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기 (물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기는 물리학에서 단위 면적당 에너지 흐름률을 의미하며, 점 광원으로부터의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전자기파의 경우 전기장의 복소 진폭을 이용하여 세기를 계산하며, 비단색파는 각 스펙트럼 성분의 세기를 합하여 계산한다. 전자빔의 세기는 검출기에 전자가 도달할 확률을 나타내며, 결정학에서 구조 분석에 활용된다. 또한, 측광학 및 복사 측정법에서는 단위 입체각당 광도 또는 복사 전력을 의미하며, 문맥에 따라 복사 세기, 광도, 조도, 복사 휘도 등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량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물리량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세기 (물리)
일반 정보
정의단위 면적당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
SI 단위와트 매 제곱미터 (W⋅m⁻²)
차원L⁻²
M
T⁻³
파생복사 플럭스 밀도, 음향 강도
정의
설명세기는 단위 면적당 전달되는 힘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비율을 나타낸다.
기호I
수식I = P / A
수식 설명I: 세기
P: 일률
A: 면적
단위와트 매 제곱미터 (W/m²)
음향 강도
설명음향 강도는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수식I = p² / (ρv)
수식 설명I: 음향 강도
p: 음압
ρ: 밀도
v: 음속
전자기파 강도
설명전자기파 강도는 전자기파의 세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수식I = c ε₀ E² / 2 = c B² / (2 μ₀)
수식 설명I: 전자기파 강도
c: 광속
ε₀: 진공 유전율
E: 전기장의 크기
B: 자기장의 크기
μ₀: 진공 투자율
다른 양과의 관계
설명세기는 에너지 플럭스 밀도와 관련이 있다.
관계세기 = 에너지 플럭스 밀도

2. 수학적 정의

점 광원이 모든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출하고, 매질에 의해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산란되지 않는다면, 세기는 물체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는 역제곱 법칙의 한 예이다.[1]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면, 방출되는 순 전력이 일정할 때,

:P = \int \mathbf I\, \cdot d\mathbf A,

여기서


  • P는 방출되는 순 전력,
  • '''I'''는 위치의 함수로서의 세기 벡터,
  • |'''I'''|는 위치의 함수로서의 세기,
  • d'''A'''는 소스를 포함하는 닫힌 표면의 미분 요소이다.


균일한 세기, |''I''| = const를 세기 벡터에 수직인 표면(예: 점 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구)에 대해 적분하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 |I| \cdot A_\mathrm{surf} = |I| \cdot 4\pi r^2,

여기서

  • |''I''|는 구의 표면에서의 세기,
  • ''r''은 구의 반지름,
  • A_\mathrm{surf} = 4\pi r^2 는 구의 표면적이다.


|''I''|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I| = \frac{P}{A_\mathrm{surf}} = \frac{P}{4\pi r^2}.

매질이 감쇠되면, 세기는 위의 방정식이 제시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다.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것은 관련된 세기를 가질 수 있다. 평면파 또는 가우시안 빔과 같은 단색 전파 전자기파의 경우, ''E''가 전기장의 복소 진폭이면, 비자성 물질에서 이동하는 파동의 시간 평균 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다.

:\left\langle U \right \rangle = \frac{n^2 \varepsilon_0}{2} |E|^2,

그리고 국부 세기는 이 식에 파동 속도(\frac{\mathrm{c}}{n})를 곱하여 얻어진다.

:I = \frac{\mathrm{c} n \varepsilon_0}{2} |E|^2,

여기서

  • ''n''은 굴절률,
  • ''c''는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
  • \varepsilon_0은 진공 유전율이다.


비단색파의 경우, 각 스펙트럼 성분의 세기 기여를 합하여 전체 세기를 계산한다. 위의 처리는 임의의 전자기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파는 전력을 전달하지 않으면서 유한한 전기적 진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세기는 포인팅 벡터의 크기로 정의되어야 한다.[1]

2. 1. 점 광원

점 광원이 모든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출하고(구면파 생성), 매질에 의해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산란되지 않는다면, 세기는 물체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는 역제곱 법칙의 한 예이다.[1]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면, 방출되는 순 전력이 일정할 때,

:P = \int \mathbf I\, \cdot d\mathbf A,

여기서

  • P는 방출되는 순 전력이고,
  • I는 위치의 함수로서의 세기 벡터이고,
  • |I|는 위치의 함수로서의 세기이고,
  • d'''A'''는 소스를 포함하는 닫힌 표면의 미분 요소이다.


균일한 세기, |''I''| = const를 세기 벡터에 수직인 표면, 예를 들어 점 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구에 대해 적분하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 |I| \cdot A_\mathrm{surf} = |I| \cdot 4\pi r^2,

여기서

  • |''I''|는 구의 표면에서의 세기이고,
  • ''r''은 구의 반지름이고,
  • A_\mathrm{surf} = 4\pi r^2 는 구의 표면적에 대한 식이다.


|''I''|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다.

:|I| = \frac{P}{A_\mathrm{surf}} = \frac{P}{4\pi r^2}.

매질이 감쇠되면, 세기는 위의 방정식이 제시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다.[1]

2. 2. 전자기파

평면파 또는 가우시안 빔과 같은 단색 전파 전자기파의 경우, 전기장의 복소 진폭이 E이면, 비자성 물질에서 이동하는 파동의 시간 평균 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다.

:\left\langle U \right \rangle = \frac{n^2 \varepsilon_0}{2} |E|^2,

그리고 국부 세기는 이 표현식에 파동 속도 \frac{\mathrm{c}}{n}를 곱하여 얻어진다.

:I = \frac{\mathrm{c} n \varepsilon_0}{2} |E|^2,

여기서

  • n굴절률이고,
  • c진공에서의 빛의 속도이고,
  • \varepsilon_0은 진공 유전율이다.[1]

2. 3. 비단색파

비단색파의 경우, 각 스펙트럼 성분의 강도 기여를 합하여 전체 강도를 계산한다. 위의 처리는 임의의 전자기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면파는 전력을 전달하지 않으면서 유한한 전기적 진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세기는 포인팅 벡터의 크기로 정의되어야 한다.[1]

2. 4. 감쇠 매질

매질이 감쇠되면, 세기는 역제곱 법칙에서 제시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다.[1]

3. 전자빔

전자빔의 '강도'는 전하 결합 소자와 같은 검출기의 특정 위치에 전자가 도달할 확률이며, 이는 무기 또는 생물학적 재료의 미세 구조 및 원자 규모 구조 이미징에 사용된다.[3]

3. 1. 결정학 응용

전자빔의 경우, ''강도''는 전하 결합 소자와 같은 검출기의 특정 위치에 전자가 도달할 확률이며, 이는 무기 또는 생물학적 재료의 미세 구조뿐만 아니라 원자 규모 구조를 분석하는데 활용된다.[3] 산란된 전자 또는 X선의 강도 분포는 결정학에서 물질의 구조 분석에 활용된다.[3][4]

4. 측광학 및 복사 측정법에서의 정의

측광학과 복사 측정법에서 ''세기''는 단위 입체각광도 또는 복사 전력을 의미한다. 이는 광학에서 혼동을 야기할 수 있는데,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배경에 따라 ''세기''가 복사 세기, 광도, 조도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1.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측광학과 복사 측정법에서 세기는 단위 입체각광도 또는 복사 전력을 의미한다. 이는 광학에서 혼동을 야기할 수 있는데,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배경에 따라 세기가 복사 세기, 광도, 조도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사 휘도는 특히 천문학자, 천체 물리학자 및 열전달 분야에서 세기라고 불리기도 한다.[1]

참조

[1] 백과사전 Optical Intensity https://www.rp-photo[...] RP Photonics
[2] 학술지 Large dynamic range, parallel detection system for electron diffraction and imaging https://doi.org/10.1[...] 1988-09-01
[3] 서적 Diffraction physics https://en.wikipedia[...] Elsevier 1995
[4] 서적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https://en.wikipedia[...] Prentice Hall 2001
[5] 웹인용 intensity http://www.merriam-w[...] 2015-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