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는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총 16점의 무신도이다. 전통 탱화와 신경향의 탱화가 만나는 구한말 탱화의 영향을 보여주며, 1912년에 제작된 산신도는 근대기 서양화풍의 영향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무신도는 아기씨당과 개인 신당에 봉안되어 있으며, 화풍과 양식적 면에서 A, B, C, D의 네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무신도들은 오랜 역사를 지닌 행당동 아기씨당과 함께 보존할 가치가 있어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신도 - 서울 응선사 대웅전 산신도
서울 응선사 대웅전 산신도는 1914년에 약효, 성엽, 경인에 의해 제작되어 안양암에 봉안된 산신도로, 호랑이와 동자를 배경으로 산신을 묘사하여 19세기 후반 불화 양식과 한국 전통 회화 특징을 보여준다. - 1912년 작품 - 무의식의 심리학
융은 프랭크 밀러의 환상 분석을 통해 조현병 징후 예측과 무의식적 영향력을 연구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자신의 심리 분석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다루기 위해 해당 환상을 《변형의 상징》에 포함시켰다. - 서울 성동구의 문화유산 - 서울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
서울 미타사 금보암 금동관음보살좌상은 높이 35cm의 금동관음보살상으로, 윤왕좌 자세를 취하고 보관과 영락 장식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조선 전기 제작으로 추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관음보살좌상과 함께 조선 전기 윤왕좌 보살상을 대표한다. - 서울 성동구의 문화유산 - 살곶이다리
살곶이다리는 청계천 등 세 하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교로, 성종 때 완공되었으며, 64개의 돌기둥으로 지어진 가장 큰 규모의 장석판교이며, 보물 제1738호로 지정되었다.
서울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 (杏堂洞 아기씨堂 巫神圖) |
국가 | 서울특별시 |
유형 | 민속문화재 |
지정 번호 | 34 |
지정일 | 2017년 4월 13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19나길 29-18 (행당동, 아기씨당) |
수량 | 16점 |
2. 지정 사유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는 총 16점으로, 전통 탱화와 신경향의 탱화가 만나는 접점이라 할 수 있는 구한말 탱화의 영향이 나타나며 다양하고 흥미로운 도상들이 많다.[1] 대부분 화승의 필법과 도상적인 특징이 나타난다.[1] 특히 1912년에 제작된 산신도는 무신도로는 드물게 제작년도가 있고 시기적으로 앞설 뿐만 아니라 근대기 서양화풍의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1] 이들 무신도는 오랜 역사를 지닌 행당동 아기씨당과 함께 앞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행당동 아기씨당은 본당인 아기씨당에 7점의 무신도(좌신장, 삼불제석, 아기씨, 산신, 부군내외, 태산노군, 우신장)가 봉안되어 있으며, 옆 건물의 개인신당에는 14점의 무신도(일월성신, 칠성님, 삼불제석, 대사님, 산신님, 용궁부인, 숲당아기씨, 천존대감, 관성제군, 최일장군, 별상님, 대신할머니, 대신마누라님, 오방신장님)가 봉안되어 있다. 이 가운데 아기씨당의 2점(부군내외, 태산노군)을 포함해 개인신당의 14점 모두는 본래 행당동 아기씨당에 봉안되었던 것이 아니라 광진구 자양동 부군당에서 모셔온 것이다.[1]
3. 조사 보고서
행당동 아기씨당의 총21점의 무신도는 전통적이거나 개량형 족자로 되어 있다. 보존상태를 보면, 아기씨당의 무신도는 양호하지만, 개인신당 무신도는 심각하다. 육안으로 화면을 판독할 수 없는 것이 많고 화폭안쪽이 그을음과 안료의 색변현상으로 얼룩진 것이 상당수 발견된다. 난곽 밖은 종이나 벽지 등으로 임시 보수한 것이 많다. 시급히 보존처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1]
봉안 장소와 별개로 화풍과 양식적 면에서 매우 다양한 특징이 나타난다. 개인신당의 4점의 무신도(산신님, 숲당아기씨, 별상님, 대신마누라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화승(畵僧)의 필법과 도상적인 특징이 나타나며, 전통 탱화와 신경향의 탱화가 만나는 접점이라 할 수 있는 구한말 탱화의 영향도 함께 나타난다. 도상 및 배경묘사에 선과 색을 과도하게 단순화시키고, 유화(油畵)의 질감표현과 함께 금박(金箔)과 금니(金泥)의 사용이 많아 장식성이 두드러진다. 칠보문(七寶紋)의 구슬을 응용한 문양들도 보인다. 또한 구한말에 수입되어 새로운 색감과 화면의 높은 은폐력으로 애용되던 장단(障丹)의 남용과 경향을 같이 해, 주황색이 주조색을 이루고 있는 점도 눈에 띈다.[1]
전체 무신도를 제작시기, 화풍과 도상적 특징, 화면의 난곽 구성, 장황 등으로 조사해 보면, A, B, C, D의 네 유형으로 분류된다.[1]
산신님의 화기는 다음과 같다.
경셩부두 모면둑도 이계향목 동거쥬 계유 니츈의 장자무신 니긔홍 차자임자 니긔운 쟝수발 원 임십이월 이십구일
위의 내용을 풀면 다음과 같다.
축원(祝願)
경성부 두모면(豆毛面) 둑도(纛島 ; 뚝섬) 이계(二契) 향목동 거주, 계유생(癸酉生 ; 1873년생)
이춘의, 장자 무신생(戊申生 ; 1908년생) 이기홍, 차자 임자생(壬子生 ; 1912년생) 이기운. 장수
발원(長壽發願), 임자(壬子 ; 1912년) 12월 29일.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는 자양동 부군당에서 모셔온 16점의 무신도를 포함해 총 21점으로, 전통과 근대기 화풍의 접점에서 이룬 다양하고 흥미로운 도상들이 많다. 화승들의 세련된 철선묘(鐵線描)의 운용과 유화질감이살아 있는 서양화풍의 영향도 나타나는데, 제작시기는 1912년, 1956년 추정, 20세기 초에 이르고 있다.[1]
특히, 산신님(1912)은 무신도로는 드물게 기년명이 있고 시기적으로 앞설 뿐만 아니라 근대기 서양화풍으로 그려진 것이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1]
이들 전체 무신도는 오랜 역사를 지닌 행당동 아기씨당과 함께 앞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므로, 이에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A유형에 해당하는 5점의 무신도(죄신장, 삼불제석, 아가씨, 산신, 우신장)는 조성연대(1956년)가 서울시 민속문화재로 지정하기에는 비교적 늦은 시기에 해당되어 이를 제외한 총 16점을 대상으로 한다.[1]
3. 1. 무신도 현황
서울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는 아기씨당과 개인 신당에 봉안된 총 21점의 무신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16점의 무신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행당동 아기씨당에는 본당에 7점(좌신장, 삼불제석, 아기씨, 산신, 부군내외, 태산노군, 우신장), 개인 신당에 14점(일월성신, 칠성님, 삼불제석, 대사님, 산신님, 용궁부인, 숲당아기씨, 천존대감, 관성제군, 최일장군, 별상님, 대신할머니, 대신마누라님, 오방신장님)이 있다. 이 중 개인 신당의 무신도 14점과 아기씨당의 2점(부군내외, 태산노군)은 광진구 자양동 부군당에서 옮겨온 것이다.
무신도들은 전통적인 족자 형태를 띠고 있지만 보존 상태는 상이하다. 아기씨당의 무신도는 양호하지만, 개인 신당의 무신도는 화면 판독이 어렵거나 그을음, 색 변형 등으로 훼손된 경우가 많아 보존 처리가 시급하다.
화풍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개인 신당의 4점(산신님, 숲당아기씨, 별상님, 대신마누라님)을 제외하면, 대부분 화승의 필법과 도상적 특징이 나타나며, 전통 탱화와 신경향 탱화의 영향이 혼재되어 있다. 도상 및 배경 묘사는 단순화되었고, 유화 질감 표현, 금박과 금니 사용이 두드러진다. 칠보문 구슬을 응용한 문양도 보인다. 주황색이 주조색을 이루는 경향도 나타난다.
전체 무신도는 제작 시기, 화풍, 도상적 특징, 화면 구성, 장황 등에 따라 A, B, C, D 네 유형으로 분류된다.
산신님의 화기에는 경성부 두모면 둑도(뚝섬)에 거주하는 이춘의 가족의 장수를 발원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행당동 아기씨당 무신도는 전통과 근대기 화풍의 접점에서 형성된 다양한 도상을 보여준다. 화승의 철선묘 운용과 서양화풍의 영향이 나타나며, 제작 시기는 1912년, 1956년, 20세기 초로 추정된다. 특히 1912년에 제작된 산신님은 기년명이 있고 근대기 서양화풍으로 그려져 희귀한 자료로 평가된다.
A유형 5점(1956년작)을 제외한 16점의 무신도는 보존 가치가 높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3. 2. 보존 상태
3. 3. 화풍 및 양식적 특징
3. 4. 유형별 분류
4. 상세 규격
wikitable
명칭 | 수량 | 규격(cm) | 조성연대 |
---|---|---|---|
①산신님 | 16점 | 77 × 56.5 | 1912년 |
②별상님 | 77 × 56.5 | ||
③숲당아가씨 | 77 × 56.5 | ||
④대신마누라님 | 77 × 56.5 | ||
⑤부군내외 | 101 × 80 | 20세기 초 | |
⑥태산노군 | 95 × 58 | ||
⑦일월성신 | 102 × 70 | ||
⑧칠성님 | 102 × 70 | ||
⑨삼불제석 | 102 × 70 | ||
⑩대사님 | 102 × 70 | ||
⑪용궁부인 | 110.5 × 58.5 | ||
⑫천존대감 | 100 × 54 | ||
⑬관성제군 | 100 × 75.5 | ||
⑭최일장군 | 100 × 66 | ||
⑮대신할머니 | 94 × 55 | ||
⑯오방신장님 | 124.5 × 97 |
5.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