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바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바룸은 기독교 깃발의 일종으로, 그리스도(Χριστός)의 처음 두 글자(Χ, Ρ)를 본뜬 ☧(키 로) 문양을 새긴 군기를 가리킨다. 어원은 불분명하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승리한 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콘스탄티누스는 라바룸을 모든 역경과 적대 세력에 대한 안전장치로 사용했으며, 이후 기독교 로마 황제들과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사용이 줄었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다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마 가톨릭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에서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학 - 민간기
    민간기는 정부 기관이 아닌 시민이나 단체가 사용하는 기를 의미하며, 이 문서는 다양한 국가의 민간기 예시를 이미지와 함께 제공한다.
  • 기학 - 국제기학협회
    국제기학협회(FIAV)는 깃발 연구를 하는 전 세계 기학 관련 단체들의 연합체이며, 격년으로 총회를 개최하고 국제기학 학술대회를 열며 기학 연구 기여자에게 상을 수여한다.
  • 초기 기독교 미술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초기 기독교 미술 - 산비탈레 성당
    산비탈레 성당은 이탈리아 라벤나에 위치한 초기 기독교 건축 유적으로, 로마 및 비잔틴 양식이 결합된 팔각형 구조와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테오도라 황후 모자이크 패널이 특징이며 후대 건축물에 영향을 주었다.
  • 콘스탄티누스 1세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 콘스탄티누스 1세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라바룸
라바룸
그리스도교를 상징하는 로마 군사 표준 깃발 라바룸
그리스도교를 상징하는 로마 군사 표준 깃발 라바룸
종류벡실룸
사용 시기기원후 3세기 ~ 7세기
문화권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상징키 로 (☧)
관련 인물콘스탄티누스 1세
명칭
그리스어λάβαρον 또는 λάβουρον
그리스어 (음역)lábaron 또는 lábouron
그리스어 (의미)키 로
기타 명칭그리스도 십자가
콘스탄티누스 십자가

2. 유래

라바룸(Labarum)이라는 용어의 어원은 불분명하며, 라틴어 ''labarum''에서 유래했다는 점 외에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5]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라틴어 내에서 더 이상의 어원을 제시하지 않는다.[6] 일부 학자들은 라틴어 /labāre/ ('비틀거리다', '흔들리다'라는 뜻으로, 바람에 깃발이 '나부끼는' 것을 의미) 또는 ''laureum [vexillum]''('월계관 깃발'을 의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7] 켈트어 또는 바스크어에서 라틴어로 차용된 어원이라는 주장도 있다.[4] 19세기 이후에야 명칭이 기록되었지만,[8] 기원후 2세기 초의 조각에도 등장하는 라우부루(lauburu)라는 전통적인 바스크 상징이 있다.[9]

해리 서스턴 펙(Harry Thurston Peck)은 그의 저서 ''하퍼 고전 고고학 사전(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 용어 자체의 어원은 많은 상반되는 의견을 불러일으켰다. 어떤 이들은 '노동'에서 유래했다고 하고, 어떤 이들은 '경외심'을 뜻하는 εὐλάβεια에서, 또 어떤 이들은 '취하다'를 뜻하는 λαμβάνειν에서, 또 다른 이들은 '전리품'을 뜻하는 λάφυρα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한 저술가는 라바룸이 S.P.Q.R.과 비슷하지만, 동일한 수의 용어를 나타내는 약자 또는 약어의 조합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L.A.B.A.R.V.M.은 ''Legionum aquila Byzantium antiqua Roma urbe mutavit''를 나타낸다고 해석한다."[2]

3. 콘스탄티누스 1세와 밀비우스 다리 전투

락탄티우스와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1세는 꿈에서 키 로 문양과 함께 “이 표시로 이기리라(''인 호크 시그노 빈체스'')"라는 음성을 들었다고 한다. 잠에서 깨어난 콘스탄티누스는 즉시 병사들에게 모든 방패에 키 로 문양을 새길 것을 명령했고, 그 결과 밀비우스 다리 전투(312)에서 막센티우스를 상대로 승리했다.[11] 그러나 이 전투 3년 후 세워진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에는 이 문양이 새겨져 있지 않다. 대신 ‘영혼의 위대함과 신의 영감으로(INSTINCTU DIVINITATIS MENTIS MAGNITUDINE)’ 나라를 구했다는 문구가 새겨져 있고, 당시 동전에는 태양신이 새겨져 있었다. 콘스탄티누스는 이후 기독교를 공인하고 장려했지만, 로마 다신교의 수장(Pontifex Maximus) 자리를 유지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두고 콘스탄티누스가 진정으로 기독교를 믿은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한 것이라고 평가한다.

유세비우스는 전투에 대해 두 가지 기록을 남겼다. ''교회사''에서는 신이 콘스탄티누스를 도왔다는 사실만 언급하고 환상에 대한 내용은 없다. 반면, 후대의 ''콘스탄티누스 전기''에서는 환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황제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라고 강조한다.[12] 이 기록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는 군대를 이끌고 행군하던 중 태양 위에 빛나는 십자가와 함께 그리스어 ''Ἐν Τούτῳ Νίκα|엔 투토 니카el'' ("이것으로 정복하라!")라는 글자를 보았다.[13][14]

312년 10월 28일,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근교 밀비우스 다리에서 막센티우스싸워 승리하고 로마에 입성, 서방의 정제가 되었다.

이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가 십자가를 깃발로 사용했다는 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전투 직전, 콘스탄티누스는 하늘에서 십자가(혹은 ☧)와 "Ἐν τούτῳ νίκαel"라는 글자를 보았다.
  • 전날 콘스탄티누스 1세의 꿈에 ☧을 원형으로 둘러싼 모노그램이 나타났고, "Ἐν τούτῳ νίκαel"라는 하늘의 음성이 들렸다.


황제 즉위 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정규군을 개편하고, 원형 안에 그리스도그리스어 표기 "Χριστόςel"의 첫 두 글자인 Χ()와 Ρ()를 새긴 깃발을 제정했다. 이 ☧(키로) 문양의 군기(vexillum)를 “'''라바룸'''”이라 불렀다. 같은 형태의 라틴 문자로 대체했다는 설도 있다.

4. 라바룸과 기독교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정규군을 개편하면서 그리스어로 'Χριστός'(그리스도)의 처음 두 글자인 Χ(키)와 Ρ(로)를 본뜬 깃발을 제정했는데, 이 깃발을 '''라바룸'''이라고 부른다.[10] --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라바룸은 기독교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교파에서는 이 상징이 다신교에서 비롯되었고, 태양신을 상징했던 것으로 여겨 사용을 거부하기도 한다.[16]

유니코드에는 U+2627(☧)로 라바룸이 등록되어 있다.

5. 콘스탄티누스 이후의 사용

콘스탄티누스 이후의 기독교 로마 황제들은 라바룸을 널리 사용했으며, 형태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25] 라바룸의 축소판은 비잔티움 지배자들의 황실 휘장의 일부가 되었으며, 그들은 종종 오른손에 라바룸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후대 비잔티움 사본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의 것이라고 여겨지는 보석 장식 라바룸 깃발이 수 세기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실 금고에 보관되어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25]

"라바룸"이라는 용어는 종교 행렬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모든 교회 깃발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성스러운 라바로"는 그리스 정교회의 축복을 받은 초기 그리스 국기였다. 이 깃발 아래에서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독립 전쟁(1821년) 전역에서 단결하였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에 맞서 벌인 해방 전쟁이었다.

라바룸은 또한 로마의 교외 지역에 라바로라는 이름(Labaro)을 주었는데, 이 지역은 프리마 포르타에 인접해 있으며, 전통적으로 콘스탄티누스의 환시가 일어난 장소 중 하나로 여겨진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Flags Glasgow 1881
[2] 웹사이트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 (1898), Labarum https://www.perseus.[...] 1898
[3] 문서 Unicode and Coptic alphabet
[4] 백과사전 Labarum EB1911
[5] 간행물 L'étymologie de 'Labarum' 1929
[6]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1996
[7] 서적
[8] 웹사이트 Orotariko Euskal Hiztegia http://www.euskaltza[...] Euskaltzaindia 2013-01-12
[9] 웹사이트 Lauburu: La swástika rectilínea http://www.euskomedi[...]
[10] 서적 The Footprints of Michael the Archangel https://books.google[...] 2013
[11] 웹사이트 On the Deaths of the Persecutors, chapter 44.5 http://orderofcentur[...]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간행물 The Vision of Constantine 2003
[18] 간행물 Plato’s Visible God: The Cosmic Soul Reflected in the Heavens http://www.mdpi.com/[...] 2012
[19] 서적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Chapter XXXI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2004
[24]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2011
[25] 서적 9세기 중후반
[26] 서적 Flags Glasgow 1881
[27] 사전 リーダーズ英和辞典 1999
[28] 사전 ジーニアス英和大辞典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