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보강 콘크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균열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를 혼합한 복합 재료이다. 고대부터 말총, 짚 등이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강철, 유리 섬유, 합성 섬유 등이 사용된다. 섬유의 종류에 따라 강섬유,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등이 있으며,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활용 분야, 그리고 관련 표준이 존재한다.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 특히 교량, 터널, 고층 건물의 내진 설계 등에 널리 사용되며, 최근에는 고성능 섬유 보강 콘크리트와 재활용 섬유를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리제품 - 모래시계
모래시계는 중력으로 모래가 위에서 아래로 일정하게 흘러내리도록 만든 시간 측정 도구로, 기원은 불분확실하지만 14세기 유럽에서 널리 쓰였으며, 현재는 실용성보다 시간 상징 도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유리제품 - 전등
전등은 전류를 통해 빛을 내는 장치로, 다양한 작동 원리와 용도로 분류되며 조명 외에도 여러 분야에 사용되지만, 야간 빛 공해 등 사회적 문제도 발생시킨다. - 복합 재료 - 유리섬유
유리섬유는 실리카 기반 유리를 압출하여 제조되며 단열재, 전기 절연체,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 복합 재료 - 중밀도 섬유판
중밀도 섬유판(MDF)은 목재 섬유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고압으로 성형한 판상 재료로, 가공 용이성과 내후성이 우수하여 가구 및 건축 자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지만, 포름알데히드 방출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콘크리트 -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결합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건축 재료이며,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철근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 콘크리트 - 철근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강철 막대로,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보완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섬유 보강 콘크리트 | |
---|---|
개요 | |
정의 | 섬유 재료를 포함하여 구조적 완전성을 높인 콘크리트 |
활용 분야 | 건축 구조 공학 |
섬유 종류 | |
종류 | 강철 섬유 콘크리트 유리 섬유 콘크리트 고분자 섬유 콘크리트 천연 섬유 콘크리트 |
특징 | |
장점 | 인장 강도 증가 균열 저항성 향상 내충격성 개선 내구성 향상 |
단점 | 비용 증가 혼합 및 시공의 어려움 섬유 뭉침 문제 발생 가능성 |
2. 역사적 배경
섬유를 보강재로 사용하는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했다. 말총은 모르타르에, 짚은 흙벽돌에 사용되었다. 1900년대에는 석면 섬유가 콘크리트에 사용되었으나, 발암 물질에 대한 건강 위험이 발견되면서 1960년대부터 강철,[7] 유리,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가 콘크리트 보강재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다양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터널 세그먼트와 같이 지하 건설 산업에서 철근을 대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4][5][6] 이는 강철 보강재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2. 1. 한국에서의 역사
자료에 따르면, 천연 섬유의 사용은 환경적 영향, 재활용성, 경제성 때문에 연구 주제가 되었다.[23][24] 그러나 시멘트 매트릭스에서 천연 섬유 및 입자의 열화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25]일부 연구에서는 재활용 카펫 폐기물을 활용하여 콘크리트에 폐 카펫 섬유를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26] 카펫은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테이프 원사로 만든 직물, CaCO3로 채워진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고무(SBR), 그리고 나일론 6 및 나일론 66 텍스처 원사로 구성된 표면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재활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와 같이 재활용 재료를 섬유로 사용하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고 있다.[27]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에서도 2000년대 이후 친환경 건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섬유, 재활용 섬유 등을 활용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3. 섬유의 종류 및 특징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섬유는 크게 강섬유,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강섬유: 철 (강철)을 깎거나 늘여서 제조한다.
- 합성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섬유, 비닐론 섬유 등 비교적 강도, 탄성률이 높다.
- 기타: 유리 섬유[10], 폴리에스터[11]
고속 1 터널 라이닝은 직경 18~32μm인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1kg/m3 이상 포함하는 콘크리트를 사용했는데, 이는 터널 라이닝 보강 및 화재 시 박리, 손상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12][13]
보강 섬유의 사용량은 목적에 따라 다르다.
- 연속 섬유 보강 콘크리트: 직물이나 시트 형태로 성형된 연속 섬유를 콘크리트 부재 표면에 부착한다. 목표 보강 방향과 섬유 방향을 일치시켜야 하며, 직물이나 시트의 밀도 변경, 매수 증감으로 보강 정도를 조절한다. 에폭시계 접착제를 사용한다.
- 단섬유 보강 콘크리트: 섬유 방향이 균일해지기 어려워 전 방향 보강이 가능하며, 특정 방향 보강이 불충분한 용도에 효과적이다. 특정 방향 응력에 대한 보강 효율은 연속 섬유보다 낮다. 첨가량은 목적에 따라 다르며, 최대 3% (부피) 정도가 상한이다. 단섬유 혼입량이 증가하면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유리 섬유 보강 시멘트, 화장 슬레이트 등은 예외)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는 섬유의 양은 복합 재료(콘크리트 및 섬유) 전체 부피의 백분율, 즉 "체적 분율"(Vf)로 표현되며, 보통 0.1~3% 범위이다. 종횡비(l/d)는 섬유 길이(l)를 섬유 직경(d)으로 나눈 값이며, 원형이 아닌 단면은 등가 직경을 사용한다. 섬유의 탄성 계수가 콘크리트보다 높으면 재료의 인장 강도를 높여 하중 전달에 기여한다. 섬유 종횡비를 높이면 휨 강도와 인성이 향상된다. 긴 섬유는 콘크리트 내부 결합을 강화하고, 가는 섬유는 섬유 수를 증가시킨다. 최대 골재 크기보다 긴 섬유를 사용해야 각 섬유 가닥이 효과적이다. 일반 콘크리트는 19mm 등가 직경 골재를 35-45% 포함하며, 20mm보다 긴 섬유가 효과적이다. 그러나 너무 길면 가공 시 뭉쳐 작업성을 저해할 수 있다.
섬유는 콘크리트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위해 첨가되지만, 유리[10]와 폴리에스터[11]는 알칼리성 조건, 첨가제, 표면 처리 등에서 분해될 수 있다.
3. 1. 강섬유
강섬유는 철 (강철)을 깎거나 늘여서 제조되며, 콘크리트의 구조적 강도, 인장 강도, 균열 제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후, 강섬유가 균열 면 사이를 연결하여 인장력을 제어한다. 주로 터널, 교량, 댐 등 대형 토목 구조물에 사용된다.한국에서 포스코, 현대제철 등에서 생산되는 고강도 강섬유가 주로 사용된다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
3. 2. 합성 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아라미드, 비닐론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 섬유가 있으며,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섬유: 내화 성능 향상, 폭렬 방지, 소성 수축 균열 저감에 효과적이다.
- 나일론 섬유: 내충격성, 내마모성 향상에 기여한다. 재활용 카펫 폐기물에서 얻은 나일론 섬유를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하기도 한다.[26]
- 아라미드 섬유 및 비닐론 섬유: 고강도, 고탄성률을 가지며, 주로 고성능 콘크리트에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재활용한 섬유도 콘크리트 보강에 사용될 수 있다.[27]
3. 3. 천연 섬유
천연 섬유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섬유(목재, 볏짚 등)와 같은 식물 기반 섬유를 의미하며, 주로 예상되는 긍정적인 환경적 영향, 재활용성 및 경제성 때문에 연구 주제가 되었다.[23][24] 그러나 시멘트 매트릭스에서 천연 섬유 및 입자의 열화가 문제가 된다.[25]3. 4. 기타 섬유
유리 섬유는 저렴한 비용으로 콘크리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알칼리 환경에서 분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탄소 섬유는 매우 높은 강도와 탄성률을 가지지만, 가격이 비싸다. 재활용 섬유(폐카펫 섬유, PET 섬유 등)는 환경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4.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장점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휨 강도, 연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균열 저항성 등을 향상시킨다.[4][5][6] 철근 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시공성, 경제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균열 발생 후에도 인장력을 지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일부 섬유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지만,[7] 강섬유 또는 매크로 합성 섬유는 특정 상황에서 철근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어,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부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합성 섬유를 혼입하면 화재 시 폭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천연 섬유 또는 재활용 섬유를 사용하면 환경 부하를 줄일 수 있다.[14][15][25]
섬유 종류별 장점은 다음과 같다.
강철 섬유와 고분자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각 섬유의 장점을 모두 얻을 수 있다.
5.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은 다양하다.
6.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활용 분야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교량, 터널 등 토목 구조물과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내진벽 등 건축 구조물 뿐만 아니라 포장, 암거, 모르타르 벽, 커튼월, 토간, 슬레이트, 법면 보호 콘크리트, 콘크리트 폭렬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도로 포장, 농수로, 옹벽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6. 1. 토목 구조물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교량, 터널 등 토목 구조물에서 박락 방지나 균열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이 발생한 후에 그 효과를 발휘한다.6. 2. 건축 구조물
기둥, 보, 슬래브, 벽체, 내진벽 등, 특히 고층 건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해 강섬유 또는 고성능 합성 섬유를 사용한 보강 콘크리트가 적용되기도 한다.6. 3. 기타
섬유 보강 콘크리트는 포장, 암거, 모르타르 벽, 커튼월, 토간, 슬레이트, 법면 보호 콘크리트, 콘크리트 폭렬 방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도로 포장, 농수로, 옹벽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7. 관련 표준
섬유 보강 콘크리트 관련 국제 표준은 다음과 같다.[1]
표준 번호 | 설명 |
---|---|
BS EN 14889-1:2006 | 콘크리트용 섬유. 강 섬유. 정의, 사양 및 적합성 |
BS EN 14845-1:2007 | 콘크리트 내 섬유 시험 방법 |
ASTM A820-16 | 섬유 보강 콘크리트 표준 사양 (대체됨) |
ASTM C1116/C1116M | 섬유 보강 콘크리트 표준 사양 |
ASTM C1018-97 |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 및 최초 균열 강도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3점 하중을 이용한 보 사용) (2006년 철회) |
7. 1. 국제 표준
섬유 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국제 표준은 다음과 같다.[1]표준 번호 | 설명 |
---|---|
BS EN 14889-1:2006 | 콘크리트용 섬유. 강 섬유. 정의, 사양 및 적합성 |
BS EN 14845-1:2007 | 콘크리트 내 섬유 시험 방법 |
ASTM A820-16 | 섬유 보강 콘크리트 표준 사양 (대체됨) |
ASTM C1116/C1116M | 섬유 보강 콘크리트 표준 사양 |
ASTM C1018-97 |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 및 최초 균열 강도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3점 하중을 이용한 보 사용) (2006년 철회) |
7. 2. 한국 표준
현재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 표준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8. 최근 연구 동향
고성능 섬유 보강 콘크리트(HPFRC)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훨씬 높은 연성을 가지며, 변형 경화 특성을 통해 높은 하중에서도 균열 폭을 작게 유지한다.[20] HPFRC는 균열 제어 능력이 뛰어나 교량 상판 등 구조물에 적용 시 균열 발생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킨다.[22]
천연 섬유 및 재활용 섬유를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섬유들은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지만, 시멘트 매트릭스 내에서 분해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23][24][25] 재활용 카펫 섬유[26]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섬유[27] 등 재활용 재료를 활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기술과 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융합하여 복잡한 형상의 건축 부재를 생산하는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A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the use of cellulosic fibres, their fibre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geo-polymer and polymer composites in civil engineering
https://doi.org/10.1[...]
2016-05
[2]
논문
The capacity of GFRP anchors in concrete and masonry structures
https://www.scienced[...]
2023-01-01
[3]
URL
https://www.mdpi.com[...]
[4]
논문
Experimental study of bond behaviour between concrete and FRP bars using a pull-out test
https://www.scienced[...]
2009-12-01
[5]
논문
Investigation of bond in concrete member with fibre reinforced polymer (FRP) bars
https://www.scienced[...]
1998-12-01
[6]
논문
Numerical calibration of bond law for GFRP bars embedded in steel fibre-reinforced self-compacting concrete
https://www.scienced[...]
2013-07-01
[7]
웹사이트
PP Fibres {{!}} India {{!}} XETEX INDUSTRIES PRIVATE LIMITED
https://www.xetex.in[...]
[8]
논문
Degradation Mechanism of the Wood-Cell Wall Surface in a Cement Environment Measur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https://ascelibrary.[...]
2023-07
[9]
논문
Effects of Thermal Aging on the Adhesion Forces of Biopolymers of Wood Cell Walls
https://pubs.acs.org[...]
2022-04-11
[10]
문서
ASTM C1116/C1116M - 06
[11]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PET Fibers in Concrete
https://www.scielo.b[...]
2020-09-16
[12]
웹사이트
News - Fibres add much needed protection to prestigious tunnelling projects
http://www.adfil.co.[...]
2007-09-27
[13]
간행물
Fire Protection of Concrete Tunnel Linings
http://adfil.co.uk/m[...]
2020-09-16
[14]
서적
The Resource Principle
https://doi.org/10.1[...]
Springer
2024-04-10
[15]
논문
A review of coir fibre and coir fibre reinforced cement-based composite materials (2000–2021)
https://www.scienced[...]
2022-03-01
[16]
논문
Effects of Thermal Aging on the Adhesion Forces of Biopolymers of Wood Cell Walls
https://pubs.acs.org[...]
2022-04-11
[17]
논문
Degradation Mechanism of the Wood-Cell Wall Surface in a Cement Environment Measur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https://ascelibrary.[...]
2023-07
[18]
Evaluation report
Evaluation report
http://www.core-cons[...]
[19]
웹사이트
Home {{!}} Building Design + Construction
https://www.bdcnetwo[...]
[20]
citation
Effects of Fiber Combination on the Fracture Resistance of Hybrid Reinforced Concrete
https://link.springe[...]
Springer
[21]
citation
Field Demonstration of Durable Link Slabs for Jointless Bridge Decks Based on Strain-Hardening Cementitious Composites – Phase 3: Shrinkage Control
http://www.michigan.[...]
Michiga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01-28
[22]
citation
ACI 544.3R-93: Guide for Specifying, Proportioning, Mixing, Placing, and Finishing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3]
논문
A review of coir fibre and coir fibre reinforced cement-based composite materials (2000–2021)
https://www.scienced[...]
2022-03-01
[24]
논문
Application of natural fibres in cement concrete: A critical review
https://www.scienced[...]
2023-06-01
[25]
논문
Degradation Mechanism of the Wood-Cell Wall Surface in a Cement Environment Measured by Atomic Force Microscopy
https://ascelibrary.[...]
2023-07
[26]
논문
Concrete Reinforcement with Recycled Fibers
2000-11
[27]
논문
Development of recycled PET fiber and its application as concrete-reinforcing fiber
2007-07
[28]
논문
A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the use of cellulosic fibres, their fibre 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geo-polymer and polymer composites in civil engineering
https://doi.org/10.1[...]
2016-05
[29]
논문
The capacity of GFRP anchors in concrete and masonry structures
https://www.scienced[...]
2023-01-01
[30]
URL
https://www.mdp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