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십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십자는 세르비아의 국가적 상징으로, 불똥과 함께 있는 십자가 형태를 띤다.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나 문장이나 엠블럼으로 사용된 것은 중세 시대부터이며, 비잔틴 제국과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세르비아에서는 13세기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세르비아 혁명 이후 모든 공식 세르비아 문장에 나타났다. 현재 세르비아 국기, 국장, 군, 경찰, 기타 기관 및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며, 지방 자치 단체, 훈장, 세르비아 정교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세르비아의 상징 - 세르비아의 국기
    세르비아의 국기는 빨강, 파랑, 흰색의 가로 줄무늬에 세르비아의 문장이 중앙에 위치하며, 2:3의 비율을 가지며, 전쟁, 자유, 어머니의 젖을 상징하고, 역사적으로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십자 -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
    성 게오르기우스 십자는 붉은색 바탕에 흰색 십자가가 특징인 상징으로, 십자군, 잉글랜드 왕실, 잉글랜드 국기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된다.
  • 십자 - 성 안드레아 십자
    성 안드레아 십자는 X자 형태의 문양으로, 성 안드레아의 순교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국기로 사용되는 등 여러 국가 및 분야에서 상징으로 활용된다.
세르비아 십자
개요
세르비아의 사중 십자가
세르비아의 사중 십자가
전통비잔틴
관할세르비아
기관세르비아 헤럴드 협회
명칭
세르비아어Српски крст (Srpski krst)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Оцила (Ocila)
세르비아어 (표어)Само слога Србина спасава (Samo sloga Srbina spasava)
그리스어βασιλεύς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ύων βασιλευόντων (basileus basileōn, basileuōn basileuontōn)
표어 (번역)단결만이 세르비아인을 구원한다

2. 역사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는 비잔틴 제국을 부활시키면서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황제 모토인 "왕들의 왕이시여, 왕을 도우소서"(Βασιλεῦ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ῖ Βοήθει|바실레프 바실레온, 바실레이 보에테이grc)의 머리글자(β)와 함께 이 상징을 채택하여 깃발과 동전에 사용했다.[2] 이 상징은 황제 깃발 ''디벨리온''(διβέλλιον)에 나타났으며, 유사-코디노스는 "불똥" (σταυρὸν μετὰ πυρεκβόλων|스타브론 메타 피레크볼론grc)을 가진 십자가로 기록했다.[2]

"사원 십자",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상징, 13세기 중반


세르비아에서 이 십자가가 사용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비스키 데차니의 설립자인 스테판 밀루틴 왕(재위 1282–1321)에게 선물된 데차니 오일 램프(''Dečanski polijelej'')이다.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세르비아 십자가가 국가 상징으로 기록된 것은 스테판 라자레비치 통치 기간인 1397년부터라고 주장했다. 스타노예 스타노예비치는 스테판 두샨의 세르비아 제국 황제 즉위와 함께 1345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중세 시대 세르비아에서는 닫힌 불똥(β–B)을 가진 "그리스 양식"과 열린 불똥(C-S)을 가진 "세르비아 양식"이 모두 사용되었다.

가브리엘 데 발세카가 제작한 --는 세르비아를 묘사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와 독수리를 모두 사용했다.

남슬라브 문장 출처(''일리리아 문장집'')에서 세르비아 십자가는 ''코레니치-네오리치 문장집''(1595)에 나타난다. 세르비아(Svrbiae) 문장은 흰색 십자가 위에 빨간색 배경, 네 개의 부싯돌로 묘사되며, 므르냐브체비치 귀족 가문은 같은 디자인에 색상을 반전시키고 십자가 중앙에 세르비아 독수리를 배치하여 묘사한다. 마브로르비니 (1607)에 따르면,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와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사용했다. 이후 ''벨그라드 문장집 II'', ''포이니차 문장집'', ''스타니슬라우스 루브치치의 문장집'', ''스템마토그래피아'' 등에서 발견되며, 외국 문장 출처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1691년 설립된 카를로비치 대교구는 문장에 세르비아 십자가를 채택했다. 세르비아 혁명 이후 세르비아 십자가는 모든 공식 세르비아 문장에 나타났다. 밀로스 오브레노비치는 1825년 정규군 최초 부대를 창설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를 군기로 채택했다.[4]

2. 1. 기원과 중세 시대

불똥과 함께 있는 십자가는 로마 시대부터 상징으로 사용되었지만, 문장이나 엠블럼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를 라바룸, 즉 콘스탄티누스 1세 (재위 306–337)의 황제 깃발과 연결한다. 6세기에 4개의 필드(글자 또는 문장)가 있는 십자가가 비잔틴 동전에 나타났다. 이 상징은 제1차 십자군이 민중 십자군 (1096)부터 채택했다.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 (1261–1282)는 비잔틴 제국을 부활시키면서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황제 모토인 "왕들의 왕이시여, 왕을 도우소서"(Βασιλεῦ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ῖ Βοήθει|바실레우 바실레온, 바실레이 보에테이grc)의 머리글자(β)와 함께 이 상징을 채택하여 깃발과 동전에 사용했다. 이 상징은 다른 모든 배너 앞에서 사용된 황제 깃발 ''디벨리온''(διβέλλιον)에 나타났으며, 유사-코디노스 (1347–68)는 "불똥" (σταυρὸν μετὰ πυρεκβόλων|스타우론 메타 피레크볼론grc)을 가진 십자가로 기록했고, 카스티야의 ''Conosçimiento de todos los reynos'' 지도책( 1350)에 묘사되어 있다.[2] 알렉산더 솔로비예프는 서양 문장에서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썼다.

세르비아에서 사용된 십자가의 가장 오래된 역사적 출처는 비스키 데차니의 ''크테토르''(설립자)인 스테판 밀루틴 왕 (재위 1282–1321)에게 선물되었으며 현재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 보존되어 있는 데차니 오일 램프(''Dečanski polijelej'')이다.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세르비아 십자가가 국가 상징으로 기록된 것은 스테판 라자레비치의 통치 기간인 139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세르비아 역사가 스타노예 스타노예비치는 스테판 두샨의 세르비아 제국 황제 즉위와 함께 1345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에서 닫힌 불똥(β–B)을 가진 "그리스 양식"과 열린 불똥(C-S)을 가진 "세르비아 양식"이 모두 사용되었다.

가브리엘 데 발세카가 제작한 --는 세르비아를 묘사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와 독수리를 모두 사용했다.

남슬라브 문장 출처(일명 ''일리리아 문장집'')에서, 세르비아 십자가는 ''코레니치-네오리치 문장집''(1595)에 나타나는데, 세르비아(Svrbiae)의 문장을 흰색 십자가 위에 빨간색 배경, 네 개의 부싯돌과 함께, 또한 같은 디자인으로 색상을 반전시키고 십자가 중앙에 세르비아 독수리를 배치하여 므르냐브체비치 귀족 가문을 묘사한다. 마브로르비니 (1607)에 따르면,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 (왕, 1365–1371)와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 (재위 1371–1389)이 사용했다. 다음으로, ''벨그라드 문장집 II''(약 1600–1620), ''포이니차 문장집''(1675~1688년 사이), ''스타니슬라우스 루브치치의 문장집''(약 1700), 그리고 ''스템마토그래피아''(1741)에서 발견되며, 외국 문장 출처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2. 2. 근세

불똥과 함께 있는 십자가는 로마 시대부터 상징으로 사용되었지만, 문장이나 엠블럼으로는 사용되지 않았다.[1] 일부 역사가들은 이를 콘스탄티누스 1세의 황제 깃발인 라바룸과 연결한다.[1] 6세기에 4개의 필드(글자 또는 문장)가 있는 십자가가 비잔틴 동전에 나타났다.[2] 이 상징은 제1차 십자군 때 민중 십자군(1096)부터 채택했다.[2]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1261–1282)는 비잔틴 제국을 부활시키면서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황제 모토인 "왕들의 왕이시여, 왕을 도우소서"(Βασιλεῦ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ῖ Βοήθει|Basileu Basileōn, Basilei Boetheigrc)의 머리글자(β)와 함께 이 상징을 채택하여 깃발과 동전에 사용했다.[2] 이 상징은 다른 모든 배너 앞에서 사용된 황제 깃발 ''디벨리온''(διβέλλιον)에 나타났으며, 유사-코디노스는 "불똥"(σταυρὸν μετὰ πυρεκβόλωνgrc)을 가진 십자가로 기록했다.[1] 알렉산더 솔로비예프에 따르면, 서양 문장에서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3]

세르비아에서 사용된 십자가의 가장 오래된 역사적 출처는 데차니 오일 램프(''Dečanski polijelej'')로, 비스키 데차니의 ''크테토르''(설립자)인 스테판 밀루틴 왕(재위 1282–1321)에게 선물되었으며, 현재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 보존되어 있다.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세르비아 십자가가 국가 상징으로 기록된 것은 스테판 라자레비치의 통치 기간인 139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4] 세르비아 역사가 스타노예 스타노예비치는 스테판 두샨의 세르비아 제국 황제 즉위와 함께 1345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5]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에서 닫힌 불똥(β–B)을 가진 "그리스 양식"과 열린 불똥(C-S)을 가진 "세르비아 양식"이 모두 사용되었다.[3]

가브리엘 데 발세카가 제작한 1439년 지도에는 세르비아를 묘사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와 독수리를 모두 사용했다.

남슬라브 문장 출처(일명 ''일리리아 문장집'')에서, 세르비아 십자가는 ''코레니치-네오리치 문장집''(1595)에 나타나는데, 세르비아(Svrbiae)의 문장을 흰색 십자가 위에 빨간색 배경, 네 개의 부싯돌과 함께, 또한 같은 디자인으로 색상을 반전시키고 십자가 중앙에 세르비아 독수리를 배치하여 므르냐브체비치 귀족 가문을 묘사한다. 마브로르비니(1607)에 따르면, 부카신 므르냐브체비치(왕, 1365–1371)와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재위 1371–1389)이 사용했다.[5] 다음으로, ''벨그라드 문장집 II''(약 1600–1620), ''포이니차 문장집''(1675~1688년 사이), ''스타니슬라우스 루브치치의 문장집''(약 1700), 그리고 ''스템마토그래피아''(1741)에서 발견되며, 외국 문장 출처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1691년에 설립된 카를로비치 대교구는 그들의 문장에 이를 채택했다.

세르비아 혁명 이후, 세르비아 십자가는 모든 공식 세르비아 문장에 나타났다. 밀로스 오브레노비치는 1825년 정규군 최초 부대를 창설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를 군기(military flag)로 채택했다.[4]

2. 3. 세르비아 혁명과 근대 국가

미카엘 8세 팔레올로고스 (1261–1282)는 비잔틴 제국을 부활시키면서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황제 모토인 "왕들의 왕이시여, 왕을 도우소서"(Βασιλεῦ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ῖ Βοήθει|바실레프 바실레온, 바실레이 보에테이grc)의 머리글자(글자 β)와 함께 이 상징을 채택했다.[2] 깃발과 동전에 사용되었다.[2] 이 상징은 다른 모든 배너 앞에서 사용된 황제 깃발 ''디벨리온''(διβέλλιον)에 나타났으며, 유사-코디노스 ( 1347–68)는 "불똥" (σταυρὸν μετὰ πυρεκβόλων|스타브론 메타 피레크볼론grc)을 가진 십자가로 기록했다.[2]

세르비아에서 사용된 십자가의 가장 오래된 역사적 출처는 데차니 오일 램프(''Dečanski polijelej'')로, 비스키 데차니의 ''크테토르''(설립자)인 스테판 밀루틴 왕 (재위 1282–1321)에게 선물되었으며, 현재 프로호르 프친스키 수도원에 보존되어 있다. 스토얀 노바코비치는 세르비아 십자가가 국가 상징으로 기록된 것은 스테판 라자레비치의 통치 기간인 139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세르비아 역사가 스타노예 스타노예비치는 스테판 두샨의 세르비아 제국 황제 즉위와 함께 1345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에서 닫힌 불똥(β–B)을 가진 "그리스 양식"과 열린 불똥(C-S)을 가진 "세르비아 양식"이 모두 사용되었다.

세르비아 혁명 이후, 세르비아 십자가는 모든 공식 세르비아 문장에 나타났다. 밀로스 오브레노비치는 1825년 정규군 최초 부대를 창설할 때 세르비아 십자가를 군기(military flag)로 채택했다.[4]

3. 현대적 사용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어야 '현대적 사용'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4. 갤러리

4. 1. 역사적 깃발

세르비아 공국 (1835–1882)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1848–1849)


세르비아 왕국 (1882–1918)


세르비아 공화국 (2004–2010)

4. 2. 역사적 문장 및 인장

카를로비치 수도 대교구 (1713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1848–1849년)


국민 구원 정부 (1941–1944년)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1992–1995년)


동 슬라보니아, 바라냐 및 서 시르미아 (1995–1998년)

4. 3. 현재

세르비아 십자는 현재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
  • --
  • --

4. 3. 1. 국가

세르비아 공화국 국기


세르비아 공화국 소(小) 국장

4. 3. 2. 지방

보이보디나의 전통적인 깃발


보이보디나의 전통적인 문장


아란젤로바츠 (세르비아)


믈라데노바츠 (세르비아)


라차 (세르비아)


스르바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4. 3. 3. 기타 사용

세르비아군의 군복 견장


세르비아군의 전투복 견장


세르비아 의용군 (''Ljotićevci'') 준군사 조직의 엠블럼 (1941–1945)


세르비아 의용군 (''Arkanovci'') 준군사 부대의 엠블럼 (1990–1996)


경찰 기술 국의 문장


스레테네 공로 훈장


국방 및 안보 공로 훈장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원 배지


세르비아 정교회의 깃발


베오그라드의 성 사바 성당 돔 위의 세르비아 십자


세르비아 올림픽 위원회의 로고


세르비아 신분증

참조

[1] 웹사이트 Anarheologija http://www.field-arc[...]
[2] 웹사이트 Other Byzantine flags shown in the "Book of All Kingdoms" (14th century) http://flagspot.net/[...] Flags of the World 2010-10-10
[3]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4] 서적 Posebna izdanja 295 https://books.google[...] SANU
[5] 웹사이트 http://www.heraldic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