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는 인도와 방글라데시의 숲에 서식하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이전에는 분오피테쿠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훌록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 스카이워커흰눈썹긴팔원숭이 등과 유전적 거리가 크다. 활엽수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과일, 꽃, 잎 등을 먹고, 듀엣으로 노래한다.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인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긴팔원숭이 - 남부흰뺨긴팔원숭이
    남부흰뺨긴팔원숭이는 중앙 베트남과 라오스에 분포하며 수컷은 검은색 털과 흰색 털, 암컷은 갈색 털을 가지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며, 저지대 활엽수림에 서식하며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긴팔원숭이 - 북부흰뺨긴팔원숭이
    북부흰뺨긴팔원숭이는 긴팔원숭이과에 속하며 성적 이형성을 띠고, 베트남과 라오스 북부의 아열대림에 서식하며, 과일, 잎, 곤충 등을 먹고 복잡한 울음소리로 의사소통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1834년 기재된 포유류 - 너구리
    너구리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한국 고유 명칭을 가지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동면하는 습성이 있으며, 모피를 얻기 위해 사냥되거나 유해조수로 관리되기도 한다.
  • 1834년 기재된 포유류 - 아마존강돌고래속
    아마존강돌고래속(Inia)은 1834년 처음 기술되었고, 분류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며, 종의 수와 아종 분류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다.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랑우탄
    오랑우탄은 "숲의 사람"을 의미하는 말레이어에서 유래한 유인원으로,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타파눌리섬에 서식하는 세 종이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애완동물 거래로 인한 절멸위기종 - 오셀롯
    오셀롯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갈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무늬를 가지며, 주로 야행성으로 열대 우림에서 단독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암컷 (전경)과 수컷 (배경)
암컷 (전경)과 수컷 (배경)
학명Hoolock hoolock
명명자할란, 1834
이전 학명Simia hoolock
분포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분포 지역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분포 지역
보전 상태
IUCN멸종위기 (EN)
CITES부속서 I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직비원아목
하목원숭이하목
상과사람상과
긴팔원숭이과
훌록속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2. 분류

무트닉과 그로브스는[20] 부노피테쿠스속(''Bunopithecus'')이 유효하지 않다고 밝히고, 흰눈썹긴팔원숭이를 훌록속(''Hoolock'')으로 재분류했다.[21] 이 속에는 이전에 아종으로 여겨졌던 ''H. leuconedys''와 ''H. hoolock''이 포함된다.[5]

2. 1. 하위 분류

훌록속(''Hoolock'')에는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Hoolock hoolock''), 동부흰눈썹긴팔원숭이(''Hoolock leuconedys''), 스카이워커흰눈썹긴팔원숭이(''H. tianxing'')가 포함된다.[6] 최근 인도 북동부에서 미시미 언덕 흰눈썹긴팔원숭이(''H. h. mishmiensis'')라는 새로운 아종이 발견되었다.[7] 흰손긴팔원숭이와 훌록속 긴팔원숭이 사이의 진화적 거리는 보노보침팬지 사이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6]

훌롱가파르 긴팔원숭이 보호구역의 수관에서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3. 습성

인도방글라데시의 활엽수림, 상록수림, 준상록수림 등에서 발견된다. 이 종들은 대표적인 씨앗 전파자 중 하나이다. 주로 익은 과일을 먹고, 꽃, 잎, 새싹도 섭취한다.[9]

다른 긴팔원숭이들처럼,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한 쌍은 시끄럽고 정교한 노래를 부르는데, 보통 숲의 수관(樹冠, canopy)에서 듀엣으로 부른다. 가족 구성원인 어린 개체들도 노래에 참여할 수 있다. 이 노래는 도입부, 조직, 웅장한 외침 시퀀스로 구성되며, 수컷도 마지막 시퀀스에 참여한다.[9]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는 누에, 개미, 그리고 다른 다양한 곤충 종과 같은 비식물성 음식도 섭취한다.[9] 북동부 인도의 우기 동안, 곤충은 빵나무속의 열매를 맺는 나무인 아르토카르푸스 ''차플라샤'' 다음으로 이 종이 두 번째로 선호하는 음식으로 기록된다.[10][11]

홀롱가파르 긴팔원숭이 보호구역에 있는 암컷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

4. 보존

서부흰눈썹긴팔원숭이는 야생에서 서식지 잠식, 차 재배를 위한 산림 벌채, 화전 농업, 식용 및 의약품 목적의 사냥, 밀매, 삼림 황폐화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여 생존이 위태롭다.[22][1]

1970년대 초 아삼 주에서만 8만 마리로 추산되었던 개체수는 1980년대 이후 10만 마리 이상에서 5천 마리 미만으로 급감했다(90% 이상 감소).[22][12] 2009년에는 세계 25대 멸종 위기 영장류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으나,[13] 이후 목록에서는 제외되었고,[14] 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1]

훌롱가파 긴팔원숭이 보호구역의 낮은 가지에 매달린 수컷 서부 흰눈썹긴팔원숭이


월드 랜드 트러스트(World Land Trust)[15], 긴팔원숭이 보존 연합(Gibbon Conservation Alliance)[16] 등 여러 보존 기관이 서식지 보호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Hoolock hoolock''"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Description of a Species of Orang, from the North-Eastern Province of British East India, Lately the Kingdom of Assam https://www.biodiver[...] 1834
[4] 논문 Geographic variation in the hoolock or white-browed gibbon (''Hylobates hoolock harlan'' 1834).
[5] 논문 A new generic name for the hoolock gibbon (Hylobatidae)
[6] 논문 Gibbon (Hylobatidae) species identification recommended for rescue or breeding centers
[7]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ubspecies of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from North East India
[8] 서적 Mammals of South Asia Universities Press
[9] 논문 Diet and feeding ecology of the western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in a tropical forest fragment of Northeast India http://link.springer[...] 2017-09-11
[10] 논문 Feeding on Non-Plant Food Items by Western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https://www.currents[...] 2014
[11] 논문 Habitat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n the Density of Groups of Western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in Namdapha National Park, Arunachal Pradesh, India http://link.springer[...] 2015
[12] 웹사이트 Western Hoolock Gibbon, ''Hoolock hoolock'' http://www.primate-s[...] 2008-03-10
[13]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14]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12–2014 https://static1.1.sq[...]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and Bristol Conservation and Science Foundation
[15] 웹사이트 WESTERN HOOLOCK GIBBON https://www.worldlan[...] 2023-12-11
[16] 웹사이트 Gibbon Conservation Alliance - Projects http://www.gibboncon[...] 2023-12-11
[17] 간행물 MSW3 Groves
[18] 간행물 Hoolock hoolock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웹인용 http://www.primate-s[...] 2008-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