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센드 테이프 에코 에코 딜레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드 테이프 에코 딜레이는 1950년대 말 EMI/애비 로드 스튜디오의 엔지니어 그윈 스톡이 개발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테이프 머신을 사용하여 녹음된 신호를 에코 챔버로 전송하여 지연 효과를 내는 방식으로, 두 개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결과 사운드를 포착하여 녹음 콘솔로 전송한다. 이 기술은 피드백 양 조절을 통해 효과의 감쇠 시간을 늘릴 수 있으며, 비틀즈의 여러 곡에 사용되었다. 조지 해리슨의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Paperback Writer〉, 〈Birthday〉, 〈Revolution 9〉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1995년 《Anthology 1》 제작에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향 효과 - 메아리
    메아리는 소리가 반사되어 다시 들리는 현상을 의미하며, 음향학적으로 음파가 단단한 표면에 부딪혀 발생하고, 자연 현상, 음파 탐지, 의료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음향 효과 - 이퀄라이저
    이퀄라이저는 음향 기기나 소프트웨어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을 조절하여 음색을 보정하거나 변화시키는 장치로, 통신 시스템 왜곡 보정에 사용되던 것이 음악 감상, 음향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라메트릭, 그래픽, 디지털 등 다양한 종류와 쉘빙형, 피킹형 등의 주파수 대역 형태를 가진다.
센드 테이프 에코 에코 딜레이
기본 정보
이름센드 테이프 에코 에코 딜레이
원어 이름Send Tape Echo Echo Delay
종류딜레이
제조사Smash Sound
제조 국가대한민국
출시 연도2023년
특징
종류테이프 딜레이 시뮬레이터
컨트롤Time
Feedback
Blend
Volume
Tone
Tape Age
Wow & Flutter
스위치Bright/Normal
Kill Dry
추가 정보
상세 설명대한민국 이펙터 브랜드 Smash Sound에서 2023년에 출시한 테이프 딜레이 시뮬레이터이다.

2. 역사

STEED는 상당수의 비틀즈 노래가 녹음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개발되었다.


기술은 EMI/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1950년대 말 EMI의 엔지니어 그윈 스톡에 의해 개발되었다.[13] 테이프 머신을 사용해 스튜디오의 에코 챔버에 전송함으로써 녹음된 (마른) 신호를 지연하는 것이다. 마른 신호는 또한 테이프 머신의 리플레이 헤드를 경유해 전송할 수 있다. 결과로 나온 사운드를 두 대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잡아낸다. 그러면 마이크로폰은 녹음 콘솔에 젖은 신호를 전송한다.[14] 피드백 양을 다중 지연을 리버브 챔버로 전송함으로써 통제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효과의 감쇠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15]

동일한 기술이 1995년 《Anthology 1》의 제작에 사용되었다. 이때 JBL 스피커가 에코 챔버 내에서 소리를 재생하는 데 활용되었다.[14]

2. 1. 개발 과정

EMI/애비 로드 스튜디오의 엔지니어 그윈 스톡은 1950년대 후반에 센드 테이프 에코 딜레이 기술을 개발하였다.[4] 녹음된 신호(드라이)를 테이프 머신을 사용하여 스튜디오의 에코 챔버로 보내 지연시키는 방식이었다. 테이프 머신의 테이프 헤드를 통해 지연되지 않은 드라이 신호도 챔버로 전송되었다. 두 개의 콘덴서 마이크가 결과 사운드를 수집했고, 이 마이크들은 리앰프를 통해 젖은 신호를 녹음 콘솔로 다시 보냈다.[5] 오디오 피드백 양을 조절하여 여러 딜레이를 리버브 챔버로 전송, 효과의 감쇠 시간을 늘릴 수 있었다.[6]

1995년 ''앤솔로지 1'' 제작에도 동일한 기술이 사용되었으며, 스피커를 사용하여 에코 챔버 내에서 사운드를 재생했다.[5]

2. 2. 기술 적용

3. 용례

조지 해리슨이 리드 보컬로 참여한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1964)에서 STEED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6][7] 마크 루이손은 효과를 "어마어마한 양"으로 칭했으며, 해리슨의 보컬이 마치 양철통에서 울려 퍼지는 느낌을 냈노라 묘사했다.[10][1] 또한 일부 기악 백 트랙은 해리슨의 헤드폰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폰 스필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기록했다.[10][1] 비틀즈 노래에서 STEED의 다른 용례로는 보컬 페르마타가 존재하는 〈Paperback Writer〉 (1966),[15][3] 폴 매카트니가 피아노를 연주하는 〈Birthday〉 (1968) 등이 있다.[17][8]Revolution 9〉 (1968)에도 쓰였으며,[18][9] 1995년 《Anthology 1》 트랙 믹싱 작업에 쓰였다.[14][5]

3. 1. 비틀즈의 음악

조지 해리슨이 리드 보컬로 참여한 〈Everybody's Trying to Be My Baby〉 (1964)에서 STEED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6][7] 마크 루이손은 효과를 "어마어마한 양"으로 칭했으며, 해리슨의 보컬이 마치 양철통에서 울려 퍼지는 느낌을 냈노라 묘사했다.[10][1] 또한 일부 기악 백 트랙은 해리슨의 헤드폰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폰 스필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기록했다.[10][1] 비틀즈 노래에서 STEED의 다른 용례로는 보컬 페르마타가 존재하는 〈Paperback Writer〉 (1966),[15][3] 폴 매카트니가 피아노를 연주하는 〈Birthday〉 (1968) 등이 있다.[17][8]Revolution 9〉 (1968)에도 쓰였으며,[18][9] 1995년 《Anthology 1》 트랙 믹싱 작업에 쓰였다.[14][5]

3. 2. 기타

참조

[1] harvtxt
[2] harvtxt
[3] harvtxt
[4] 서적 Recording The Beatles
[5] harvtxt
[6] harvtxt
[7] harvtxt
[8] harvtxt
[9] harvtxt
[10] harvtxt
[11] harvtxt
[12] harvtxt
[13] 서적 Recording The Beatles
[14] harvtxt
[15] harvtxt
[16] harvtxt
[17] harvtxt
[18] harvt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