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티누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누스 1세는 서기 272년경에 태어나 337년에 사망한 로마 황제이다. 그는 306년 정제(正帝)로 추대된 후, 서방을 통치하며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고, 324년에는 로마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를 공인하고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으며,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는 등 기독교에 우호적인 정책을 펼쳤다.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건설하여 제국의 중심을 동쪽으로 옮겼다. 그는 제국을 통일하고 행정 개혁을 단행했으며, 솔리두스 금화를 발행하여 경제를 안정시켰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서양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기독교와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72년 출생 - 위삭
    위삭은 중국 서진 시대의 여성 서예가로, 왕희지에게 서예를 가르쳤으며, 자연의 형태를 모방한 서예 스타일을 개발하고 『필진도』를 저술했다.
  • 272년 출생 - 사마윤
    사마윤은 서진 황족으로 혜제 때 가남풍 폐위와 사마륜 집권에 관여했으나, 사마륜과의 갈등으로 거병했다가 살해된 후 사도에 추증되고 회남충장왕으로 시호되었다.
  • 337년 사망 -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 337년 사망 -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
    율리우스 콘스탄티우스는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와 테오도라 사이에서 태어나 콘스탄티누스 1세의 총애를 받아 파트리키우스 칭호와 집정관에 임명되었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 사망 후 숙청 과정에서 살해당했고 그의 아들들은 각각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가 되었다.
  • 니시 출신 - 네마냐 라도니치
    네마냐 라도니치는 세르비아 출신 축구 선수로, FK 라드니치키 니슈 유소년 아카데미를 거쳐 AS 로마와 계약 후 여러 클럽에서 윙어로 활동하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에서 리그 우승과 베스트 11 선정, 세르비아 국가대표로 월드컵에 참가하는 등 활약했고, 2024년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로 복귀했다.
  • 니시 출신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는 "발칸의 마라도나"라는 별칭으로 불린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및 감독으로,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츠르베나 즈베즈다, 마르세유 등 유럽 클럽과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은퇴 후에는 세르비아 축구 협회 회장, 츠르베나 즈베즈다 회장, 나고야 그램퍼스, 광저우 R&F 감독을 거쳐 현재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콘스탄티누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머리 조각상
카피톨리니 미술관에 있는 콘스탄티누스 거상의 머리 부분
본명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로마자 표기Flavius Valerius Constantinus
다른 이름콘스탄티누스 1세
메가스 콘스탄티노스 (Μέγας Κωνσταντῖνος, 그리스어)
상투스 콘스탄티누스 마그나 (Sanctus Constantinus Magnus, 라틴어)
출생일272년 2월 27일 (추정)
출생지모에시아 수페리오르, 나이수스, 로마 제국 (현재 세르비아, 니시)
사망일337년 5월 22일 (향년 65세)
사망지비티니아, 니코메디아, 로마 제국
묻힌 곳원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 사도 교회였으나, 콘스탄티우스 2세가 이장함
종교312년까지 고대 로마 종교
312년부터 기독교
통치
직위로마 황제
재위 기간306년 7월 25일 – 337년 5월 22일
324년 9월 19일부터 단독 통치
이전콘스탄티우스 1세 (서방)
계승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1세
공동 통치자갈레리우스 (306–311)
세베루스 2세 (306–307)
막센티우스 (306–312)
막시미아누스 (306–308, 310)
리키니우스 (308–324)
막시미누스 2세 (310–313)
발렌스 (316–317)
마르티니아누스 (324)
정식 이름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발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아우구스투스
가문
왕조콘스탄티누스 왕조
아버지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어머니헬레나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미네르비나
파우스타
자녀크리스푸스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티나
콘스탄스 1세
헬레나

2. 생애

콘스탄티누스는 272년2월 27일 나이수스(현재 세르비아의 니시)에서 태어났다. 당시 제국은 팔미라 제국의 분리 독립 전쟁으로 통합에 위협받고 있었다.[29][28] 그의 아버지는 일리리아 출신의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였다.[32][33] 그는 로마 군대 장교였으며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의 근위대에 속해 있었다.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헬레나는 비티니아의 헬레노폴리스 출신의 낮은 계층의 그리스 여성이었다.[40][41][42][43][44]

286년 4월, 디오클레티아누스막시미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포했다. 각 황제는 자신만의 궁정, 군대, 행정 기구를 가지고 있었다.[47] 293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제국을 다시 분할하여 동서 지역을 추가로 세분하여 다스릴 두 명의 카이사르(부황제)를 임명했다. 이 체제는 나중에 사두정치(테트라르키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때 콘스탄티우스갈레리우스가 각각 동방과 서방의 부황제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궁정으로 가서 아버지의 황태자로서 살았다.[54] 그는 정규 교육을 받았으며, 라틴 문학, 그리스어, 철학을 배웠다.[55]

305년 5월 1일,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퇴위를 선언했고, 밀라노에서 동시에 막시미아누스도 퇴위했다.[67] 콘스탄티우스와 갈레리우스는 아우구스투스(정황제)로 승격되었고, 세베루스 2세와 막시미누스 다자는 각각 카이사르(부황제)로 임명되었다. 콘스탄티누스와 막센티우스는 무시되었다.[69] 콘스탄티누스는 305년 여름 이전에 보노니아(불로뉴쉬르메르)에서 아버지와 합류했다.[75]

요크에 있는 콘스탄티누스 1세 동상. 그가 306년 아우구스투스(Augustus)로 선포된 곳 근처에 있다.


보노니아에서 그들은 영국 해협을 건너 브리타니아로 가서 에보라쿰(요크)에 도착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아버지 곁에서 북부 브리타니아에서 픽트족과 싸웠다.[76] 306년 7월 25일 콘스탄티우스가 에보라쿰에서 사망하자, 콘스탄티누스는 군대에 의해 아우구스투스로 추대되었다.[78] 갈레리우스는 콘스탄티누스에게 "아우구스투스"가 아닌 "카이사르" 칭호를 수여했다.[85]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정통성에 대한 의심을 없앨 수 있음을 알고 그 결정을 받아들였다.[85] [87]

콘스탄티누스가 통치한 제국의 영토는 브리타니아, 갈리아, 히스파니아였으며, 그는 라인강 국경에 주둔한 로마군 중 가장 큰 규모의 군대 중 하나를 지휘했다.[88] 그는 트리어를 확장하고, 도시 주변의 성벽을 군사 탑과 요새화된 문으로 강화했으며, 궁전 단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95]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에게 패배한 막센티우스 황제의 드레스덴 흉상


306년 10월 28일, 막센티우스가 황제의 칭호를 빼앗았다.[103] 콘스탄티누스의 권력을 시기한[104] 막센티우스는 갈레리우스에게 인정을 받지 못했지만 그를 몰아낼 수도 없었다. 307년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와 협의하기 위해 갈리아로 떠났고, 자신의 딸 파우스타와 콘스탄티누스의 결혼을 제안하고 그를 아우구스투스의 지위로 격상시키겠다고 제안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이를 수락하고 307년 여름 트리어에서 파우스타와 결혼했다.

310년, 콘스탄티누스가 프랑크족과의 전투로 자리를 비운 사이, 몰락한 막시미아누스가 콘스탄티누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117]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군대의 대부분은 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했고, 막시미아누스는 곧 체포되어 자살했다.[117]

312년 콘스탄티누스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쳐들어갔다.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막센티우스 군대를 크게 이기고 막센티우스를 죽였다.[404][405] 이 승리로 콘스탄티누스는 제국 서방에서 유일한 황제로 자리 잡았다.

313년, 동방의 황제 리키니우스와 서방의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에서 만나 콘스탄티누스의 동생 콘스탄티아와 리키니우스의 결혼으로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기독교를 사실상 인정하는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다.[210]

리키니우스 황제의 금화(aureus)


324년,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는 로마의 패권을 두고 최후의 결전을 벌였다. 아드리아노폴리스 육상전과 비잔티움 근처 해전에서 콘스탄티누스가 승리했다. 소아시아 지상전에서도 리키니우스는 항복하고 테살로니카로 강제 은퇴당했다. 이듬해 리키니우스는 반란을 꾀한다는 명목으로 재판 없이 처형당했다.[221] 이로써 콘스탄티누스는 로마 제국의 유일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222]

콘스탄티누스 1세는 337년 5월 22일 니코메디아 근교 안키로나 별궁에서 사망했다.[460]

콘스탄티누스 1세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서력날짜사건
272년경2월 27일나이수스(현재의 세르비아 니시)에서 출생
293년3월 1일아버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서방의 부제(카이사르)에 취임. 콘스탄티누스는 동방의 디오클레티아누스 휘하로 보내짐.
305년5월 1일디오클레티아누스막시미아누스 퇴위. 아버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서방 황제가 됨.
305-306년갈레리우스의 휘하를 탈출하여 아버지와 합류.
306년7월 25일브리타니아에서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사망. 요크에서 황제로 추대됨.
306년10월 28일막센티우스가 로마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황제를 자칭.
308년11월 11일카르누툼 회담. 리키니우스가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부제임이 선언되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를 거부.
310년갈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1세를 황제로 승인.
311년막시미아누스가 콘스탄티누스 1세의 군세를 탈취하려다 실패하고 살해됨.
312년10월 28일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막센티우스를 격파.
313년2월리키니우스와 연합하여 밀라노 칙령 발표.
324년콘스탄티누스 1세와 리키니우스의 무력 충돌. 콘스탄티누스 1세가 승리하고 리키니우스 처형.
337년5월 22일사망


2. 1. 초기

콘스탄티누스 1세는 272년 또는 273년 2월 27일 로마 제국모이시아 수페리오르 속주(현재의 세르비아불가리아)의 나이수스에서 장군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와 첫째 부인 성녀 헬레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헬레나는 여관 주인의 딸이었다.[356] 292년 아버지는 헬레나를 버리고 제국 서방 구역의 정제인 막시미아누스의 딸인 테오도라와 결혼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가 그의 출생지인 나이수스(니시) 근처에 세운 호화로운 궁전 유적


콘스탄티누스는 서기 272년경 2월 27일 나이수스(현재 세르비아의 니시)에서 태어났다.[29][28] 그의 아버지는 일리리아 출신의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였다.[32][33] 콘스탄티누스는 아버지와 함께 보낸 시간이 거의 없었을 것이다.[38] 그의 아버지는 로마 군대 장교였으며 황제 아우렐리아누스의 근위대에 속해 있었다. 콘스탄티우스는 계급을 통해 승진하여 284년이나 285년에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로부터 달마티아의 총독직을 얻었다.[34]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헬레나는 비티니아의 헬레노폴리스 출신의 낮은 계층의 그리스 여성이었다.[40][41][42][43][44] 그녀가 콘스탄티우스와 법적으로 결혼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그의 이었는지는 불확실하다.[45] 그의 주요 언어는 라틴어였으며, 공개 연설 중에는 그리스어 통역이 필요했다.[46]

286년 4월,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막시미아누스를 공동 황제로 선포했다. 각 황제는 자신만의 궁정, 군대, 행정 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별도의 프라이토리안 총독을 최고 부관으로 임명하여 통치했다.[47] 막시미아누스는 서쪽(이탈리아의 메디오라눔이나 독일의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동쪽(터키의 니코메디아)을 수도로 삼아 통치했다. 288년,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우스를 갈리아의 프라이토리안 총독으로 임명했다. 콘스탄티우스는 헬레나를 떠나 288년이나 289년에 막시미아누스의 의붓딸인 테오도라와 결혼했다.[50]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93년에 제국을 다시 분할하여 동서 지역을 추가로 세분하여 다스릴 두 명의 카이사르를 임명했다. 이 체제는 나중에 사두정치(테트라르키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처음 카이사르 직책에 임명한 사람은 콘스탄티우스였고, 두 번째는 감지그라드 출신의 갈레리우스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궁정으로 가서 아버지의 황태자로서 살았다.[54] 콘스탄티누스 1세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궁정에서 정규 교육을 받았으며, 라틴 문학, 그리스어, 철학을 배웠다.[55]

2. 2. 서방 통치

히스파니아, 브리타니아, 갈리아, 게르마니아 지방을 관할하던 콘스탄티누스 1세는 라인강 방위선을 강화하고 갈리아 지방 재건에 힘썼다. 주요 거주지는 트리어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반란을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포로를 살육하는 방식으로 지역 안정을 확보했고, 이 전략은 라인강 방위선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365] [366]

콘스탄티누스 1세의 조각상


요크(영국)에 있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청동상


로마 국내 정치는 사두정치의 한계로 내전 상황에 빠졌다. 307년 막센티우스가 봉기하고 막시미아누스가 복귀하여 아들을 도왔다. 세베루스는 진압에 실패하고 자살을 강요당했다. 갈레리우스의 군사 행동도 실패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의 회의 결과 리키니우스가 서방 정제로 임명되었다. 막센티우스는 불만을 품고 막시미아누스와 갈라섰다. 막시미아누스는 콘스탄티누스에게 합류했지만,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310년 마르세유에서 죽음을 맞았다.[372] [374] [375]

311년 갈레리우스가 죽자 리키니우스가 동방 정제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리키니우스와 동맹을 맺고 막센티우스를 처단하기 위해 출정했다.

2. 3. 312년~324년

312년 초, 콘스탄티누스는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로 쳐들어갔다. 투린과 베로나에서 막센티우스 군대를 차례로 무찌른 후, 밀비우스 다리 전투에서 막센티우스 군대를 크게 이기고 막센티우스를 죽였다.[404][405] 이 승리로 콘스탄티누스는 제국 서방에서 유일한 황제로 자리 잡았다.

313년, 동방의 황제 리키니우스와 서방의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밀라노에서 만나 콘스탄티누스의 동생 콘스탄티아와 리키니우스의 결혼으로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기독교를 사실상 인정하는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다.[210] 그러나 동방의 부제 막시미누스가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리키니우스의 땅을 침략하면서 회담은 중단되었다. 리키니우스는 막시미누스를 물리치고 동방의 1인자가 되었다.

제국은 서방과 동방에 두 명의 황제만 남게 되었지만, 이들의 동맹은 오래가지 못했다. 315년 키발라에 전투와 317년 마르디아 전투에서 콘스탄티누스가 승리하고 휴전 협정을 맺었다. 이후 몇 년 동안 콘스탄티누스는 아들 크리스푸스와 함께 야만족과의 싸움에 집중했다.

324년,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는 로마의 패권을 두고 최후의 결전을 벌였다. 아드리아노폴리스 육상전과 비잔티움 근처 해전에서 콘스탄티누스가 승리했다. 소아시아 지상전에서도 리키니우스는 항복하고 테살로니카로 강제 은퇴당했다. 이듬해 리키니우스는 반란을 꾀한다는 명목으로 재판 없이 처형당했다.[221] 이로써 콘스탄티누스는 로마 제국의 유일한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222]

2. 4. 324년~죽음

콘스탄티누스 1세는 리키니우스를 처형하면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이후 처음으로 로마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되었다.[431] 그는 7세였던 아들 콘스탄티우스 2세를 공동 황제로 임명하고 새로운 체제 구축에 착수했다.[431]

당시 로마 제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는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는데, 콘스탄티누스 1세는 324년에 보스포루스 해협에 위치한 비잔티움을 주목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 콘스탄티노폴리스(콘스탄티누스의 도시)로 개명하기로 결정했다.[433] 330년에는 도시 완공식을 거행했다.[434] 또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때부터 이어져 오던 행정 개혁을 계승하여 중앙 정부 조직을 정비하고,[435] 군사 개혁을 통해 행정 기관의 민정 부문과 군사 부문을 분리했다.[439] 재정적으로는 순도가 안정된 솔리두스 금화를 발행했는데,[440] 이 새로운 화폐는 노미스마라고 불리며 제국의 표준 화폐로 유통되었다.[440][441]

종교적으로는 기독교 교리 분열을 수습하고자 했다. 제국 내 기독교는 교리 차이로 인해 부활절 날짜도 제각각이었다.[433] 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리우스파와 반(反) 아리우스파의 대립을 중재하고자 325년 5월 20일에 니케아에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다.[444][433][445] 공의회에서는 아리우스파를 배척하고 니케아 신조를 채택했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후에도 아리우스파와의 타협을 모색하여 아리우스의 교회 복귀를 인정했다.[447]

326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내 파우스타와 아들 크리스푸스(파우스타의 친아들이 아님)를 처형했다.[448] 이 사건은 당대 기록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아 자세한 내막은 알 수 없다.[449] 현대에 전해지는 기록은 대부분 후대에 쓰인 소문 수준이다.[449] 확실한 사실은 능력을 인정받던 장남 크리스푸스가 처형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황후 파우스타가 변사했다는 것이다(일설에는 목욕탕에서 질식사했다고 한다).[449][448]

일부 소문에 따르면, 의붓아들 크리스푸스의 인기에 질투한 파우스타가 그가 자신을 유혹했다고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모함하여 크리스푸스가 처형되었고, 이에 분노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 헬레나가 손자의 복수를 위해 파우스타의 추문을 폭로하여 파우스타도 살해되었다고 한다.[449][448] 파우스타가 관리와 간통했다는 소문도 있다.[449]

326년 4월 25일 칙령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가 간통 고발 권리를 남편에게만 제한한 점, 소렌토 비문에서 파우스타와 크리스푸스의 이름이 삭제된 점 등은 이러한 소문이 사실일 가능성을 시사한다.[450][448]

콘스탄티누스 1세 서거 당시 로마 제국


330년대, 콘스탄티누스 1세는 종교적 관용을 잃어가고 있었다.[453] 그는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는 것이 황제의 환심을 사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분명히 했고, 많은 기독교도를 코메스(총감) 지위로 승진시켰다.[455] 상류층에서도 출세를 위해 개종하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도들에 대한 후한 대우를 받았다.[455] 에우세비우스는 이러한 풍조를 비판하기도 했다.[455]

내정 면에서는 333년 아들 콘스탄스 1세를, 335년 조카 달마티우스를 부황제로 임명했다.[453][456] 이로써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1세, 달마티우스 4명의 부황제가 제국을 분할 통치하게 되었다.[453][456]

대외적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는 328년 라인강에서 알레만니족을 격파하고, 332년 도나우강에서 고트족을 항복시켰으며, 334년 다키아에서 사르마티아족을 격파했다.[458] 동방에서는 아르메니아 왕국 문제로 사산 왕조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457] 콘스탄티누스 1세는 조카 한니발리아누스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삼아 사산 왕조와의 전쟁을 준비했지만, 실제 전투는 그의 사후에 시작되었다.[457][453] 그는 페르시아인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고 그리스도처럼 요르단 강에서 세례받을 계획을 세웠으나,[459] 337년 부활절 직후 병에 걸려 쓰러지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460] 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1세는 죽기 직전에 세례를 받았다.[461] 그는 337년 성령 강림절(5월 22일)에 니코메디아 근교 안키로나 별궁에서 사망했다.[460]

콘스탄티누스 1세의 시신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운반되어 사도 성당에 안치되었다.[460][462] 기독교식 장례식이 거행되었고, 그는 그리스도의 12사도와 함께 묻혔다.[460] 그는 "대제" 칭호와 함께 "사도와 같은 자(아사도)"로 시성되었다.[462] 로마 원로원은 그를 로마의 신들 중 한 명으로 추대했다.[463]

콘스탄티누스 1세 사후, 콘스탄티노폴리스 군대는 그의 아들들만이 황제가 될 자격이 있다고 주장하며 폭동을 일으켰다.[464] 콘스탄티누스 1세의 동생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와 그의 아들 부황제 달마티우스, 아르메니아 왕 한니발리아누스가 살해되었다.[464] 콘스탄티누스 1세의 다른 동생 유리우스 콘스탄티우스도 살해되었다.[464] 3개월 후, 콘스탄티누스 1세와 파우스타의 아들들인 콘스탄티누스 2세, 콘스탄티우스 2세, 콘스탄스 1세가 337년 9월 9일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464][465]

세 황제는 제국을 분할 통치했다. 콘스탄티누스 2세는 브리타니아, 갈리아, 히스파니아를, 콘스탄티우스 2세는 트라키아, 폰티카, 아시아, 오리엔스를, 콘스탄스 1세는 판노니아, 이탈리아, 아프리카, 다키아, 마케도니아를 다스렸다.[464] 콘스탄티누스 2세가 명목상 제국 전체에 대한 권위를 가졌지만, 이 체제는 오래가지 못했다.[464][465] 340년, 콘스탄티누스 2세는 동생 콘스탄스 1세가 지배하는 이탈리아를 침공했다가 아퀼레이아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466][467] 콘스탄스 1세는 그의 영토를 차지하여 제국 서부의 지배자가 되었다.[466][467] 350년, 콘스탄스 1세는 마그넨티우스의 음모로 살해되었고, 마그넨티우스가 황제를 자칭했다.[466] 콘스탄티우스 2세는 마그넨티우스를 격파하고 353년 제국을 재통일했다.[466][467]

3. 콘스탄티누스와 기독교

콘스탄티누스 1세는 최초의 기독교인 로마 군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치세는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는데, 313년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여 기독교 박해를 끝내고 사실상 기독교를 공인했다.[240] 또한 기독교 교회의 압류된 재산을 돌려주고 이에 대한 국가의 보상을 정했다.[245] 311년 갈레리우스가 이미 밀라노 칙령과 비슷한 기독교에 대한 관용을 선포하였지만,[240] 콘스탄티누스 1세의 적극적인 기독교 진흥책으로 로마에서 기독교의 위상은 새로이 정립되었다.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를 공인한 데에는 정치적인 이유가 있었다. 그는 그리스도를 지고한 신으로 인정함으로써 기독교인들이 동료 시민들과 힘을 합쳐 종교를 통한 제국의 단합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를 바랐다. 콘스탄티누스는 그리스도든, 아폴론이든 시민들이 누구를 가장 높은 신으로 받들어 모실지는 그들의 선택에 맡겨 두었다.[623]

그러나 기독교도들은 황제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황제는 온 세상을 지배했으나, 정작 교회에 대해서는 어떠한 통제권도 없었다. 기독교 주교들은 콘스탄티누스가 주도하는 종교 의례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그 대신 그들은 그리스도의 본성이 무엇인지 같은 철학자들이나 하는 사소한 논쟁에 집착하면서 격론과 분열을 일삼았다. 그러나 뛰어난 황제였던 콘스탄티누스는 교회의 분열을 지켜보면서 올바른 믿음의 중요성을 간파했다.[624]

325년 콘스탄티누스는 니카이아에 제국 전역의 주교들을 모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다. 여기서 로마 제국 전역에 퍼져 있는 교회들이 준수해야 하는 신경(信經)을 확정하고, 신자들의 행동을 규정하는 카논 스무 권을 확정했다. 결정에 승복하지 않는 소수 대표들을 이단으로 규정해 공식적으로 추방하고, 황제의 권위로 브리타니아에서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광대한 전역에서 준수해야 하는 정통 교리, 즉 삼위일체설을 확립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제국의 단합이라는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분열된 교회를 통합하고 단일한 기독교 신자 공동체라는 이상에 실체를 부여했다.[625] 이 때문에 동방정교회에서는 그를 성인으로 공경하며, 성녀 헬레나와 함께 5월 21일을 축일로 지정했다.

그러나 분열은 그치지 않았다. 그의 사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아리우스파가 일어섰고,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한 아프리카 속주에서는 도나투스파가 권력 투쟁을 벌였다. 교회는 하나가 될 수 없었고, 결국 콘스탄티누스는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예측하기 어렵고 분열하기 쉬운, 새로운 권력의 원천(기독교)을 제국의 중심부에 직수입”한 셈이 되었다.[626]

학자들 사이에서 콘스탄티누스가 그리스도인이 된 것이 언제인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성녀 헬레나의 영향 아래서 자라 어린 시절에 이미 기독교에 귀의했다는 설과 인생의 여정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그리스도인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는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작 자신은 40세가 되어서야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불렀고 사망 직전에 처음으로 세례를 받았다.[241]

콘스탄티누스는 자신의 성공이 하느님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고, 자신의 치세 동안 교회에 재정 지원을 하여 많은 교회를 세웠으며 그리스도인을 관료로 중용하고, 디오클레티아누스 시절의 기독교 박해 때 몰수한 재산을 모두 되돌려 주었다.[245] 특히 라바룸을 처음 사용한 것, 성 베드로 대성당을 세운 것, 그와 그의 어머니 헬레나에 대한 수많은 전설 등을 볼 때 그가 기독교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3. 1. 반이교 법령

콘스탄티누스 1세 집권기에 처음으로 반이교 법령이 공표되었다. 이 법령은 고대 종교의 핵심 행위인 희생제의를 금지하는 것으로 본격화되었으나, 미신, 점, 이교 제의와 관련된 마법에 한정되었고, 실제로는 황제 권력에 위협적인 귀족들의 개인 신탁이나 예언을 제한한 것이었다. 공공장소의 희생 제의는 예외적으로 허용되었다.[631]

콘스탄티누스는 이교 신전을 폐쇄하고 재산을 압수하거나 우상숭배를 금지하고 우상을 파괴하기도 했다. 헤브론(마므레)에 있던 신전 터에 교회를 지으라는 칙령도 내렸다. 그러나 수도인 콘스탄티노폴리스에는 황제 명령으로 이교 신전을 파괴하고 교회를 건축했다는 증거는 없다. 고대 조각과 기념물, 건축물의 파괴는 황제 칙령보다는 지방 행정관이나 주교의 명령으로 개별적으로 이행된 것으로 보인다. 4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였던 그레고리오스(Gregory of Nazianzus)는 자신의 관구에 있는 신전을 교회로 바꾸었다.[631]

도시 수호신인 티케 조각상은 초기 비잔티온 제국 여러 도시의 사당 티카이온에 모셔졌다. 이 사당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사갈라소스 같은 도시 중심지에 있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티케 사당은 바실리카와 아우구스투스 사당 사이에 있었는데, 콘스탄티누스가 직접 건설한 것이다. 그곳의 티케 조각상은 고트족에 대한 승리를 기념해 황제가 직접 제작을 명한 것으로 여겨진다.[632]

4. 정치 개혁

콘스탄티누스 1세는 여러 제도 개혁을 실시했다.[496] 이 개혁으로 만들어진 정부 기구는 후대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 정부의 원형이 되었으며, “초기 비잔티움의 중앙 정부 조직은 거의 그의 시대에 형성되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457] 이 개혁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실시했던 제국의 재편을 계승한 것이기도 하며, 군사 부문과 행정 부문의 재편을 통해 국정을 조직화하고 분담함으로써 제국의 통일을 유지하려는 것이었다.[497]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정비된 중앙 정부 조직은 콘스탄티누스 1세 통치하에 더욱 발전하고 정비되었다. 궁정에는 황제의 음식, 의복, 침구 등 살림살이를 담당하는 침전(Cubiculum)이 있었는데,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이를 총괄하는 궁내장관(Praepositus Sacri Cubiculi)과 그 보좌역인 집사장(Castrensis sacri palatii)을 두어 이 조직을 관리하였다.[498]

원수정 시대의 황제는 개인적인 친구나 동료들의 조언 집단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것은 점차 공적인 것이 되어 3세기 위기 이후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는 황실 비밀원(''consistorium'')이라고 불리게 되었다.[437]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 황실 비밀원을 더욱 확고한 조직으로 만들었고,[438] 또한 군사 개혁을 실시하여 행정 기관의 민정 부문과 군사 부문의 분리가 진행되었다.[439]

구래의 추밀원(Consistorium)에서는 서기관장의 역할이 강화되어, 고위직이나 군사령관에게 내리는 황제의 명령은 서기관장을 통해 전달되었다.[437] 문무관의 장은 (총감, Comes)의 지위를 부여받아 추밀원의 일원이 되었다.[436] 이 조직은 중요 정책의 결정과 관리의 임명을 담당하였다.[436]

또한, 3세기 위기 동안 큰 권위를 갖게 된 근위대장(Praefectus praetorio)의 지위에도 변화가 생겼다. 이 직책은 제도적으로는 원래 군사적인 측면에서 황제의 사적인 수행원에 불과했지만, 이 무렵에는 사법, 조세, 경제 등의 분야까지 총괄하게 되어 황제에 버금가는 권위와 권력을 가지게 되었고, 황제가 부재할 때는 그 대리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499][500][501] 그만큼 이 지위에 있는 자의 역할은 중요했고, 황제에게는 항상 경계해야 할 존재였다.[499] 콘스탄티누스 1세는 새롭게 군사장관(Magister militum)을 설치하여, 근위대장의 직무 내용을 주로 특정 지역의 조세, 사법, 행정, 우편, 경제 등의 분야로 제한하여 문관화를 꾀하였다.[502][501] 『관직요람』(Notitia Dignitatum)의 기록에 따르면, 로마 제국은 갈리아, 이탈리아·아프리카, 일리리쿰, 오리엔스라는 네 개의 (Praefectura)로 나뉘고, 그 아래에 관구(Dioecesis), 그리고 (Provincia)가 계층적으로 설정되었다.[503] 그리고 근위대장은 실질적으로 각 도를 관할하는 직위가 되었다.[503]

콘스탄티누스 1세는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있었던 화폐관리장관(Rationaris summarum)을 Comes sacrarum largitionum으로, 황제령장관(Rationaris rei privatae)을 황제령백(Comes rei privatae)으로 개칭하고, 수입과 지출, 황제의 재산을 관리하게 하였다.[505]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 재무 관리 직 외에도 각 행정 부서의 장을 설치하고, 더 나아가 각 관청을 Magister officiorum에 통괄시켰다. 이 직책은 또한 제국 동부에서는 부대의 지휘권과 요새 관리 등 군사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501][505] 이는 너무 강대해진 근위대장에 대항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였다.[501] 이들은 추밀원 구성원이 되는 고관직이었다.

공화정 시대 이래 로마 국가 체제에서 주도적 지위를 차지했던 원로원은 3세기의 위기 속에서 황제가 전선에 상주하게 되면서 점차 국정 중추에서 멀어져 갔다.[515] 이는 원로원 신분(''Ordo senatorius'')의 고위 관직자가 군인으로서의 경력을 갖지 않고 오히려 문인 지향적 경향을 강화하여 군사를 기피했기 때문이다.[516] 또한 행정 기구가 황제와 함께 전선에 있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도 원로원과 행정 기구의 관계가 희박해졌다.[515] 대신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은 사람들이 황제들에 의해 기사 신분(''Equites'')으로 요직에 등용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각지의 총독과 고위 관직에 다시 원로원 신분을 개방했다.[519] 그리고 “원로원 의원이 담당하는” 관직에 비원로원 의원이 취임했을 때는 그 인물에게 원로원 신분이 부여되었기 때문에, 인원 자체가 대폭 확충되었다. 이것은 원로원 신분 구성원에 변화를 가져왔다.[519]

콘스탄티누스 1세는 새로운 신분으로서 '''백작'''(''Comes'', 총감)을 창설했다. 이 명칭은 이전부터 황제들의 사적인 고문을 가리켜 사용되었지만,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것을 공식적인 신분으로 했다.[521] 백작은 1등부터 3등까지로 분류되었고, 궁내청 구성원에서 군 사령관, 지방 조직의 장관에 이르기까지 백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521] 이 신분은 종래의 원로원 신분, 기사 신분, 그리고 새롭게 원로원 신분에도 진입하고 있던 군사 귀족들, 그리고 그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사람들의 사이를 관통하는 새로운 지위를 형성해 갔고,[521] 후에는 프랑크 왕국이나 서고트 왕국 등 중세 서유럽의 여러 나라에도 형태를 바꾸어 가면서 계승되어 갔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재위 기간, 특히 서방의 지배자가 된 재위 중반인 314년에서 319년경을 중심으로 많은 법률을 제정했다.[532] 법률 운용을 강화하기 위해 운용 원칙, 국법, 칙령, 칙답(청원에 대한 답변), 각서 등 법적 문서의 효력과 우선순위도 정해졌다.[533]

재판의 건전성 유지를 위해 고발과 중상을 금지하고, 절차 기한을 엄격하게 정했다.[533] 속주 총독의 재판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황제에게 상소해야 함을 통달했다.[533] 관리의 부패에는 엄벌을 내렸고, 많은 죄목에 사형이 적용되었다.[533][531] 이는 당시 만연했던 관리에게 뇌물을 주는 관행을 바꾸려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방침과 관련이 있었다. 당시 소송을 제기하려면 먼저 관리에게 뇌물이 필요했고,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러한 관습을 강하게 비난했다.[531] 그리고 속주 총독들에게 각 임지에서 이러한 관행을 방치하면 같은 형벌을 내릴 것이라고 위협하기도 했다.[534] 그러나 부정부패 방지 대책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531] 이러한 관리의 봉사 규정과 뇌물 수수 관련 규정 외에도 우편, 솔리두스 금화의 위조 및 사금 금지, 가족 및 상속 관련 규정, 예비역의 특권 및 일시금 지급, 신분 등 국가와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법이 제정되었다.[535][534]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를 중시했지만, 일련의 입법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을 명확하게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중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의 신앙에 영향을 받은 내용도 보인다.[536][534] 기독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사형 시 십자가형의 폐지이다.[536] 마찬가지로 기독교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것에 고대 로마의 전통적인 오락이었던 검투사 경기 금지 규정(325년)이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투기장에 보내졌던 범죄자들은 대신 광산에 보내지게 되었다.[537] 또한 결혼·가족의 신성함을 중시하는 규정도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나온 것일 것이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이혼 규정을 엄격하게 하여 중대한 범죄나 매춘 등의 혐의가 없는 한 이혼이 허용되지 않게 되었다.[537] 반면 이탈리아와 아프리카에서는 가난한 부모가 자녀를 매각하지 못하도록 공금으로 보조하도록 명령했다. 이것 또한 당시 기독교 교회의 유사 사례의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된다.[537] 여성의 “정숙함”을 보호하는 법도 제정되어, 어떤 계약에서든 남편이 아내의 대리인이어야 한다는 법률이나, 재산 압류 시 재산 대신 여성을 데려가는 것을 엄벌로 금지하는 법률도 남아 있다.[538] 콘스탄티누스 1세의 가족 중시 태도를 보여주는 또 다른 법률은 황제 전유지가 여러 임차인에 의해 분할될 때 노예의 가족 해체를 금지하는 법률이다.[477]

5. 평가 및 유산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제국을 통일하고 여러 차례의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으며, 문화적으로도 초기 황제들의 면도한 얼굴 유행을 부활시키는 등 영향을 끼쳤다. 신성 로마 제국은 그를 존경받는 인물로 여겼고, 후대 비잔티움 국가에서는 황제가 "새로운 콘스탄티누스"로 불리는 것이 큰 영광이었다. 여러 왕가와 인물들이 콘스탄티누스의 후손임을 주장했으며, 그는 이교도에 맞선 영웅으로 신화적인 역할도 얻었다.



콘스탄티우스가 콘스탄티누스를 후계자로 임명하다 by 피터 폴 루벤스, 1622


콘스탄티누스 생존 당시 이교도 저술가들은 그를 칭찬했지만, 조카 율리아누스는 그를 비난했다. 중세 시대에는 이상적인 통치자로 여겨졌으나, 르네상스 시대에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에드워드 기번은 그의 저서 『로마 제국의 흥망사』에서 콘스탄티누스를 전쟁 영웅이자 노년에 타락한 군주로 묘사했다.

현대적 해석은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콘스탄티누스 대제 시대』에서 시작되며, 콘스탄티누스를 권력을 위해 종교를 이용한 인물로 평가한다. 이후의 기록들은 콘스탄티누스를 진정한 기독교 개종자로 묘사하기도 하지만, 그의 종교적 개종의 깊이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라틴계 기독교인들은 콘스탄티누스가 죽음 직전 세례를 받은 것을 부적절하게 여겼고, 실베스테르 1세에 의해 치유되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 8세기에 등장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문서는 콘스탄티누스가 교황에게 서방 지역을 기증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위조로 판명되었다.

중세 시대 브리튼들은 콘스탄티누스를 자신들의 왕으로 여겼으며, 헌팅던의 헨리와 제프리 가우몬머스는 그와 관련된 이야기들을 기록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모이시아 속주 나이스수스(현재 세르비아 니시) 출신으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로마 제국을 재통일했다.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을 계승하여 관료제를 정비하고, 안정된 솔리두스 금화를 발행했다. 종교적으로는 기독교를 보호하고 개종하여, 기독교가 로마 제국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계기가 되었다.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기독교 교리 분열을 수습하려 노력했다.

군사적으로는 중앙군과 국경군을 설치하는 개혁을 실시했고, 비잔티온(현재 이스탄불)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개칭하고 대규모 도시로 개조했다. 그의 이러한 사업들은 후의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의 전제를 만들어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337년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안치되었다. 그는 기독교식 장례식을 치렀고, 정교회에서는 "사도와 동등한 자"로 존숭되었다.

그의 서거 후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세 아들이 제국을 분할 통치했으나, 결국 콘스탄티우스 2세가 제국을 재통일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두 딸 중 헬레나는 율리아누스 황제의 부인이 되었고, 콘스탄티나는 콘스탄티우스 갈루스와 재혼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건설하고, 이 도시를 "새로운 로마"로 만들고자 했다. 이 도시는 해상과 육상이 교차하는 요충지였으며, 로마 제국의 중심이 동쪽으로 이동하는 상황을 반영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건설은 그의 정책 중 후세에 가장 큰 영향을 남긴 것 중 하나이다.

바티칸 궁전의 콘스탄티누스의 방에 그려진 『''The Donation of Constantine''』(라파엘로 산티 작)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세계에서 권위의 원천으로 여겨졌으며,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와 같은 위조 문서가 그의 권위를 이용하려 했다. 프랑크 왕국의 샤를 1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에 비견되었고, 그의 궁전을 참고하여 아헨의 궁전을 건설했다.

성모자에게 콘스탄티노플의 도시를 바치는 콘스탄티누스(오른쪽)와 아야소피아(하기아 소피아 대성당)를 바치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왼쪽)의 모자이크화(아야소피아)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콘스탄티누스 1세의 권위는 높았으며, 여러 황제들이 그의 이름을 사용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동로마 황제와 서로마 황제 사이의 권위 논쟁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언급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 세계에서 위대한 로마 황제로 칭송되었지만, 비기독교도 역사가들은 그를 비판하기도 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서양 역사가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를 평가했다.

현대 역사학자들은 콘스탄티누스 1세를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만들어낸 인물로 평가한다. 그의 군사적 재능은 높이 평가되지만, 인격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그의 치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시작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Reign of Constantine
[2] 백과사전 Constantine I Biography, Accomplishments, Death,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5-25
[3] 서적 Rome and the Arabs Dumbarton Oaks
[4] 논문 Church and World: Eusebius's, Augustine's, and Yoder's Interpretations of the Constantinian Shift
[5] 웹사이트 Constantine the Great https://web.archive.[...] About 2017-03-03
[6] 서적 Constantinople: Capital of Byzantiu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8]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9]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10] 서적
[11]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1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 서적 What Eusebius Knew
[14] 서적 Vita Constantini
[15] 서적 Introduction
[1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7] 서적
[18]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19] 서적
[20]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3] 서적
[24]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25]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26]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27] 서적 Sources for the History of Constantine
[28] 서적 New Empire
[2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30] 백과사전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
[31] 학술지 What's in a Name? A Survey of Roman Onomastic Practice from c. 700 B.C. to A.D. 700 https://discovery.uc[...]
[32] 서적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
[33] 서적 Ancient Rome : art, architec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J. Paul Getty Museum 2002
[3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35] 백과사전 Constantius 1
[36] 논문 RE:Constantinus 2
[37] 서적 The Means Of Naming: A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8] 서적 Constantine
[39] 문서 Panegyrici Latini 8(5), 9(4);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8.7; Eusebius, Vita Constantini 1.13.3;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13, 290.
[40] 서적 Helena Augusta: The Mother of Constantine the Great and the Legend of Her finding the True Cross Leiden
[41] 서적 In His Footsteps: The Early Followers of Jesu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1-06-08
[42]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2012
[43] 서적 Lives Between The Lines: A Journey in Search of the Lost Levant https://books.google[...] Orion 2021-08-05
[44]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45]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3; Barnes, New Empire, 39–40;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17;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59, 83; Odahl, 16;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14.
[46] 서적 Conflict, conquest, and conversion: two thousand years of Christian missions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
[47]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pp. 8–14; Corcoran, "Before Constantine" (CC), 41–54; Odahl, 46–50; Treadgold, 14–15.
[48] 문서 Bowman, p. 70; Potter, 283; Williams, 49, 65.
[49] 문서 Potter, 283; Williams, 49, 65.
[50]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3;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20;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59–60; Odahl, 47, 299;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14.
[51] 문서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7.1;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13, 290.
[52]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3, 8; Corcoran, "Before Constantine" (CC), 40–41;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20; Odahl, 46–47;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8–9, 14; Treadgold, 17.
[53]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8–9; Corcoran, "Before Constantine" (CC), 42–43, 54.
[54]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3;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59–60; Odahl, 56–57.
[55]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73–74;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0; Odahl, 72, 301.
[56]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47, 73–74; Fowden, "Between Pagans and Christians", 175–76.
[57] 문서 Constantine, Oratio ad Sanctorum Coetum, 16.2;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29–30;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0; Odahl, 72–73.
[58] 문서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29;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1; Odahl, 72–74, 306;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15. Contra: J. Moreau, Lactance: "De la mort des persécuteurs", Sources Chrétiennes 39 (1954): 313;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97.
[59] 문서 Constantine, Oratio ad Sanctorum Coetum 25;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30; Odahl, 73.
[60] 문서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10.6–11;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1; Elliott, Christianity of Constantine, 35–36; MacMullen, Constantine, 24; Odahl, 67; Potter, 338.
[61] 문서 Eusebius, Vita Constantini 2.49–52;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1; Odahl, 67, 73, 304; Potter, 338.
[62]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2–25; MacMullen, Constantine, 24–30; Odahl, 67–69; Potter, 337.
[63] 문서 MacMullen, Constantine, 24–25.
[64] 문서 Oratio ad Sanctorum Coetum 25; Odahl, 73.
[65] 문서 Drake, "The Impact of Constantine on Christianity" (CC), 126; Elliott, "Constantine's Conversion", 425–26.
[66] 문서 Drake, "The Impact of Constantine on Christianity" (CC), 126.
[67] 문서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5–27;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0; Odahl, 69–72;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15; Potter, 341–342.
[68] 문서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19.2–6;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26; Potter, 342.
[69] 문서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0–61; Odahl, 72–74; Pohlsander, Emperor Constantine, 15.
[70] 문서 Origo 4;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24.3–9; Praxagoras fr. 1.2; Aurelius Victor 40.2–3; Epitome de Caesaribus 41.2; Zosimus 2.8.3; Eusebius, Vita Constantini 1.21; Lenski, "Reign of Constantine" (CC), 61; MacMullen, Constantine, 32; Odahl, 73.
[71] 서적 Reign of Constantine
[72] 서적
[73] 서적 Emperor Constantine
[74] 서적 Constantine
[75] 서적 Emperor Constantine
[76] 서적 Emperor Constantine
[77] 서적
[78] 서적 Reign of Constantine
[79] 서적
[80] 서적 Reign of Constantine
[81] 서적 Constantine
[82] 서적
[83] 서적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Otbebookpublishing 2018
[84] 서적 Reign of Constantine
[85] 서적 Constantine
[86] 서적
[8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88] 서적 Emperor Constantine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Constantine
[92] 서적 Constantine
[93] 서적
[94] 웹사이트 http://laststatues.c[...]
[95] 웹사이트 Roman Trier https://penelope.uch[...] 1933
[96] 서적 Lactantius and Constantine
[97] 서적
[98]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99] 서적
[100] 서적 Vita Constantini
[101] 서적 Constantine
[102] 서적 Constantine
[103] 서적 Constantine
[10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05] 서적 New Empire
[10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07] 서적 In Praise of Later Roman Emperors: The Panegyrici Latin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
[108] 서적 Layers of Loyalty in Latin Panegyric, AD 289-30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9] 서적 Panegyrici Latini, VI and VII: Translated with Introductions and Commentary https://open.uct.ac.[...] University of Cape Town 1979
[110]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8]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De Mortibus Persecutorum
[12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23] 서적
[124] 서적 Panegyrici Latini
[125] 서적 Panegyrici Latini
[126] 서적 Panegyrici Latini
[127] 서적 Ecologues
[128]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2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0] 서적 De Mortibus Persecutorum
[131] 서적 De Mortibus Persecutorum
[132]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Penguin Classics 1965
[13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6] 서적
[13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38] 서적 Constantia https://oxfordre.com[...] 2017
[13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0]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6]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14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48] 서적 Panegyrici Latini
[149] 서적
[150] 서적 Constantine
[15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52] 서적 Panegyrici Latini
[15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54] 서적 Panegyrici Latini
[15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5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5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6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6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63] 서적
[164] 서적 Constantine
[16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6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70] 서적 Constantine
[17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7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73] 서적 De Mortibus Persecutorum
[174] 서적
[17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76] 서적 Lactantius: De Mortibus Persecutorum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177] 서적 Vita Constantini
[178] 서적 Vita Constantini
[179] 논문 Impact of Constantine on Christianity
[180] 서적
[18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82] 서적
[183] 논문 Reign of Constantine
[184] 서적 Constantine and Rome Yale University Press 2004
[185] 논문 Reign of Constantine
[186] 서적 Miracles, political authority and violence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history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22
[18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88] 서적 Constantine
[18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0] 웹사이트 Head of the bronze colossus http://www.museicapi[...]
[191] 서적 Constantine
[192] 서적
[19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5]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8]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199]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0]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1]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2]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3] 서적
[204]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5] 서적
[206]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07] 서적
[208] 서적 Corpus Basilicarum Christianarum Romanorum
[209] 서적
[210] 문서 The Edict of Milan
[211] 서적 Emperor Constantine
[212] 논문 Impact
[213] 서적 L'Empire Romain
[214] 웹사이트 The sign in the sky that changed history http://www.christian[...] 2016-02-05
[215] 서적 Emperor Constantine
[216] 서적 Emperor Constantine
[217] 서적 L'Empire Romain
[218]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John Wiley & Sons
[219] 서적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cond Series Cosimo
[220] 서적 Emperor Constantine
[221] 서적 Chronicle of the Roman Emperors
[222] 서적 Constantine
[223] 서적 The Early Recep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Apostle Peter (60-800 CE): The Anchors of the Fisherman https://books.google[...] BRILL 2020-03-17
[224] 서적 Byzantium Silver Burdett Company
[225] 서적 A History of Rome to A.D. 565 Macmillan Publishing Co., Inc.
[226] 서적 Byzantium: The Early Centuries Penguin Books
[227] 서적 Byzantium Silver Burdett Company
[228] 서적 Naissance d'une Capitale
[229] 문서 excerpta Vaticana
[230] 서적 Constantine Routledge
[231] 서적 Naissance d'une Capitale
[232] 백과사전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233] 웹사이트 Sardonyx cameo depicting constantine the great crowned by Constantinople, 4th century AD http://www.hermitage[...] 2006-03-30
[234]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235] 서적 Reallexikon für Antike und Christentum A. Hiersemann
[236] 백과사전 Constantine the Great https://www.newadven[...] New Advent 2022-01-09
[237] 웹사이트 St. Constantine http://faith.nd.edu/[...] University of Notre Dame 2022-01-09
[238] 웹사이트 Saint Constantine the Great http://www.stconstan[...] Saint Constantine Ukrainian Catholic Church
[239] 서적 The Age of Constantine and Julian Barnes & Noble Books
[240] 서적 De Mortibus Persecutorum
[241] 서적 Medieval Worlds Houghton Mifflin Company
[242] 백과사전 Gratian https://www.britanni[...] 2008-02-03
[243] 웹사이트 Pontifex Maximus https://www.livius.o[...] 2011-08-21
[244] 서적 The Rise of Christendom Blackwell Publishing
[245] 서적 Medieval Worlds Houghton Mifflin Company
[246] 서적 Constantine, Divine Emperor of the Christian Golden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7] 법전 Codex Justinianeus
[248] 법전 Codex Theodosianus
[249] 서적 Quand notre monde est devenu chrétien
[250] 서적 Christianizing The Roman Empire A.D. 100–400 Yale University Press
[251]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Routledge & Kegan Paul
[252]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476–752 Routledge & Kegan Paul
[253] 서적 The Donatist Church; A Movement of Protest in Roman North Africa Oxford
[254] 서적 Byzantium Alfred A. Knopf
[255] 웹사이트 Church Fathers: Life of Constantine, Book III (Eusebius), chapter 18 https://www.newadven[...]
[256] 서적 How Rome Fell
[257] 서적 Jews and Christians in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A&C Black
[258]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9] 서적
[260] 서적 Rome et son Empire
[261] 논문 Fine delle' ordine equestre: le tappe delle'unificazione dela classe dirigente romana nel IV secolo Giardina
[262] 서적 Rome et son Empire
[263] 서적 L'Empire Romain
[264] 웹사이트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http://oracle-vm.ku-[...] 2016-02-05
[265] 서적 L'Empire Romain
[266] 서적 The Senatorial Aristocracy in the Later Roman Empire
[267] 논문 Statistics and the Conversion of the Roman Aristocracy
[268] 서적 L'Empire Gréco-Romain
[269] 서적 Rome et son Empire
[270] 서적 The Monetary Systems of the Han and Roman Empires
[271] 서적 De Rebus Bellicis
[272] 서적 Rome et son Empire
[273] 서적 L'Empire Romain
[274] 서적
[275] 서적 Death of the Empress
[276] 서적 Death of the Empress
[277]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MobileReference.com 2014-10-05
[278] 서적
[279] 서적 Art. Pass
[280] 서적 Rome et son Empire
[281] 서적 How Rome Fell
[282] 서적 Istoria Militară a Daciei Post Romane 275–376 Cetatea de Scaun
[283]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84] 서적 Istoria Militară a Daciei Post Romane 275–376 Cetatea de Scaun
[285] 서적
[286] 서적 VC
[287] 서적 Constantine and Eusebius
[288] 서적 Vita Constantini
[289] 서적 Vita Constantini
[290] 서적 Vita Constantini
[291] 서적 Vita Constantini
[292] 서적 Emperor Constantine
[293] 서적 Early Christian Baptism and the Catechumenate: East and West Syria The Liturgical Press/Michael Glazier
[294] 서적 Il battesimo di Costantino il Grande: storia di una scomoda eredità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95] 서적 Vita Constantini
[296] 서적 Orations
[297] 서적 Origo Constantini
[298] 서적 Historiae abbreviatae
[299] 서적 Breviarium
[300] 서적 Last Days of Constantine
[301] 서적 Emperor Constantine
[302] 저널 Imperial Porphyry Sarcophagi in Constantinople https://lucazavagno.[...] 1848
[303] 서적 Russian Travelers to Constantinople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1984
[304] 서적 The Final Pagan Generation: Rome's Unexpected Path to Christian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5] 서적 Emperor Constantine
[306] 서적 Emperor Constantine
[307] 웹사이트 Imperial first times/last times http://www.byzantium[...]
[308] 웹사이트 Barba – NumisWiki, The Collaborative Numismatics Project http://www.forumanci[...]
[309] 서적 Emperor Constantine
[310] 서적 The Italian Romance Epic in the Age of Humanism: The Matter of Italy and the World of 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1] 서적 Empire and Nation in Early English Renaissanc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312] 서적 Clio and the Crown: The Politics of History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Spain https://books.google[...] JHU Press
[313] 서적 Byzantinum in the Year 1000 https://books.google[...] Brill
[314] 서적 John Zonaras' Epitome of Histories: A Compendium of Jewish-Roman History and Its Recep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5] 서적 Theatre and Empire: Great Britain on the London Stages under James VI and I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11-18
[316] 서적 An Empire of Memory: The Legend of Charlemagne, the Franks, and Jerusalem before the First Crusa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317] 서적 The English Historical Review, Volume 2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87
[31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Literature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319] 문서 Mulligan
[320] 문서 Fourlas 2020
[321] 문서 Seidel
[322] 학술지 Viewing Rome in the Latin Literature of the ''Ventennio Fascista'': Francesco Giammaria's ''Capitolium Novum'' https://doi.org/10.1[...] Brill 2019-12
[323] 웹사이트 Niš: Vinik osta pusto brdo https://www.novosti.[...]
[324] 뉴스 Edict of Milan celebration to begin in Niš http://www.b92.net/e[...] 2013-01-17
[325] 문서 Emperor Constantine
[326] 문서 Constantine in Legendary Literature
[327] 문서 Constantine and Eusebius
[328] 문서 Constantine and Eusebius
[329] 문서 Apologia pro Zosimo adversus Evagrii, Nicephori Callisti et aliorum acerbas criminationes
[330] 문서 Annales Ecclesiastici
[331] 문서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332] 문서 Gibbon's 'Age of Constantine' and the Fall of Rome 1969
[333] 문서 Die Zeit Constantins des Grossen 1853, 1880
[334] 문서 Introduction
[335] 문서 Introduction
[336] 문서 Constantine and Eusebius
[337] 문서 Introduction
[338] 문서 Introduction
[339] 문서 Constantine 2006
[340] 문서 Introduction Routledge 1998
[341] 문서 Introduction
[342] 웹사이트 Quand notre monde est devenu chretien https://archive.toda[...] 2008-06
[343] 서적 Christendom Allen Lane 2022
[344] 서적 Gli Actus Silvestri fra Oriente e Occidente: Storia e diffusione di una leggenda Costantiniana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1-05-10
[345] 문서 Constantine in Legendary Literature
[346] 문서 Constitutum Constantini
[347] 문서 A History of Byzantium
[348] 문서 Remembering Constantine at the Milvian Bridge
[349] 문서 The 'Donation of Constantine' 1895
[350] 문서 Inferno, Paradiso, De Monarchia
[351] 서적 Fubini; Lenski, "Introduction" (CC)
[352] 서적 Historia Anglorum
[353] 서적 Historia Anglorum: The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354] 웹사이트 Constantine I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355] 서적 長谷川・樋脇 2004
[35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57] 서적 ランソン 2012
[35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59] 서적 ランソン 2012
[360] 서적 ブルクハルト 2003
[361] 서적 ランソン 2012
[362] 서적 井上 2015
[363] 서적 本村 1997
[364] 서적 ルメルル 2003
[365] 서적 レミィ 2010
[366] 서적 井上 2015
[36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68] 서적 ランソン 2012
[36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7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71] 서적 ランソン 2012
[372] 서적 レミィ 2010
[373] 서적 レミィ 2010
[374] 서적 ランソン 2012
[37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76] 서적 ランソン 2012
[377] 서적 レミィ 2010
[378] 서적 レミィ 2010
[379] 서적 ランソン 2012
[38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8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82] 서적 ランソン 2012
[38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8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85] 서적 スカー 1998
[386] 서적 ランソン 2012
[387] 서적 ランソン 2012
[388] 서적 ブルクハルト 2003
[389] 서적 レミィ 2010
[390] 서적 スカー 1998
[391] 서적 ランソン 2012
[39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9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94] 서적 レミィ 2010
[395] 서적 レミィ 2010
[39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97] 서적 レミィ 2010
[39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399] 서적 ランソン 2012
[40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01] 서적 ランソン 2012
[40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0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0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05] 서적 ランソン 2012
[40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07] 서적 ヴェーヌ 2010
[408] 서적 ランソン 2012
[40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2] 서적 ランソン 2012
[413] 서적 ランソン 2012
[414] 서적 ランソン 2012
[415] 서적 ランソン 2012
[41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19] 서적 スカー 1998
[420] 서적 ランソン 2012
[42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2] 서적 ランソン 2012
[42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4] 서적 ランソン 2012
[42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2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30] 서적 尚樹 2005
[431] 서적 ランソン 2012
[43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33] 서적 ランソン 2012
[434] 서적 尚樹 1999
[435] 서적 ランソン 2012
[436] 서적 ランソン 2012
[437] 서적 尚樹 1999
[438] 서적 尚樹 2005
[43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40] 서적 尚樹 2005
[44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4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4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44] 서적 尚樹 1999
[44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46] 서적 尚樹 1999
[447] 서적 尚樹 1999
[448] 서적 ランソン 2012
[44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3] 서적 ランソン 2012
[45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56] 서적 尚樹 1999
[457] 서적 尚樹 1999
[458] 서적 スカー 1998
[459] 서적 スカー 1998
[460] 서적 スカー 1998
[461] 문서
[462] 서적 尚樹 1999
[463] 서적 スカー 1998
[464] 서적 尚樹 1999
[465] 서적 スカー 1998
[466] 서적 尚樹 1999
[467] 서적 スカー 1998
[468] 서적 ギボン 1996
[469] 서적 西洋古典学事典
[470] 서적 ギボン 1996
[471] 서적 ローマ帝政の歴史
[472] 서적 ギボン 1996
[473] 서적 ランソン 2012
[474] 서적 尚樹 1999
[475] 서적 南雲 2018
[476] 서적 井上 2008
[47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7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79] 서적 ランソン 2012
[480] 서적 芳賀ら 2017
[481] 서적 尚樹 1999
[482] 서적 南雲 2018
[48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484] 서적 ランソン 2012
[485] 서적 青柳 1992
[486] 서적 芳賀ら 2017
[487] 서적 青柳 1992
[488] 서적 青柳 1992
[489] 서적 青柳 1992
[490] 서적 青柳 1992
[491] 서적 青柳 1992
[492] 서적 青柳 1992
[493] 서적 ランソン 2012
[494] 서적 加藤, 益田 2016
[495] 서적 ランソン 2012
[496] 서적 尚樹 1999
[497] 서적 尚樹 1999
[498] 서적 ランソン 2012
[499] 서적 豊田 1994
[500] 서적 レミィ 2010
[501] 서적 尚樹 1999
[502] 서적 豊田 1994
[503] 서적 田中 2010
[504] 서적 豊田 1994
[505] 서적 ランソン 2012
[50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07] 서적 尚樹 1999
[508] 서적 ブルクハルト 2003
[509] 서적 ゴールズワーシー 2003
[510] 서적 ランソン 2012
[511] 서적 ランソン 2012
[51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13] 서적 尚樹 2005
[514] 서적 ランソン 2012
[515] 서적 井上 2015
[516] 서적 井上 2015
[517] 서적 尚樹 1999
[518] 서적 豊田 1994
[519] 서적 井上 2015
[520] 서적 尚樹 2005
[521] 서적 尚樹 2005
[522] 서적 尚樹 1999
[52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24] 서적 ランソン 2012
[525] 서적 スカー 1998
[526] 서적 ブウサール 1972
[527] 서적 ランソン 2012
[52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29] 서적 ランソン 2012
[530] 서적 ランソン 2012
[53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32] 서적 ランソン 2012
[533] 서적 ランソン 2012
[53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35] 서적 ランソン 2012
[536] 서적 ランソン 2012
[53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3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39] 서적 松本 2009
[540] 서적 松本 2009
[54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42] 문서 シンボリスム的解釈では、十字(架)が太陽の象徴であるのに対し、逆さ十字(架)は金星(明けの明星)の象徴である。
[543] 서적 ヴェーヌ 2010
[544] 서적 ブラウン 2016
[545] 서적 ヴェーヌ 2010
[546] 서적 豊田 1994
[547] 문서 [[豊田浩志]]の紹介・要約による。
[548] 서적 豊田 1994
[549] 서적 ランソン 2012
[550] 서적 豊田 1994
[551] 서적 小川 1993
[552] 서적 小川 1993
[553] 서적 ウィルケン 2016
[554] 서적 ウィルケン 2016
[55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56] 서적 尚樹 2005
[557] 서적 ブルクハルト 2003
[558] 서적 ヴェーヌ 2010
[559] 서적 ヴェーヌ 2010
[560] 서적 ウィルケン 2016
[56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4] 서적 尚樹 2005
[56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6] 서적 尚樹 2005
[56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6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7]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79] 서적 ウィルケン 2016
[580] 서적 松本 2009
[58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3] 서적 ウィルケン 2016
[58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5]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6]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7]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1 初期ギリシャ教父 平凡社 1995-02-06
[58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89]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90] 서적 尚樹 2005
[59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92] 서적 尚樹 2005
[593]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94] 서적 ジョーンズ 2008
[595] 서적 シンメルペニッヒ 2017
[596] 서적 バラクロウ 2012
[597] 서적 バラクロウ 2012
[598] 서적 シンメルペニッヒ 2017
[599] 서적 佐藤 1995
[600] 서적 和田 2006
[601] 서적 和田 2006
[602] 서적 大月 2014
[603] 서적 根津 2009
[604] 서적 ギボン 1996
[605] 서적 エウセビオス
[606] 서적 ランソン 2012
[607] 서적 ギボン 1996
[608] 서적 ランソン 2012
[609] 서적 ランソン 2012
[610] 서적 ジョーンズ 2008
[611] 서적 ランソン 2012
[61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613] 서적 尚樹 2005
[614] 서적 ルメルル 2003
[615] 서적 南雲 2018
[616] 서적 ハリス 2018
[617] 서적 井上 2008
[618] 서적 ジョーンズ 2008
[619] 서적 ランソン 2012
[620] 서적 『ローマ帝政の歴史』
[621] 서적 ジョーンズ 2008
[622] 서적 ジョーンズ 2008
[623] 서적 도미니언 책과함께 2020
[624] 서적 도미니언 2020
[625] 서적 도미니언 책과함께 2020
[626] 서적 도미니언 책과함께 2020
[627] 서적 Epitome de Caesaribus
[628] 웹인용 Roman Emperors – DIR Fausta http://www.roman-emp[...] Roman-emperors.org 1997-09-09
[629] 논문 On the death of the empress Fausta 1998
[630] 서적 Constantine, Roman Emperor, Christian Victor 2010
[631] 저널 고대 후기의 고대 조각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4
[632] 저널 (제목 없음)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