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는 유고슬라비아의 국기에서 유래되었으며,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해체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붉은 별을 제거한 국기를 사용했다. 2003년 국명 변경 이후 새로운 국기 논의가 있었으나 2006년 연방 해체 시까지 이전 국기가 사용되었고, 몬테네그로는 2004년 자체 국기를 채택했다.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각각 자체 국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는 대통령기, 총리기, 해군기 등 다양한 국기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국기 -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범슬라브색인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로 남슬라브족의 단결을 상징하며,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기에는 단순한 삼색기였으나 사회주의 정권 수립 후 붉은 별이 추가되었고, 현재는 유고슬라비아를 그리워하는 집회 등에서 사용된다. - 옛 국기 -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기는 1933년 만주국 국무원에서 채택된 오색기로, 각 색깔은 방위, 오행, 주요 민족을 상징하며 다민족 국가의 통합을 나타냈지만, 일본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는 비판도 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 |
---|---|
국기 정보 | |
별칭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 (1992–2006) |
용도 | 정부기, 국가기 |
기호 | 역사적 기 |
비율 | 1:2 |
채택일 | 1992년 4월 27일 |
폐지일 | 2006년 6월 3일 |
디자인 | 파랑 (상단), 하양, 빨강의 세 개의 동일한 가로 띠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민간기 정보 | |
![]() | |
별칭 | 알 수 없음 |
용도 | 민간기 |
기호 | 역사적 기 |
비율 | 2:3 |
채택일 | 1992년 4월 27일 |
폐지일 | 2006년 6월 3일 |
디자인 | 파랑 (상단), 하양, 빨강의 세 개의 동일한 가로 띠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군함기 정보 | |
![]() | |
별칭 | 알 수 없음 |
용도 | 군함기 |
기호 | 역사적 기 |
비율 | 2:3 |
채택일 | 1993년 5월 31일 |
폐지일 | 2006년 6월 3일 |
디자인 | 알 수 없음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해군기 정보 | |
![]() | |
별칭 | 알 수 없음 |
용도 | 해군기 |
기호 | 역사적 기 |
비율 | 2:3 |
채택일 | 1993년 5월 31일 |
폐지일 | 2006년 6월 3일 |
디자인 | 알 수 없음 |
디자이너 | 알 수 없음 |
2. 역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는 유고슬라비아 국기에서 유래되었다. 이 국기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사용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정부에 의해 사회주의 붉은 별이 표시되도록 수정되었다.[7] 1992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을 수립하고 이전 국기에서 붉은 별을 제거한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에서 국기에서 붉은 별을 제거한 마지막 국가가 되었다.[7]
그러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77로 인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유엔 회원국 지위를 승계받지 못했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 유엔 본부에는 이전 유고슬라비아 국기가 게양되었고, 2000년 회원국 자격 획득 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국기로 교체되었다.[8]
국기 변경은 세르비아 사회당 등 일부 정치 세력의 반발을 샀다. 투틴 의원들은 "다른 국가의 국기가 시청 사무실에 전시되어 있다"는 이유로 시의회 근무를 거부하기도 했다.[9] 유고슬라비아 전쟁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선수들은 1992년 하계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로 출전하여 올림픽기를 사용했다.[10]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변경하면서 새로운 국기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세르비아 국기와 몬테네그로 국기 간의 파란색 음영 차이 등으로 인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11][12] 결국 2006년 연방 해체 시까지 이전의 별 없는 유고슬라비아 국기가 계속 사용되었다.[13] 몬테네그로는 2004년 자체 국기를 채택했으나, 연방 내에서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가 계속 사용되었다.[15]
UEFA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고슬라비아 국기와 유니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6][17] 2006년 국가 해체 직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팀은 2006년 FIFA 월드컵에 마지막으로 참가하여 예선에서 사용했던 국기를 그대로 사용했다.[18][19] 이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국가를 대표하고, 이미 자체 국기를 채택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게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국기를 사용하는 역설적인 상황이었다.[18][20][21]
2. 1.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몬테네그로의 독립 투표와 세르비아 의원들의 만장일치 투표(몬테네그로 의원들은 불참)로 연합이 해체된 후, 2006년 6월 5일 베오그라드의 의회 건물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가 내려졌다.[22] 세르비아 군 본부에서는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국가인 "슬라브여 안녕"에 맞춰 국기를 의례적으로 내렸으며, 조란 스탄코비치 세르비아 국방부 장관이 이를 감독했다.[20]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해체된 후, 두 국가는 각각 자체 국기를 채택했다. 몬테네그로는 2004년에 채택한 지역 국기를 계속 사용했고,[23]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국기와 동일한 색상(세 가지 색상 막대의 순서가 다름)을 사용했지만 그 위에 세르비아 국장을 새롭게 디자인한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20]3. 그 외의 국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는 대통령기, 총리기 등 다양한 국기가 존재했다.
3. 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는 유고슬라비아 국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사용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정부에 의해 사회주의 붉은 별이 표시되도록 수정되었다. 공산주의 몰락과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남은 공화국들은 1992년 4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국가를 재구성하고, 이전 국기에서 사회주의 붉은 별을 제거하여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 이로 인해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에서 국기에서 붉은 별을 제거한 마지막 국가가 되었다.[7] 그러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77로 인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유엔 회원국 지위를 승계할 수 없었다. 1992년과 2000년 사이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새 정부가 국가 승계에 대한 주장이 유럽 공동체, 미국 및 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다른 승계 국가들에 의해 거부되었기 때문에 이전 유고슬라비아 국기가 유엔 본부 밖에 계속 게양되었다. 2000년 유엔 회원국 자격 신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후, 이전 국기는 제거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국기로 교체되었다.[8]
국기 변경 결정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사회주의 정당들에게 논란의 대상이었다. 국기가 공개되었을 때, 세르비아 사회당의 투틴 의원들은 "다른 국가의 국기가 시청 사무실에 전시되어 있다"는 이유로 시의회에서 근무를 거부했다.[9]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유엔 제재를 받게 되면서 이 나라의 선수들은 유고슬라비아 국기가 아닌 중립적인 올림픽기 아래에서 1992년 하계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로 출전했다.[10]
2003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변경하면서, 국가 연합에서 사용할 새로운 상징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새로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헌법 헌장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의회에 법안이 제출될 때까지 이전 유고슬라비아 상징의 사용을 금지했으며, 새로운 의회 개회 후 60일 이내에 제출해야 했다고 주장되었다.[11] 그러나 국기는 변경되지 않았는데, 두 측이 논리적인 새로운 국기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세르비아 국기와 몬테네그로 국기의 개별 지역 국기는 사용되는 파란색의 음영만 서로 달랐으며, 둘 다 유고슬라비아 국기의 색상 순서와 달랐다.[11][12] 예상대로,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대표단은 새로운 국기에 합의할 수 없었고, 2006년 연합 해체까지 이전의 별 없는 유고슬라비아 국기를 계속 사용했다.[13] 일부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린들은 향수와 국제 사회로부터의 버림받은 느낌 때문에 이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를 선호하며 이 국기를 거부하기 시작했다.[14] 몬테네그로는 그들을 대표하기 위해 이 국기가 계속 사용되는 것을 지지하지 않았고, 2004년 몬테네그로 의회는 공화국 내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를 대체할 새로운 국기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는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이전까지 연합 내 지역 국기로 남아 있었다.[15]
유고슬라비아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이름이 변경된 후의 분쟁 동안, UEFA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이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유고슬라비아 국기와 유고슬라비아 유니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기 때문에 이 국기는 축구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대표하는 데 사용되었다.[16][17] 2006년, 국가 해체 직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축구팀은 예선에서 사용했던 국기를 사용하며 2006년 FIFA 월드컵에 마지막으로 참가했다.[18][19] 역설적이게도, 그 팀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국가를 대표했고,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가 해체 및 독립 이후 자체 국기를 채택했기 때문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국기를 사용했다.[18][20][21] 이는 2011년까지 이전 유고슬라비아 시대 국기를 계속 묘사한 세르비아 번호판에도 반영되었다.
3. 2. 세르비아의 국기 (1992-2006)
1992년부터 2004년까지는 세르비아 삼색기가 사용되었다.[26]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왼쪽에 작은 문장이 있는 세르비아 삼색기가 사용되었다.[25]국기 | 날짜 | 사용 | 설명 |
---|---|---|---|
2004–2006[25] | 세르비아의 국기 (2004–2006) | 왼쪽에 작은 문장이 있는 세르비아 삼색기 | |
1992–2004[26] | 세르비아의 국기 | 세르비아 삼색기 |
3. 3. 몬테네그로의 국기 (1992-2006)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국기는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 별이 있는 세르비아 삼색기였다.[27] 1993년부터 2004년까지는 하늘색을 덧붙인 세르비아 삼색기를 사용하였다.[28]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금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색 바탕에 중앙에 몬테네그로 문장이 있는 국기를 사용하였다.[27]국기 | 날짜 | 설명 |
---|---|---|
2004–2006[27] | 금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색 바탕에 중앙에 몬테네그로 문장 | |
1993–2004[28] | 하늘색을 덧붙인 세르비아 삼색기 | |
1992–1993 |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빨간 별이 있는 세르비아 삼색기 |
3. 4. 대통령 및 총리 관련 기
3. 5. 군 관련 기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Flag
http://zeljko-heimer[...]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2]
웹사이트
Civil Ensign
http://zeljko-heimer[...]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3]
웹사이트
Naval Ensign
http://zeljko-heimer[...]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4]
웹사이트
Jack
http://zeljko-heimer[...]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5]
웹사이트
Serbia and Montenegro (2003–2006)
http://flagspot.net/[...]
2018-07-05
[6]
뉴스
Balkan fans cheer dead country
http://news.bbc.co.u[...]
news.bbc.co.uk
2003-02-12
[7]
서적
Croatia: Myth and Reality
CIS Publishing
[8]
뉴스
UN welcomes Yugoslavia and furls Tito's flag
https://www.theguard[...]
2021-05-23
[9]
서적
Spotlight on: Human Rights in FR Yugoslavia : 1998 Report
https://books.google[...]
Humanitarian Law Center
2021-06-05
[10]
서적
The Law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roblems and Materials
Carolina Academic Press
[11]
웹사이트
Serbia-Montenegro: Search For New Coat Of Arms, Flag Symbolic Of Past Conflict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21-05-17
[12]
서적
Serbia and Montenegro
Infobase Publishing
[13]
웹사이트
Belgrade flag flap reveals identity crisis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5-17
[14]
웹사이트
In troubled Balkans, nostalgia rises for Yugoslavia
https://www.csmonito[...]
2021-05-24
[15]
웹사이트
Montenegro picks national symbols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5-27
[16]
웹사이트
Serbia and Montenegro debut
https://www.uefa.com[...]
UEFA
2021-05-17
[17]
웹사이트
Balkan fans cheer dead country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5-17
[18]
웹사이트
Flags
https://www.onestope[...]
MacMillan
2021-05-17
[19]
웹사이트
Germany in tough on Friday
https://www.newspape[...]
2021-05-17
[20]
웹사이트
Serbia Flag
http://www.aparchive[...]
Associated Press
2021-05-17
[21]
웹사이트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www.espn.com/[...]
ESPN
2022-07-21
[22]
웹사이트
At a Glance
https://www.newspape[...]
2021-05-17
[23]
웹사이트
Flag of Montenegro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1-05-17
[24]
뉴스
Belgrade flag flap reveals identity crisis
http://news.bbc.co.u[...]
2018-07-05
[25]
웹사이트
State Flag, 2004 – 2010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26]
웹사이트
Republic of Serbia, 1992 – 2004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27]
웹사이트
Republic of Montenegro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28]
웹사이트
Republic of Montenegro, 1993 – 2004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29]
웹사이트
President of the Republic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30]
웹사이트
Prime Minister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31]
웹사이트
High Defence Council Member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32]
웹사이트
Minister of Defence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33]
웹사이트
Chief of the General Staff
https://www.zeljko-h[...]
The Flags & Arms of the Modern Era
2018-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