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반은 고대부터 사용된 기계 도구로, 주로 회전하는 공작물을 절삭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전 1300년경에 사용된 증거가 있으며, 산업 혁명 시기에 정밀 금속 절삭 선반이 개발되어 기계 발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선반은 베드, 헤드스톡, 테일스톡, 캐리지, 툴포스트 등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선반, 터릿 선반, CNC 선반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주요 가공 작업으로는 외주선삭, 단면 가공, 내주선삭, 테이퍼 가공, 나사 절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작기계 - 금형
금형은 제품의 외관, 품질, 생산성을 결정하는 제조업의 핵심 요소로, 개방형 다이와 밀폐형 몰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스마트팩토리 기술 접목, 재료 개발, 극소량 생산 시스템 운영, 기술 개발 지원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공작기계 - 유압 프레스
유압 프레스는 파스칼의 원리를 활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내는 기계 장치로, 제조업 및 지질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최근 유튜브 채널을 통해 대중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선반 | |
---|---|
선반 | |
![]() | |
개요 | |
종류 | 금속 가공 공작 기계 |
기능 | 회전하는 공작물에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깎거나 다듬는 작업 |
사용 분야 | 금속 가공 목재 가공 석재 가공 유리 가공 플라스틱 가공 |
역사 | |
기원 | 기원전 1300년경 고대 이집트 |
초기 형태 | 두 사람이 협력하여 작업 (한 명은 공작물을 회전, 다른 한 명은 절삭 도구 사용) |
로마 시대 | 발판과 끈을 이용한 선반 개발 |
중세 시대 | 수차를 이용한 선반 개발 |
산업 혁명 | 헨리 모즐리, 완전 금속 선반 개발 자동화 선반 개발 |
구조 및 작동 원리 | |
주요 구성 요소 | 베드 (Bed) 주축대 (Headstock) 심압대 (Tailstock) 왕복대 (Carriage) |
작동 원리 | 주축대에 고정된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왕복대에 장착된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절삭 |
선반의 종류 | |
범용 선반 (Engine Lathe) |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형태의 선반 |
공구 선반 (Toolroom Lathe) | 정밀 작업 및 공구 제작에 사용되는 선반 |
자동 선반 (Automatic Lathe) | 자동으로 연속적인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선반 |
터릿 선반 (Turret Lathe) | 여러 개의 공구를 장착하여 다양한 가공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선반 |
CNC 선반 (CNC Lathe) | 컴퓨터 수치 제어 (CNC)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밀하고 복잡한 형상을 가공하는 선반 |
수직 선반 (Vertical Lathe) | 무거운 공작물을 가공하는 데 적합한 수직 형태의 선반 |
특수 선반 (Special Purpose Lathe) |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된 선반 (예: 차축 선반, 크랭크축 선반) |
선반 작업의 종류 | |
선삭 (Turning) | 공작물의 외경 또는 내경을 깎는 작업 |
정면 깎기 (Facing) | 공작물의 단면을 평평하게 깎는 작업 |
드릴링 (Drilling) |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 작업 |
보링 (Boring) | 이미 뚫린 구멍을 넓히는 작업 |
나사 절삭 (Threading) | 공작물의 외면 또는 내면에 나사를 만드는 작업 |
널링 (Knurling) | 공작물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오돌토돌한 무늬를 새기는 작업 |
연삭 (Grinding) | 공작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다듬는 작업 |
안전 수칙 | |
보호 장비 착용 | 보안경, 작업복 등 보호 장비를 착용 |
기계 점검 | 작업 전 기계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 확인 |
올바른 공구 사용 | 작업에 적합한 공구를 사용하고 안전하게 장착 |
집중 | 작업에 집중하고 부주의로 인한 사고 예방 |
정리 정돈 | 작업 후 주변을 정리 정돈 |
같이 보기 | |
관련 기계 | 밀링 머신 드릴링 머신 연삭기 |
2. 역사
선반은 가공물을 회전시키고 바이트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주로 원통형으로 깎는 공작 기계이다. 보통선반은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선반이다. 초기에는 사람의 힘을 이용한 수족선반에서 시작하여 증기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면서 'engine lathe'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21]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자연사(30권, 44장)에서 연한 돌을 가공하는 데 선반을 사용했다고 기록했다.
2. 1. 고대

선반은 고대 이집트(기원전 1300년경)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미케네 그리스 유적에서도 기원전 13세기 또는 1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4]
기원전 6세기부터는 회전 가공된 유물이 확실하게 발견되었는데, 에트루리아 무덤의 나무 그릇 조각과 현대 터키의 장식적인 회전 가장자리를 가진 나무 접시 등이 있다.[4]
전국 시대 중국에서는 회전 선반을 사용하여 공업 규모로 도구와 무기를 연마했다.[5]
기원전 3세기 고대 이집트의 그림에는 선반을 사용하는 모습이 최초로 묘사되어 있다.[4]
2. 2. 중세 및 근대
선반은 고대부터 사용된 도구이다. 기원전 13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선반을 사용했다는 초기 증거가 발견되었고,[3] 미케네 그리스 유적에서도 기원전 13세기 또는 14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증거가 희미하게나마 발견되었다.[4]기원전 6세기부터는 회전 가공된 유물이 확실하게 발견되었다. 에트루리아 무덤(이탈리아 북부)에서 발견된 나무 그릇 조각과 현대 터키에서 발견된 장식적인 회전 가장자리를 가진 두 개의 평평한 나무 접시가 그 예이다.[4]
기원전 400년경 중국의 고대 중국인들은 회전 선반을 사용하여 공업 규모로 도구와 무기를 연마했다.[5]
선반을 보여주는 최초의 그림은 기원전 3세기 고대 이집트의 것이다.[4]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자연사(30권, 44장)에서 연한 돌을 가공하는 데 선반을 사용했다고 기록했다.
정밀 금속 절삭 선반은 산업혁명 이전에 개발되었으며, 당시 기계 발명의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 예로는 1718년 러시아의 엔지니어 안드레이 나르토프가 만든 기계식 절삭 공구 지지대와 기어 세트가 장착된 버전과 1717년판 프랑스 ''백과전서''에 나오는 슬라이드 레스트가 장착된 선반이 있다. 슬라이드 레스트는 절삭 공구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정확한 원통형 또는 원추형 표면을 생성하는 데 특히 중요한 발전이었다. 이전의 선반은 공구를 자유롭게 조작해야 했기 때문이다.[6]

1770년대에 이르러 정밀 선반은 실용적이고 잘 알려지게 되었다. 1772년판 백과전서에는 슬라이드 레스트가 분명하게 나와 있으며, 같은 해에 얀 베르브뤼헌이 영국 울리치의 왕립 병기창에 말이 끄는 대포 보링 선반을 설치했다. 베르브뤼헌의 선반으로 가공된 대포는 이전의 것보다 더 강하고 정확하여 미국 독립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헨리 모즈레이는 울리치의 베르브뤼헌 공방에서 견습공으로 일했으며, 이후 선반 개량에 큰 기여를 했다.[7]
산업혁명 동안에는 물레방아나 증기 기관이 생성한 기계 동력이 라인 샤프트를 통해 선반으로 전달되어 더 빠르고 쉽게 작업할 수 있었다. 금속 가공 선반은 더 두껍고 더 단단한 부품을 가진 더 무거운 기계로 진화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 사이에는 각 선반에 개별 전동기가 라인 샤프트를 대체하여 동력원이 되었다. 1950년대부터는 서보 메커니즘이 수치 제어를 통해 선반 및 기타 공작 기계의 제어에 적용되었고, 종종 컴퓨터와 결합되어 컴퓨터 수치 제어(CNC)를 만들어냈다. 오늘날 수동 제어 선반과 CNC 선반은 제조업에서 공존하고 있다.
2. 3. 산업혁명과 현대
선반은 초기에는 사람의 힘을 이용한 수족선반에서 발전하여, 증기 기관을 이용한 엔진에서 동력을 이용하면서 'engine lathe'라는 이름으로 불렸다.[21]정밀 금속 절삭 선반은 산업혁명 이전에 개발되었으며, 당시 기계 발명의 제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기의 예시로는 1718년 러시아의 엔지니어 안드레이 나르토프가 만든 기계식 절삭 공구 지지대와 기어 세트가 장착된 버전과 1717년판 프랑스 ''백과전서''에 나오는 슬라이드 레스트가 장착된 선반이 있다. 슬라이드 레스트는 절삭 공구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정확한 원통형 또는 원추형 표면을 생성하는 데 특히 중요한 발전이었다. 이전의 선반은 공구를 자유롭게 조작해야 했기 때문이다.[6]
1770년대가 되면서 정밀 선반은 실용적이고 잘 알려지게 되었다. 1772년판 백과전서에는 슬라이드 레스트가 분명하게 나와 있으며, 같은 해에 얀 베르브뤼헌이 영국 울리치의 왕립 병기창에 말이 끄는 대포 보링 선반을 설치했다. 베르브뤼헌의 선반으로 가공된 대포는 이전의 것보다 더 강하고 정확하여 미국 독립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후속 선반 개량의 발명가인 헨리 모즈레이는 울리치의 베르브뤼헌 공방에서 견습공으로 일했다.[7]
산업혁명 동안에는 물레방아나 증기 기관이 생성한 기계 동력이 라인 샤프트를 통해 선반으로 전달되어 더 빠르고 쉽게 작업할 수 있었다. 금속 가공 선반은 더 두껍고 더 단단한 부품을 가진 더 무거운 기계로 진화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 사이에는 각 선반에 개별 전동기가 라인 샤프트를 대체하여 동력원이 되었다. 1950년대부터는 서보 메커니즘이 수치 제어를 통해 선반 및 기타 공작 기계의 제어에 적용되었고, 종종 컴퓨터와 결합되어 컴퓨터 수치 제어(CNC)를 만들어냈다. 오늘날 수동 제어 선반과 CNC 선반은 제조업에서 공존하고 있다.
3. 구조
가장 일반적인 디자인은 유니버설 선반 또는 평행 선반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일반적인 디자인으로는 프런탈 선반과 수직 선반 등이 있다.[1]
선반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부품 | 설명 |
---|---|
주축대 | 베드의 왼쪽 끝에 위치하며, 주축, 변속 장치, 자동 이송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
이송 레버 | |
주축 구동 레버 | |
트래버스 로드 | |
왕복대 | 베드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
리드스크류의 역회전 레버 | |
리드스크류 바 | |
베드 | 선반의 기초가 되는 부분 |
심압대 | 센터를 장착하여 피삭재의 회전 중심을 주축 방향으로 밀어 지지한다. |
나사 결각 | |
왕복대 횡측 급송 레버 | |
복식 공구대 | |
왕복대 종축 급속 레버 | |
왕복대 이송용 핸들 | |
푸쉬 버튼 | |
속도 선택 레버 |
3. 1. 주요 구성 요소
선반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베드(bed): 선반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레일처럼 움직이는 받침대와 테일스톡을 정확하게 평행 이동시키는 안내면 역할을 한다.
- 헤드스톡(head stock): 베드의 왼쪽 끝에 위치하며, 주축, 변속 장치, 자동 이송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 주축(main spindle): 일반적으로 긴 재료를 관통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축으로 되어 있다. 끝부분은 바깥쪽에 페이스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나사가 있고, 안쪽에는 센터를 장착하는 모르스 테이퍼가 있다.
- 페이스플레이트(faceplate): 피삭재(가공할 재료)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척(chuck)이라고 불리는 바이스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고, 센터라고 불리는 공구를 장착하여 피삭재 양쪽의 회전 중심을 지지하기도 한다.
- 테일스톡(tail stock): 센터를 장착하여 피삭재의 회전 중심을 주축 방향으로 밀어 지지한다. 베드 위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센터 대신 드릴이나 리머를 장착할 수도 있다.
- 캐리지(carriage): 베드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피삭재의 길이 방향 이송을 담당하며, 주축의 회전과 동기화된 자동 이송이 가능하여 나사 절삭도 할 수 있다.
- 횡이송대: 캐리지 위에 놓여 있으며, 캐리지와 직각인 가로 방향으로 움직인다. 피삭재의 반지름 방향 이송을 담당하므로, 주로 가공 직경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 툴포스트(toolpost): 바이트를 장착하는 부분이다. 횡이송대 위에 회전대를 거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캐리지와 평행하게 사용하지만, 테이퍼 가공 시에는 임의의 각도로 조정하여 공구에 이송을 줄 수 있다.
4. 종류
선반은 형태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가장 일반적인 디자인은 유니버설 선반 또는 평행 선반이며, 프런탈 선반과 수직 선반 등도 널리 사용된다.
'''NC 선반'''은 수치 제어(Numerical Control) 장치를 부착하여, 공구대의 이동 거리와 이송 속도를 수치로 지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는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CNC)가 주류이며, 터닝센터라고 불리는 공작 기계도 여기에 포함된다.
종류 | 설명 |
---|---|
보통 선반 (engine lathe) | 작업물의 양 끝을 고정하고 회전시켜 바이트로 가공하는 공작기계. |
고속 선반 | 고속 절삭에 대응하도록 절삭 능력이 향상된 선반. 용도는 보통 선반과 동일. |
공구 선반 | 정밀도가 높은 선반. 구조는 보통 선반과 동일. |
탁상 선반 (bench lathe) | 소형 선반으로 작업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 “벤치 레이스”라고도 함. |
정면 선반 (face lathe) | 비교적 큰 주축이 작업자 정면을 향하는 선반. |
수직 선반 (turning mill) | 주축이 위를 향하는 선반. 수평 회전으로 중량물이나 불균형 공작물도 안정적으로 가공 가능. |
터릿 선반 (turret lathe) | 터릿식 바이트대를 가진 선반. |
다날 선반 | 다수의 바이트를 바이트대에 장착하여 동일 제품 대량 생산에 용이. |
차륜 선반 | 차량 공장 등에서 차량 동륜 절삭에 사용되는 특수 용도 선반. |
모방 선반 (copying lathe, tracer lathe) | 모방 장치로 형상 복제가 가능한 선반. NC 선반 개발 이전 수동 절삭이 어려운 곡선, 테이퍼 가공에 사용. |
4. 1. 용도 및 크기에 따른 분류
유니버설 선반 또는 평행 선반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선반 디자인이다. 프런탈 선반과 수직 선반도 널리 사용되는 디자인이다.선반은 가공 가능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규격'이 결정된다. 큰 공작물은 주로 헤드스톡의 척이나 구동 장치, 테일스톡의 센터를 사용하여 양쪽 끝을 고정한다. 센터 간 선삭은 공작물을 헤드스톡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 크기를 최대화하며, 테일스톡 베이스가 베드 끝과 정렬될 때 선반이 가공할 수 있는 가장 긴 공작물 길이를 결정한다. 센터 간 거리는 선반이 고정할 수 있는 최대 공작물 길이를 나타낸다.[10] 테일스톡이 베드 끝을 넘어가면 더 긴 공작물도 가능하지만 권장되지 않으며, 연장대나 더 큰 베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공작물의 다른 치수는 중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거리인 '스윙'으로 표현된다. 스윙은 선반 헤드 센터에서 베드, 웨이 또는 받침대까지의 거리로, 선반에서 가공 가능한 물체의 직경 크기를 결정한다.[10] 베드 스윙은 베드와의 간섭 없이 가공 가능한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이는 공작물이 중심에서 '회전'한다는 개념에서 유래되었으며, 주로 원통형 공작물에 사용되므로 선반이 고정할 수 있는 최대 직경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스윙 값에 2를 곱하면 최대 직경을 얻을 수 있다. 미국에서는 스윙을 직경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므로 '베드 위 중심 높이'로 표현하는 것이 더 명확하다. '크로스 슬라이드 위 스윙' 등 선반 부품에 따라 용량이 달라질 수 있다.


목공용 선반은 물레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형태의 선반이다. 다른 모든 선반은 이 단순한 선반에서 파생되었다. 조절 가능한 수평 금속 레일인 툴레스트는 재료와 작업자 사이에 위치하여 주로 손으로 잡는 성형 도구의 위치를 조정한다. 성형 후에는 회전하는 물체에 사포를 대고 문질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포 작업 중에는 작업자의 손이 툴레스트와 회전하는 목재 사이에 끼일 위험이 있어 툴레스트를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목공용 선반은 그릇과 접시 제작에도 사용된다. 그릇이나 접시는 선반 한쪽 면으로 바닥을 고정하며, 주로 스핀들에 부착된 금속 페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헤드스톡 왼쪽에 레일이 없는 경우 여유 공간이 더 많아 이 작업에 유리하다. 이 구성에서는 공작물을 안팎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안쪽 성형 시에는 곡선형 툴레스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목선반 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대부분의 목공용 선반은 분당 200~1,400회전 속도로 작동하며, 대부분의 작업에 분당 1,000회전 이상이 최적이다. 더 큰 공작물에는 더 낮은 속도가 필요하다.[16]
시계 제작용 선반은 정밀한 금속 가공 선반으로, 보통 나사 절삭 기능이 없으며, 시계 기술자들이 균형추 축 제작 등에 사용한다. 손으로 잡는 조각칼을 공구 받침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 시계 제작자의 선반은 이동식 받침대와 두 개의 느슨한 헤드스톡이 있는 데드센터 선반이었으며, 공작물은 주로 말총으로 만든 활로 회전시켰다.
종류 | 설명 |
---|---|
보통 선반 (engine lathe) | 작업물의 양 끝을 고정하고 회전시켜 바이트로 가공하는 공작기계. |
고속 선반 | 고속 절삭에 대응하도록 절삭 능력이 향상된 선반. 용도는 보통 선반과 동일. |
공구 선반 | 정밀도가 높은 선반. 구조는 보통 선반과 동일. |
탁상 선반 (bench lathe) | 소형 선반으로 작업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 “벤치 레이스”라고도 함. |
정면 선반 (face lathe) | 비교적 큰 주축이 작업자 정면을 향하는 선반. |
수직 선반 (turning mill) | 주축이 위를 향하는 선반. 수평 회전으로 중량물이나 불균형 공작물도 안정적으로 가공 가능. |
터릿 선반 (turret lathe) | 터릿식 바이트대를 가진 선반. |
다날 선반 | 다수의 바이트를 바이트대에 장착하여 동일 제품 대량 생산에 용이. |
차륜 선반 | 차량 공장 등에서 차량 동륜 절삭에 사용되는 특수 용도 선반. |
모방 선반 (copying lathe, tracer lathe) | 모방 장치로 형상 복제가 가능한 선반. NC 선반 개발 이전 수동 절삭이 어려운 곡선, 테이퍼 가공에 사용. |
4. 2. 기능에 따른 분류
- 일반 선반: 유니버설 선반 또는 평행 선반이라고도 불리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프런탈 선반과 수직 선반도 일반적인 디자인에 속한다.
- 보석 세공용 선반: 매우 작아서 한 손으로 들 수 있을 정도이며, 주로 금속과 같은 연한 재료를 가공하는 데 사용된다. 손으로 잡는 조각 도구나 복합 받침대를 함께 사용한다.[11]
- 미니 선반: 정밀 절삭을 위해 제작된 희귀하고 더 작은 선반이다.[12]
- 취미용 선반/벤치 선반: 보석 세공용 선반보다 크고, 작업대 위에 놓을 수 있는 크기의 금속 가공 선반이다. 취미용 선반은 더 작은 버전을, 벤치 선반은 더 큰 버전을 의미한다. 공구 제작자가 일회성 작업에 사용하는 특수한 고정밀 선반도 벤치 선반이라고 한다.[14]
- 엔진 선반: 개별 부품을 생산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더 큰 선반이다. 반복적인 생산을 위한 기능은 없다.
- 2차 가공 선반: 대량 생산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엔진 선반이나 벤치 선반의 나사 절삭 기능은 없는 선반이다.
- 유전 선반: 매우 큰 스핀들 보어와 스핀들 양쪽 끝에 척이 있는 선반이다.
- 자동 선반: 캠과 기어 트레인을 사용하여 제어된 움직임을 수행하는 완전 자동 기계 선반으로, 스크류 머신이라고도 한다.
- CNC 선반: 컴퓨터로 제어되는 선반이다.
- 수직 선반/수직 보링 머신: 스핀들이 수직으로 장착된 선반으로, 매우 큰 직경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데 사용된다.
- 터릿 선반: 헤드스톡(및 공작물)쪽으로 다른 공구를 제시하기 위해 수직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공구대가 있는 선반이다.[15]
- 장식 선반: 색인판, 프로파일 커터, 나선형 가이드 등을 갖추어 장식 선삭을 가능하게 하는 선반이다.
- 복합 선반: 드릴 프레스 또는 수직 밀링 머신과 같은 다른 공작 기계와 결합된 선반이다.
- 보통 선반 (engine lathe): 작업물의 양 끝을 고정하고 이를 회전시켜 바이트로 가공하는 공작기계.
- 고속 선반: 고속 절삭에 대응하도록 절삭 능력이 고도화된 것. 용도는 보통 선반과 동일.
- 공구 선반: 정밀도가 높은 선반. 구조는 보통 선반과 동일.
- 탁상 선반 (bench lathe): 소형 선반으로 작업대 등 위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벤치 레이스”라고도 불린다.
- 정면 선반 (face lathe): 비교적 대형의 주축이 작업자의 정면을 향한 선반.
- 수직 선반 (turning mill): 주축이 위를 향한 선반. 수평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피삭재가 중량물이나 불균형이어도 안정적인 가공이 가능하다.
- 터릿 선반 (turret lathe): 터릿식 바이트대를 가진 선반. 자세한 내용은 터릿 선반 참조.
- 다날 선반: 다수의 바이트를 바이트대에 장착한 것. 동일 종류의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 차륜 선반: 차량 공장 등에서 차량의 동륜 절삭에 사용되는 특수 용도의 선반.
- 모방 선반 (copying lathe, tracer lathe): 모방 장치에 의해 형상의 복제를 가능하게 한 선반. NC 선반 개발 이전에 수동으로는 절삭이 어려운 곡선이나 테이퍼 부분을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5. 주요 가공 작업
- 외주선삭(外丸削り): 원통의 바깥쪽을 바이트로 절삭하는 것으로, '선삭'이라고도 한다.
- 끊어내기(突切り): 지름 방향으로 대상물의 회전 중심을 넘어 절삭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대상물을 소재로부터 분리하거나 잘라내는 가공을 말하며, 사용되는 공구도 가리킨다. 끊어낸 면은 대개 거칠어진다.
- 면(面): 단면을 가리키는 말로, '면삭'과 같이 사용된다.
- 내주선삭(中刳り): 원통의 안쪽을 바이트로 가공하는 것으로, '보링'이라고도 한다.
- 테이퍼 가공: 가공물을 비스듬히 깎아 원뿔면을 만드는 것이다.
- 나사 절삭: 가공물에 나사산을 만드는 절삭 작업이다.
6. 한국의 선반 기술 및 산업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출력을 반환합니다.)
참조
[1]
간행물
Lathes
http://uhv.cheme.cmu[...]
US Army Training Circulation
1996
[2]
웹사이트
LATHES
http://uhv.cheme.cmu[...]
[3]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Furnitur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woodturning
http://www.turningto[...]
Woodturners' Guild of Ontario
2018-07-24
[5]
비디오 미디어
Emperor's Ghost Army
http://www.pbs.org/w[...]
PBS
[6]
서적
English and American Tool Builder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and Machine Tools (presentation notes)
https://ocw.tudelft.[...]
TUDelft
2016-02-16
[7]
비디오 미디어
02. Ontwikkeling Fabricagetechnologie
https://ocw.tudelft.[...]
TUDelft
2011
[8]
웹사이트
Wait a minute...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Hints & Tips for Using a Lathe
http://www.lathes.co[...]
Lathes.co.uk
2010-11-29
[10]
서적
The Practical Dictionary of Mechanics
https://Mechanicalmi[...]
Cassell & co / Houghton Mifflin
1875
[11]
웹사이트
Watchmaking Lathes
https://www.csparks.[...]
[12]
웹사이트
The smallest micro lathe, made by researchers in Tokyo, Japan
https://web.archive.[...]
designnews.com
2001-07-16
[13]
웹사이트
Trade names
https://www.mmsonlin[...]
[14]
웹사이트
Makers of "Bench Precision" Lathes
http://www.lathes.co[...]
[15]
서적
Building Victory: Aircraft Manufacturing in the Los Angeles Area in World War II
Cypress, CA
[16]
서적
Turn a Bowl with Ernie Conover: Getting Great Results the First Time Around
https://books.google[...]
Taunton
[17]
서적
Harpers Ferry Armory and the New Technology: The Challenge of Change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
[18]
웹사이트
Ornamental Turning - Turners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Russia
https://ornamentaltu[...]
[19]
서적
Nartov and his Theatrum Machinarium
[20]
웹사이트
Methods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uter Numerically Controlled Lathes and Turning Centers
https://www.asme.org[...]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1]
서적
2005-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