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퀄라이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퀄라이저는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키는 장치로, 주파수 대역 형태, 조정 방식, 물리적 구조에 따라 분류된다. 주파수 대역 형태는 쉘빙형과 피킹형으로 나뉘며, 조정 방식에 따라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와 그래픽 이퀄라이저로 구분된다. 이퀄라이저는 오디오 기기, 전기 악기, DJ 장비, PA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각 분야의 특성에 맞게 음색 조절, 룸 어쿠스틱 보정, 피드백 제어 등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형 필터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선형 필터 - 가우시안 필터
가우시안 필터는 가우시안 함수의 임펄스 응답을 가지며, 이미지 노이즈 감소 및 엣지 검출 전처리에 사용되는 선형 평활화 필터이다. - 음향 효과 - 메아리
메아리는 소리가 반사되어 다시 들리는 현상을 의미하며, 음향학적으로 음파가 단단한 표면에 부딪혀 발생하고, 자연 현상, 음파 탐지, 의료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음향 효과 - 디스토션
디스토션은 통신, 신호 처리, 음향, 예술, 광학, 지도 투영법 등에서 나타나는 왜곡 현상으로, 신호나 이미지의 형태 변형을 포괄하며, 통신에서는 품질 저하를, 음악에서는 의도적 효과를 유발하고, 선형/비선형 왜곡으로 나뉜다. - 음향 기기 - 헤드폰
헤드폰은 이어폰과 밴드를 결합한 장치로, 초기 전기적 소리 신호 청취에 사용되었고, 스테레오 헤드폰과 소형 이어피스 등장, 무선 이어폰 시장 성장, 다양한 형태와 연결 방식, 노이즈 캔슬링 등 신기술 개발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음향 기기 - 전기 바이올린
전기 바이올린은 공명통 없이 픽업으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로, 재즈, 블루스에서 시작해 록, 팝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음악 연주에도 사용된다.
| 이퀄라이저 | |
|---|---|
| 개요 | |
![]() | |
| 종류 |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그래픽 이퀄라이저 톤 컨트롤 펌웨어 이퀄라이저 |
| 용도 | 음향 녹음 음향 재생 라이브 사운드 강화 |
| 상세 정보 | |
| 기능 |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폭을 조정 |
| 파라미터 | 중심 주파수 Q값 (대역폭) 게인 |
| 조정 방식 | 노브 슬라이더 디지털 인터페이스 |
| 사용 분야 | 음악 제작 믹싱 마스터링 방송 음향 시스템 조정 |
| 유형별 상세 설명 | |
| 그래픽 이퀄라이저 | 특정 주파수 대역을 슬라이더로 조정 |
|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 중심 주파수, Q값, 게인을 자유롭게 조정 |
| 톤 컨트롤 | 간단한 저음 및 고음 조절 기능 |
| 펌웨어 이퀄라이저 |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된 이퀄라이저 |
| 관련 기술 | |
| 주파수 응답 | 주파수별 진폭 변화 |
| 필터 (신호 처리) | 특정 주파수 대역 통과 또는 감쇠 |
| 위상 왜곡 | 신호의 위상 변화 |
2. 이퀄라이저의 종류와 원리
이퀄라이저는 "균등화(equalize) 기기"라는 뜻으로, 마이크, 레코더, 녹음 스튜디오, 스피커 등 재생 환경이 가진 주파수 특성의 왜곡을 보정하거나, 마스터링에서 곡별 음질 차이를 평균화하는 데 사용된다.[3]
최근에는 배음, 고조파, 노이즈를 조절하거나 음상을 명확하게 하는 등, 적극적으로 소리를 만들거나 의도적으로 주파수 왜곡을 만드는 데에도 활용된다. 이퀄라이저로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하는 것을 "부스트", 감소시키는 것을 "컷"이라고 부른다.
이퀄라이저는 조정되는 주파수 대역의 형태, 조정 방식, 물리적 구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 1. 주파수 대역 형태
쉘빙형(shelving)은 경계 주파수를 기준으로 선반 형태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 전체의 레벨을 일괄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이다.[3] 피킹형(peaking)은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산이나 골짜기 모양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레벨을 조정하는 방식이며, 피크/딥형(peak/dip) 또는 캐멀(camel)형이라고도 불린다.[3] 하이패스 필터/HPF나 로우패스 필터/LPF는 쉘빙 EQ의 일종이며, 밴드패스 필터는 피킹 EQ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다.[3]2. 2. 조정 방식
조정 방식은 크게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와 그래픽 이퀄라이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는 특성을 여러 항목에 걸쳐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그래픽 이퀄라이저는 조정의 전체적인 결과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쉽다.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는 중심 주파수, 조정하는 대역폭, 음량의 세 가지 항목(파라미터)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중 특히 대역폭은 넓히면 주변 대역과 완만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대역도 조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과의 균형도 중요하다. 복수의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묶어 놓은 것도 있다.
그래픽 이퀄라이저는 주파수와 폭이 정해져 있는 것을 하나의 제품 안에 여러 개 묶어 놓은 것을 가리킨다. 대부분 음량을 조정하는 손잡이가 회전식이 아닌 직선적인 슬라이드식이며, 어떤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어 있는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면 그 대역의 음량도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여러 손잡이의 위치를 통해 전체적인 음량 조절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가청 주파수 전역을 옥타브 단위로 분할한 것이 많으며, 분할 수는 5, 7, 13, 31 등과 같은 홀수가 대부분이다.
2. 3. 물리적 구조
이퀄라이저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주로 전기 회로의 주파수 전달 특성이나 소프트웨어 상의 신호 처리를 통해 주파수 특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실제 음파가 지나가는 통로에 기하학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여 공간의 음파 전달 주파수 특성을 바꾸는 장치도 만들 수 있으며, 이 역시 이퀄라이저의 범주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나 스피커의 다이어프램 가까이에 이러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다이어프램 자체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기도 한다.
3. 오디오 기기의 이퀄라이저
오디오 기기에서 이퀄라이저는 소리를 원하는 주파수 특성으로 재생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하이파이 오디오에서는 룸 어쿠스틱까지 포함하여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구현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베이스 부스트나 트레블 부스트 기능도 넓은 의미에서 이퀄라이저의 일종으로, 각각 저역과 고역을 완만하게 쉘빙 형태로 조정한다. 톤 컨트롤은 증폭뿐만 아니라 감소, 다단계/무단계 조정을 제공하는 이퀄라이저를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 오디오 기기에는 몇 가지 프리셋된 주파수 특성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며, 컴퓨터 재생 소프트웨어 (예: iTunes)에도 이퀄라이저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4. 전기 악기의 이퀄라이저
전기 악기에서는 특정 주파수를 강조하거나 줄여서 음색을 변화시킨다. 부스터처럼 사용하여 소리를 왜곡시키거나, 다른 기타의 소리를 시뮬레이트하는 등 음질 자체를 바꾸는 데에도 사용된다. 기타나 베이스 기타, 신시사이저에 내장된 "톤 컨트롤"은 단순한 고음, 중음, 저음 조작을 넘어 "이퀄라이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섬세한 이퀄라이징을 제공하기도 한다.
5. DJ 장비의 이퀄라이저
전기 악기 이퀄라이저와 거의 같지만, 특정 주파수를 경계로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대역을 극단적으로 컷하는 것은 필터 또는 아이솔레이터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 컷하는 경계 주파수 자체를 급격하고 극단적으로 바꾸거나, 드럼이나 베이스를 컷하여 전혀 다른 리듬 섹션을 합성하는 등, 악곡의 구성 자체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1]
6. PA 장비로서의 이퀄라이저
PA (Public Address)를 비롯한 음향 시스템에서 이퀄라이저는 스피커나 공연장 환경의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여 청중에게 의도한 소리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것은 피드백과의 관계이다. 피드백이란, 공연장에서 마이크로 수음한 소리를 스피커를 사용하여 재생할 때 스피커의 소리를 마이크가 다시 수음하여 피드백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크고 불쾌한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스피커의 음량을 낮추거나, 재생음이 마이크에 들어가지 않도록 배치를 고안하는 등의 방법이 있지만, 기대하는 것보다 훨씬 작은 음량으로 타협해야 하거나, 마이크 사용에 심각한 제한이 생기기도 한다. 공연장의 음향 특성에 문제가 있어 정재파가 발생하여 피드백이 일어나기 쉬운 경우에는, 그 특정 대역만 이퀄라이저를 사용하여 깎아냄으로써 앞서 언급한 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1]
7. 그래픽 이퀄라이저 주파수 대역별 특징 (참고)
다음은 일반적인 그래픽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특징이다.
| 주파수 대역 | 특징 |
|---|---|
| 60Hz | 거대한 공간감, 풍만함 |
| 600Hz | 밀도감, 실제감 |
| 1K~3KHz | 명료함, 깨끗함, 인간의 소리 |
| 16KHz | 고음의 악기들,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거나 청각에 유해할 수 있음 |
일반인은 생리적 한계로 인해 20Hz에서 20,000Hz 사이의 소리만 들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イコライザーとは
https://jp.yamaha.co[...]
YAMAHA
[2]
웹사이트
PCのiTunesで音質を調節する
https://support.appl[...]
Apple
[3]
웹사이트
イコライザーとは
https://jp.yamaha.co[...]
YAMAH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