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였으며, 범슬라브색을 기반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 수립을 상징하기 위해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붉은 별이 추가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이후 붉은 별이 제거된 삼색기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사용되다 2006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국기 -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기는 1933년 만주국 국무원에서 채택된 오색기로, 각 색깔은 방위, 오행, 주요 민족을 상징하며 다민족 국가의 통합을 나타냈지만, 일본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인 정치적 상황을 반영한다는 비판도 있다. - 옛 국기 - 나치 독일의 국기
나치 독일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 검은색 하켄크로이츠를 배치한 디자인으로, 희생과 게르만족을 상징하며, 1935년 공식 국기로 지정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용이 금지되었다. - 유럽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유럽 - 벨기에
벨기에는 서유럽에 위치하며, 네덜란드, 독일, 룩셈부르크, 프랑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네덜란드어와 프랑스어를 주로 사용하며,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창립 회원국으로서, 브뤼셀은 유럽 연합의 주요 기관들이 위치한 도시이다.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 |
---|---|
국기 정보 | |
별칭 | 해당 없음 |
추가 별칭 | 해당 없음 |
용도 | 111000 |
비율 | 1:2 |
채택일 | 1946년 1월 31일 |
디자인 |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 중앙에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이 있음 |
디자이너 | Đorđe Andrejević-Kun |
![]() | |
별칭 | 해당 없음 |
추가 별칭 | 해당 없음 |
용도 | 000110 |
비율 | 2:3 |
채택일 | 1950년 3월 21일 |
디자인 | 국기를 2:3 비율로 축소 |
디자이너 | 해당 없음 |
![]() | |
별칭 | 해당 없음 |
추가 별칭 | 해당 없음 |
용도 | 000001 |
비율 | 2:3 |
채택일 | 1949년 6월 6일 |
디자이너 | 해당 없음 |
2. 디자인과 상징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기본적으로 파란색(상단), 흰색(중앙), 빨간색(하단)의 가로 삼색기 형태를 가졌다. 이 디자인과 색상은 1848년 프라하에서 열린 범슬라브 회의에서 채택된 범슬라브색 국기에서 유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18년, 남슬라브족은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로 개칭)이라는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다. 당시 왕국 정부는 모든 남슬라브 민족의 통합을 상징하기 위해 이 범슬라브 디자인을 국기로 채택했다. 이때의 국기는 다른 문양 없이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세 줄무늬로만 구성된 단순한 형태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45년에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새로운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새 정부는 기존 삼색기 디자인은 유지하면서,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을 추가하여 국기를 변경했다. 이 붉은 별이 들어간 국기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기를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다. 당시 공식 건물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국기와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의 당기가 함께 게양되는 경우가 많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해체된 후, 새롭게 결성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은 국기에서 붉은 별을 제거하고 다시 단순한 삼색기 형태를 사용했다. 이 국기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방이 2006년에 해체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2. 1. 색상 체계
wikitext색상 구성표 | 파란색 | 흰색 | 빨간색 | 노란색 |
---|---|---|---|---|
CMYK | 100-61-0-42 | 0-0-0-0 | 0-100-100-12 | 0-17-91-1 |
HEX | #003893 | #FFFFFF | #DE0000 | #FCD115 |
RGB | 0-56-147 | 255-255-255 | 222-0-0 | 252-209-21 |
유고슬라비아의 국기는 역사적으로 파란색(상단), 흰색(중앙), 빨간색(하단)의 가로 삼색기 형태를 기본으로 하였다. 이 디자인과 색상은 1848년 프라하에서 열린 범슬라브 회의에서 채택된 범슬라브 국기에 기원을 두고 있다.
3.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18년, 남슬라브족은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이라는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다. 왕국은 모든 남슬라브족의 통합을 상징하기 위해 범슬라브색을 사용한 단순한 가로 삼색기를 국기로 채택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군주제가 폐지되고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국기에 변화가 생겼다. 새로운 공산주의 정부는 기존 삼색기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을 추가하였다. 이 국기는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사회주의 연방 해체 후 형성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는 붉은 별이 제거된 단순한 삼색기가 2006년 연방이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3. 1.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8년-1941년)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은 1918년 12월 1일에 수립되었으며, 1929년 10월 3일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국가의 첫 번째 국기는 1922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14][7]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기는 범슬라브색인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가로 삼색기로 이루어져 있었다.[15][4] 이는 1848년 프라하에서 열린 범슬라브 회의에서 승인된 역사적인 범슬라브 국기와 동일한 디자인이었다. 이 기본 삼색기는 국기 및 상선기로 사용되었다.[15][4]
정부기로는 삼색기 중앙에 왕국의 국장을 더한 형태의 기를 사용하였다. 1922년에 채택된 군함기는 파란색, 흰색, 빨간색 삼색기의 깃대 쪽에 간소화된 작은 국장을 넣은 형태였다.[16][13][5][8] 당시 규정에 따르면, 군함기의 국장은 깃발 길이의 3분의 1 지점에 위치해야 하며, 국장과 왕관의 높이(지구본과 십자가 제외)는 깃발 높이의 절반이어야 했다.[16][13][5]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기는 1922년부터 1941년 추축국이 유고슬라비아를 점령할 때까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 국기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망명 정부, 외교 사절단, 그리고 연합국에 의해 1945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체트니크(유고슬라비아 조국군)도 이 깃발을 사용하였다.
한편, 코르푸 선언에 따라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각 민족의 고유한 깃발과 문장은 왕국 내에서 동등하게 인정받았으며, 모든 상황에서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었다.
3. 1. 1.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1939년-1941년)
크로아티아계 정치인들의 자치 요구에 따라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 자치 지역인 크로아티아 바노비나가 창설되었다. 크로아티아 바노비나는 민간기로 크로아티아의 전통적인 빨간색, 흰색, 파란색 삼색기를 사용하였다. 정부기로는 이 삼색기에 크로아티아의 문장인 ''샤호브니차''를 더한 형태의 기를 사용하였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1945년)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는 추축국에 의해 침공 및 점령당했고,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런던으로 망명하였다. 곧이어 유고슬라비아의 저항 세력인 파르티잔이 결성되었다. 파르티잔은 망명 정부를 지지하지 않았으며, 처음에는 다양한 깃발을 사용하다가 점차 하나의 깃발을 보편적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이 새로운 국기는 기존 유고슬라비아의 파란색-흰색-빨간색 삼색기의 중앙 흰색 바탕에 붉은 별을 추가한 형태였으며, 가로세로 비율은 기존 2:3에서 1:2로 변경되었다.
1943년 11월 말(테헤란 회담), 연합군은 파르티잔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였고,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이름은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DFY)로 바뀌었다. 전쟁 기간 동안 옛 국기는 망명 정부(1944년 파르티잔 정부인 NKOJ와 합병될 때까지)와 외교 사절단, 서방 연합국에 의해 1945년까지 계속 사용되었지만,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에서는 붉은 별이 그려진 파르티잔의 국기가 주로 사용되었다.
3. 3.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45년-1992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유고슬라비아에서 군주제가 폐지되고 공산주의 정부가 수립되면서 새로운 국기가 제정되었다. 새 국기는 기존의 범슬라브색인 파란색, 흰색, 빨간색 가로 삼색기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중앙에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을 추가한 형태였다. 이 디자인은 조르제 안드레예비치 쿤이 고안했다.
이 국기는 1946년 1월 31일에 공식 채택되었으며[18],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 제1장 제4조는 국기의 비율을 1:2로 명시하고, 파란색, 흰색, 빨간색의 동일한 너비의 가로 줄무늬와 중앙의 금색-노란색 테두리를 두른 붉은 별을 규정했다.[21] 붉은 별은 국기 중앙에서 모서리의 교차점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그 크기는 국기 높이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지름의 원 안에 들어가도록 정해졌다.[22] 이 규격과 디자인은 1963년과 1974년 헌법에서도 변경되지 않았다.
공식 건물에는 일반적으로 연방 국기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의 기가 게양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구 유고슬라비아의 많은 건물에는 아직도 3개의 기둥으로 된 깃발 받침대가 남아 있다.
국기의 색상 정보는 다음과 같다.
색상 체계 | 파란색 | 흰색 | 빨간색 | 노란색 |
---|---|---|---|---|
CMYK | 100-61-0-42 | 0-0-0-0 | 0-100-100-12 | 0-17-91-1 |
HEX | #003893 | #FFFFFF | #DE0000 | #FCD115 |
RGB | 0-56-147 | 255-255-255 | 222-0-0 | 252-209-21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다양한 용도의 국기를 사용했다.
3. 3. 1. 구성 공화국의 국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6개의 하위 구성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각 구성 공화국은 고유한 국기와 문장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국기는 각 국가의 오래된 역사적 국기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국가 지위를 얻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과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예외였다.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크로아티아의 국기),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몬테네그로의 국기),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세르비아의 국기),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베니아의 국기)은 모두 각 국가에서 이미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범슬라브색인 빨간색, 흰색, 파란색을 국기에 사용하였다. 이들 국기에는 공통적으로 공산주의 상징인 붉은 별이 추가되었다. 이러한 표준화 과정에서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과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과거 몬테네그로 왕국과 세르비아 왕국 시절의 삼색기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일한 국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다민족적 특성을 고려하여 붉은색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왼쪽 상단 칸톤에는 작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가 그려져 있었다.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의 빨간색과 노란색은 해당 지역의 전통적인 문장에 그려진 사자의 색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세르비아 SR | 크로아티아 SR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SR |
---|---|---|
국기 | 국기 | 국기 |
몬테네그로 SR | 슬로베니아 SR | 마케도니아 SR |
국기 | 국기 | 국기 |
3. 4.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이후 (1992년-2006년)
유고슬라비아의 국기 목록 참조4. 붕괴 이후의 사용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과 그 구성 공화국의 국기는 유고스피어 전역과 디아스포라 사이에서 반파시즘 시위, 국제 노동절 기념 행사, 유고노스탤지어 모임, 퀴어 퍼레이드 등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유고슬라비아의 국기와 상징은 이웃 국가인 이탈리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23][11]
참조
[1]
웹사이트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2]
웹사이트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3]
웹사이트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Yugoslavia (1931)
http://geocities.com[...]
2009-10-21
[5]
웹사이트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22
http://fotw.fivestar[...]
[6]
웹사이트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37
http://fotw.fivestar[...]
[7]
간행물
Službene Novine Kraljevine Srba, Hrvata i Slovenaca
1922-02-28
[8]
웹사이트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37
http://fotw.fivestar[...]
[9]
문서
sr:Устав Федеративне Народ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46)
[10]
웹사이트
The FAME: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11]
웹사이트
Jugoslovenske zastave sa petokrakom na antifašističkom maršu italijanskih studenata
https://www.rts.rs/l[...]
Radio Television of Serbia
2023-03-02
[12]
서적
柴、ベケシュ、山崎、p.21
[13]
웹인용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37
http://fotw.fivestar[...]
[14]
간행물
Službene Novine Kraljevine Srba, Hrvata i Slovenaca
1922-02-28
[15]
웹인용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of Yugoslavia (1931)
http://geocities.com[...]
2009-10-21
[16]
웹인용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22
http://fotw.fivestar[...]
[17]
웹인용
Royal Yugoslavia (1918-1941): Law on the flags at sea, 1937
http://fotw.fivestar[...]
[18]
웹인용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19]
웹인용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20]
웹인용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21]
문서
sr:Устав Федеративне Народ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46)
[22]
웹인용
The FAME: Yugoslavia, 1945 - 1956
http://zeljko-heimer[...]
[23]
웹인용
Jugoslovenske zastave sa petokrakom na antifašističkom maršu italijanskih studenata
https://www.rts.rs/l[...]
RTS (세르비아)
202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