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눌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996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017년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딸이 고려 현종의 제6비인 원목왕후가 되면서 중추사 우산기상시를 거쳐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까지 올랐다. 1031년 문하시중에 오른 후 정종 때 판도병마사를 역임했다. 말년에는 궤장을 하사받고 중대광에 올랐으며, 병이 위독해지자 삼중대광 내사령에 임명되었다. 사후 간경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996년 과거에 장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쳤다. 1017년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딸이 고려 현종의 왕비 (원목왕후)가 되면서 고위 관직에 올랐다.[1] 1031년 문하시중으로 승진하였다.[1]
2. 생애
정종 때 판도병마사로서 거란과의 외교 문제에 대해 왕에게 조언하였다.[2]
1041년 궤장을 하사받고 중대광에 올랐으며, 1042년 사직을 청하였으나 허락받지 못했다. 병이 위독해지자 왕이 직접 문병하고 삼중대광 내사령으로 올렸다. 사후 간경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정종 묘정에 배향되었다가 1086년 원숙으로 시호가 고쳐졌다.[2]
2. 1. 초기 관직 생활
996년에 과거에서 갑과로 장원 급제하였다. 1016년에 중승이 되고, 1017년 형부시랑이 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018년 상서이부시랑 겸 좌간의대부를 거쳐 국자좨주 지이부사를 지냈다.[1]
딸이 고려 현종의 제6비인 원목왕후가 되자 1022년 중추사 우산기상시에 제수되었다가 차례를 건너뛰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이부사로 임명되었다.[1]
2. 2. 고위 관직 역임
996년에 과거에서 갑과로 장원 급제하였다. 1016년에 중승이 되고, 1017년 형부시랑이 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018년 상서이부시랑 겸 좌간의대부를 거쳐 국자좨주 지이부사를 지냈다.
딸이 고려 현종의 제6비인 원목왕후가 되자 1022년 중추사 우산기상시에 제수되었다가 차례를 건너뛰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이부사로 임명되었다.
1031년 검교태사를 거쳐 문하시중으로 승진하였다.[1]
2. 3. 정종 대의 활동
996년에 과거에서 갑과로 장원 급제하였다. 1016년에 중승이 되고, 1017년 형부시랑이 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018년 상서이부시랑 겸 좌간의대부를 거쳐 국자좨주 지이부사를 지냈다.
딸이 고려 현종의 제6비인 원목왕후가 되자 1022년 중추사 우산기상시에 제수되었다가 차례를 건너뛰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이부사로 임명되었다.
1031년 검교태사를 거쳐 문하시중으로 승진하였다.[1]
정종 때에는 판도병마사가 되었다. 왕이 호부낭중 유선을 보내어 거란에 안무에 대한 사의를 표하려 하자, 서눌이 아뢰어 이르기를, “지난해에 거란이 압록강 동쪽에 성과 보루를 증축하고서 이제 와서 다시 화친하려고 하니, 유선이 가는 길에 표문을 부쳐 파기할 것을 요청하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이 그 말을 따랐다.[2]
1041년에 궤장을 하사 받았고, 중대광에 올랐다. 1042년에는 2번 표문을 올려 사직을 간청하였지만 허락되지 않았다. 서눌이 병들어 지장사에서 머물렀는데, 왕이 우승선 김정준을 보내어 문병하였고, 어의 2벌, 곡식 1000석, 말 2필을 사원에 시주하여 복 받기를 빌게 하였다. 병이 위독해지자 친히 문병하고서 제서를 내려 삼중대광 내사령으로 올리고, 자손에게는 영업전을 하사하였다. 그가 죽자 왕은 애도하고, 간경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후에 정종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1086년에 선왕의 시호를 피하여 원숙으로 고쳤다.[2]
2. 4. 말년
1022년 딸이 고려 현종의 제6비 원목왕후가 되자 중추사 우산기상시에 제수되었다가 차례를 건너뛰어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이부사로 임명되었다.[1]
1031년 검교태사를 거쳐 문하시중으로 승진하였다.[1]
정종 때에는 판도병마사가 되었다. 왕이 호부낭중 유선을 거란에 보내어 안무에 대한 사의를 표하려 하자, 서눌이 아뢰어 이르기를, “지난해에 거란이 압록강 동쪽에 성과 보루를 증축하고서 이제 와서 다시 화친하려고 하니, 유선이 가는 길에 표문을 부쳐 파기할 것을 요청하십시오.”라고 하였다. 왕이 그 말을 따랐다.
1041년에 궤장을 하사 받았고, 중대광에 올랐다. 1042년에는 두 번 표문을 올려 사직을 간청하였지만 허락되지 않았다. 서눌이 병들어 지장사에서 머물렀는데, 왕이 우승선 김정준을 보내어 문병하였고, 어의 2벌, 곡식 1000석, 말 2필을 사원에 시주하여 복 받기를 빌게 하였다. 병이 위독해지자 친히 문병하고서 제서를 내려 삼중대광 내사령으로 올리고, 자손에게는 영업전을 하사하였다. 그가 죽자 왕은 애도하고, 간경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후에 정종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1086년에 선왕의 시호를 피하여 원숙으로 고쳤다.[2]
참조
[1]
역사기록
『고려사』 세가 권제5 덕종(德宗) 즉위년 10월
http://db.history.go[...]
[2]
역사기록
『고려사』 권94, 열전7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