국 1861년, 샤를 3세는 이 두 도시를 프랑스에 할양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모나코에게 큰 영토 손실이었지만, 그 대가로 프랑스로부터 모나코의 완전한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이전까지 모나코는 사르데냐 왕국의 보호하에 있었다.
영토 상실로 인해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한 모나코는 새로운 수입원을 찾아야 했다.[3] 샤를 3세와 그의 어머니 카롤린 공비는 당시 황무지였던 "스페르그"(Les Spelugues프랑스어) 지역의 지중해성 기후 등 좋은 입지 조건에 주목하고, 이곳을 고급 휴양지로 개발하는 계획을 세웠다.[4][13] 이 계획의 핵심은 당시 유럽 여러 나라에서 금지되었던 카지노를 건설하여 운영하는 것이었다. 샤를 3세는 독일 양식으로 몬테카를로 카지노를 건설하도록 지시했고,[13] 카지노 운영을 위해 오늘날 모나코 해수욕 협회(Société des bains de mer de Monaco)의 전신이 되는 회사를 설립했다.[3] 카지노 사업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모나코는 막대한 관광 수입을 얻게 되었다. 이 수입 덕분에 모나코 국민들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었으며, 이는 샤를 3세 시대부터 시작된 전통이다. 카지노가 들어선 지역은 샤를 3세의 공적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따 '샤를의 산'이라는 뜻의 몬테카를로로 불리게 되었다.[4][5]
샤를 3세는 외교 활동에도 힘썼다. 1864년에는 튀니스 베이였던 무함마드 3세 아스-사디크와 우호 조약을 체결하여 무역 및 해상 문제에 관한 협력을 강화했다.[6]
2. 3. 몬테카를로 개발
1856년 부친 플로레스탕 공의 뒤를 이어 즉위한 샤를 3세는[2] 모나코의 중대한 변화를 이끌었다.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지원을 받은 반란으로 수십 년간 군사적 자원이 고갈되었던[2] 망통과 로크브륀을 프랑스에 할양했다. 이 두 도시는 당시 모나코 영토의 약 80%를 차지했지만,[2] 할양의 대가로 모나코는 사르데냐 왕국의 보호에서 벗어나 완전한 독립 주권을 확보하고 프랑스로부터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2]그러나 영토 대부분을 잃으면서 공국은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했다.[3] 새로운 수입원을 찾아야 했던 샤를 3세와 그의 모친 카롤린 공비는 카지노 건설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4] 당시 Les Spélugues프랑스어라고 불리던 황무지 지역의 지중해성 기후와 같은 장점을 발견하고 고급 리조트지로 발전할 가능성에 주목하여 개발을 지시한 것이다. 샤를 3세는 금지되어 있던 카지노 경영을 허가했고,[13] 그의 취향에 따라 독일 양식으로 설계된 몬테카를로 카지노가 "레 스펠리그" 부지에 세워졌다.[13]
카지노가 들어선 이 지역은 개발을 주도한 샤를 3세를 기리기 위해 '샤를의 산'이라는 뜻의 몬테카를로(Monte Carlo)로 명명되었다.[4][5] 샤를 3세는 카지노 운영을 위해 오늘날 모나코 해수욕 협회(Société des Bains de Mer)의 전신이 되는 회사를 설립했다.[3]
몬테카를로 개발과 카지노 사업의 성공은 모나코의 재정을 크게 호전시켰다. 카지노와 관광 수입 덕분에 국민들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될 정도였으며, 이는 샤를 3세 시대부터 시작된 전통이다. 이를 통해 모나코는 오늘날 세계적인 리조트 국가로 발돋움하는 초석을 다졌다.
2. 4. 외교 활동
샤를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모나코는 외교적으로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특히 프랑스와의 관계에서 큰 변화가 있었는데, 모나코 영토의 약 80%를 차지하던 망통과 로크브륀-카프-마르탱 지역이 공식적으로 프랑스에 할양되었다. 이 지역들에서는 사르데냐 왕국의 지원을 받은 반란이 수십 년간 이어져 모나코의 군사적 부담이 컸다.[2] 이러한 영토 할양은 모나코의 독립에 대한 프랑스의 공식적인 승인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2]또한, 샤를 3세는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1864년에는 튀니스 베이였던 무함마드 3세 아스-사디크와 우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양국 간의 무역 및 해양 문제에 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었다.[6]
2. 5. 말년과 사망
중년에 시력이 크게 약해졌고, 말년에는 거의 시력을 잃었다. 실제로, 토머스 헨리 피커링 박사는 1882년에 "186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샤를 왕자는 시력을 잃었다..."라고 기록했다.[13]그는 1889년 9월 10일 마르셰 성에서 사망했다.[2] 그의 뒤는 아들 알베르 1세가 이었다.
3. 훈장
성 샤를 기사단은 샤를 3세 공의 통치 기간인 1858년 3월 15일에 제정되었다.[2]
그는 다음과 같은 훈장과 상을 받았다.
훈장 | 훈장명 | 수여 국가 | 비고 |
---|---|---|---|
성 올라브 훈장 | 스웨덴-노르웨이 | 대십자 훈장 (칼라 포함, 1863년 3월 27일)[7] | |
-- | 단네브로 훈장 | 덴마크 | 대십자 훈장 (다이아몬드 포함, 1865년 2월 16일)[8] |
-- | 루드비히 훈장 | 헤센 대공국 | 대십자 훈장 (1865년 4월 17일)[9] |
-- | 카를로스 3세 훈장 | 스페인 | 대십자 훈장 (1867년 2월 17일)[10] |
![]() | 붉은 독수리 훈장 | 프로이센 왕국 | 대십자 훈장 (1869년 7월 7일)[11] |
-- | 체링거 사자 훈장 | 바덴 대공국 | 대십자 훈장 (1869년)[12] |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프랑스 제국 | 장교 훈장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중 프랑스 해군 복무 공로)[13] |
-- | 레오폴드 훈장 | 벨기에 | 그랜드 코르동 (시민 부문, 1874년 8월 30일)[14] |
-- | 성 스테판 훈장 | 오스트리아-헝가리 | 대십자 훈장 (1882년)[15] |
-- | 백색 독수리 훈장 | 세르비아 왕국 | 대십자 훈장 (시민 부문, 1883년 5월 29일)[16] |
-- | 그리스도 최고 훈장 | 교황청 | 기사 훈장 |
-- | 탑과 칼 훈장 | 포르투갈 왕국 | 대십자 훈장 |
4. 평가
영국의 정치인 찰스 웬트워스 딜크 경이 쓴 소설 ''모나코의 플로레스탄 공의 몰락''에서 샤를 3세는 '샤를 오노레 공'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이 소설은 당시 여러 정치 인물들을 풍자하고 조롱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소설은 케임브리지에서 교육받은 샤를 3세의 (가상) 조카가 샤를 3세와 다음 두 상속자가 사라지면서 갑작스럽게 왕위에 오르는 이야기를 다룬다. '플로레스탄 2세'로 불리는 이 새로운 군주는 급진적인 공화주의자로서 모나코를 민주화하려는 과감한 시도를 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국외로 추방당하는 결말을 맞는다.
5. 기념
1966년 모나코는 몬테카를로 100주년을 기념하여 10 프랑 은화를 발행했으며, 앞면에는 샤를 3세의 초상이 새겨졌다.
2016년 6월 1일, 모나코는 몬테카를로가 샤를 3세에 의해 설립된 지 150주년을 기념하는 2EUR 동전 1만 5천 개를 발행했다.[17]
6. 가계
# '''모나코의 샤를 3세'''
# 모나코의 플로레스탄 1세
# 마리아 카롤린 기베르 드 라메츠
# 모나코의 오노레 4세
# 루이즈 펠리시테 도몽, 마자린 공작 부인
# 샤를-토마 기베르 드 라메츠
# 마리 프랑수아즈 르 그라 드 보베르세
# 모나코의 오노레 3세
# 마리아 카테리나 브리뇰레 살레
# 루이 마리 도몽, 오몽 6대 공작
# 루이즈 잔 드 뒤르포르, 마자린 공작 부인
# 토마 기베르
# 프랑수아즈 모레
# 프랑수아 루이 미셸 르 그라 드 보베르세
# 가브리엘 프랑수아즈 데 코르티유
# 모나코의 자크 1세
# 모나코의 루이즈 이폴리트
# 주세페 브리뇰레 살레, 그로폴리 7대 후작
# 마리아 안나 발비
# 루이 마리 도몽, 오몽 5대 공작
# 빅투아르 펠리시테 드 뒤르포르
# 엠마뉘엘 펠리시테 드 뒤르포르, 뒤라스 4대 공작
# 샤를로트-안투아네트 드 라 포르트 마자린
# 시몽 기베르
# 마리 루이즈 프레보
# 노엘 오귀스탱 모레
# 마들렌 테레즈 갈레랑
# 프랑수아 에두아르 미셸 르 그라 드 보베르세
# 루이즈 드 로르모
# 장 밥티스트 프랑수아 데 코르티유, 베시-몽베르텡 영주
# 마리 마르그리트 드 라퐁 다르데쿠르
참조
[1]
웹사이트
Referred to also as Carlo III.
https://web.archive.[...]
2009-06-08
[2]
서적
Monaco: Ses Origines et Son Histoire
Imprimerie de Monaco
1897
[3]
웹사이트
All that glitters in Monte Carlo
http://www.independe[...]
2013-05-31
[4]
서적
Grace of Monaco: An Interpretive Biography
https://archive.org/[...]
Doubleday
1984-05-01
[5]
웹사이트
Entretenir la flamme 'Monte-Carlo'
http://www.monacoheb[...]
2017-12-02
[6]
웹사이트
Mad for Monaco: H.S.H. Prince Charles III
http://madmonaco.blo[...]
2009-07-10
[7]
서적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books.google[...]
Liberförlag
[8]
문서
Kongelig Dansk Hof-og Statskalendar (1880)
https://dis-danmark.[...]
Danish
[9]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Hessen
https://archive.org/[...]
German
[10]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http://hemerotecadig[...]
1887
[11]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12]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German
[13]
서적
Monaco: The Beauty Spot of the Riviera
https://archive.org/[...]
Fleet Printing Works
1882
[14]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1875
https://books.google[...]
[15]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16]
문서
Journal de Monaco
https://journaldemon[...]
[17]
웹사이트
Nouvelle face nationale de pièces en euros destinées à la circulation
http://eur-lex.europ[...]
European Union
[18]
웹사이트
モナコ公国(Principality of Monaco) 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0-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