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 (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프는 야구에서 주자 또는 타자 주자가 루의 점유를 인정받을 때 심판이 선언하는 용어이다. 심판은 양손을 수평으로 펼치는 제스처와 함께 "세이프"를 외치며, 하프 스윙, 뜬공 포구 실패, 태그 플레이 실패 등의 상황에서도 이 제스처를 사용한다. 타자가 친 공이 페어 지역에 떨어져 안전하게 루에 도달하거나, 도루, 진루 시에도 세이프 판정을 받아야 한다. 1943년 일본 야구 연맹은 '세이프'를 '좋음'으로 변경했으나, 현재는 다시 '세이프'를 사용한다. 테니스나 탁구에서도 타구가 규정된 선 안에 들어가는 것을 '세이프'라고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규칙 - 타격방해
타격 방해는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타격하려는 순간에 포수나 야수가 타자 또는 배트에 닿아 타격을 방해하는 행위로, 타자에게 1루 진출 권한이 주어지며 감독은 플레이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 - 야구 규칙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세이프 (야구) | |
---|---|
야구 규칙 | |
목적 | 주자가 안전하게 베이스에 도달 |
방법 | 타자가 타격 후 1루로 질주, 주자가 다음 베이스로 진루 |
심판의 판단 | 주자가 베이스에 먼저 도달했는지, 수비수가 먼저 태그했는지에 따라 결정 |
관련 용어 | 슬라이딩, 헤드 퍼스트 슬라이딩, 태그 플레이 |
세이프의 종류 | |
일반적인 세이프 | 주자가 수비보다 먼저 베이스에 도달하는 경우 |
포스 아웃 면피 | 포스 아웃 상황에서 주자가 다음 베이스에 먼저 도달하는 경우 |
태그 아웃 면피 | 태그 아웃 상황에서 수비수의 태그를 피하는 경우 |
기타 | 심판의 오심 수비 방해 |
관련 규칙 | |
공식 야구 규칙 | 주루, 아웃, 파울 등에 대한 규칙 명시 공식 야구 규칙 |
주의 사항 | |
심판 판정 | 심판의 세이프/아웃 판정은 최종적이며, 번복이 어려움. 1루심의 판정 |
2. 야구에서의 세이프
야구에서 세이프는 주자 또는 타자 주자가 심판으로부터 특정 루에 대한 점유를 인정받는 것을 의미한다. 세이프가 선언되어도 그 직후에 아웃이 될 수도 있다.[1]
2. 1. 세이프가 되는 상황
야구에서 심판원이 주자 또는 타자 주자에게 어떤 루의 점유를 인정할 때 세이프가 선언된다. 세이프가 선언되어도 그 직후에 아웃이 될 수도 있다.심판원은 세이프를 선언할 때 양손을 수평으로 펼치는 제스처와 함께 "세이프"라고 콜한다. 이 제스처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사용된다.
- 하프 스윙으로 구심으로부터 요구가 있었을 때, 루심이 휘두르지 않았다고 판정할 때. (제스처와 함께 "노 스윙" 또는 "No, he didn't go! (휘두르지 않았다)"라고 콜한다)
- 뜬공을 야수가 노 바운드로 포구하지 못했다고 판정했을 때. (제스처와 함께 "노 캐치"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태그 플레이가 진행되는 중에 야수가 터치를 시도했지만 실제로는 터치하지 못했다고 판정했을 때. ("노 태그"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주자와 야수, 주자와 타구 등, 원칙적으로 접촉이 인정되지 않는 것에 주자가 접촉했을 때, 더 나아가 어떠한 불규칙한 플레이가 행해졌을 때, 그 플레이에 대해 (공격 측·수비 측 모두) 어떠한 벌칙도 없음을 나타낼 때. ("나싱" 또는 "That's nothing!"이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타구가 페어볼임을 판정할 때. 페어 그라운드를 향해 세이프 제스처를 한다. 현재 페어의 판정은 페어 그라운드를 집게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제스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세이프 제스처로 판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타자가 친 공이 페어 지역에 떨어져서 1루, 2루, 3루, 또는 홈으로 안전하게 도달하면 세이프가 되며, 안타로 기록된다. 주자가 다음 루로 뛰는 도루나, 타자가 친 공이 아웃되었을 때 다음 루로 진루하는 경우에도 세이프 판정을 받아야 인정된다.[1]
2. 1. 1. 안타
타자가 친 공이 페어 지역에 떨어지고, 타자 주자가 1루, 2루, 3루, 또는 홈으로 안전하게 도달하면 세이프가 인정되어 안타로 기록된다.2. 1. 2. 도루
주자가 타석에 있는 타자를 제외하고 다음 루로 뛰는 것을 도루라고 한다. 도루가 인정되려면 세이프 판정을 받아야 한다.[1]2. 1. 3. 진루
타자가 친 공이 아웃되었을 때 다음 루로 진루하는 것을 의미한다.[1] 여기에서 진루가 인정받기 위해서는 세이프를 받아야 한다.[1]2. 2. 심판의 세이프 판정
야구에서 심판은 주자 또는 타자 주자가 어떤 루를 점유하는 것을 인정할 때 세이프를 선언한다. 심판은 양손을 수평으로 펼치는 제스처와 함께 "세이프"라고 외친다. 세이프가 선언되어도 그 직후에 아웃이 될 수도 있다.[1]2. 2. 1. 기타 상황
심판원이 세이프 제스처를 사용하는 기타 상황은 다음과 같다.[1]- 하프 스윙으로 구심으로부터 요구가 있었을 때, 루심이 휘두르지 않았다고 판정할 때. ("노 스윙" 또는 "No, he didn't go! (휘두르지 않았다)"라고 콜한다)
- 뜬공을 야수가 노 바운드(인 플라이트)로 포구하지 못했다고 판정했을 때. ("노 캐치"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태그 플레이가 진행되는 중에 야수가 터치를 시도했지만 실제로는 터치하지 못했다고 판정했을 때. ("노 태그"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주자와 야수, 주자와 타구 등, 원칙적으로 접촉이 인정되지 않는 것에 주자가 접촉했을 때, 더 나아가 어떠한 불규칙한 플레이가 행해졌을 때, 그 플레이에 대해 (공격 측·수비 측 모두) 어떠한 벌칙도 없음을 나타낼 때. ("나싱" 또는 "That's nothing!"이라고 콜하는 경우도 있다)
- 타구가 페어볼임을 판정할 때. 페어 그라운드를 향해 세이프 제스처를 한다. 현재 페어의 판정은 페어 그라운드를 집게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제스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세이프 제스처로 판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2. 3. 역사적 배경
1943년 3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야구 연맹은 야구 용어의 국어화(외국어 금지)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세이프'는 '좋음'으로, '아웃'은 '안 됨'으로 바뀌는 개정이 실시되었다.[3]3. 다른 스포츠에서의 세이프
테니스나 탁구 등 일부 구기 종목에서는 타구가 규정된 선 안에 들어가는 것을 '세이프' 또는 '인(in)'이라고 부른다.[1]
4. 동음이의어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Baseball Rules
https://img.mlbstati[...]
2021
[2]
뉴스
First-Base Umpires Call Them as They Hear Them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8-11-06
[3]
뉴스
野球用語も邦語化、セーフは「よし」
毎日新聞(東京)
194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